KR200288975Y1 - Heating appliance for dipping wax - Google Patents

Heating appliance for dipping wa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975Y1
KR200288975Y1 KR2020020002827U KR20020002827U KR200288975Y1 KR 200288975 Y1 KR200288975 Y1 KR 200288975Y1 KR 2020020002827 U KR2020020002827 U KR 2020020002827U KR 20020002827 U KR20020002827 U KR 20020002827U KR 200288975 Y1 KR200288975 Y1 KR 2002889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unit
input
display unit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82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윤희
차종대
Original Assignee
이윤희
차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희, 차종대 filed Critical 이윤희
Priority to KR20200200028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97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9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975Y1/en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기공기기의 일종인 왁스 디핑용 물성가열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가열포트의 현재 온도를 감지하여 이로부터 얻어진 소정의 출력신호 값을 온도제어부로 전송하는 온도센서부; 현재온도와 설정온도의 전환, 설정온도 입력, 섭씨온도와 화씨온도의 전환, 설정온도를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부에 형성한 입력부; 상기 온도센서부에서 입력된 가열포트의 현재온도 값과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설정온도 값을 비교한 후, 히터부를 제어하여 가열포트의 가열여부를 판단하도록 해당 모듈을 제어하는 온도제어부; 가열포트에 왁스의 최적 용융온도에 해당하는 열을 제공하는 히터부; 설정온도 및 현재온도 표시, 히터동작 표시, 섭씨온도 및 화씨온도 표시, 설정온도 및 현재온도 값을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부에 형성하여 출력부; AC전압을 전압 차단시켜 DC 5V의 정전압으로 제공하여 각 모듈을 활성화시키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전압 변동에 따른 온도편차의 폭을 최대한 좁일 수 있도록 하고 온도범위의 가변폭을 확대하여 안정된 전원공급과 정확한 온도설정으로 여타의 의료산업분야에서의 많은 수요가 따르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ysical heating device for wax dipping, which is a kind of dental instrument, comprising: a temperature sensor unit for sensing a current temperature of the heating port and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output signal value obtained therefrom to a temperature control unit; An input unit formed on the display unit to switch between a current temperature and a set temperature, input a set temperature, switch between a celsius and fahrenheit temperature, and raise and lower a set temperature; A temperatur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corresponding module to determine whether the heating port is heated by controlling a heater unit after comparing a current temperature value of the heating port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unit with a set temperature value input from the input unit; A heater unit providing heat to a heating port corresponding to an optimum melting temperature of wax; An output unit formed on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set temperature and a present temperature display, a heater operation display, a celsius and fahrenheit temperature display, a set temperature and a present temperature value; Provides a constant voltage of DC 5V to cut off the AC voltage to supply a power supply for activating each module; configured to be made, so that the width of the temperature deviation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voltage change as narrow as possible and the temperature By expanding the variable range of the range, stable power supply and accurate temperature setting have the effect of high demand in other medical industries.

Description

왁스 디핑용 물성가열기기{Heating appliance for dipping wax}Physical heating device for wax dipping {Heating appliance for dipping wax}

본 고안은 치기공기기의 일종인 왁스 디핑용 물성가열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용 왁스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서 왁스 본래의 물성 변화없이 녹인 다음 의치용 석고본의 외부에 얇게 입힌 후 석고본을 떼어내고 그 속에 의치용 물질을 집어넣은 후 상기 물질의 표면에 왁스의 피막을 생성하여 정밀한 기공물 제작이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왁스 디핑용 물성가열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ysical heating device for wax dipping, which is a kind of dental instrument. More specifically, the dental wax is melted at a temperature set by a user without changing the original properties of the wax, and then thinly coated on the outside of the denture plaster pl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ysical heating device for wax dipping that removes a gypsum bone and inserts a denture material therein, thereby creating a film of wax on the surface of the material to help produce precise pores.

국민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점점 더 높아지고 있고 인간의 평균 수명율이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의료산업분야의 각종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많은 의료 첨단기기들이 개발되고 생산되고 있다.At the present time, the interest in national health is increasing and the average life expectancy of human beings is increasing. Various businesses in the medical industry are actively progressing, and many medical high-tech devices are being developed and produced.

하지만, 일부의 의료기기는 전적으로 외국 수입에만 의존하고 있으며, 또한 현재 시중에 대량 유통되어 사용하고 있는 수입 의료기기 5개중 1개는 한국의료기기협회, 한국의료용구협동조합, 대한치과기재협회 등으로부터 안전성 검사등을 제대로 거치지 않은 무허가 불법 기기인 것이다.However, some medical devices rely solely on foreign imports, and one out of five imported medical devices that are currently distributed and used in bulk are from the Korea Medical Device Association, the Korea Medical Equipment Cooperative Association, and the Korean Dental Equipment Association. It is an unauthorized illegal device that has not undergone safety tests.

이렇게 무허가로 유통되고 있는 의료기기 대부분들은 잘못 사용되거나 결함이 있을 경우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기기의 신뢰성이 떨어지고 기능 역시 수요자의 충족도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Most of the unlicensed medical devices may have a fatal effect on the human body if they are used incorrectly or are defective, so that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 is poor and the function does not satisfy the satisfaction of the consumer.

기본적으로 의치 제작에 사용되는 치과용 왁스는 여러 종류의 분자를 포함하는 복합물질로 천연왁스 및 합성왁스, 고무, 지방, 지방산, 오일, 천연수지, 및 색소로 구성되어 있다.Basically, the dental wax used to make dentures is a composite material containing several kinds of molecules and is composed of natural waxes and synthetic waxes, rubber, fats, fatty acids, oils, natural resins, and pigments.

