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455Y1 - 준설토 처리기 - Google Patents

준설토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455Y1
KR200288455Y1 KR2020020012559U KR20020012559U KR200288455Y1 KR 200288455 Y1 KR200288455 Y1 KR 200288455Y1 KR 2020020012559 U KR2020020012559 U KR 2020020012559U KR 20020012559 U KR20020012559 U KR 20020012559U KR 200288455 Y1 KR200288455 Y1 KR 2002884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edged soil
sewage
housing
conveyor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5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태영
Original Assignee
(주)지이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이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지이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200125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4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4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455Y1/ko

Links

Landscapes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준설토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준설토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와, 상기 준설토의 수용을 위한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진공을 형성하여 상기 준설토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펌프와; 상기 하우징내로 흡입된 준설토를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와; 상기 준설토로부터 분리된 오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준설토의 함수율을 감소시키고 처리과정을 간단화함으로써, 준설토의 처리비용을 절감하고 처리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준설토 처리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준설토 처리기{omitted}
본 고안은, 준설토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준설토의 함수율을 감소시키고 처리과정을 간단화 한 준설토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식 하수도 시스템에서의 하수관은 하수발생원인 배수설비로부터 하천 또는 하수처리장까지 하수를 수송하는 중요한 도시기반 시설이다. 하수관의 부설상태는 하수도 사업의 근간을 좌우하므로 철저한 사전계획과 설계는 물론 정확한 시공과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하수관의 유지관리를 위한 정비방법으로는 굴착공법과 비굴착공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까지는 굴착공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굴착공법의 사용으로 인해, 도로파괴 및 재포장으로 인한 교통혼잡 및 비용이 발생하며, 도시미관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상수관이나 전화선 등의 타 지하매설물을 손상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굴착공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비굴착공법은 준설로봇을 이용하여 하수관내의 준설토와 장애물 등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직접 들어갈 수 없는 하수관내의 준설토와 장애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준설로봇을 이용하여 준설작업을 할 때에는, 먼저, 준설로봇을 이용하여 준설토와 장애물을 맨홀까지 운송한다. 그런 다음, 맨홀에 운송된 준설토와 장애물을 작업자가 직접 양동이 등을 이용하여 외부로 퍼내거나, 그 양이 많을 경우에는 진공흡입펌프와 준설토 저류탱크를 적재한 대형장비를 이용한다. 그러나, 작업자가 직접 준설토와 장애물을 외부로 퍼낼 경우, 작업시간이 연장되며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퍼낸 준설토를 지상에 적치함에 따른 오수의 유출과 악취로 주거환경이 저하되며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대형장비를 이용할 경우, 협소한 골목이나 장애물이 많은 시가지 도로는 진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준설토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대형장비의 사용으로 인한 비용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고압수를 분사한 후 물과 함께 준설토를 저류탱크내로 흡입한 다음, 저류탱크내의 물과 준설토를 중간 적치소에 적치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오수가 분리되면 준설토만을 매립장으로 운송하여 처리한다. 따라서, 준설토를 처리하기 위한 과정이 복잡하며 중간 적치소에서 물이 제거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므로 준설토의 즉각적인 처리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준설토의 함수율을 감소시키고 처리과정을 간단화함으로써, 준설토의 처리비용을 절감하고 처리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준설토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준설토 처리기의 도어 개방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준설토 처리기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준설토 처리기 3 : 처리기본체
