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924Y1 -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의 충전전극 접속용 집게 구조 - Google Patents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의 충전전극 접속용 집게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924Y1
KR200286924Y1 KR2020020016243U KR20020016243U KR200286924Y1 KR 200286924 Y1 KR200286924 Y1 KR 200286924Y1 KR 2020020016243 U KR2020020016243 U KR 2020020016243U KR 20020016243 U KR20020016243 U KR 20020016243U KR 200286924 Y1 KR200286924 Y1 KR 2002869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charging
electrode
tongs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2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세철
Original Assignee
양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세철 filed Critical 양세철
Priority to KR20200200162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9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9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924Y1/ko

Link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의 충전전극 접속용 집게 구조에 관한 것으로, 충전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측집게편과, 일단측 상부에 고정용패드가 형성된 하측집게편과, 상기 상측집게편과 하측집게편의 일단측이 탄성상태로 상호 맞물리도록 탄설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의 충전전극 접속용 집게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상측집게편의 하측에 고정된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의 타단부에서 탄성복원력을 가지고 인출입하도록 결합되는 이동핀으로 구성된 전극접촉핀과; 상기 고정핀의 일측에서 하측 전방으로 비스듬하게 연장형성된 후 다시 상방으로 절곡형성된 탄성핀과; 상측집게편의 첨단부에서 하측집게편측으로 뾰족하게 절곡형성된 슬립방지훅을 더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종래의 집게구조에서 전극접촉핀과 탄성핀 및 슬립방지훅이 더 부가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충전전극의 형성위치에 관계없이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한 부가구성요소를 충전전극에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모든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의 충전전극 접속용 집게 구조{structure for nipper to contact charging electrodes of battery in mobile phone battery charger}
본 고안은 충전전극의 위치가 다르게 형성된 모든 종류의 배터리에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의 충전전극 접속용 집게 구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충전기는 일반적으로 몸체부의 상측 중앙에 배터리를 안치하기 위한 안치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안치부의 저면에는 배터리의 충전용 전극에 접촉하여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단자가 돌출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배터리를 상기 안치부에 대향시켜 꽂아 장착하게 되면 충전기의 충전단자가 배터리의 충전용 전극에 접촉되어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현재 사용되는 휴대폰 배터리는 제조사에 따라서 그 디자인이 다르게 생산되고 있는데, 이는 외형 디자인 뿐만 아니라 배터리의 충전전극 위치 및 그 상호 간격 등 또한 표준화되지 않은 채로 생산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같은 제조사의 제품이라 할지라도 기종에 따라 그 규격이 다르게 생산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배터리의 충전시에는 호환충전이 불가능하여 반드시 전용 충전기 만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휴대폰의 저면부에 형성된 업그레이드용 연결단자에 연결잭을 꽂아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가 제작되어 상기의 문제를 어느 정도는 해소하였으나, 이는 쉽게 분리되지 않는 업그레이드용 연결단자의 고무패킹을 제거한후 연결잭을 꽂아야 하므로 그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고, 또한 고무패킹을 쉽게 분실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터리(5) 충전전극(6)의 위치에 상관없이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집게형 충전장치가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집게형 충전장치는 일반적으로 충전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충전케이블(7)이 연결되는 상측집게편(2)과, 일단측 상부에 고정용패드(3a)가 형성된 하측집게편(3) 및 상기 상측집게편(2)과 하측집게편(3)의 일단측이 탄성상태로 상호 맞물리도록 탄설되는 스프링(4)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집게형 충전장치는 사용자가 배터리(5)의 규격에 따라 다양하게 응용하여 집게(1)를 물려 충전하면 되므로 호환사용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단순한 구조의 집게(1)를 사용하는 집게형 충전장치는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터리(5)의 충전전극(6)이 경사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미끄럼등에 의해 접촉이 불안정해져서 충전이 늦거나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심할경우 배터리(5)에 손상을 가져오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배터리의 충전단자 위치에 관계없이 충전단자에 완전히 접촉하여 안정적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의 