상기 치과용 왁스로는 인레이 패턴 왁스(inlay pattern wax), 주조왁스(casting wax), 레진 모델링재(resin modelling materials), 베이스 플레이트 왁스(base plate wax), Boxing 왁스(boxing wax), 다용도 왁스(utility wax), 접착용 왁스(sticky wax), 수정 인상용 왁스(corrective impression wax), 교합인기용 왁스(bite registration wax) 등이 있다.The dental waxes include inlay pattern wax, casting wax, resin modeling materials, base plate wax, boxing wax, and multipurpose waxes. utility wax, sticky wax, corrective impression wax, bite registration wax, and the like.

치과용 왁스는 상기와 같이 여러 종류의 분자를 포함하는 복합물질이기 때문에 이들의 종류에 따라 용융온도 범위를 포함하여 열팽창계수, 유동성, 잔류응력 등의 특성들이 모두 다르게 나타나며, 설사 같은 종류의 왁스라 하더라도 각 온도범위에 따른 열팽창계수가 다를 수 있으며 측정당시의 온도에 따라 기계적인 성질에 있어서도 큰 차이가 있다.Since dental wax is a composite material containing several kinds of molecules as described above,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fluidity, residual stress, etc., including melting temperature ranges are all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kind. Even though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each temperature range,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mechanical propertie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at the time of measurement.

종래의 물성가열기기는 단순히 설정온도만을 지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가열포트내의 현재온도에 대해서는 알 수 없으며, 왁스마다 적정 용융온도를 유지해 주어야 하는데, 설정온도와 가열기기 자체의 온도 차이 및 입력전압 변동에 따른 온도편차의 폭이 매우 넓어서, 용융온도의 변화에 매우 민감하여 미세한 온도의 차이에 의해서 왁스 특유의 성질을 잃어버리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The conventional physical heating device can simply designate the set temperature and cannot know the current temperature in the heating port, and it is required to maintain the proper melting temperature for each wax. Due to the wide width of the temperature deviation, it is very sensitive to changes in the melting temperature and often loses the wax-specific properties due to the minute temperature difference.

따라서, 왁스가 용해되는 속도가 그만큼 느려지게 되고 왁스의 물성이 변하게 되어 정밀한 기공물 제작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고, 또한 기기의 사용온도가 섭씨/화씨 중 하나만 표기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분야의 소비자 실정에 맞게 섭씨/화씨로의 변환이 요구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도출되고 있다.Therefore, the speed of dissolving the wax is slowed down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wax are changed,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produce precise pores. Also, since only one of the Celsius / Fahrenheit temperature is used, the consumer's customer According to the situation, problems such as conversion to Celsius / Fahrenheit are required.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가열포트내부에 일정량의 왁스를 넣고, 사용자가 설정된 왁스의 최적 용융온도에서 물성의 변화없이 녹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현재온도와 설정온도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설정온도와 현재온도를 비교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전압 변동에 따른 온도편차의 폭을 최대한 좁일 수 있도록 하며 온도범위의 가변폭을 확대하여 정밀한 기공물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puts a certain amount of wax into the heating port, and the present temperature and the set temperature are output so that the user can melt without changing the physical properties at the optimum melting temperature of the set wax. By making it possible to work while comparing the set temperature and the present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narrow the width of the temperature deviation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voltage change as much as possible, and to increase the variable width of the temperature range to produce precise pores Its purpose is to make it possibl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왁스를 수용하여 최적 용융온도로 가열하는 가열포트; 상기 가열포트 내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덮개; 상기 가열포트 내의 현재온도 및 작동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이루어지는 왁스 디핑용 물성가열기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가열포트의 현재 온도를 감지하여 이로부터 얻어진 소정의 출력신호 값을 온도제어부로 전송하는 온도센서부; 현재온도와 설정온도의 전환, 설정온도 입력, 섭씨온도와 화씨온도의 전환, 설정온도를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부에 키 또는 버튼형태로 형성하여 온도제어부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입력부; 상기 온도센서부에서 입력된 가열포트의 현재온도 값과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설정온도 값을 비교한 후, 히터부를 제어하여 가열포트의 가열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가열포트 내에 수용된 왁스를 최적 용융온도로 녹일 수 있도록 해당 모듈을 제어하는 온도제어부; 상기 온도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가열포트에 왁스의 최적 용융온도에 해당하는 열을 제공하는 히터부; 설정온도 및 현재온도 표시, 히터동작 표시, 섭씨온도 및 화씨온도 표시, 설정온도 및 현재온도 값을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부에 형성하여 온도제어부와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출력부; AC전압을 전압 차단시켜 브릿지 다이오드와 콘덴서를 거쳐 전파정류된 전압을 전압 레규레이터를 통해 DC 5V의 정전압으로 제공하여 각 모듈을 활성화시키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지는 왁스 디핑용 물성가열기기를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A heating port for receiving wax and heating to an optimum melting temperature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ver for preventing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into the heating por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hysical heating device for wax dipping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urrent temperature and the operating state in the heating port, the current temperature of the heating port is detected and the predetermined output signal value obtained therefrom is transmitt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A temperature sensor unit; An input unit which is connected to a temperature control unit in a form of a key or a button so as to change the current temperature and the set temperature, input the set temperature, switch the Celsius and Fahrenheit temperature, and raise and lower the set temperature; After comparing the present temperature value of the heating port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unit with the set temperature value input from the input unit, the heater unit is controlled to determine whether the heating port is heated, and the wax contained in the heating port is optimally melted. A temperature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module to be melted into the furnace; A heater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control signal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to provide heat corresponding to an optimum melting temperature of wax to a heating port; An output unit formed in the display unit so as to display a set temperature and a present temperature display, a heater operation display, a celsius temperature and a fahrenheit temperature display, and a circuit connected to a temperature controller; Wax dipping material heating device comprising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activate each module by providing a voltage of DC 5V through a voltage regulator through a voltage regulator to cut the AC voltage voltage through a bridge diode and a capacitor It was intended to be implemented.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물성가열기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hysical heating device constructed b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물성가열기기의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of a physical heating device constructed b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물성가열기기의 회로도3 is a circuit diagram of a physical heating device constructed b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물성가열기기가 동작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operating a physical property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Description of Signs of Main Parts of Drawings *

