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079Y1 - 투명 발열체가 프린팅된 판유리 - Google Patents

투명 발열체가 프린팅된 판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079Y1
KR200287079Y1 KR2020020016854U KR20020016854U KR200287079Y1 KR 200287079 Y1 KR200287079 Y1 KR 200287079Y1 KR 2020020016854 U KR2020020016854 U KR 2020020016854U KR 20020016854 U KR20020016854 U KR 20020016854U KR 200287079 Y1 KR200287079 Y1 KR 2002870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plate glass
glass
printed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8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우
이재철
Original Assignee
김광우
이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우, 이재철 filed Critical 김광우
Priority to KR20200200168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0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0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079Y1/ko

Links

Landscapes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발열체가 프린팅된 판유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판유리에 투명 발열체를 프린팅함으로서 차량의 전면 혹은 후방측에 장착하게 되면, 프린팅된 유리가 투명 발열체에 의하여 성에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야가 방해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어 교통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고, 건축물의 창문유리에 사용할 경우 외부로 열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온에도 큰 효과를 가져온다는 투명 발열체가 프린팅된 판유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투명 발열체가 프린팅된 판유리{A plate glass of printing transparency pyrogen}
본 고안은 투명 발열체가 프린팅된 판유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면 혹은 후면유리나 건축물의 창문에 사용되는 판유리에 투명 발열체를 프린팅함으로서 프린팅된 유리가 시야를 방해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보온에도 큰 효과를 가져오는 투명 발열체가 프린팅된 판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뒷유리에는 겨울철에 성애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붉은색의 불투명 발열체가 일정간격으로 코팅되어 있다.
이와 같이 코팅된 불투명 발열체는 전류가 통할 수 있도록 폐회로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 회로의 양단은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폐회로에 전원이 공급되면 전류가 발열체를 따라 흘러가면서 열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열은 발열체가 프린팅된 판유리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서 성에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불투명 발열체는 자동차의 백미러를 이용하여 뒷유리를 통해 뒤에 따라오는 차량을 살펴볼 경우 불투명하기 때문에 시야의 방해를 받게 되는 불편함 있었고, 이에 따라 뒷차량에 대한 시야가 확보되지 못하여 교통사고와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판유리에 투명 발열체를 프린팅함으로서 유리가 투명 발열체에 의하여 성애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야가 방해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유리에 사용할 경우 보온에도 큰 효과를 갖는 투명 발열체가 프린팅된 판유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투명 발열체가 프린팅된 판유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판유리를 A-A'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판유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판유리
20 : 투명 발열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차량이나 건축물에 사용되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유리와,
상기 판유리의 내측면에 프린팅된 도전성을 갖는 투명 발열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발열체가 프린팅된 판유리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투명 발열체가 프린팅된 판유리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고안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투명 발열체가 프린팅된 판유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판유리를 A-A'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 1과 도 2를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판유리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차량이나 건축물에 사용되는 판유리(10)의 내부에 투명 발열체(20)가 소정의 간격을 갖고 프린팅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판유리(10)는 차량의 전면이나 후면에 장착된 유리이거나 건축물의 창문에 사용되는 유리를 모두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투명도를 갖는 유리를 사용하게 된다.
투명 발열체(20)의 경우에는 판유리(10)의 내부면에 프린팅되어 겨울철에 외부와 내부의 온도차에 의해 생기는 성애를 열을 가함으로서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투명 발열체로는 인듐 옥사이드(Indium oxide), 징크 옥사이드(Zincoxide), 틴옥사이드(Tinoxide) 등과 같이 전도성이 좋고 투명도를 유지할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투명 발열체(20)는 판유리와의 굴절률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투과광의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발열체간의 폭을 최소한으로 하여 형성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판유리(10)에는 투명도를 갖는 발열체(20)가 프린팅되는데, 이러한 투명 발열체(20)는 도전성을 가지고 있어서 별도로 장착된 페회로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게 되면, 투명 발열체(20)를 따라 전류가 흘러가게 되고 이러한 전류가 열을 발산시키면서 접촉하고 있는 판유리(10)로 열의 전도가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투명 발열체(20)를 통하여 판유리(10)에 열의 전도가 일어남으로서 유리에 부착된 성애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창문으로 사용시에는 외부풍경을 해치지 않고 외부로 열이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때문에 보온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판유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판유리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본 고안의 판유리를 자동차의 전면 또는 후방에 사용할 경우 판유리(10)에 장착된 발열체(20)가 투명하기 때문에 성에를 제거함을 동시에 종래 발열체(20)에 의하여 시야를 방해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운전자의 가시거리의 확보가 용이하므로 교통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도면에서는 편의상 투명 발열체를 불투명 처리하였지만 실제상으로는 외견상 투명하다는 것을 밝혀두는 바이다.
본 고안은 판유리에 투명 발열체를 프린팅함으로서 차량의 전면 혹은 후방측에 장착하게 되면, 프린팅된 유리가 투명 발열체에 의하여 성애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야가 방해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어 교통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고, 건축물의 유리에 사용할 경우 외부로 열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보온에도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판유리에 투명 발열체를 프린팅함으로서 차량의 전면 혹은 후방측에 장착하게 되면, 프린팅된 유리가 투명 발열체에 의하여 성애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야가 방해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어 교통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고, 건축물의 창문유리에 사용할 경우 외부로 열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온에도 큰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Claims (2)

