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667Y1 - 콘크리트 연삭기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연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667Y1
KR200288667Y1 KR2020020018135U KR20020018135U KR200288667Y1 KR 200288667 Y1 KR200288667 Y1 KR 200288667Y1 KR 2020020018135 U KR2020020018135 U KR 2020020018135U KR 20020018135 U KR20020018135 U KR 20020018135U KR 200288667 Y1 KR200288667 Y1 KR 2002886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er
grinding
cover
driv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1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옥경
Original Assignee
유옥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옥경 filed Critical 유옥경
Priority to KR20200200181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6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6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667Y1/ko

Links

Landscapes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형 콘크리트 연삭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 시공시 바닥면의 물갈기(테라죠)나 콘크리트 표면을 다듬질 할때 다수개의 그라인더편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그라인더편의 상부에는 완충스프링을 형성하고 상기 그라이더편의 외주부에는 자바라로 이루어진 집진부를 형성함으로서 콘크리트 표면의 높이에 따라 상기 그라이더편이 자동으로 높이 조절이 되어 표면을 깔끔하게 연삭할 수 있으며 상기 표면을 연삭하면서 발생되는 분진이 집진부 내부로 집진되도록 한 콘크리트 연삭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본 고안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일정공간을 형성한 몸체(11) 상부에 몸체(11)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12)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12)의 일측에는 손잡이(13)를 형성하며 상기 손잡이(13)의 하측방향의 몸체(11)에는 이동캐리어(14)를 형성한 본체부(10)와, 상기 덮개(12)의 상측으로 고정브라켓(2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브라켓(21)에 구동모터(22)를 형성하며 상기 구동모터(22)의 구동축(23)에는 구동풀리(24)를 형성하여 상기 구동풀리(24)와 벨트(25) 연결을 통하여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12) 일측에는 회전풀리(26)를 형성하고 하측으로는 구동기어(27)를 형성한 구동부(20)와, 상기 구동부(20)의 구동기어(27)와 몸체(11) 내측에서 치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의 중앙 저면에 그라인딩기어(32)를 형성하고 상기 그라인딩기어(32)의 하측에는 상기 그라인딩기어(32)와 연동하도록 체결판(33)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판(33)에는 회전판(34)을 연동하도록 체결 형성한 회전부(30)와, 상기회전부(30)의 회전판(34) 저면 사방에는 고정구(35)로 체결 고정하여 하측으로 고정축(43)과 플렌지(44)를 형성하고 상기 플렌지(44) 하부에는 완충스프링(45)과 연마편(41)을 구비한 다수개의 그라인더편(42)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그라인더부(40)와, 상기 회전하는 회전판(34)에 결합된 그라인더편(42)에 의해 연삭되어 발생되는 분진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10)의 몸체(11) 저면의 외주부에 차폐막(51)을 형성하고 상기 차폐막(51)의 하측으로는 자바라(52)를 형성한 집진부(50)가 결합된 것과, 바람직하게는 일정공간을 형성한 몸체(11) 상부에 몸체(11)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12)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12)의 일측에는 손잡이(13)를 형성하며 상기 손잡이(13)의 하측방향의 몸체(11)에는 이동캐리어(14)를 형성한 본체부(10)와, 상기 덮개(12)의 상측으로 고정브라켓(2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브라켓(21)에 구동모터(22)를 형성하며 상기 구동모터(22)의 구동축(23)에는 구동풀리(24)를 형성하여 상기 구동풀리(24)와 벨트(25) 연결을 통하여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12) 일측에는 회전풀리(26)를 형성하고 하측으로는 구동기어(27)를 형성한 구동부(20)와, 상기 구동부(20)의 구동기어(27)와 몸체(11) 내측에서 치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의 저면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한쌍의 그라인딩기어(32)를 치합되도록 형성한 회전부(30)와, 상기 회전부(30)에 있어 한쌍의 그라인딩기어(32)의 회전축(36) 하측으로 고정축(43)과 플렌지(44)를 형성하고 상기 플렌지(44) 하부에는 완충스프링(45)과 연마편(41)을 구비한 한쌍의 그라인더편(42)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그라인더부(40)와, 상기 그라인더부(40)에 결합된 그라인더편(42)의 회전에 의해 연삭되어 발생되는 