1. 물성가열기기 10. 온도센서부1. Property heating equipment 10. Temperature sensor

20. 입력부 30. 온도제어부20. Input section 30. Temperature control section

40. 히터부 50. 출력부40. Heater unit 50. Output unit

60. 전원부60. Power Supply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예일 뿐이며, 본 고안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examples to specifically describ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r drawings It is not limited.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물성가열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물성가열기기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물성가열기기의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이 동작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도 1에 도시된 도면부호 2는 가열포트, 3은 덮개, 21은 설정온도/현재온도 전환키, 22는 섭씨/화씨 전환키, 23은 설정온도 상승키, 24는 설정온도 하강키, 51은 설정온도 표시부, 52은 현재온도 표시부, 53은 히터작동 표시부, 54는 온도값 표시부를 나타낸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hysical property heating device constructed b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physical property heating device configured b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b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ircuit diagram of a physical property heating device, and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In FIG. 1, reference numeral 2 is a heating port, 3 is a cover, and 21 is a set temperature / current temperature change. Key, 22 is Celsius / Fahrenheit conversion key, 23 is set temperature up key, 24 is set temperature down key, 51 is set temperature display part, 52 is current temperature display part, 53 is heater operation display part, 54 is temperature value display part .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물성가열기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관시에 가열포트(2)내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덮개(3)를 이용하여 가열포트(2)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하고, 전면상에는 FND를 이용해 섭씨와 화씨에 따른 현재온도 및 설정온도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며, 설정온도/현재온도 전환키(21)에 의해 현재온도 표시부(52)와 설정온도 표시부(51)가 표시되도록 하며, 섭씨/화씨 전환키(22)에 의해 FND상에 해당 온도가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설정온도를 지정할 수 있도록 설정온도 상승키(23) 및 하강키(24)를 형성하며, 히터의 작동여부에 따른 히터작동 표시부(53)가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되게 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hysical heating device configured b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heated by using the cover 3 so that foreign matter does not enter the heating port (2) during storage The upper part of the port (2) can be covered, and on the front side, the FND can be used to output the present temperature and the set temperature according to Celsius and Fahrenheit in a form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The current temperature display unit 52 and the set temperature display unit 51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the corresponding temperature is displayed on the FND by the Celsius / Fahrenheit conversion key 22, and the user can easily specify the set temperature. The set temperature rising key 23 and the falling key 24 are formed so that the heater operation indicator 53 can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eater.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물성가열기기(1)의 블록도와 회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왁스 디핑용 물성가열기기(1)는 온도센서로부터 현재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부(10), 설정온도/현재온도 전환키(21)와 섭씨/화씨 전환키(22), 설정온도 상승키(23) 및 하강키(24)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직접 왁스의 용융온도에 따른 설정온도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20), 상기 온도센서부(10)로부터 감지되는 현재온도와 상기 입력부(20)로부터 입력된 설정온도를 서로 비교하여 설정온도가 현재온도보다 크면 히터를 ON시키고 현재온도가 설정온도보다 크거나 같으면 히터를 OFF시길 수 있도록 제어하는 온도제어부(30),상기 온도제어부(30)로부터 히터의 동작여부를 판단하여 히터를 구동시키는 히터부(40), 설정온도 표시부(51)와 현재온도 표시부(52) 및 히터동작 표시부(53) 그리고 온도값 표시부(54)로 구성되어 상기 입력부(20)의 입력에 따른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출력부(50), 상기 장치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60)로 이루어진다.2 and 3 show a block diagram and a circuit diagram of the physical heating device (1) configured b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physical heating device for wax dipping (1) detects the current temperatur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It consists of a temperature sensor unit 10, a set temperature / current temperature switch key 21 and the Celsius / Fahrenheit switch key 22, a set temperature rising key (23) and the down key (24) can be waxed directly by the user Compared to the input unit 20, the current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unit 10 and the set temperature input from the input unit 20 that can input the set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set temperature is greater than the current temperature When the heater is large and the current temperatu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temperature,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0 for controlling the heater to turn off, the heater unit 40 to determine whether the heater operation from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0 to drive the heater (40) ), The set temperature display section 51 and the current The output unit 50 is composed of a temperature display unit 52, a heater operation display unit 53 and a temperature value display unit 54 to display a stat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input unit 2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device, the device It consists of a power supply unit 60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eld.

온도센서부(10)는 온도센서로부터 내부 및 외부의 현재 온도를 감지하여 출력신호를 얻어낸 후 연산증폭기(OP AMP ; Operation Amplifier)를 거쳐 상기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최종출력을 온도 제어부로 출력시키는 역할을 하는 곳이다.The temperature sensor unit 10 obtains an output signal by detecting internal and external current temperatures from a temperature sensor, amplifies the signal through an operational amplifier (OP AMP), and outputs the amplified final output to the temperature controller. It is a place to play a role.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LM35A 온도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최저 0℃에서 최고 150℃까지 폭넓게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부터 온도가 1℃ 증가/감소할 때마다 출력도 10mV 증가/감소할 수 있도록 출력신호를 10mV/℃로 하여 온도 0℃∼150℃에 대하여 0V∼1.5V의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함께 설계한다.The LM35A temperature sensor can be used to perform the above role, and it can detect a wide range of temperature from as low as 0 ℃ to as high as 150 ℃. From this, when the temperature increases / decreases by 1 ℃, the output increases by 10mV / In order to reduce the output signal, the output signal is set to 10mV / ℃ so that the output of 0V to 1.5V can be obtained for the temperature of 0 ℃ to 150 ℃.

