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555Y1 - 전송 모니터링 복합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송 모니터링 복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555Y1
KR200288555Y1 KR2020020019173U KR20020019173U KR200288555Y1 KR 200288555 Y1 KR200288555 Y1 KR 200288555Y1 KR 2020020019173 U KR2020020019173 U KR 2020020019173U KR 20020019173 U KR20020019173 U KR 20020019173U KR 200288555 Y1 KR200288555 Y1 KR 2002885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utput
media signals
monitoring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1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래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닉 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닉 시스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마이크로닉 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91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5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5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555Y1/ko

Links

Landscapes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전송 모니터링 복합시스템은, 입력된 다수의 미디어신호를 일정 경로로 선택 연결하고, 연결된 미디어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며 각 전송경로상에서 발생하는 감쇠상태를 고려하여 모니터링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통합하여 관리하는 방송 및 영상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복수개의 미디어신호들을 입력하는 다중입력부와, 복수개의 일정공간들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입력되는 미디어신호들의 출력을 선택하여 연결하는 조종설정부와, 입력된 복수개 미디어신호들의 출력연결을 제어하고 장치 각 구성부들의 작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제어부와, 다중입력부로부터의 미디어신호들을 출력을 연결하는 출력선택연결부와, 선택되어 출력되는 각 미디어신호들을 설정된 증폭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출력부와, 출력되는 각 미디어신호들을 각각의 전송상태에 따른 감쇠정도를 설정하여 전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모텔이나 학원, 사무실 등 중소규모 방송설비로 폭넓게 사용되어 서비스제공의 품질을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Description

전송 모니터링 복합시스템{The transferring and monitoring complex system}
본 고안은 방송 및 영상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된 다수의 미디어신호를 일정 경로로 선택 연결하고, 연결된 미디어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며 각 전송경로상에서 발생하는 감쇠상태를 고려하여 모니터링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통합하여 관리함으로써, 중앙 집중적인 관리와 출력장치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전송 모니터링 복합시스템을 제시한 것이다.
일반적인 대규모 방송설비는 대체로 주조정시스템, 부조정시스템, 종합편집시스템, AB Roll 편집시스템, Nonlinear 편집시스템, 컴퓨터그래픽시스템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많은 장비를 갖추고 별도의 공간에 각각 독립된 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방송시스템을 이루고 있다.
이에 반해 비교적 소규모 건물의 중앙관리시스템이나 소형 방송설비 등은 작은 소공간에 집적하여 구성하고 적은 인원의 비전문가집단에 의해 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소규모건물의 중앙관리시스템이나 소형방송설비는 대체로 설비나 규모, 운용면에서 취약함을 보이는 것이 대부분이다. 더욱이 관리 및 방송에 필요한 장비만으로 소규모 시스템을 구성하여 간이적으로 설치 운용하는 관계로 최초 설계내용과 다르게 운용상황이 변경되면, 그에 따른 시스템의 운용조건을 수정하지 못하고 최초설계된 조건대로 운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이로 인해 시스템의 조건과 방송의 상황 여건이 일치하지 않아 방송의 품질이 현격히 떨어지게 된다.