충전전극 접속용 집게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충전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측집게편과, 일단측 상부에 고정용패드가 형성된 하측집게편과, 상기 상측집게편과 하측집게편의 일단측이 탄성상태로 상호 맞물리도록 탄설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의 충전전극 접속용 집게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상측집게편의 하측에 고정된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의 타단부에서 탄성복원력을 가지고 인출입하도록 결합되는 이동핀으로 구성된 전극접촉핀과; 상기 고정핀의 일측에서 하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된 후 다시 상방으로 절곡형성된 탄성핀과; 상측집게편의 첨단부에서 하측집게편측으로 뾰족하게 절곡형성된 슬립방지훅을 더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충전전극 접속용 집게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충전전극 접속용 집게 사용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사용 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사용 상태 측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다른 사용 상태 사시도
* 도면의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집게 20 : 상측집게편
21 : 슬립방지훅 30 : 하측집게편
31 : 고정용패드 40 : 스프링
50 : 전극접촉핀 51 : 고정핀
52 : 이동핀 60 : 탄성핀
70 : 충전케이블 80, 80a, 80b, 80c : 배터리
81, 81a, 81b, 81c : 충전전극
이하 첨부된 도면은 참조한 본 고안 일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사용 상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사용 상태 측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다른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집게(10)는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집게편(20)과 하측집게편(30) 및 스프링(40)의 공지구성요소 외에도 전극접촉핀(50)과 탄성핀(60) 및 슬립방지훅(21)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측집게편(20)에는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충전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케이블(70)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집게편(20)과 맞물리는 하측집게편(30)의 일단측 상부에는 연성고무재질의 고정용패드(31)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용패드(31)의 상측부분은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톱니처럼 울퉁불퉁하게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40)은 공지와 같이 상기 상측집게편(20)과 하측집게편(30)의 중앙에 탄설되어 평상시 상측집게편(20)과 하측집게편(30)의 일단측이 탄성상태로 상호 맞물리도록 탄성복원력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 전극접촉핀(50)은 고정핀(51)과 이동핀(52) 및 상기 이동핀(52)에 탄성복원력을 부여하는 스프링(미도시)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핀(51)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상측집게편(20)의 하측에 고정되어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이동핀(52)은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51)의 타단부에서 탄성복원력을 가지고 인출입하도록 결합되며, 이를 위해 상기 이동핀(52)과 고정핀(51)의 내측에는 스프링이 내설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전극접촉핀(50)은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집게편(30)과 상측집게편(2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핀(60)은 상기 고정핀(51)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하측에서부터 하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된 후 다시 상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전극접촉핀(50)과 함께 마치 삼각형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탄성핀(60)의 평면길이는 상기 전극접촉핀(50)보다 짧게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슬립방지훅(21)은 상기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집게편(20)의 첨단부에서 하측집게편(30) 측으로 뾰족하게 절곡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집게(10)를 사용하게 되면 도 4 내지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배터리(80, 80a,80b, 80c)를 모두 충전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먼저,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충전전극(81)이 배터리(80)의 넓은면 일측에 형성된 경우에는 상측집게편(20)과 하측집게편(30)을 벌려서 그 사이로 배터리(80)를 진입시키고 상기 탄성핀(60)이 충전전극(81)에 접촉되도록 위치시킨 후 고정하여 충전하면 된다. 이때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용패드(31)가 배터리(80)에 밀착되므로 미끄럼이 방지되어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탄성핀(60)이 일정의 탄성력을 가지고 충전전극(81)에 안정적으로 접촉되므로 안정적인 충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충전전극(81a)이 배터리(80a)의 좁은면에 형성된 경우에는 상측집게편(20)과 하측집게편(30)을 벌려 그 사이에 배터리(80a)를 진입시키고 전극접촉핀(50)의 이동핀(52)을 배터리(80a)의 충전전극(81a)에 접촉시킨 후 고정하여 충전하면된다. 그러면 상기 이동핀(52)은 내설된 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고 충전전극(81a)에 안정적으로 접촉되므로 안정적인 충전이 이루어진다.