하지만, 상기 온도 센서를 통한 0V∼1.5V 정도의 출력신호는 미약하여 사용하기에 적당하지 못하므로 OP-AMP를 이용하여 증폭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반전증폭기로 인해 생기는 음의 이득(위상의 반전)을 피하기 위해 상기 미세한 출력신호가 OP-AMP의 비반전 단자에 공급될수 있는 비반전 증폭기를 사용하여 10mV/℃에 의한 출력을 3.4배(1+2.4)의 증폭도로 증폭한 후 최종 출력을 얻어낼 수 있도록 한다.However, since the output signal of about 0V to 1.5V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is weak and not suitable for use, it can be amplified using OP-AMP, and the negative gain caused by the inverting amplifier generally used (phase In order to avoid the reversal of, the final output after amplifying the output by 10mV / ℃ to 3.4 times (1 + 2.4) using a non-inverting amplifier that can be supplied to the non-inverting terminal of the OP-AMP To get.

최종출력 V = (0℃ ×10mV) ×3.4 로부터 최저 0V부터 최고 5V까지 얻어낼수 있도록 하고, 만약 온도가 0℃ 이하일 경우는 상기 비반전 OP-AMP를 거쳐 0V가 최종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하며, 최종출력을 온도제어부(30)로 입력시키게 되면 온도제어부(30)에서는 0V∼5V의 최종출력값을 받아 들이게 되는데 OV일 때는 ON을 5V일 때는 OFF 로 연결이 되도록 한다.From the final output V = (0 ℃ × 10mV) × 3.4, the lowest 0V to the highest 5V can be obtained. If the temperature is below 0 ℃, 0V can be finally output through the non-inverting OP-AMP. When the final output is input to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0,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0 receives the final output value of 0V to 5V. When OV is ON, it is connected to OFF when 5V.

입력부(20)는 설정온도/현재온도 전환키(21)와 섭씨/화씨 전환키(22), 설정온도 상승키(23) 및 설정온도 하강키(24)로 구성되어 있는 장치로, 사용자가 직접 왁스의 최적 용융온도에 따른 설정온도를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input unit 20 is a device composed of a set temperature / current temperature switch key 21 and a Celsius / Fahrenheit switch key 22, a set temperature rise key 23, and a set temperature fall key 24. It is configured to directly input the set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optimum melting temperature of the wax.

온도제어부(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상기 입력부(20)의 설정온도/현재온도 전환키(21)에 의한 설정온도 표시부(51) 및 현재온도 표시부(52)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입력부(20)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온도값과 상기 온도센서부(10)로부터 감지된 현재온도 센서값을 서로 비교하여 설정온도가 현재온도보다 크면 히터동작 표시부(53)를 ON 시키고, 현재온도가 설정온도보다 크거나 같으면 히터동작 표시부(53)를 OFF 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여, 상기 결과에 따라 히터부(40)를 ON/OFF 시켜 최종적으로 히터 동작여부를 결정하도록 하여 왁스를 녹일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The temperature controller 30 activates the set temperature display unit 51 and the present temperature display unit 52 by the set temperature / present temperature switching key 21 of the input unit 20 using a microprocessor, and inputs the input unit 20. Compared to the set temperature value input by the user and the current temperature sensor value detect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unit 10, if the set temperature is greater than the present temperature, the heater operation display unit 53 is turned on, and the present temperature is the set temperature If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ontrol unit to turn off the heater operation display unit 53, the heater unit 40 is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result to finally determine whether the heater operation to melt the wax.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는 주로 8비트 CMOS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인 PIC16C711를 사용되는데, 각각의 핀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The microprocessor is mainly an 8-bit CMOS one-chip microprocessor PIC16C711, each pin configuration is as follows.

상기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인 PIC16C711의 핀 단자들 중 RA0∼RA4는 포트 A의 양방향 I/O(0비트)∼포트 A의 양방향 I/O(4비트)이고, TTL(transistor-transistor logic circuit) 레벨 및 RB0∼RB7은 포트 B의 양방향 I/O 포트(0 비트)∼포트 B의 양방향 I/O 포트(7 비트)이며, OCS1/CLKIN과 OCS2/CLKOUT은 오실레이터(발진기) 단자로 각각 외부 클럭 입력과 클럭 출력을 담당하고 있고, VDD는 전원단자, VSS 단자는 그라운드되어지며, MCLR은 리셋(RESET)의 용도로 사용되어 진다.Of the pin terminals of the one-chip microprocessor PIC16C711, RA0 to RA4 are bidirectional I / O (0 bits) of port A to bidirectional I / O (4 bits) of port A, and a transistor-transistor logic circuit (TTL) level and RB0 to RB7 are bidirectional I / O ports (0 bits) to Port B bidirectional I / O ports (7 bits), and OCS1 / CLKIN and OCS2 / CLKOUT are oscillator (oscillator) terminals, respectively. It is in charge of clock output, VDD is power terminal, VSS terminal is ground, MCLR is used for reset.

RA0는 온도센서부(10)로부터 받아들인 0V∼5V의 아날로그 출력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시키는 A/D 컨버터(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 사용되고 있다.RA0 is used as an A / D converter (analog / digital converter) for converting an analog output value of 0V to 5V receiv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unit 10 into a digital value.

