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637Y1 - 낚시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낚시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637Y1
KR200286637Y1 KR2020020009828U KR20020009828U KR200286637Y1 KR 200286637 Y1 KR200286637 Y1 KR 200286637Y1 KR 2020020009828 U KR2020020009828 U KR 2020020009828U KR 20020009828 U KR20020009828 U KR 20020009828U KR 200286637 Y1 KR200286637 Y1 KR 2002866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fishing
fixed
connecto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8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익환
Original Assignee
가맥스 초경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맥스 초경 (주) filed Critical 가맥스 초경 (주)
Priority to KR20200200098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6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6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63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용 추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의 일체형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일의 강선에서 곧게 뻗은 직선 형태의 다리와, 상기 다리에서 소정길이 부분을 귄취하여 낚시대에 낚시줄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연결구와, 아치형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동일평면상에서 나선형으로 직경이 줄어들게 형성시켜 원형의 고정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다리에 낚시추를 결합한 뒤 끼워 고정시키도록 하는 구조를 취하며, 고정고리 타측에는 낚시바늘에 연결된 낚시줄이 묶여 고정되도록 또다른 연결구를 원형으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시추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Fishing Sinker}
본 고안은 낚시용 추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의 일체형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대의 낚시줄과 낚시바늘의 낚시줄을 각각 용이하게 묶을 수 있도록 단일의 강선을 만곡 또는 권취하여 연결구를 형성시키고, 낚시추의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할 수 있는 곧은 다리를 상기 강선의 일부를 곧게 뻗도록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일체형의 낚시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와 같은 취미활동에는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도구들이 필요한데, 보통 강이나 바다와 같은 낚시장소에 따라 그 형태가 상이한 낚시대와, 상기 낚시대와 낚시바늘을 연결시키는 낚시줄과, 낚시대상인 물고기의 활동수심에 따라 낚시바늘의 수장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낚시추 및 낚시찌 등이 그러한 도구에 포함된다.
이러한 낚시도구 중 낚시대 및 낚시줄은 보통 신축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낚시바늘은 강선으로 이루어지며, 낚시찌는 야간의 식별력을 고려하여 형광물질을 도포한 목재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낚시추는 이와는 달리 보통 납성분이 재질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이는 납의 물리학적 특성상 비중이 여타 재질에 비해 상당히 높고 제작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납과 같은 중금속은 보통 체내에 축적되면 질병을 유발하는 물질로서 특히 염분과 접하게 되면 부식되어 분해되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생활용품의 재질로서의 사용을 규제하는 추세이며, 일본에서는 2000년 6월부터 납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납을 대신하는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납이 주성분이되 납의 성분이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코팅한 형태의 추가 개발되고 있는데, 전자에 해당되는 형태로서 대표적인 것이 세라믹 성분으로 추를 제작하는 기술이며, 후자에 해당하는 형태로서 대표적인 것이 납성분의 추 표면에 우레탄이나 라텍스를 코팅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세라믹 성분의 추는 그 비중이 납에 비해 크지 않아 수장깊이의 조절이라는 추의 기능을 충족하기에는 역부족이다. 그리고 표면이 코팅 처리된 납성분의 추는 코팅재로 사용된 우레탄이나 라텍스가 해수나 민물속에서 부식되어 국소 또는 전반적으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비중이 크면서도 중금속의 폐해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추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텅스텐이나 코발트 등과 같은 성분을 추의 주재질로 사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성분들은 납에 비해 그 생산이나 제조비용이 매우 높은 물질로서, 보통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추의 재질로서는 단가가 너무 높은 문제점이 있다.
