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790Y1 - 붙박이형 쿡탑구조 - Google Patents

붙박이형 쿡탑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790Y1
KR200286790Y1 KR2020020009455U KR20020009455U KR200286790Y1 KR 200286790 Y1 KR200286790 Y1 KR 200286790Y1 KR 2020020009455 U KR2020020009455 U KR 2020020009455U KR 20020009455 U KR20020009455 U KR 20020009455U KR 200286790 Y1 KR200286790 Y1 KR 2002867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top
horizontal
built
upper plate
cra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홍
Original Assignee
박준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홍 filed Critical 박준홍
Priority to KR20200200094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7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7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790Y1/ko

Link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붙박이형 쿡탑에 대한 것으로서, 고안의 주된 목적은 다용도 테이블에 붙박이식 쿡탑을 설치하되, 화구가 앞뒤로 배열되는 것이 아니라 가로로 배열되는 가로형 쿡탑으로 하여 다용도 테이블의 전반부에 물건을 올려 놓을 수 있는 공간부가 확보되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모든 화구가 한 눈에 잘 보이도록 개량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은 세로의 치수에 비해 가로의 치수가 약 3배 큰 장방형의 상판(21)과, 상기한 상판(21)의 가로 세로의 비례에 맞게 형성된 본체(22)와, 상기 본체(22)의 내부에서 상기 상판(21)의 위로 돌출되도록 설치하되, 가로 방향을 따라 한 줄로 나열한 3개의 화구(23)들과, 상기 화구들 갯수에 맞게 마련하되, 좌측 전방부 또는 우측 전방부에서 가로로 배열한 조작노브(24)들로 이루어진 쿡탑(2); 상기 쿡탑(2)의 본체(22)가 가지는 가로 세로의 치수에 상응하여, 세로의 치수에 비해 가로의 치수가 약 3배 큰 장방형의 안치구멍(31)을 상면(32)에 가지는 다용도 테이블(3); 상기 상판(21)이 앞에 연결하는 보조상판(4);을 준비한 후, 상기 쿡탑(2)을 상기 다용도 테이블(3)의 안치구멍(31)에 설치하여 일체화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붙박이형 쿡탑구조{Built-in Type Cook-top Ass'y}
본 고안은 붙박이형 쿡탑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쿡탑과, 그 보조상판을 포함하는 다용도 테이블의 사용효율을 높이고, 화구의 상태 파악이 용이하도록 한 쿡탑구조에 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일반 주택의 부엌이나, 업소의 주방에는 다용도 테이블가 설치되어 있고, 그 다용도 테이블의 일측에는 별도의 레인지용 다용도 테이블을 따로 설치한 후, 그 레인지용 다용도 테이블 위에 가스레인지(혹은 전기레인지)가 구비되어 있어 각종 요리를 조리를 할 수 있다.
한편, 근래에는 주택의 부엌이나 업소의 주방은 점차 격조 높고 기품이 살아나는 고급형 인테리어를 요구하게 되었고,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붙박이식 쿡탑이 개발되었다.
붙박이식 쿡탑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의 레인지용 다용도 테이블을 구비한 후 그 위에 올려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레인지의 본체(11) 외형에 맞게 삽입부를 갖는 새로운 형태의 받침대를 따로 제작한 후, 레인지의 상판(12)과 상판 위의 화구(13)들 만이 노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붙받이식 쿡탑은 종래와 같은 레인지의 본체(11) 측면이 노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 찌꺼기 등이 옆으로 튀어도 청소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항상 깨끗하고 외관이 미려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붙박이식 쿡탑의 경우 다용도 테이블의 전, 후 폭을 다 사용하는 형태로 구성된 것이 단점이다.
즉,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정용 붙박이식 쿡탑은 대부분 3내지 4개의 화구를 가지는데 그 배열상태를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 후 2열로 하여 앞에 2개, 뒤에 1개 내지 2개를 배열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첫째, 다용도 테이블의 전, 후 폭을 다 사용하는 형태로 크기 때문에 이 쿡탑이 설치된 부분에 있어서는 앞쪽에 다른 용기를 올려 놓을 수 없어 불편하다.
예컨대, 조리를 하는 중에는 가열용기는 물론 요리 재료를 담은 별도의 용기를 같이 사용하기도 하고, 또 상기한 가열용기의 뚜껑을 일시적으로 열어 옆에 놓기도해야 하는 바, 이럴때, 종래의 구조에서는 뚜껑이나 별도의 용기를 멀리 놓던가 아니면 손으로 들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한 것이다.