7 : 하우징 10 : 도어
15 : 컨베이어 20 : 수용부
25 : 배수장치 26 : 수위감지부
27 : 배수펌프 28 : 배수밸브
29 : 배수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준설토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와, 상기 준설토의 수용을 위한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진공을 형성하여 상기 준설토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펌프와; 상기 하우징내로 흡입된 준설토를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와; 상기 준설토로부터 분리된 오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처리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하우징내에 수용된 오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부와, 상기 수위감지부로부터의 감지결과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오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와, 상기 오수의 배출을 위한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상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관을 개폐하는 배수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진행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져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의 벨트는 스크린으로 형성되어 상기 오수의 투과가 가능하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컨베이어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 진행방향의 말단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준설토의 유입을 위한 유입구를 가지는 상판과, 상기 상판과 대항되도록 경사진 하판과, 상기 상판과 하판을 연결하는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판에는 상기 오수의 유출을 위한 다수의 유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판에는 경사방향을 따라 중앙영역과 양 측부영역에 상기 오수의 투과를 위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준설토 처리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설토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펌프(5)와, 흡입펌프(5)에 의해 흡입된 준설토로부터 오수를 분리하여 저장 및 배출시키는 처리기본체(3)를 포함한다.
처리기본체(3)는, 사각통상의 하우징(7)을 가지며, 하우징(7)내에는 흡입된 준설토를 이송하는 컨베이어(15)와, 준설토를 저장하는 수용부(20)와, 준설토로부터 분리된 오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장치(25)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7)의 상부면에는 준설토가 흡입되는 흡입구(2)와, 흡입펌프(5)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4)가 하우징(7)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2)와 연결구(4)는 각각 하우징(7)의 상부면으로부터 원통상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흡입구(2)에는 맨홀로부터 연장된 자바라 형상의 흡입관(11)이 연결되고,연결구(4)에는 흡입펌프(5)로부터 연장된 관이 연결된다. 이러한 하우징(7)의 일측면인 전방면에는 준설토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6)가 형성되어 있고, 배출구(6)의 하부에는 준설토로부터 분리된 오수가 배출되는 오수배출공(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출구(6)에는 하부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개폐가능한 도어(10)가 장착되어 있으며, 도어(10)의 상부 일측에는 도어(10)의 개폐를 위한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고, 도어(10)의 사방연부에는 배출구(6)와의 기밀을 위한 패킹이 부착되어 있다. 도어(10)의 하우징(7)내부를 향한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 연부에 판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이상 돌출한 가이드(9)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어(10)의 상부에 인접한 가이드(9)의 단부 모서리는 라운딩 처리되어 완만한 곡선을 이룬다. 이러한 가이드(9)는 준설토의 배출시 준설토가 도어(10)의 측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하우징(7)내의 상부영역에 설치된 컨베이어(15)는, 배출구(6)가 형성된 전방영역으로부터 후방 영역까지 진행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어 있으며, 배출구(6)를 향한 일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 벨트(16)는 미세한 구멍을 갖는 스크린으로 형성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16)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준설토로부터 분리된 오수의 투과가 가능하다.
이러한 컨베이어(15)에 의해 이송된 준설토를 수용하는 수용부(20)는, 컨베이어(15)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경사면을 형성하는 상판(21)과, 상판(21)과 대항되는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며 일단이 배출구(6)의 하단까지 연장된 하판(23)과, 상판(21)과 하판(23)이 가장 근접한 하우징(7)의 후방 영역에서 상판(21)과하판(23)을 연결하며 하우징(7)의 후방벽으로부터 소정 이격된 측판(22)을 갖는다. 상판(21)의 배출구(6)를 향한 단부 영역은 하우징(7)의 전방면과 소정 이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판(21)과 하우징(7) 전방면 사이에는 컨베이어(15)에 의해 이송된 준설토가 수용부(20)로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13)가 형성된다.