분진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10)의 몸체(11) 저면의 외주부에 차폐막(51)을 형성하고 상기 차폐막(51)의 하측으로는 자바라(52)를 형성한 집진부(50)가 결합된 것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모터(22)의 구동축(23)이 구동기어(27)에 직접 연결된 것」을 그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콘크리트 연삭기는 첫째, 다수개 형성된 그라인더편이 회전판에 고정 결합됨으로서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다수개의 그러인더편에 의해 표면이 깔끔하게 연삭되며 또한 상기 그라인더편 상측에 형성된 완충스프링에 의해 표면의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높이조절이 되어 연삭되는 표면을 일정한 높이로 연삭이 가능하며 연삭되면서 발생되는 분진이 내부에서 집진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둘째,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그라인더편이 형성되어 반대방향으로 각각 회전을 하므로써 회전하중을 줄여 작업중 이동이 편리하며 좁은공간이나 구석진 장소도 연삭이 가능하며 그라인더편이 표면의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높이조절이 되어 연삭되는 표면을 일정한 높이로 연삭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연삭되면서 발생되는 분진이 내부에서 집진되도록하여 제품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연삭기{Grinder for concret}
본 고안은 소형 콘크리트 연삭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 시공시 바닥면의 물갈기(테라죠)나 콘크리트 표면을 다듬질 할때 다수개의 그라인더편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그라인더편의 상부에는 완충스프링을 형성하고 상기 그라이더편의 외주부에는 자바라로 이루어진 집진부를 형성함으로서 콘크리트 표면의 높이에 따라 상기 그라이더편이 자동으로 높이 조절이 되어 표면을 깔끔하게 연삭할 수 있으며 상기 표면을 연삭하면서 발생되는 분진이 집진부 내부로 집진되도록 한 콘크리트 연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연삭기는 건물시공시 바닥을 평탄하게 해주는 콘크리트 물갈기(테라죠)의 시공이나 콘크리트바닥을 연삭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그라인더부를 회전시켜주는 구동모터 및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바닥면을 연삭하도록 회전하는 그라인더부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부와 그라인더부를 이동하면서 연삭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연삭기는 그라인더부가 원판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상기 원판체가 회전할 때 바닥과 마찰되면서 발생하는 회전하중으로 인하여 연삭기의 이동이 어려웠으며 다수의 그라인더부가 형성된다고 하여도 바닥의 굴곡에 따라 각각의 그라인더부의 높이가 조절되지 않아 작업자의 감각에 의하여 바닥을 연삭하여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연삭기는 연삭기에 의하여 연삭되는 콘크리트 분진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삭수를 계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작업을 하므로써 누전의 문제가 있음은 물론 작업환경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분진을 흡입하기 위하여 별도의 집진장치를 마련한다고 하여도 이동을 하면서 작업을 하는 연마기에는 적용하기 번거로웠으며 큰 직경의 원판체가 회전하면서 연삭작업을 하기 때문에 좁은 공간이나 구석진곳은 별도의 핸드연삭기로 연삭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회전판에 다수개의 그라인더편이 형성되어 회전판이 전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면서 상기 그라인더부는 표면의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높이조절이 되어 연삭되는 표면을 일정한 높이로 연삭이 가능하며 연삭되면서 발생되는 분진이 내부에서 집진되도록 한 콘크리트 연삭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한쌍의 그라인더편이 형성되어 각각 회전을 하므로써 회전하중을 줄여 작업중 이동이 편리하며 좁은공간이나 구석진 장소도 연삭이 가능하며 그라인더편이 표면의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높이조절이 되어 연삭되는 표면을 일정한 높이로 연삭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연삭되면서 발생되는 분진이 내부에서 집진되도록 한 소형 콘크리트 연삭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정공간을 형성한 몸체상부에 몸체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의 일측에는 손잡이를 형성하며 상기 손잡이의 하측방향의 몸체에는 이동캐리어를 형성한 본체부와, 상기 덮개의 상측으로 고정브라켓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 구동모터를 형성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는 구동풀리를 형성하여 상기 구동풀리와 벨트 연결을 통하여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 일측에는 회전풀리를 형성하고 하측으로는 구동기어를 형성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기어와 몸체 내측에서 치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중앙 저면에 그라인딩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그라인딩기어의 