둘째, 화구가 항상 앞쪽과 뒷쪽, 2열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앞줄에 가열용기를 올려 놓고 사용하는 도중에 뒷줄의 화구에 또 다른 가열용기를 올려 사용하고자 할 경우, 앞쪽의 열기로 인해 올려 놓기가 불편하며, 뒷쪽 화구에 붙은 불꽃의 상황을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다용도 테이블에 붙박이식 쿡탑을 설치하되, 화구가 앞뒤로 배열되는 것이 아니라 가로로 배열되는 가로형 쿡탑으로 하여 다용도 테이블의 전반부에 물건을 올려 놓을 수 있는 공간부 또는 보조상판이 확보되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모든 화구가 잘 보이도록 개량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은 세로의 치수에 비해 가로의 치수가 3배 큰 장방형의 상판과, 상기한 상판의 가로 세로의 비례에 맞게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상판의 위로 돌출되도록 설치하되, 가로 방향을 따라 한 줄로 나열한 3개의 화구들과, 상기 화구들 갯수에 맞게 마련하되, 반드시 가로 방향의 좌측 전방부 또는 우측 전방부에서 가로로 배열한 조작노브들로 이루어진 쿡탑, 그리고 상기 쿡탑의 본체가 가지는 가로 세로의 치수에 상응하여, 세로의 치수에 비해 가로의 치수가 3배 큰 장방형의 안치구멍을 상면에 가지는 다용도 테이블, 그리고 보조상판을 준비한 후, 상기 쿡탑을 상기 다용도 테이블의 안치구멍에 설치하여 일체화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붙박이형 쿡탑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붙박이형 쿡탑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붙박이형 쿡탑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이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 : 쿡탑 3 : 다용도 테이블
4 : 보조상판 21 : 상판
22 : 본체 23 : 화구
24 : 조작노브 31 : 안치구멍
32 : 상면 40 : 연결구조
41 : 절곡부 42 : 탄성편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로서, 쿡탑(2)의 구성과 다용도 테이블(3)의 구성을 보이고 있다.
쿡탑(2)은 세로의 치수(A)에 비해 가로의 치수(B)가 약 3배 큰 장방형의 상판(21)과, 상기한 상판(21)의 가로 세로의 비례에 맞게 형성된 본체(22)와, 상기 본체(22)의 내부에서 상기 상판(21)의 위로 돌출되도록 설치하되, 가로 방향을 따라 한 줄로 나열한 3개의 화구(23)들과, 상기 화구들 갯수에 맞게 마련하되, 가로방향의 좌측 전방부 또는 우측 전방부에서 가로로 배열한 조작노브(24)들로 이루어 진다.
또한, 다용도 테이블(3)은 상기 쿡탑(2)의 본체(22)가 가지는 가로 세로의 치수에 상응하여, 세로의 치수에 비해 가로의 치수가 3배 큰 장방형의 안치구멍(31)을 상면(32)에 가지는 것이다.
상기 쿡탑(2)을 상기 다용도 테이블(3)의 안치구멍(31)에 설치하여 일체화 하되, 상기한 상판(21)은 통상적인 것과 마찬가지로 본체(22)의 외경치수보다 약간씩 더 크게 하여 플랜지부(24)를 형성한 것이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플랜지부(24)가 상기한 안치구멍(31)의 테두리 위에 얹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상판(21)의 앞쪽에는 후방에 연결구조(40)를 가진 보조상판(4)을 연결부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이 보조상판(4)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판(21)과 같은 재질의 스테인레스재 판재로써 성형한 것인 바, 상판(21)의 폭과 같은 폭을 가지며, 연결구조(40)는 그 후방에 U자형 절곡부(41)를 형성한 후, 그 끝단을 안쪽으로 연장되게 꺾은 탄성편(42)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한 상판(21)의 앞부분을 상기의 절곡부(41) 속으로 끼워 넣으면 탄성편(42)에 의해 눌리므로 유동이 없이 고정될 수 있다.
이 보조상판(4)은 조리에 필요한 국자, 젓가락, 뒤지개 등을 올려놓기에 적합한 공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다수의 화구(23)가 가로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뒷편으로 가려지는 화구없이 모두 볼 수 있다.
또한, 다용도 테이블(3)은 쿡탑(2)의 앞으로 임의의 간격(D) 만큼 작업대가 구비되므로 다른 용기나 가열용기의 뚜껑 등을 올려 놓기에 편리하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는 도면에서 보듯이 쿡탑(2)의 가로 세로 비율을 세로의 치수에 대해 가로의 치수를 2배로 하고, 가로 방향으로 2개의 화구(23)를 마련하며, 그 화구들의 좌측 전방부 또는 우측 전방부에서 가로로 구비한 2개의 조작노브(24)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역시 2개의 화구(23)가 가로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뒷편으로 가려지는 화구없이 모두 볼 수 있고, 다용도 테이블(3)도 쿡탑(2)의 앞으로 임의의 간격(D) 만큼 작업대가 구비되므로 다른 용기나 가열용기의 뚜껑 등을 올려 놓기에 편리하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한 상판(21)의 앞쪽에는 보조상판(4)을 연결부착하여 사용하도록 하며, 단지 그 폭만 2개의 화구 폭에 맞게 형성될 뿐 후방에 U자형 절곡부(41)와, 그 안쪽으로 연장되게 꺾은 탄성편(42)을 가지는 것은 동일하다.