  1. 차량이나 건축물에 사용되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유리와,
    상기 판유리의 내측면에 프린팅된 도전성을 갖는 투명 발열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발열체가 프린팅된 판유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 발열체가 인듐 옥사이드(Indium oxide), 징크 옥사이드(Zincoxide) 또는 틴옥사이드(Tinoxide) 중에 선택적으로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발열체가 프린팅된 판유리
KR2020020016854U 2002-05-31 2002-05-31 투명 발열체가 프린팅된 판유리 KR2002870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854U KR200287079Y1 (ko) 2002-05-31 2002-05-31 투명 발열체가 프린팅된 판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854U KR200287079Y1 (ko) 2002-05-31 2002-05-31 투명 발열체가 프린팅된 판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079Y1 true KR200287079Y1 (ko) 2002-08-27

Family

ID=73124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854U KR200287079Y1 (ko) 2002-05-31 2002-05-31 투명 발열체가 프린팅된 판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0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718B1 (ko) 2012-05-21 2014-01-20 박헌구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복층유리
KR101405120B1 (ko) 2012-02-29 2014-06-1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유리 성에 제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120B1 (ko) 2012-02-29 2014-06-1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유리 성에 제거 장치
KR101353718B1 (ko) 2012-05-21 2014-01-20 박헌구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복층유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1483A (en) Removable subsidiary helmet face shield lens
US8431871B2 (en) Transparent window pane provided with a resistive heating coating
JP6377115B2 (ja) 電気加熱可能なバッフルプレートを備えたウインドガラス装置、当該ウインドガラス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
US5471036A (en) Goggle defogging system with transparent indium-tin-oxide heating layer disposed on a lens
JP3849533B2 (ja) ウインドシールド用合わせガラス
EP1605729B1 (en) Electrically heated window
CA2611371C (en) Transparent electrode for an electrochromic switchable cell
ES2349590T3 (es) Unidad de adquisición de imagen con dispositivo calefactor para monitorización del exterior de un automóvil.
CN111133328B (zh) 车辆装饰构件
US20120193341A1 (en) Coated disk having a heatable communication window
ES488010A1 (es) Proceso de fabricacion de parabrisas para vehiculos de auto-mocion
US7230207B2 (en) Heatable external mirror for motor vehicles
JP2010519121A (ja) 加熱コーティングを有する透明な窓ガラス
CA2213803C (en) Face shield for helmet
JP2003163071A (ja) 電熱窓ガラス
WO2005003047A1 (en) Pane which can be heated by means of invisible light
EP2095685B1 (en) Flat electric heater element, in particular for glass panes of a motor vehicle
KR200287079Y1 (ko) 투명 발열체가 프린팅된 판유리
US20050040151A1 (en) Heated side window glass
KR200186346Y1 (ko) 투명전극 자동차 유리
JP2004268770A (ja) 車両用窓ガラスの防曇・解氷装置
JP2006221076A (ja) 曇り止めガラス装置及び曇り止めガラス装置付き監視カメラ装置
KR102628109B1 (ko) 자동차 측면 발열 윈도우
JP6757515B2 (ja) 合わせガラス及び乗り物
KR0125087Y1 (ko) 윈드실드 글라스의 빗물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