RA2와 RA3는 메모리와 연결되어 전원을 OFF 시켰을 경우에도 이전의 상태를 기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상기 메모리로는 주로 24C04 EEPROM이 사용되며, 이는 전원이 없이도 장기간 안정적으로 기억하는 비휘발성 기억 장치로 칩을 구성하는 소자의 전하를 전기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데이터를 기록하고 소거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RA2 and RA3 are designed to memorize the previous state even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when connected to the memory. 24C04 EEPROM is mainly used as the memory. By changing the electric charge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chip, the data can be written and erased.

히터부(40)는 상기 온도제어부(30)로부터 ON/OFF 신호를 받아 트라이악(Triac)을 컨트롤해서 히터를 ON/OFF 시키도록 하는 장치로, 상기 트라이악 소자는 P-N-P-N 구조를 갖는 두 개의 사이리스터가 게이트 전극을 공통으로 하여 역병렬로 연결된 양방향 스위칭 소자로 양방향 구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단전압 특성이 표면차단전압 모드 및 이면차단전압모드인 두 개의 동작 형태를 가지며, 주로 AC의 스위치로 사용되고 있다.The heater unit 40 is a device for receiving a ON / OFF signal from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0 to control the triac (Triac) to turn the heater ON / OFF, the triac element is a two thyristor having a PNPN structure Because the gate electrodes are common, bidirectional driving devices connected in parallel and in parallel can be driven in two directions. Thus, the blocking voltage characteristic has two operation modes, a surface blocking voltage mode and a back blocking voltage mode, and are mainly used as an AC switch.

상기 온도제어부(30)로부터 받아들인 0V의 ON 신호와 +5V의 OFF 신호로 트라이악 드라이버를 ON/OFF 시키고, 상기 트라이악 드라이버의 ON/OFF에 의해 트라이악이 ON/OFF 되고, 상기 TRIAC이 ON이 되면 히터는 동작하게 되고, OFF시 히터는동작하지 않게 된다.The triac driver is turned on / off with an ON signal of 0 V and an OFF signal of +5 V received from the temperature control part 30, and the triac is turned on / off by the on / off of the triac driver. When it is turned on, the heater will run, and when it is off, it will not run.

히터 동작시 히터의 양단에는 AC 110V/220V 전원이 그대로 걸리고 트라이악드라이버의 구동전류 IFT는 최대 15mA에 맞게 270Ω을 사용한다. 또한 39Ω과 0.01㎌은 갑작스런 ON/OFF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장치들이다.When operating the heater, AC 110V / 220V power is applied to both ends of the heater as it is, and the triac driver's driving current IFT uses 270Ω for maximum 15mA. 39Ω and 0.01Ω are also devices that can be used to prevent sudden ON / OFF.

출력부(50)는 설정온도 표시부(51)와 현재온도 표시부(52), 히터동작 표시부(53) 그리고 섭씨/화씨 표시부 및 온도값 표시부(54)로 구성되어 상기 입력부(20)의 입력에 따른 상태를 상기 온도제어부(30)를 통해 제어하여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장치이다.The output unit 50 includes a set temperature display unit 51, a current temperature display unit 52, a heater operation display unit 53, a Celsius / Fahrenheit display unit, and a temperature value display unit 54,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input unit 20. It is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state through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0 to display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상기 입력부(20)에서 각각의 키들을 조작하여 입력신호를 온도제어부(30)로 송신하게 되면, 상기 온도제어부(30) 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RB0∼RB6 핀으로부터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출력되어 어드레스 디코더 역할을 하게 되는 소자와 연결이 되는데, 상기 어드레스 디코더 소자로는 74LS139와 HEF4511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input unit 20 operates each key to transmit an input signal to the temperature controller 30, the received data is output from the microprocessors RB0 to RB6 pins on the temperature controller 30 to serve as an address decoder. In this case, 74LS139 and HEF4511 are preferably used as the address decoder.

상기 온도제어부(30)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된 2비트의 신호들은 상기 어드레스 디코더 소자 74LS139를 통해 4비트의 신호로 전환되어, 상기 출력부(50)의 설정온도 표시부(51), 현재온도 표시부(52), 히터동작 표시부(53), 섭씨/화씨 표시부 및 온도값 표시부(54) 중 어디로 수신할 것인지를 결정한 후 각각의 키들을 선택하고, 상기 4비트로 전환된 데이터 신호들은 다시 어드레스 디코더인 HEF4511을 통해 10진수화 되어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상태로 온도값 표시부(54)에서 보여지게 된다.The 2-bit signals output from the microprocessor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30 are converted into 4-bit signals through the address decoder element 74LS139, so that the set temperature display unit 51 of the output unit 50 and the present temperature display unit ( 52), after determining whether to receive the heater operation display unit 53, the Celsius / Fahrenheit display unit, and the temperature value display unit 54, select respective keys, and the data signals converted to the 4-bits are converted into the address decoder HEF4511. Decimalized through, the temperature valu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4 in the state that can be finally recognized by the user.

상기 온도값 표시부(54)는 숫자나 간단한 기호 표현에 많이 애용되는 것으로, 7 세그먼트라고 불리는 FND가 흔히 사용된다. 주로 Commom점이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서 Common애노드와 Common캐소드로 분류되는데, 상기와 같이 74LS139를 사용하여 제어되는 것이 가장 편리하고 보편적인다. 출력부(50)의 제어는 CPU 포트가 여유가 있을 경우에 직접 8비트를 연결하여 제어하기도 하지만, 직접 I/O 포트 제어시에는 노이즈나 잔상이 남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The temperature value display section 54 is frequently used for numbers or simple symbolic representations, and a FND called 7 segments is commonly used. It is mainly classified into common anode and common cathode according to where Commom point is located. As described above, it is most convenient and common to control using 74LS139. The control of the output unit 50 may be controlled by directly connecting 8 bits when the CPU port is free, but various problems may occur such as noise or afterimage left in the direct I / O port control.