그렇지만 현재 상기와 같은 성분으로 제조된 추가 시판되고 있는데, 야외의 낚시현장에서 사용하기에는 그 크기가 너무 작은 문제점이 있다. 이는 상기에서 언급된 높은 단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결국 생산 및 제조에 소요되는 재료비의 단가로 인해 시판가의 상승이 유발되며, 용도에 비해 크기가 너무 작아 사용에도 매우 불편한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구형상으로 제작된 텅스텐-코발트 재질의 낚시용 추를 용이하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낚시대의 낚시줄과 낚시바늘의 낚시줄이 각각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낚시대와 낚시바늘을 서로 연계시킬 수 있는 낚시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낚시 대상에 따라 낚시추의 개수를 달리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다수회에 걸쳐 낚시추를 재사용할 수 있는 낚시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낚시추(200)의 중앙부위에 관통 결합되는 강선 형태의 제 1다리(10);
중앙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다리(10)의 타측이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형성되며 낚시대(300)에 연결된 제 1낚시줄(310)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 1연결구(20);
상기 제 1연결구(20)의 타측이 상기 제 1다리(10)의 축선방향을 따라 아치형으로 만곡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결부(30);
상기 제 1다리(10)의 타측이 외력에 의해 나선형으로 회전되면서 중심부위에 고정되도록 상기 연결부(30)의 타단이 상기 제 1다리(10)에 대해 수직한 동일평면상에서 직경이 감소되는 나선형상으로 연속 만곡되어 형성되는 고정고리(40);
상기 고정고리(40)의 타단이 상기 고정고리(40)가 형성되는 평면상에 대해 수직하게 하향 연장되어 상기 제 1다리(10)와 나란하도록 형성되는 제 2다리(50);및
중앙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2다리(50)의 타단이 원형으로 연속 만곡되다가 상기 제 2다리(50)의 타측에 감겨 고정되며 낚시바늘(400)에 연결된 제 2낚시줄(410)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 2연결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고정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다리(50)의 타측에는 상기 고정고리(40)에 끼워져 나란하게 위치하는 상기 제 1다리(10)의 타측이 끼움 결합되어 탄성력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다리(10)의 타측을 향하는 한쌍의 탄성편(70a)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재질의 끼움고리(7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그 밖에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추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추 고정장치의 실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추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따른 부호의 설명 >
10: 제 1다리 20: 제 1연결구
30: 연결부 40: 고정고리
50: 제 2다리 60: 제 2연결구
70: 끼움고리 70a: 탄성편
100: 낚시추 고정장치 200: 낚시추
300: 낚시대 310: 제 1낚시줄
400: 낚시바늘 410: 제 2낚시줄
500: 낚시찌
다음으로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추 고정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추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추 고정장치의 실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장치(100)는 구리 강선을 권취 및 만곡하여 중앙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원형의 연결구(20,60)를 형성시키고, 곧게 뻗은 다리(10,50)를 형성시켜 이 중 제 1다리(10)에는 낚시추(200)를 결합시킨 뒤제 2다리(50)에 고정시키는 구조를 취하여 낚시 행위시 낚시추(200)의 장착이 보다 수월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 상기 제 1다리(10)에 결합되는 낚시추(200)는 직경이 약 15mm 정도인 구 형상으로, 텅스텐-코발트 합금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을 따라 상기 제 1다리(10)가 삽입 관통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장치(100)는 직경이 약 1.5mm 정도인 단일의 강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낚시 행위시 물고기가 어획됨으로써 발생되는 낚시대(300)와 물고기의 상반된 장력에서 파손되지 않고 버틸 수 있도록 제 1연결구(20)와 고정고리(40) 사이의 연결부(30)가 아치형으로 만곡 형성되어 일정한 복원력을 발현할 수 있다.
상기 제 1연결구(20)는 곧게 뻗어 길이가 약 60mm 정도인 제 1다리(10)의 타측이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중앙에 공간이 발생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낚시대(300)의 제 1낚시줄(310)이 묶여 고정된다.