또한,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충전전극(81b)이 배터리(80b)의 넓은면 중앙부분측에 형성된 경우에는 상측집게편(20)과 하측집게편(30)을 벌려 그 사이에 배터리(80b)를 진입시키고 상기 슬립방지훅(21)을 충전전극(81b)에 접촉시킨 후 충전하면된다. 그러면, 뾰족하게 형성된 슬립방지훅(21)이 충전전극(81b)에서 미끄러지지 않으므로 안정적인 충전이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충전전극(81c)이 배터리(80c)의 좁고 경사진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측집게편(20)과 하측집게편(30)을 벌려 그 사이에 배터리(80c)를 진입시키고 상기 탄성핀(60)이 충전전극(81c)에 접촉되도록 위치시킨 후 고정하여 충전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집게(10)를 이용하면, 충전전극의 위치에 상관없이 모든 종류의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충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집게형 휴대폰 충전장치를 사용하여 충전할 때 집게 연결시 극성이 맞지 않을 경우에는 쇼트 상태가 되거나 충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충전회로는 무극성 회로가 이용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무극성 회로를 이용하게 되면, 배터리의 충전전극이 어떤 극성을 띠던지 두 개의 충전전극에 본 고안에 의한 집게를 연결하기만 하면 안정적으로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집게구조에서 전극접촉핀과 탄성핀 및 슬립방지훅이 더 부가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충전전극의 형성위치에 관계없이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한 부가구성요소를 충전전극에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모든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충전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측집게편과, 일단측 상부에 고정용패드가 형성된 하측집게편과, 상기 상측집게편과 하측집게편의 일단측이 탄성상태로 상호 맞물리도록 탄설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의 충전전극 접속용 집게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측집게편의 하측에 고정된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의 타단부에서 탄성복원력을 가지고 인출입하도록 결합되는 이동핀으로 구성된 전극접촉핀과;
    상기 고정핀의 일측에서 하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된 후 다시 상방으로 절곡형성된 탄성핀과;
    상측집게편의 첨단부에서 하측집게편측으로 뾰족하게 절곡형성된 슬립방지훅을 더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의 충전전극 접속용 집게 구조.
KR2020020016243U 2002-05-28 2002-05-28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의 충전전극 접속용 집게 구조 KR2002869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243U KR200286924Y1 (ko) 2002-05-28 2002-05-28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의 충전전극 접속용 집게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243U KR200286924Y1 (ko) 2002-05-28 2002-05-28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의 충전전극 접속용 집게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924Y1 true KR200286924Y1 (ko) 2002-08-24

Family

ID=73123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243U KR200286924Y1 (ko) 2002-05-28 2002-05-28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의 충전전극 접속용 집게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9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534B1 (ko) 2010-07-13 2012-03-16 (주)열린기술 복수 개의 이차전지 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 충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534B1 (ko) 2010-07-13 2012-03-16 (주)열린기술 복수 개의 이차전지 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 충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3317B1 (en) Connector assembly
KR950034933A (ko) 소켓
KR100548432B1 (ko) 휴대 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
CN205081265U (zh) 电连接器及其插头连接器和插座连接器
KR200286924Y1 (ko)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의 충전전극 접속용 집게 구조
US5697808A (en) Battery adapter for adapting a large capacity battery to a hand phone
CN215645364U (zh) 可变换方位充电的电池充电器
CN210350223U (zh) 一种新型装配接口的高精密连接器
CN204407560U (zh) 母接触端子、端子组合及扣合式电连接器
CN201556657U (zh) 电池连接器
JP5065002B2 (ja) 充電台
CN207765706U (zh) 一种端子对接连接器组件
KR20050106723A (ko) 콘센트
CA2704721C (en) Improved charging interface for rechargeable devices
KR200460350Y1 (ko) 가압구가 구비된 콘센트
GB2418006A (en) A pointing device held by a clamp member and slot to a charge cradle
JP4269493B2 (ja) バッテリ使用機器用レセプタクル
CN219477050U (zh) 一种电连接端子
CN211830269U (zh) 一种穿戴式电子设备充电器
CN220456838U (zh) 一种插座
KR100246005B1 (ko) 와이어 커넥터
CN214542619U (zh) micro usb插头及充电线
KR200172349Y1 (ko) 무선전화기용 충전기의 충전 단자장치
CN215014216U (zh) 用眼姿势检测装置的充电收纳盒
CN215266750U (zh) 一种5pin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