근본적으로 본 고안의 쿡탑(2)에 의하면 다용도 테이블 상에서 설치 위치를 종래와 같이 좌, 우로 약간씩 이동시켜 설치 가능한 것은 물론, 전, 후 로 조금씩이동시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용도 테이블(3)의 전후 폭에 대해 후방에 치우치도록 설치한다든가, 전방으로 치우치도록 설치한다든가, 또는 전후 폭의 정 중앙에 있도록 설치할 수도 있어 선택의 폭이 넓고, 그 선택된 형태에 따라서 전, 후의 여백부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과 같은 본 고안은 꼭히 다용도 테이블(3)에 설치할 때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일명 싱크대로 불리는 가구에도 설치할 수 있고, 그 외의 기타 부엌가구에 모두 적용하여 설치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다용도 테이블에 붙박이식 쿡탑을 설치하되, 화구가 앞뒤로 배열되는 것이 아니라 가로로 배열되는 가로형 쿡탑으로 구성하고 보조상판을 마련하였기 때문에 다용도 테이블의 전반부 또는 보조상판에 물건을 올려 놓을 수 있는 공간부가 확보되는 장점이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뒤에 가려지는 화구 없이 모든 화구가 잘 보이기 때문에 화구의 화력 관리를 보다 더 안전하게 잘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세로의 치수에 비해 가로의 치수가 약 3배 큰 장방형의 상판(21)과, 상기한 상판(21)의 가로 세로의 비례에 맞게 형성된 본체(22)와, 상기 본체(22)의 내부에서 상기 상판(21)의 위로 돌출되도록 설치하되, 가로 방향을 따라 한 줄로 나열한 3개의 화구(23)들과, 상기 화구들 갯수에 맞게 마련하되, 좌측 전방부 또는 우측 전방부에서 가로로 배열한 조작노브(24)들로 이루어진 쿡탑(2);
    상기 쿡탑(2)의 본체(22)가 가지는 가로 세로의 치수에 상응하여, 세로의 치수에 비해 가로의 치수가 3배 큰 장방형의 안치구멍(31)을 상면(32)에 가지는 다용도 테이블(3);을 준비한 후,
    상기 쿡탑(2)을 상기 다용도 테이블(3)의 안치구멍(31)에 설치하여 일체화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형 쿡탑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쿡탑(2)은 세로의 치수에 대해 가로의 치수를 2배로 하고, 가로 방향으로 2개의 화구(23)를 마련하며, 그 화구들의 좌측 전방부 또는 우측 전방부에서 가로로 구비한 2개의 조작노브(24)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형 쿡탑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상판(21)은 그 앞쪽으로 보조상판(4)을 연결부착하여 사용하되, 이 보조상판(4)은 후방에 연결구조(40)를 가지는 것으로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형 쿡탑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구조(40)는 보조상판(4)의 후방에 U자형 절곡부(41)와, 그 끝단을 절곡부 안쪽으로 연장되게 꺾은 탄성편(42)으로 하여 상판(21)의 앞부분이 위로부터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형 쿡탑구조.
KR2020020009455U 2002-03-29 2002-03-29 붙박이형 쿡탑구조 KR2002867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455U KR200286790Y1 (ko) 2002-03-29 2002-03-29 붙박이형 쿡탑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455U KR200286790Y1 (ko) 2002-03-29 2002-03-29 붙박이형 쿡탑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790Y1 true KR200286790Y1 (ko) 2002-08-23

Family

ID=73120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455U KR200286790Y1 (ko) 2002-03-29 2002-03-29 붙박이형 쿡탑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7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1035B2 (en) Vertically mounted gas cooktop control knob
US11029032B2 (en) Stove
USD475569S1 (en) Combined gas cooking range and griddle
CA2794530A1 (en) Home appliance with improved griddle cover
US20030051724A1 (en) Gas cooktop
CN105147129A (zh) 电烤箱
US20120012093A1 (en) Graphic cooktop cover
KR200286790Y1 (ko) 붙박이형 쿡탑구조
KR200271775Y1 (ko) 붙박이형 쿡탑구조
KR20030062540A (ko) 붙박이형 쿡탑구조
WO2008096975A1 (en) Drawer with sink
JP2009005877A (ja) システムキッチン
JP3129016U (ja) キッチンユニット
US3385284A (en) Cooking appliance with adjustable control housing
JP2550216Y2 (ja) 厨房機器
CN218096089U (zh) 灶具底盘结构及燃气灶具
TWM252876U (en) Built-in burner
CN217875979U (zh) 灶具底盘结构及燃气灶具
CN2669033Y (zh) 气电两用灶
CN220083129U (zh) 一种多功能大锅灶
CN211324313U (zh) 一种具有除尘结构的综合式煮面炉
CN2929514Y (zh) 模组化瓦斯炉
CN214307246U (zh) 一种多功能组合炉
JP2525069B2 (ja) キッチンユニット
WO1999031440A1 (en) Cooking hob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3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