일례로 소규모의 모텔 등에서 손님들의 요청에 따라 객실로 유선TV 등을 중계하거나 VTR을 활용하여 영화를 전송할 경우, 중앙센터에서 객실로 중계되는 방송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이 최초에 설계된 여건에 맞추어 중앙에서 스위칭장치에 의해 신호의 스위칭만 하도록 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중앙센터에서 객실로 중계하는 전환 과정에 착오가 있거나 기기의 오동작시 각 객실에서 요구하지 않는 엉뚱한 방송이 전송되는 상황에서도, 중앙센터에서는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가 객실의 항의를 받고 나서야 비로소 방송이 잘못 전송되고 있음을 인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객실의 구조에 변동이 있을 경우 방송의 전송선로조건에 변동이 생겨 최초의 방송조건이 바뀌게 된다. 이 경우 방송의 품질이 떨어지게 됨으로 신호의 전송선로 조건을 변경해 주어야 하지만 종래의 설비는 이러한 설비를 갖추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각 객실의 손님들은 열악한 화질의 방송을 참고 시청하거나 전화로 항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업소의 대고객 서비스가 저하됨은 물론, 고객들에게 나쁜 이미지를 심어줌으로 해서 이후의 영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설치업자에게 수시로 A/S를 요청하여야 하는데 즉시 수리가 되는 경우는 드물고 또 그러한 수리 자체가 대단히 번거롭고 짜증스러운 일이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대규모 방송시스템에 준하는 설비를 갖추면 쉽게 해결될 수 있는 문제이다. 그러나 영세한 소규모 영업장에 대규모의 방송시스템에 준하는 기술적 사항을 모두 갖춘다는 것은 경제적 부담이 너무 클 뿐만 아니라 장비의 효율성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이러한 문제는 소규모 건물에서 CCTV에 의해 건물내의 주요요소를 중앙에서 감시하는 감시장치 등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하는 현상으로서, 상기 중앙감시장치에서 현장의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경우 현장에서 전송되어 오는 신호의 감쇠를 보상할 만한 수단을 갖추지 못하고 있어 불량한 화질을 그대로 보거나 이를 녹화하게 됨으로써, 유사시 증거자료로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원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입력된 다수의 미디어신호를 일정 경로로 선택 연결하고, 연결된 미디어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며 각 전송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감쇠상태를 고려하여 모니터링하고 하나의 화면으로 통합하여 관리함으로써, 중앙 집중적인 관리와 출력장치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전송 모니터링 복합시스템에 대한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통하여 비교적 간단한 간이 방송장치에 의해 저렴한 비용으로 중계되는 방송의 화질을 중앙에서 집중 감시하는 한편, 방송되는 신호의 화질이 떨어질 경우 화질 조절스위치를 조절하여 전송신호의 감쇠를 보정하여 줌으로써 방송품질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대고객 서비스를 향상하고자 한다.
도 1 :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 모니터링 복합시스템의 블록도.
도 2 : 도 1의 시스템에 의해 각 미디어신호들의 전송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폭출력부의 증폭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다중입력부
200 : 조종설정부
300 : 중앙제어부
400 : 출력선택연결부
500 : 증폭출력부
600 : 모니터링부
R01∼R15 : 객실 출력장치 : V01∼V15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송 모니터링 복합시스템은, 신호를 전송 및 감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미디어신호들을 입력하는 다중입력부와, 복수개의 일정공간들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다중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미디어신호들의 출력을 선택하여 연결하고 신호의 크기상태를 조절하는 조종설정부와, 조종설정부로부터의 조종상태에 따라 입력된 복수개 미디어신호들의 출력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장치 각 구성부들의 작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제어부와, 중앙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다중입력부로부터의 미디어신호들을 출력을 연결하는 출력선택연결부와, 출력선택연결부로부터 선택되어 출력되는 각 미디어신호들을 설정된 증폭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출력부와, 증폭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각 미디어신호들을 각각의 전송상태에 따른 감쇠정도를 설정하여 전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전송 모니터링 복합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 모니터링 복합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의해 각 미디어신호들의 전송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송 모니터링 복합시스템은다중입력부(100), 조종설정부(200), 중앙제어부(300), 출력선택연결부(400), 증폭(출력)단(500), 모니터링부(600)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아울러 각 객실에는 본 복합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미디어신호들을 출력하는 출력장치들(V01∼V15)로서 모니터나 TV가 연결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복합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공간 즉 방송실 등과 같은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먼저 다중입력부(100)에는 다수의 입력수단들로부터 미디어신호들을 입력하게 된다. 이러한 입력수단들로는 인터넷은 물론, 외부 TV나 라디오방송신호, 위성방송신호나 케이블TV방송신호, 자체적으로 제작한 방송편집신호, VTR작동신호 등 다양하게 연결할 수 있다. 즉 각 객실(R01∼R15)의 출력장치들(V01∼V15)에서 출력할 수 있는 미디어신호이면 된다.
조종설정부(200)는 다중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되는 미디어신호들의 출력을 선택하여 연결하고 신호의 크기상태를 조절한다. 즉 각 객실(R01∼R15)에 전송되는 신호는 다양하다. 즉 제1객실(R01)은 위성방송신호를, 제2객실(R02)은 공중파방송신호를 입력시키는 경우, 입력되는 각각의 미디어신호를 해당 객실에 맞도록 설정해 주어야 하며, 이를 본 조종설정부(200)가 담당하게 된다.