하측에는 상기 그라인딩기어와 연동하도록 체결판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판에는 회전판을 연동하도록 체결 형성한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회전판 저면 사방에는 고정구로 체결 고정하여 하측으로 고정축과 플렌지를 형성하고 상기 플렌지 하부에는 완충스프링과 연마편을 구비한 다수개의 그라인더편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그라인더부와, 상기 회전하는 회전판에 결합된 그라인더편에 의해 연삭되어 발생되는 분진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의 몸체 저면의 외주부에 차폐막을 형성하고 상기 차폐막의 하측으로는 자바라를 형성한 집진부가 결합된 것과, 바람직하게는 일정공간을 형성한 몸체 상부에 몸체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의 일측에는 손잡이를 형성하며 상기 손잡이의 하측방향의 몸체에는 이동캐리어를 형성한 본체부와, 상기 덮개의 상측으로 고정정브라켓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 구동모터를 형성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는 구동풀리를 형성하여 상기 구동풀리와 벨트 연결을 통하여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 일측에는 회전풀리를 형성하고 하측으로는 구동기어를 형성한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기어와 몸체 내측에서 치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저면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한쌍의 그라인딩기어를 치합되도록 형성한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 있어 한쌍의 그라인딩기어의 회전축 하측으로 고정축과 플렌지를 형성하고 상기 플렌지 하부에는 완충스프링과 연마편을 구비한 한쌍의 그라인더편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그라인더부와, 상기 그라인더부에 결합된 그라인더편의 회전에 의해 연삭되어 발생되는 분진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의 몸체 저면의 외주부에 차폐막을 형성하고 상기 차폐막의 하측으로는 자바라를 형성한 집진부가 결합된 것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구동기어에 직접 연결된 것」을 그 구성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를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에 있어서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에 있어서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에 있어서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에 있어서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에 있어서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에 있어서 도 9의 측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에 있어서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에 있어서 도 11의 측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에 있어서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에 있어서 도 13의 측단면도,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에 있어서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에 있어서 도 15의 측단면도,
도 17a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에 있어서 그라인더편이 완충스프링에 의해 축소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17b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에 있어서 그라인더편이 완충스프링에 의해 신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부 11 : 몸체
12 : 덮개 13 : 손잡이
14 : 이동커버 15 : 조절구
16 : 돌출부 17 : 전원버튼
18 : 컨트롤 박스 19 : 전원부
20 : 구동부 21 : 고정브라켓
22 : 구동모터 23 : 구동축
24 : 구동풀리 25 : 벨트
26 : 회전풀리 27 : 구동기어
30 : 회전부 31 : 베어링
32 : 그라인딩기어 33 : 체결판
34 : 회전판 35 : 고정구
36 : 회전축 40 : 그라인더부
41 : 연마편 42 : 그라인더편
43 : 고정축 44 : 플렌지
45 : 완충스프링 50 : 집진부
51 : 차폐막 52 : 자바라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를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를 나타낸 저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콘크리트 연삭기는 본체부(10)의 하측에는 일정공간을 형성한 몸체(11)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1)의 상측에는 몸체(11)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12)를 형성하되 상기 덮개(12)의 일측에는 손잡이(13)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13)의 하측방향의 몸체(11)에는 이동캐리어(14)를 형성하여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상기 본체부(10)의 상측으로 구동부(20)를 형성하되 상기 구동부(20)는 덮개(12) 상측으로 고정브라켓(2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브라켓(21)에는 구동모터(22)를 설치한다.