한편, 하판(23)이 소정의 경사면을 형성함에 따라 하우징(7) 바닥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수용공간(30)이 형성되며, 컨베이어(15)의 이송시 준설토로부터 분리된 오수가 수용되게 된다. 또한, 하판(23)에는 경사방향을 따라 양 측부 영역과 중앙영역에 경사방향을 따라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판(22)은 다수의 유출공을 갖는 타공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하판(23)의 관통공과 측판(22)의 유출공을 통해 수용부(20)내의 준설토로부터 분리된 오수가 통과하여 하우징(7) 하부의 수용공간(30)에 수용되게 된다.
이렇게 준설토로부터 분리된 오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30)에는 오수의 배출을 위한 배수장치(25)가 설치되어 있다. 배수장치(25)는, 수용공간(30)내에 수용된 오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부(26)와, 수위감지부(26)로부터의 감지결과에 따라 구동하는 배수펌프(27)와, 오수가 배출되는 통로이며 하우징(7)에 형성된 오수배출공(8)과 연통하는 배수관(29)과, 배수관(29)상에 설치되어 배수관(29)을 개폐하는 배수밸브(28)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위감지부(26)는 수위밸브로 형성되며, 배수밸브(28)는 체크밸브로 형성된다.
이러한 배수장치(25)의 작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위감지부(26)에서 감지된 오수의 수위가 일정 이상이면, 배수밸브(28)가 온 됨과 동시에배수펌프(27)가 구동하게 된다. 그러면, 배수관(29)이 개방되고, 수용공간(30)에 수용되어 있던 오수가 배수펌프(27)에 의해 배수관(29)과 오수배출공(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오수배출공(8)에는 별도의 관을 연결하여 준설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맨홀에 인접한 타 맨홀로 연결함으로써, 오수를 다시 하수관으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러한 준설토 처리기(1)의 전체적인 준설토 처리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준설토 처리기(1)로부터 연장된 흡입관(11)을 준설로봇에 의해 이송된 준설토가 적치된 맨홀로 연결한다. 그런 다음, 흡입펌프(5)와 함께 처리기본체(3)에 전원을 공급하면, 흡입펌프(5)와 컨베이어(15)가 작동하게 된다. 흡입펌프(5)의 작동에 의해 흡입관(11)을 통해 흡입된 준설토는 하우징(7)내로 흡입되어 컨베이어 벨트(16)에 낙하하게 된다. 이 때, 컨베이어 벨트(16)에 낙하된 준설토로부터 오수가 분리되고, 분리된 오수는 스크린으로 형성된 컨베이어 벨트(16)를 통과하여 수용부(20)의 상판(21)에 낙하하게 된다. 수용부(20)의 상판(21)이 하우징(7)의 후방 영역을 향해 하향 경사져 있으므로, 상판(21)에 낙하된 오수는 상판(21)을 따라 후방 영역으로 유동된 다음 측판(22)을 따라 낙하하여 수용공간(30)에 수용된다. 한편, 컨베이어 벨트(16)에 잔존하는 준설토는 컨베이어(15)를 따라 이송되어 유입구를 통해 수용부(20)내로 낙하하여 수용부(20)에 수용된다. 이렇게 수용부(20)에 수용된 준설토는 비록 컨베이어(15)의 이송 중 지속적으로 오수가 배출되어 함수율이 낮아지기는 하였으나, 완전히 제거된 상태는 아니며, 준설토에 포함된 오수는 준설토가 수용부(20)에 수용되어 있는 중에도 지속적으로 분리되고, 분리된 오수는 측판(22)에 형성된 유출공과 하판(23)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수용공간(30)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준설토로부터 분리되어 수용공간(30)에 수용된 오수의 수위가 일정 이상이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배수펌프(27)와 배수밸브(28)가 작동하여 오수를 배수관(29)과 오수배출공(8)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렇게 오수의 배출과 준설토의 흡입이 완료되거나, 수용부(20)에 준설토가 일정 이상 수용되면, 흡입펌프(5)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그런 다음, 도어(10)를 개방하여 수용부(20)에 수용된 준설토를 포대에 담고, 포대에 담겨진 준설토는 매립장으로 직접 이송되어 적치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준설토 처리기(1)를 이용하여 준설토를 흡입하여 오수를 분리하고, 오수를 다시 하수관으로 복귀시키고 준설토는 직접 매립장으로 이송시키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 작업자가 직접 준설토를 퍼내어 적치하여 발생하는 악취로 인한 주거환경의 저하나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준설토 처리기(1)의 크기를 1톤 트럭 정도에 탑재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함으로써, 준설작업에 사용되는 장비를 한 대의 트럭에 모두 탑재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대형장비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대형장비의 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준설토로부터 오수를 분리하기 위하여 준설토를 중간 적치소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준설토 처리기(1)는, 준설작업시 준설토의 함수율을 감소시켜 처리과정을 간단화함으로써, 운송비용을 절감시키고 준설작업의 효율성을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준설토의 함수율을 감소시키고 처리과정을 간단화함으로써, 준설토의 처리비용을 절감하고 처리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준설토 처리기가 제공된다.