또한 각 객실(R01∼R15)로 이어지는 전송라인은 길이가 서로 다른게 일반적이다. 따라서 전송라인 길이의 차이와 각각의 전송라인이 통과하는 상황에 따라 각 객실의 출력장치(D01∼D15)의 화질은 차이가 달라진다. 아울러 이러한 차이는 전송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서도 차이가 난다.
대개는 전송라인이 긴 경우 각 객실으로 제공되는 미디어신호 감쇠가 심하게된다. 따라서 이를 보상해주기 위해서는 각각의 객실(R01∼R15)로 제공되는 신호들의 증폭율을 서로 다르게 해 주어야 한다. 본 조종설정부(200)에서는 전송해야 할 신호의 종류에 따라 보상증폭율을 달리하여 설정해 준다. 그리고 이러한 설정상태는 중앙제어부(300)로 입력된다.
중앙제어부(300)는 조종설정부(200)의 조종상태에 따라, 입력된 복수개 미디어신호들의 출력연결을 제어하고, 각각의 구성부들이 유기적으로 작동되도록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즉 중앙제어부(300)는 조종설정부(200)의 조종상태를 입력받아, 다중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되는 다수의 미디어신호에 선택·연결을 제어하여 후단의 출력선택연결부(400)로 인가되도록 한다.
때문에 출력선택연결부(400)에서는 다중입력부(100)에서 입력되는 다수의 미디어신호들을 해당 객실(R01∼R15)로 각각 출력시키기 위해, 중앙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연결을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출력선택연결부(400)에서의 출력은 후단의 증폭출력부(500)로 전달된다. 증폭출력부(500)에서는 선택되어 출력된 미디어신호들을 증폭시켜 출력하게 된다. 이때의 증폭은 각각의 객실(R01∼R15)까지 인도되는 전송라인의 길이나, 전송과정의 특성에 따른 감쇠정도를 고려하여 이를 보상증폭하게 된다. 따라서 전송거리가 긴 경우는 제공되는 미디어신호의 감쇠정도가 크기 때문에 증폭율을 높여 증폭하게 되고, 전송거리가 짧은 경우에는 증폭율을 낮추게 된다.
출력선택연결부(400)의 출력 미디어신호는 모니터링부(600)로 입력된다. 이모니터링부(600)에는 각 객실(R01∼R15)의 수에 해당하는 전시화면(D01∼D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를 구성하는 화면은 다수개의 모니터를 비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하나의 모니터 화면을 화면분할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전시화면에는 각각의 객실(R01∼R15)로의 전송과정에 맞도록 중간의 상태설정단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각 객실(R01∼R15)에서 출력되고 있는 미디어신호 전송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각 객실(R01∼R15)로는 전송라인의 실제길이나 전송과정의 상태에 따라 해당 객실에서 화면(V01∼V15)에 나타나는 화질이 달라지게 된다. 본 모니터링부(600)는 이러한 전송상태를 의사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상태설정단을 구비하고 있어, 각 객실(R01∼R15)로의 전송과정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폭출력부 각 객실(R01∼R15)로 전송하기 위한 증폭회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신호의 특성에 따른 신호감쇠의 상태를 조정하게 되며, 입력 임피이던스값을 변화시킴과 동시에 TR의 증폭율등에 따라 보상증폭하여 출력하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보상증폭회로는 TR 등의 소자이외에 FET 등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회로이외의 증폭회로를 사용하는 것도 좋다.
따라서 운영자는 모니터링부(600)의 각 전시화면(D01∼D15)을 통해 각 객실(R01∼R15)의 전시상태(V01∼V15)를 확인하면서, 각 객실(R01∼R15)에서 요청된 방송으로 전환을 설정해 줌과 동시에, 해당 객실로의 전송되는 미디어신호들에대한 보상증폭율도 입력시킨다.
이렇게 되면 다중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미디어신호들은, 중앙제어부(300)의 제어를 받는 출력선택연결부(400)의 연결설정에 따라 해당 객실로 제공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연결된 진로방향으로 출력된다. 그리고 이렇게 출력선택연결부(400)에서 출력되는 미디어신호들은 조종설정부(200)에서 입력설정한 각 객실(R01∼R15)의 보상증폭율에 따라 증폭출력부(500)에서 증폭시킨 다음, 각 객실(R01∼R15)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객실에서는 미디어신호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동시에 증폭출력부(500)에서의 출력은 모니터링부(600)로도 출력되므로 모니터링부(600)의 각 전시화면(D601∼D615)을 통해 현재의 전송상태의 양호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복합시스템은 하나의 간이방송시스템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대규모의 방송에는 편집시스템, 촬영시스템, 컴퓨터그래픽시스템이 포함된다.