이렇게 설치된 상기 구동모터(22)의 구동축(23)에는 구동풀리(24)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풀리(24)와 벨트(25) 연결을 통하여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의 덮개(12) 일측으로 상측에는 회전풀리(26)를 형성하고 하측으로는 구동기어(27)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동부(20)의 구동기어(27)와 몸체(11) 내측에서 치합하여 회전하는 회전부(30)를 형성하되 상기 회전부(30)는 상기 몸체(11)의 저면에 형성된 베어링(31)에 설치되어 회전가능하게 그라인딩기어(32)를 형성하고 상기 그라인딩기어(32)의 하측는 몸체(11)저면 외측으로 체결판(33)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판(33)에 회전판(34)을 체결고정하며 상기 회전판(34)의 저면에는 고정구(35)를 형성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상기 회전부(30)의 회전판(34) 저면에 형성된 고정구(35)에는 그라인더부(40)를 형성하되 상기 그라인더부(40)는 하측으로는 연마편(41)을 형성한 원추 형상의 그라인더편(42)과 상기 그라인더편(42)의 상측으로는 상기 고정축(43)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축(43)의 상측으로는 플렌지(44)를 형성하며 상기 플렌지(44)와 그라인더편(42) 사이에는 완충스프링(45)을 형성하여 지면의 높이에 따라 완충되면서 연삭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한편 상기 그라인더부(40)의 회전에 의해 연삭되어 발생되는 분진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집진부(50)을 형성하되 상기 집진부(50)는 상기 본체부(10)의 몸체(11) 저면의 외주면에 차폐막(51)을 형성하고 상기 차폐막(51)의 하측으로는 자바라(52)를 형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콘크리트 연삭기에 전원을 인가하면 구동부(20)의 구동모터(22)가 회전을 하게되면서 구동축(23)에 형성된 구동풀리(24)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동풀리(24)의 회전으로 구동풀리(24)와 벨트(25)로 연결된 회전풀리(26)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풀리(26)의 하측에 형성된 구동기어(27)가 연동하게 된다.
이와같이 상기 구동부(20)의 회전력을 구동기어(27)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회전부(30)의 그라인딩기어(32)에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그라인딩기어(32)의 회전에 의하여 그라인딩기어(32) 하측에 형성된 체결판(33)에 체결고정된 회전판(34)이 연동하여 회전하게되며 상기 회전판(34)의 회전으로 상기 회전판(34)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구(35)에 고정되는 그라인더부(40) 또한 회전하게 된다.
이와같이 구동부(20)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판(34)의 저면에 다수개 고정되는 그라인더편(42)이 연동하게 되며 상기 그라인더편(42)의 상측에 형성된 플렌지(44)와 그라인더편(42)의 사이에 완충스프링(45)에 의하여 지면의 높이에 따라 완충되면서 연삭을 할 수 있으며 연삭에 의하여 발생되는 먼지나 돌가루 분진등과 같은 이물질은 집진부(50)의 차폐막(51)과 자바라(52)의 내부에서 발생하도록 하므로써 이물질이 하측으로 쌓이게된 상태에서 이동을 하게 되어 작업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도 13a,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의 높이가 다를 경우에 상기 완충스프링(45)에 의해 그라인더편(42)이 상하로 가변함에 따라 표면의 높이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집진부(50)에 쌓인 분진은 손잡이(13)를 잡고 이동케리어(14)를 축으로 하여 본체부(10)를 들어 올린 후 흔들어 배출하면 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배출이 가능한 이유는 상기 자바라(52)의 하부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가능한 것이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대하여 설명하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에 있어서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에 있어서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에 있어서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에 있어서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를 도시하고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콘크리트 연삭기의다른 실시예는 본체부(10)의 하측에는 일정공간을 형성한 몸체(11)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1)의 상측에는 몸체(11)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12)를 형성하되 상기 덮개(12)의 일측에는 손잡이(13)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13)의 하측방향의 몸체(11)에는 이동캐리어(14)를 형성하여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상기 본체부(10)의 상측으로 구동부(20)를 형성하되 상기 구동부(20)는 덮개(12) 상측으로 고정브라켓(2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브라켓(21)에는 구동모터(22)를 설치한다.