따라서, 74LS139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이 더욱 안정되고 회로 또한 간단해져 바람직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여러 개의 출력부를 제어할 때에는 74LS139를 각각의 출력부(50)에 연결하고, 출력부의 Common단자를 제어해서 순차적으로 빠르게 한번씩 2ms의 속도로 켜줌으로써 마치 사용자의 눈에 모든 출력부(50)가 켜져 있는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좋다. 그 외에도, 출력부(50)에는 사용자가 키를 선택하여 입력할 때 일정의 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온도제어부(30)의 RB6 핀에 연결된 부져를 구성한다.Therefore, the control using 74LS139 is more stable and the circuit is also simpler to enable preferred control. And when controlling multiple output units 74LS139 is connected to each output unit 50, and by controlling the common terminal of the output by sequentially turning on at a speed of 2ms once each time as if all the output unit 50 in the eyes of the user Designed to be used to create a illusion that it's on. In addition, the output unit 50 configures a buzzer connected to the RB6 pin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30 so that a predetermined sound can be generated when the user selects and inputs a key.

전원부(60)는 상기 장치들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이 이루워질 수 있도록 AC 전원을 전압 차단 시킨 다음, 브릿지 다이오드(Diode Bridge)와 콘덴서(Capacitor)를 거쳐 전파정류된 전압을 전압 레규레이터(Voltage Regulator)를 통해 DC 5V 정전압을 만들게 되는 역할을 하는 장치로, 전원 AC 전압 110V/220V를 강압 트랜스(transformer)를 통해 AC 8V로 전압강하 한 뒤, 브릿지 다이오드와 전해 콘덴서로 전압을 평활시켜 DC 11.2V(= 8V×)로 만든다.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와 콘덴서로 평활된 DC 11.2V 전압은 전압 레규레이터(7805)를 거쳐 전해 콘덴서로 다시 한번 더 평활되어 DC 5V(=8V/)의 정전압을 만들어 낸다.The power supply unit 60 cuts off the AC power to supply power to the devices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and then the voltage regulator rectifies the full-wave rectified voltage through a bridge diode and a capacitor. It is a device that makes DC 5V constant voltage through regulator.The voltage of AC 110V / 220V is reduced to AC 8V through step-down transformer and then the voltage is smoothed by bridge diode and electrolytic capacitor. V (= 8 V × ) The DC 11.2V voltage smoothed by the bridge diode and the condenser is once again smoothed by the electrolytic capacitor via the voltage regulator 7805 to DC 5V (= 8V / To produce a constant voltage.

전압 조정기라고도 하는 상기 전압 레규레이터는 입력 전압과 출력 부하가 변화하더라도 항상 일정한 출력 전압을 유지하도록 설계된 것으로, 전압 제어 회로의 신뢰도 향상 및 간편화를 위해 집적 회로를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상기와 같이 생선된 DC 5V의 정전압은 이 회로의 주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voltage regulator, also called a voltage regulator, is designed to maintain a constant output voltage at all times even when the input voltage and the output load change, and it is common to use an integrated circuit to improve reliability and simplify the voltage control circuit. The above-described constant voltage of DC 5V can be used as the main power source of this circui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한 왁스 디핑용 물성가열기기의 사용 및 작동 상태를 도 4와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왁스디핑용 물성가열기기의 작동 상태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Looking at the use and operating state of the physical heating device for wax dip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Figure 4 shows a flow diagram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physical heating device for wax dip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인 왁스디핑용 물성가열기기에 전원부로터 AC 110V/220V를 브릿지 다이오드와 콘덴서 및 전압레규레이터를 거쳐 DC 5V의 직류전원이 공급되면, 기기는 최적의 온도에서 왁스가 녹을 수 있는 상태로 준비되고, 온도제어부(30)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정상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초기화 상태가 된다.(110)When the DC 5V DC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AC 110V / 220V power supply rotor through the bridge diode, the capacitor and the voltage regulator to the wax heating material heating device, the device is ready to melt the wax at the optimum temperature. In addition, the microprocessor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30 is initialized to operate normally.

사용자는 덮개를 열고, 가열 포트에 녹이고자 하는 왁스를 정량 첨가한 후, 현재온도와 관련하여 상기 왁스의 종류에 따른 최적 용융온도를 설정한다.(120)The user opens the lid, adds a quantity of wax to be dissolved in the heating pot, and sets an optimum melting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ax in relation to the current temperature.

상기 현재온도는 설정온도/현재온도 전환키(21)에 의해 신호로부터 어드레스 디코더(74LS139)를 통과하여 현재온도 표시부(52)를 활성화시키고(132), 온도센서부(10)의 온도센서로부터 내부 및 외부의 현재 온도를 감지하여 10mV/℃의 출력신호를 얻어낸 후 OP AMP를 거쳐 최종 신호를 증폭하여 온도제어부(30)로 출력시킨다. 상기 출력된 최종신호는 어드레스 디코더(HEF4511)에 의해 10진수화되어 온도값 표시부(54)에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상태로 출력(132)된다.(130)The present temperature is passed from the signal by the set temperature / present temperature switching key 21 to the address decoder 74LS139 to activate the present temperature display unit 52 (132),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from the temperature sensor of the temperature sensor unit 10. And after sensing the current temperature of the external to obtain an output signal of 10mV / ℃ and amplifies the final signal through the OP AMP and outputs to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0. The output final signal is decoded by the address decoder HEF4511 and output 132 in a stat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on the temperature value display unit 54 (130).