이 때 상기 제 1연결구(20)는 상기 제 1다리(10)의 타측이 2번 정도 권취되면서 형성되며, 대략적인 내경은 제 1낚시줄(310)을 묶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약 10mm 정도이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제 1연결구(20)의 타측이 아치형으로 만곡되면서 형성되며 이 때 만곡의 시작위치가 상기 제 1연결구(20)의 타측이라면 만곡의 종료위치는 상기 제 1다리(10)의 타측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30)의 타측이 상기 제 1다리(10) 및 상기 제 1연결구(20)의 권취방향에 수직하도록 나선형으로 연속 만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고정고리(40)로서, 상기 고정고리(40)는 직경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그 틈새를 따라 상기 제 1다리(10)의 타측이 그 중앙에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고리(40)의 중앙으로 귀결된 타측이 상기 제 1다리(10)와 나란하도록 하향으로 곧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제 2다리(50)이다.
이러한 상기 제 2다리(50)는 길이가 약 40mm 정도이며, 상기 제 1다리(10)가 상기 고정고리(40)에 끼워져 고정되었을 때 상호 나란하며, 타측에는 낚시바늘(400)의 제 2낚시줄(410)이 묶여 고정되는 제 2연결구(60)가 형성된다.
상기 제 2연결구(60)는 중앙에 약 10mm 정도 직경의 원형 공간이 발생되도록 상기 제 2다리(50)의 타측이 권취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그 끝단은 상기 제 2다리(50)의 타측에 3번 정도 감겨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 1다리(10)가 상기 고정고리(40)의 틈새를 따라 중앙까지 도달하여 고정되더라도 상기 제 1연결구(20) 및 제 2연결구(60)에서 각각 제 1낚시줄(310) 및 제 2낚시줄(410)이 당기는 장력에 대해 대처하는 것이 미약하기 때문에, 상기 제 2다리(50)의 타측에 결합되어 보다 견고하게 자리매김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끼움고리(70)이다.
상기 끼움고리(70)는 재질이 플라스틱이며 제 2다리(50)의 타측에 고정되는데, 상기 제 1다리(10)의 타측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다리(10)의 직경보다 상호 간격이 상대적으로 작은 한쌍의 탄성편(70a)이 일방향으로 형성되며, 이 때 상기 각 탄성편(70a)의 안측면이 내측으로 파여져 흡사 각 탄성편(70a)이 안측으로 오므려진 구조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다리(10)에 낚시추(200)가 결합되면 고정고리(40)에 끼운 뒤, 그 타측은 상기 제 2다리(50)에 고정된 끼움고리(70)에 끼워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각 탄성편(70a)은 사이로 진입한 상기 제 1다리(10)를 탄성적으로 강제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추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장치(100)에서 우선 제 1다리(10)에 낚시추(200)를 끼워 결합시키고, 고정고리(40)에 상기 제 1다리(10)를 끼운 뒤 제 2다리(50)의 타측에 구비된 끼움고리(70)에 제 1다리(10)의 타측을 억지끼움 고정한다.
그리고 제 1연결구(20)에는 낚시대(300)에 연결된 제 1낚시줄(310)이 묶여 고정되고, 제 2연결구(60)에는 낚시바늘(400)에 연결된 제 2낚시줄(410)이 묶여 고정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제 1낚시줄(310)에는 낚시찌(500)가 고정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추 고정장치(100)에서, 상기 고정장치(100)의 재질은 구리 강선 이외에, 고장력 플라스틱 선재, 탄소강 선재,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선재, 구리합금 선재 중에서 임의로 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끼움고리(70)를 대신하여 상기 제 2다리(50)에 제 1다리(10)를 끈으로 묶어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제 1다리(10)의 끝단을 상기 제 2다리(50)에 감아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낚시추(200)는 텅스텐-코발트 재질의 구형상을 취하는 일실시예이외에, 납 재질로 임의대로 그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는 낚시추(200)도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다리(10)에 1개만이 결합되는 것 이외에, 낚시대상에 따른 수장깊이에 따라 그 결합개수를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30)의 형상은 앞에서 언급된 아치형 이외에, 각진 형상, 반원 형상,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절곡이 반복되어 탄성력을 발현할 수 있는 형상등 필요에 따라 임의로 그 형상을 달리 취하여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불어 각 연결구(20,60)에 대한 제 1낚시줄(310) 및 제 2낚시줄(410)의 연결은 상기에서 제시된 순서 이외에, 임의로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때에 따라서는 연결구(20,60)외의 구성요소에 묶어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추 고정장치에 의하면, 보통 일회용으로 사용하고 버리게 되는 낚시추를 다수회에 걸쳐 재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비교적 크기가 작아 사용하기에 불편했던 낚시추를 간편하게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그 구조가 간단하고 일체형이기 때문에, 간단한 공정으로 용이하게 제작 및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2)