이렇게 설치된 상기 구동모터(22)의 구동축(23)에는 구동풀리(24)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풀리(24)와 벨트(25) 연결을 통하여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0)의 덮개(12) 일측으로 상측에는 회전풀리(26)를 형성하고 하측으로는 구동기어(27)를 형성한 것으로서 이와 같이 구성된 것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며, 본 실시예와 실시예 1의 구성면에서의 차이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구동부(20)의 구동기어(27)와 몸체(11) 내측에서 치합하여 회전하는 회전부(30)를 형성하되 상기 회전부(30)는 상기 몸체(11)의 저면에 형성된 베어링(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가능하게 한쌍의 그라인딩기어(32)를 치합되도록 형성하여 그라인딩기어(32)의 회전축(36)이 몸체(11)의 저면으로 돌출되게 형성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상기 회전부(30)의 회전축(36)에는 그라인더부(40)를 설치하되 상기 그라인더부(40)는 하측으로는 연마편(41)을 형성한 원추 형상의 그라인더편(42)과 상기 그라인더편(42)의 상측으로는 상기 고정축(43)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축(43)의 상측으로는 플렌지(44)를 형성하며 상기 플렌지(44)와 그라인더편(42) 사이에는 완충스프링(45)을 형성하여 지면의 높이에 따라 완충되면서 연삭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한편 상기 그라인더부(40)의 회전에 의해 연삭되어 발생되는 분진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집진부(50)을 형성하되 상기 집진부(50)는 상기 몸체부(10)의 몸체(11) 저면의 외주면에 차폐막(51)을 형성하고 상기 차폐막(51)의 하측으로는 자바라(52)를 형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콘크리트 연삭기에 전원을 인가하면 구동부(20)의 구동모터(22)가 회전을 하게되면서 구동축(23)에 형성된 구동풀리(24)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동풀리(24)의 회전으로 구동풀리(24)와 벨트(25)로 연결된 회전풀리(26)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풀리(26)의 하측에 형성된 구동기어(27)가 연동하게 된다.
이와같이 상기 구동부(20)의 회전력을 구동기어(27)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회전부(30)의 그라인딩기어(32)에 전달하게 된다.
이와같이 그라인딩기어(32)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축(36)의 저면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그라인더편(42)이 연동하게 되며 상기 그라인더편(42)의 상측에 형성된 플렌지(44)와 그라인더편(42)의 사이에 완충스프링(45)에 의하여 지면의 높이에 따라 완충되면서 연삭을 할 수 있으며 연삭에 의하여 발생되는 먼지나 돌가루 분진등과 같은 이물질은 집진부(50)의 차폐막(51)과 자바라(52)의 내부에서 발생하도록 하므로써 이물질이 하측으로 쌓이게된 상태에서 이동을 하게 되어 작업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도 17a,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의 높이가 다를 경우에 상기 완충스프링(45)에 의해 그라인더편(42)이 상하로 가변함에 따라 표면의 높이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집진부(50)에 쌓인 분진은 손잡이(13)를 잡고 이동케리어(14)를 축으로 하여 본체부(10)를 들어 올린 후 흔들어 배출하면 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배출이 가능한 이유는 상기 자바라(52)의 하부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가능한 것이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설명하면,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에 있어서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에 있어서 도 9의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에 있어서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에 있어서 도 11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대동소이한 것으로서 구성에 있어서 차이점은 상기 실시예 1,2에서 고정브라켓(21), 구동풀리(24), 회동풀리(26), 벨트(25)가 없고 상기 구동모터(22)의 구동축(23)이 직접구동기어(27)에 결합되어 구동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함으로서 상기 실시예 1, 2와 달리 그 구조가 간단하고 다라서 경제성이 뛰어난 점이 있으며 기타 작동 관계와 그 이외의 구성은 동일하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설명하면,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에 있어서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에 있어서 도 13의 측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에 있어서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연삭기에 있어서 도 15의 측단면도이다.