설정온도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온도/현재온도 전환키(21), 섭씨/화씨 전환키(22)를 사용하여 입력된 신호를 어드레스 디코더(74139)에 의해 현재온도 표시부(52)가 선택되어 활성화(141)될 수 있도록 조작한 후, 다시 어드레스 디코드(HEF4511)에 의해 10진수화되어 온도값 표시부(54)에 그 값을 출력(142)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된다.(140)The set temperature is activated by the present temperature display unit 52 being selected by the address decoder 74139 by inputting a signal input by the user directly using the set temperature / current temperature switch key 21 and the Celsius / Fahrenheit switch key 22 ( 141) and then decoded by the address decode HEF4511 to output the value 142 to the temperature value display section 54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이 때, 사용자는 섭씨/화씨 전환키(22)를 이용하여 현재온도 및 설정온도의 섭씨/화씨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데, 섭씨/화씨 전환온도는 온도센서부(10)에 의해 자동적으로 계산되어져 상기 각각의 어드레스 디코더의 동작에 의해 온도값 표시부(54)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보여지고, 각각의 키들은 제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부져와 연결됨으로써 키들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끔 한다. 또한, 상기 현재온도 표시부(52)와 설정온도 표시부(51) 및 섭씨/화씨 표시부의 활성화에 의한 온도값 표시부(54)와 섭씨/화씨 표시부의 첫째자리부터 넷째자리까지의 변화는 각 자리당 2.5ms씩 전체 10ms의 속도로 빠르게 전환되고 계속적으로 반복되면서 인식할 수 있게 표시된다.At this time, the user uses the Celsius / Fahrenheit conversion key 22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temperature and the set temperature in Celsius / Fahrenheit, Celsius / Fahrenheit conversion temperature is automatically calcula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unit 10 By the operation of each address decoder, the temperature value display section 54 is shown to be recognized by the user, and the respective keys are connected to the buzzer by the microprocessor of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state of the keys can be sensed. Further, the change from the first to fourth digits of the temperature value display unit 54 and the celsius / degree Fahrenheit display unit by activation of the present temperature display unit 52, the set temperature display unit 51, and the Celsius / Fahrenheit display unit is 2.5 for each digit. It quickly switches to the full 10ms speed in ms and repeats continuously for recognizable display.

상기와 값이 온도센서부(10)로부터 감지된 현재온도와 입력부(20)로부터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설정온도는 온도제어부(30)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통하여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부(20)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온도값과 상기 온도센서부(10)로부터 감지된 현재온도 센서값을 서로 비교하여(150) 설정온도가 현재온도보다 크면 히터동작 표시부(53)를 ON 시키고(160), 반대로 현재온도가 설정온도보다 크거나 같으면 히터동작 표시부(53)를 OFF 시킬 수 있도록 제어부에서 제어한다(151).The current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unit 10 and the set temperature directly input by the user from the input unit 20 may be controlled by the microprocessor in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0. That is, the set temperature value input by the user from the input unit 20 and the present temperature sensor valu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unit 10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150). If the set temperature is greater than the present temperature, the heater operation display unit 53 On (160), if the current temperatu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temperature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to turn off the heater operation display unit 53 (151).

그리고 상기 결과에 의한 히터동작 표시부(53)가 ON/OFF 됨에 따라 히터부(40)에서는 상기 온도제어부(30)로부터 받아들인 0V의 ON 신호와 +5V의 OFF 신호에 따라 트라이악 드라이버를 ON/OFF 시키고, 상기 트라이악 드라이버의 ON/OFF에 의해 트라이악이 ON/OFF 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TRIAC이 ON이 되면 히터는 동작하게 되고, OFF가 되면 히터는 동작하지 않게 된다.As the heater operation display unit 53 is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result, the heater unit 40 turns on / off the triac driver according to the 0 V ON signal and the +5 V OFF signal received from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30. The triac is turned on and off by turning the triac driver on and off. Finally, when the TRIAC is turned on, the heater is operated, and when it is turned off, the heater is not operated.

상기와 같이 처리되는 과정에 의해 히터동작표시부가 ON이 되고(160) 이에 따라 히터가 ON이 되면(170) 왁스는 최적의 온도에서 어떠한 물성의 변화없이 완벽하게 녹을 수 있는 것이다.(180)When the heater operation indicator is turned on by the process as described above (160) and the heater is turned on (170), the wax can be completely melted without any change in physical properties at the optimum temperature.

만약, 설정온도와 현재온도를 비교하여 현재온도가 설정온도보다 크거나 같으면 히터동작 표시부(53)는 그대로 OFF 상태를 유지하여 히터가 동작되지 않는 상태가 되고(151), 이 때는 기기를 냉각시켜(152) 다시한번 설정온도와 현재온도 비교(150)하여 설정온도가 현재온도보다 커질때까지 상기 냉각과정을 반복하여 히터를 ON시킬 수 있도록 한다.If the current temperatu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temperature by comparing the set temperature with the set temperature, the heater operation display unit 53 is maintained in the OFF state as it is and the heater is not operated (151). Once again, the set temperature is compared with the present temperature 150 to repeat the cooling process until the set temperature is greater than the present temperature so as to turn on the heater.

본 고안인 물성가열기기는 사용자의 입력전압 변동에 따른 온도편차의 폭을 최대한 좁일 수 있도록 하고, 설정온도 범위를 30℃에서 120℃까지 그 가변폭을 확대하여 수요자의 온도 활용범위의 증대에 따른 수요자의 구매욕구를 증가와 수입에 전적으로 의존해 왔던 기기를 국산화함으로써 수입대체 효과가 있고 안정된 전원공급과 정확한 온도설정으로 의료산업분야에서의 많은 수요가 따르는 효과가 있다.The physical he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temperature deviation of the user's input voltage to be narrowed as much as possible, and the set temperature range is expanded from 30 ° C to 120 ° C to increase the temperature range of the consumer. Localization of devices that have depended solely on imports and imports for buyers has the effect of import substitution, and the demand in the medical industry for stable power supply and accurate temperature setting.