Claims (7)

  1. 준설토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와, 상기 준설토의 수용을 위한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진공을 형성하여 상기 준설토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펌프와;
    상기 하우징내로 흡입된 준설토를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와;
    상기 준설토로부터 분리된 오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처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하우징내에 수용된 오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부와,
    상기 수위감지부로부터의 감지결과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오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와,
    상기 오수의 배출을 위한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상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관을 개폐하는 배수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처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진행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처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에 형성된 밸트는 스크린으로 형성되어 상기 오수의 투과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처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컨베이어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 진행방향의 말단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준설토의 유입을 위한 유입구를 가지는 상판과,
    상기 상판과 대항되도록 경사진 하판과,
    상기 상판과 하판을 연결하는 측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처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에는 상기 오수의 유출을 위한 다수의 유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처리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에는 경사방향을 따라 중앙영역과 양 측부영역에 상기 오수의 투과를 위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처리기.
KR2020020012559U 2002-04-24 2002-04-24 준설토 처리기 KR2002884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559U KR200288455Y1 (ko) 2002-04-24 2002-04-24 준설토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559U KR200288455Y1 (ko) 2002-04-24 2002-04-24 준설토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455Y1 true KR200288455Y1 (ko) 2002-09-10

Family

ID=73084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559U KR200288455Y1 (ko) 2002-04-24 2002-04-24 준설토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45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258B1 (ko) 2009-01-22 2009-04-09 최정호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
KR101237937B1 (ko) 2012-01-06 2013-02-28 양난경 준설지역 내의 친환경 준설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258B1 (ko) 2009-01-22 2009-04-09 최정호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
KR101237937B1 (ko) 2012-01-06 2013-02-28 양난경 준설지역 내의 친환경 준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8330B1 (en) Truck tire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US5931603A (en) Method for controlling moisture inside a foundation
KR100405065B1 (ko) 하수도 박스, 암거의 퇴적물 준설장치
KR100775953B1 (ko) 준설차
KR200288455Y1 (ko) 준설토 처리기
JPH07229164A (ja) 水路等の清掃方法並びにその装置
KR102000097B1 (ko) 소형 다목적 준설 및 진공청소차
KR200327843Y1 (ko) 준설토 처리기
KR100728583B1 (ko) 영구배수시스템
KR100778552B1 (ko) 준설차
KR20000067324A (ko) 하수관의 준설방법 및 그 장치
WO1999047756A1 (en) Consolidation method for soil layers with low permeability
KR101387699B1 (ko) 배수로 슬러지 준설 재활용 설비와 준설 재활용 공법
JP2587791B2 (ja) 溜池などの底床側汚泥除去回収装置
JP3652957B2 (ja) 高深度排泥システム
US6669840B2 (en) Filter for a carpet cleaning system
KR101072567B1 (ko) 지중매설 관로 굴착에 의한 이토의 연속분리용 순환장치
JP4002820B2 (ja) 浸透トレンチ用連結ユニット及び浸透トレンチの施工方法
CN218705621U (zh) 一种钻井岩屑缓存装置
KR102421400B1 (ko) 포터블 준설장치
KR102438273B1 (ko) 침수 저감을 위한 저류시스템
KR100399216B1 (ko) 주행식 오거스크류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 및 이를이용한 무매연 무소음 무굴착식 차집관거 준설공법
CN219992646U (zh) 一种机场区域可穿围界防钻的排水沟
KR100528077B1 (ko) 배수처리장치
JP6688502B2 (ja) 液体搬送用タンクおよび切断汚泥水の回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