우선, 상기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는 실시예 1과 대동소이한 것으로서, 단지 작업시 이동케리어(14)가 지면과 간격이 발생할 경우 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구(15)와 상기 조절된 상태의 이동케리어(14)의 축(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을 고정키 위한 역할을 하는 돌출부(16)이 형성된 것이 상이하다.
또한, 실시예 1과 달리 구동모터(22)의 구동축(23)이 구동기어(27)에 직접 연결 구동됨으로서 실시예 1의 구성인 고정브라켓(21)이나 구동풀리(24), 벨트(25)가 필요없는 것이다. 이는 실시예 3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서 이동케리어(14)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서 연삭하고자 하는 지면의 높이에 따라 자유자재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17은 전원버튼을 지시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도 15 및 도 16은 상기 실시예 2와 대동소이한 것으로서, 단지 작동 및 구동을 조절하는 컨트롤 박스(18)과 상기 컨트롤 박스(18)에 연결된 전원부(19)이 별도로 손잡이(13) 상단부에 형성된 것이 상이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 및 작용하는 본 고안인 콘크리트 연삭기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첫째, 다수개 형성된 그라인더편이 회전판에 고정 결합됨으로서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다수개의 그러인더편에 의해 표면이 깔끔하게 연삭되며 또한 상기 그라인더편 상측에 형성된 완충스프링에 의해 표면의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높이조절이 되어 연삭되는 표면을 일정한 높이로 연삭이 가능하며 연삭되면서 발생되는 분진이 내부에서 집진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둘째,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그라인더편이 형성되어 반대방향으로 각각 회전을 하므로써 회전하중을 줄여 작업중 이동이 편리하며 좁은공간이나 구석진 장소도 연삭이 가능하며 그라인더편이 표면의 높이에 따라 자동으로 높이조절이 되어 연삭되는 표면을 일정한 높이로 연삭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연삭되면서 발생되는 분진이 내부에서 집진되도록하여 제품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일정공간을 형성한 몸체(11) 상부에 몸체(11)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12)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12)의 일측에는 손잡이(13)를 형성하며 상기 손잡이(13)의 하측방향의 몸체(11)에는 이동캐리어(14)를 형성한 본체부(10)와,
    상기 덮개(12)의 상측으로 고정브라켓(2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브라켓(21)에 구동모터(22)를 형성하며 상기 구동모터(22)의 구동축(23)에는 구동풀리(24)를 형성하여 상기 구동풀리(24)와 벨트(25) 연결을 통하여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12) 일측에는 회전풀리(26)를 형성하고 하측으로는 구동기어(27)를 형성한 구동부(20)와,
    상기 구동부(20)의 구동기어(27)와 몸체(11) 내측에서 치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의 중앙 저면에 그라인딩기어(32)를 형성하고 상기 그라인딩기어(32)의 하측에는 상기 그라인딩기어(32)와 연동하도록 체결판(33)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판(33)에는 회전판(34)을 연동하도록 체결 형성한 회전부(30)와,
    상기 회전부(30)의 회전판(34) 저면 사방에는 고정구(35)로 체결 고정하여 하측으로 고정축(43)과 플렌지(44)를 형성하고 상기 플렌지(44) 하부에는 완충스프링(45)과 연마편(41)을 구비한 다수개의 그라인더편(42)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그라인더부(40)와,
    상기 회전하는 회전판(34)에 결합된 그라인더편(42)에 의해 연삭되어 발생되는 분진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10)의 몸체(11) 저면의 외주부에 차폐막(51)을 형성하고 상기 차폐막(51)의 하측으로는 자바라(52)를 형성한 집진부(5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연삭기.