Claims (3)

왁스를 수용하여 최적 용융온도로 가열하는 가열포트; 상기 가열포트 내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덮개; 상기 가열포트 내의 현재온도 및 작동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이루어지는 왁스 디핑용 물성가열기기를 구성함에 있어서,A heating port for receiving wax and heating to an optimum melting temperature; A cover for preventing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into the heating por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hysical heating device for wax dipping consisting of;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urrent temperature and the operating state in the heating port, 상기 가열포트의 현재 온도를 감지하여 소정의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연산증폭기로 구성된 온도센서부; 상기 표시부상에 섭씨/화씨 전환키, 현재온도/설정온도 전환키, 설정온도 상승키 및 하강키 각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온도제어부와 회로적으로 연결된 입력부; 상기 온도센서부에서 입력된 가열포트의 현재온도 출력값과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설정온도 출력값을 비교한 후, 히터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가열포트 내에 수용된 왁스를 최적 용융온도로 녹일 수 있도록 해당 모듈과 회로적으로 연결된 온도제어부; 상기 온도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ON/OFF되는 트라이악 드라이버 및 트라이악과 상기 트라이악에 의해 가열포트에 열을 발생하는 히터로 구성된 히터부; 상기 온도제어부에서 출력된 출력신호 값을 입력받아 표시부에 출력하는 어드레스 디코더와 상기 어드레스 디코더와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표시부상에 형성된 히터작동 표시부, 현재온도 표시부, 설정온도 표시부, 섭씨/화씨 표시부 및 온도값 표시부로 구성된 출력부; AC전압을 강압하는 강압 트랜스와 정류작용을 하는 브릿지 다이오드 및 콘덴서와 평활작용을 하는 전압 레규레이터로 구성된 전원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왁스 디핑용 물성가열기기.A temperature sensor unit configured to sense a current temperature of the heating port and generate a predetermined output signal and an operational amplifier configured to amplify the output signal; An input unit formed on the display unit as a Celsius / Fahrenheit switching key, a current temperature / setting temperature switching key, a setting temperature rising key, and a falling key, respectively, and connected in circuit with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After comparing the present temperature output value of the heating port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unit with the set temperature output value input from the input unit,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heater to melt the wax contained in the heating port to the optimum melting temperature A temperature control unit circuitly connected to the module; A heater unit comprising a triac driver turned on / off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and a heater generating heat in a heating port by the triac; An address decoder which receives the output signal value output from the temperature controller and outputs it to a display unit, and a heater operation display unit, a current temperature display unit, a set temperature display unit, a Celsius / Fahrenheit display unit, and a temperature which are connected to the address decoder and circuitally connected to the address decoder. An output unit configured of a value display unit; Wax dipping material heat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ower supply unit consisting of a step-down transformer for stepping down AC voltage, a bridge diode and a capacitor and a voltage regulator for smoothing a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020002827U 2002-01-29 2002-01-29 Heating appliance for dipping wax KR20028897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827U KR200288975Y1 (en) 2002-01-29 2002-01-29 Heating appliance for dipping wa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827U KR200288975Y1 (en) 2002-01-29 2002-01-29 Heating appliance for dipping wax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975Y1 true KR200288975Y1 (en) 2002-09-11

Family

ID=73055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827U KR200288975Y1 (en) 2002-01-29 2002-01-29 Heating appliance for dipping wa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975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05268B2 (en) 2011-11-28 2014-12-09 Hummer Co., Ltd Wax dispenser for dental technology and wax dispenser system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05268B2 (en) 2011-11-28 2014-12-09 Hummer Co., Ltd Wax dispenser for dental technology and wax dispenser system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6371B2 (en) Temperature control method for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ype heating element
CN105698397B (en) Electric heater and its method for heating and controlling
US7257464B2 (en) Variable wattage control system
KR200288975Y1 (en) Heating appliance for dipping wax
Mashud et al. Automatic room temperature controlled fan speed controller using PT-100
Zeyad et al. Proposing a technique of a low cost automatic cooling and exhaust system for old age home kitchen
CN209085796U (en) A kind of separated electronic product sharing a temperature sensor thermometric
CN214577871U (en) Intelligent fan speed regulation circuit system
Vijayakumar et al. Design and Fabrication of Automatic Fan Speed Control
Soren et al. Temperature controlled DC fan using Microcontroller
KR200288097Y1 (en) Temperature level display of electric heater controller
JPS55129716A (en) Temperature detection display unit
SU1265732A1 (en) Two-position temperature controller
Mohite et al. Automatic Temperature Based Fan Speed Controller Using Arduino
CN210513433U (en) Temperature alarm circuit
Babatunde et al. Microcontroller-Based Temperature Controlled DC Fan Using Atmega328
JPH0370171B2 (en)
JPS60214230A (en) Electronic clinical thermometer
JPS60187831A (en) Electronic clinical thermometer
KR920007751Y1 (en) Controller of equipment for baking
JPH01145024A (en) Cooker
SU428231A1 (en) DEVICE FOR POWER SUPPLY OF ELECTRIC HEATER AND CONTROL OF ITS TEMPERATURE
JPH0254574B2 (en)
JP2690072B2 (en) Energization display device in temperature control circuit
KR900005323Y1 (en) Temperature control circuit for electromagnetic coo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