  1. 낚시추(200)의 중앙부위에 관통 결합되는 강선 형태의 제 1다리(10);
    중앙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다리(10)의 타측이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형성되며 낚시대(300)에 연결된 제 1낚시줄(310)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 1연결구(20);
    상기 제 1연결구(20)의 타측이 상기 제 1다리(10)의 축선방향을 따라 아치형으로 만곡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결부(30);
    상기 제 1다리(10)이 외력에 의해 나선형으로 회전되면서 중심부위에 고정되도록 상기 연결부(30)의 타단이 상기 제 1다리(10)에 대해 수직한 동일평면상에서 직경이 감소되는 나선형상으로 연속 만곡되어 형성되는 고정고리(40);
    상기 고정고리(40)의 타단이 상기 고정고리(40)가 형성되는 평면상에 대해 수직하게 하향 연장되어 상기 제 1다리(10)와 나란하도록 형성되는 제 2다리(50); 및
    중앙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2다리(50)의 타단이 원형으로 연속 만곡되다가 상기 제 2다리(50)의 타측에 감겨 고정되며 낚시바늘(400)에 연결된 제 2낚시줄(410)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 2연결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다리(50)의 타측에는 상기 고정고리(40)에 끼워져 나란하게 위치하는 상기 제 1다리(10)의 타측이 끼움 결합되어 탄성력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다리(10)의 타측을 향하는 한쌍의 탄성편(70a)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재질의 끼움고리(7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고정장치.
KR2020020009828U 2002-04-02 2002-04-02 낚시추 고정장치 KR2002866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828U KR200286637Y1 (ko) 2002-04-02 2002-04-02 낚시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828U KR200286637Y1 (ko) 2002-04-02 2002-04-02 낚시추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637Y1 true KR200286637Y1 (ko) 2002-08-21

Family

ID=73074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828U KR200286637Y1 (ko) 2002-04-02 2002-04-02 낚시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6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3511B1 (ko) 지그헤드
JP2006325468A (ja) 擬似餌仕掛けおよび擬似餌仕掛け用錘
US5666760A (en) Fishing line lock
US10136623B2 (en) Rattling fish hook
US2931124A (en) Fishing bobber
US6401382B2 (en) Fishing apparatus
CA2745134A1 (en) Flexible shaft spinnerbait fishing lure assembly with v shape stabilizer
US3771252A (en) Fishing line sinker
US7866085B1 (en) Bottom bouncer with adjustable weight
KR200286637Y1 (ko) 낚시추 고정장치
KR200291310Y1 (ko) 낚시추 고정장치
KR200286355Y1 (ko) 낚시추 고정장치
KR20150057174A (ko) 낚시추
US20150373960A1 (en) Fishing rod for enhancing casting power
KR20150053395A (ko) 낚시용 추
KR200295297Y1 (ko) 낚시용 봉돌
JP4822930B2 (ja) 伸縮自在な釣り用天秤及びそれを備えた釣り用仕掛け
JP2007061050A (ja) 釣部品の取付具及び取付具を備えた釣部品
US20160302401A1 (en) Fishing Sinker
KR100270241B1 (ko) 낚시바늘
JP3160378U (ja) コマセ保持具
JPH01285137A (ja) 釣機用しなり調節竿
RU155058U1 (ru) Рыболовный поводок
KR20220007473A (ko) 인서트 사출성형된 어망 및 낚시용 봉돌
EP1110448A1 (en) Fishline twist correcting device and fishing r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