  2. 일정공간을 형성한 몸체(11) 상부에 몸체(11)를 개폐할 수 있는 덮개(12)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12)의 일측에는 손잡이(13)를 형성하며 상기 손잡이(13)의 하측방향의 몸체(11)에는 이동캐리어(14)를 형성한 본체부(10)와,
    상기 덮개(12)의 상측으로 고정브라켓(2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브라켓(21)에 구동모터(22)를 형성하며 상기 구동모터(22)의 구동축(23)에는 구동풀리(24)를 형성하여 상기 구동풀리(24)와 벨트(25) 연결을 통하여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12) 일측에는 회전풀리(26)를 형성하고 하측으로는 구동기어(27)를 형성한 구동부(20)와,
    상기 구동부(20)의 구동기어(27)와 몸체(11) 내측에서 치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의 저면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한쌍의 그라인딩기어(32)를 치합되도록 형성한 회전부(30)와,
    상기 회전부(30)에 있어 한쌍의 그라인딩기어(32)의 회전축(36) 하측으로 고정축(43)과 플렌지(44)를 형성하고 상기 플렌지(44) 하부에는 완충스프링(45)과 연마편(41)을 구비한 한쌍의 그라인더편(42)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그라인더부(40)와,
    상기 그라인더부(40)에 결합된 그라인더편(42)의 회전에 의해 연삭되어 발생되는 분진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10)의 몸체(11)저면의 외주부에 차폐막(51)을 형성하고 상기 차폐막(51)의 하측으로는 자바라(52)를 형성한 집진부(5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연삭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22)의 구동축(23)이 구동기어(27)에 직접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연삭기.
KR2020020018135U 2002-06-14 2002-06-14 콘크리트 연삭기 KR2002886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135U KR200288667Y1 (ko) 2002-06-14 2002-06-14 콘크리트 연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135U KR200288667Y1 (ko) 2002-06-14 2002-06-14 콘크리트 연삭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368A Division KR100451922B1 (ko) 2002-06-14 2002-06-14 콘크리트 연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667Y1 true KR200288667Y1 (ko) 2002-09-11

Family

ID=73076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135U KR200288667Y1 (ko) 2002-06-14 2002-06-14 콘크리트 연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66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00327B1 (en) Rotary disc planetary type surfacing machine
KR100451922B1 (ko) 콘크리트 연삭기
EP1109482B1 (en) A mobile surfacing machine
US9604341B2 (en) Drive System for orbital grinder
US7416478B2 (en) Planetary drive heads for grinding/polishing pads
US7226347B1 (en) Walk behind polisher
JP2004518542A (ja) 移動式床面研削装置
KR20060028802A (ko) 콘크리트 연삭기
US20070042846A1 (en) Floor treating machine with improved rotary drive
KR100820726B1 (ko) 건식 연마기의 구동장치
CN209632666U (zh) 研磨机研磨机构
CN209362579U (zh) 一种用于制作辅食的磨酱石磨机
KR200288667Y1 (ko) 콘크리트 연삭기
CN104942677A (zh) 全自动玻璃镜片、玻璃保护屏专用研磨机
EP2091688B1 (en) Device for driving a grinding machine
CN208681318U (zh) 一种打磨机用磨头
CN216371652U (zh) 一种螺丝抛光机
CN114434239B (zh) 打磨抛光装置及打磨抛光机器人
CN212311725U (zh) 一种低噪音高速离心研磨抛光机
CN208163325U (zh) 一种打磨装置
CN111716233A (zh) 一种低噪音高速离心研磨抛光机
KR100595832B1 (ko) 건식 연마기
CN206230371U (zh) 一种盘状研磨机
CN220051347U (zh) 磨片设备
CN217311178U (zh) 一种新型整粒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