본 복합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촬영 및 편집시스템들로부터 미디어신호를 입력받음으로써 자체적인 간이방송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는 구분된 객실을 가지고 있는 모텔을 예로 하고 있지만, 호텔이나 학원, 사무실 등에서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복합시스템을 통하여 전송되는 미디어신호로는 세대구성원전부가 볼 수 있는 가족영화도 있을 수 있고, 성인물도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영상물에 대한 등급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는 등 모니터링에 의한 효과를 최대한 살릴 수 있으며, 종래의 설비에서 발생되었던 전송과정의 신호감소 등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는 등 본 고안의 기술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입력된 다수의 미디어신호를 일정 경로로 선택 연결하고, 연결된 미디어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며 각 전송경로상에서 발생하는 감쇠상태를 고려하여 모니터링하여 관리가 가능함으로써, 모텔이나 학원, 사무실 등에서 폭넓게 사용하여 서비스제공의 품질을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Claims (3)

  1. 신호를 전송 및 감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미디어신호들을 입력하는 다중입력부와,
    복수개의 일정공간들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다중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미디어신호들의 출력을 선택하여 연결하고 신호의 크기상태를 조절하는 조종설정부와,
    상기 조종설정부로부터의 조종상태에 따라 입력된 복수개 미디어신호들의 출력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장치 각 구성부들의 작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다중입력부으로부터의 미디어신호들을 출력을 연결하는 출력선택연결부와,
    상기 출력선택연결부로부터 선택되어 출력되는 각 미디어신호들을 설정된 증폭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출력부와,
    상기 증폭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각 미디어신호들을 각각의 전송상태에 따른 감쇠정도를 설정하여 전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니터링 복합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각각의 전송상태에 따른 감쇠정도를 설정하므로써 최종출력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상태설정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니터링 복합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를 구성하는 화면은
    하나의 모니터 화면을 화면 분할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모니터링 복합시스템.
KR2020020019173U 2002-06-25 2002-06-25 전송 모니터링 복합시스템 KR2002885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173U KR200288555Y1 (ko) 2002-06-25 2002-06-25 전송 모니터링 복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173U KR200288555Y1 (ko) 2002-06-25 2002-06-25 전송 모니터링 복합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630A Division KR100478338B1 (ko) 2002-06-25 2002-06-25 전송 모니터링 복합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555Y1 true KR200288555Y1 (ko) 2002-09-10

Family

ID=73125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173U KR200288555Y1 (ko) 2002-06-25 2002-06-25 전송 모니터링 복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5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514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solation in a home network
US66369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signals over twisted-pair wires
US7793328B2 (en) Gateway power synchronization
JP2905593B2 (ja) ビデオ選択・配給システム
US20090172750A1 (en) Distributed Media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8370879B2 (en) Connection interface for personal electronic devices with a television
JP2005192227A (ja) マルチメディアが可能とされたネットワーク
KR20070011183A (ko) 대화식 멀티미디어 제작 시스템
EP2172001B1 (en) Dual use video mixer crosspoint matrix
KR200288555Y1 (ko) 전송 모니터링 복합시스템
KR100478338B1 (ko) 전송 모니터링 복합시스템
WO2005001632A2 (en) Media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KR100942281B1 (ko) 랙형 서버 시스템의 자동 전원 분배 장치
KR20070051517A (ko) 통합방송 시스템
JP2003304512A (ja) ブースタ
KR100192679B1 (ko)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
KR100411967B1 (ko) 통합형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47222B1 (ko) 통합형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11700Y1 (ko) 통합방송 시스템
JP3092038B2 (ja) ホテルcatv装置
KR200377061Y1 (ko) 숙박업소용 홈씨어터 시스템
WO2002089386A2 (en) Integrated control center environment
JP3516087B2 (ja) Catvシステムの端末制御装置
JP2782989B2 (ja) ミキシング装置
US20020093596A1 (en) Video amplifier circuits for multi-output distribution of video sig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