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632Y1 - 자동차 냉각수 저레벨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냉각수 저레벨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632Y1
KR200286632Y1 KR2020020007002U KR20020007002U KR200286632Y1 KR 200286632 Y1 KR200286632 Y1 KR 200286632Y1 KR 2020020007002 U KR2020020007002 U KR 2020020007002U KR 20020007002 U KR20020007002 U KR 20020007002U KR 200286632 Y1 KR200286632 Y1 KR 2002866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level
coolant
level
pole plate
level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0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실규
김재홍
Original Assignee
손실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실규 filed Critical 손실규
Priority to KR20200200070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6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6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632Y1/ko

Links

Landscapes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냉각수 저레벨 경보를 냉각수 레벨에 따른 전류의 통전 정도에 의하여 자동으로 감지하여 경보해 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냉각수 레벨 경보장치는 플러스 극판, 마이너스 극판, 저레벨 감지신호 발생부, 감지전원 공급시간 제어 및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경고등으로 이루어진다.
냉각수 레벨을 저레벨에서 경보함으로 냉각수 증발, 냉각수 누수에 따른 엔진의 오버히트, 과열로 인한 시동 꺼짐, 고장,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운전자는 자주 보닛을 열어 냉각수 레벨을 점검하지 않아도 경보등에 의하여 보충하는 장치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냉각수 저레벨 경보장치{omitted}
자동차 냉각수 레벨이 저레벨일 때 운전자에게 자동으로 경보하여 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냉각수는 리저버 탱크에 냉각수가 외부로 유출할 수 있고 공기를 유출입할 수 있는 호스 끝이 개방되어진 호스가 있다. 이 호스를 통해 냉각수는 지속적으로 증발한다. 중고차의 경우는 라디에이터의 부식과 고무호스의 파손으로 누수가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냉각수 부족시 엔진은 오버히트를 한다. 엔진의 오버히트는 파워TR 등의 엔진 전자장치에 온도상승을 가져오고 연료 계통의 베이프록 현상을 유발하여 운행중 갑자기 엔진 시동이 꺼지게 된다. 또한 전자부품 및 고무부품의 열화를 촉진하여 고장을 일으키거나 부품 수명 단축의 원인이 된다.
자동차 냉각수 저레벨 경보의 종래의 기술로는 플로터를 부구로 사용하는 것이다. 플로터는 내부를 중공으로 하여야 하므로 제작이 어려워지고 부피가 커진다. 부피가 커짐으로 출렁임 및 쏠림에 영향을 많이 받게 되고 사용 공간에 제한을 받게 된다. 이를 지지하기 위해 별도 레버나 지지대가 필요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플로터를 사용하지 않고 전기적인 방법으로 냉각수 저레벨을 감지하여 저레벨 경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저레벨 경보장치 중 전기 극판이 냉각수 리저버 탱크에 설치된 경우의 절개사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냉각수 저레벨 경보장치의 전기, 전자회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자동차 키스위치 21 : 플러스 단자
12 : 마이너스 극판 22 : 마이너스 단자
13 : 플러스 극판 30 : 절연물
14 : 경고등 40 : 리저버 탱크
15 : 저레벨 감지신호 발생부 41 : 오버플로우 호스
16 : 제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냉각수 저레벨 경보장치는 리저버 탱크(40)내의 LOW레벨의 위치에 설치된 플러스 극판(13), 마이너스 극판(12); 상기 두 극판 사이에 통전 정도를 감지하는 저레벨 감지신호 발생부(15);
상기 저레벨 감지신호 발생부에 일정시간만 전원 공급하는 기능과 발생한 신호를 일정시간 동안만 경보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 제어부 ;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한 신호를 운전자에게 인식시키는 경고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자동차 엔진의 냉각수는 물 이외도 부동액, 방청제, 녹물, 기타 먼지 등의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다.
자동차 냉각수의 전기 전도도는 12V 전압에 10㎟의 구리극판으로 1cm의 거리에 2mA∼8mA의 전류가 흐른다. 냉각수 레벨이 LOW레벨 이하로 내려갈 경우 전류의 통전 정도, 즉 전류가 흐르지 않거나 극히 적은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저레벨임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는 상기 두극판 사이에 전압의 발생유무로도 저레벨을 감지할 수도 있다.
냉각수에 지속적으로 전류를 흐르게 할 경우 물의 전기 분해에 의하여 산소, 수소가 발생하여 폭발의 위험이 있다.
냉각수도 지속적으로 소모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엔진 기동시에만 전류가 통하는 ST 단자에 연결하여 수초간 전류를 공급하도록 한다. 또는 ACC, ON 단자선에 연결시에는 주기적으로 일정시간만 전류를 공급케하는 방법도 바람직하다.
출렁임이나 쏠림에 따른 오작동 방지를 위해 일정시간 지속적인 신호가 발생시에만 유효한 것으로 한다. 또는 리저버 탱크(40)내에 감지 극판을 다수 설치하여 AND 회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플로터 또는 레벨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장치가 매우 간단하다. 따라서 저비용이며 고장이 없고 설치가 간단하고 반영구적이다.
기존 차량에도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와셔액의 리저버 탱크에 설치도 가능하다. 일반적인 물탱크에도 응용 가능하다.

Claims (2)

  1. 자동차 냉각수 리저버 탱크내에 저레벨 감지신호 발생부에 연결된 플러스 극판, 마이너스 극판을 로우레벨 위치에 설치하여 전류의 통전정도에 따라 자동차 냉각수 저레벨을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냉각수 저레벨 경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플러스 극판, 마이너스 극판에 공급되는 전류는 엔진 기동시에만 전류가 흐르는 ST 단자선을 전원으로 사용하거나 ON 단자선 또는 ACC 단자선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주기적으로 일정시간만 전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냉각수 저레벨 경보장치.
KR2020020007002U 2002-03-02 2002-03-02 자동차 냉각수 저레벨 경보장치 KR2002866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002U KR200286632Y1 (ko) 2002-03-02 2002-03-02 자동차 냉각수 저레벨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002U KR200286632Y1 (ko) 2002-03-02 2002-03-02 자동차 냉각수 저레벨 경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306A Division KR20030072165A (ko) 2002-03-02 2002-03-02 자동차 냉각수 저레벨 경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632Y1 true KR200286632Y1 (ko) 2002-08-21

Family

ID=73073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002U KR200286632Y1 (ko) 2002-03-02 2002-03-02 자동차 냉각수 저레벨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6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165A (ko) * 2002-03-02 2003-09-13 손실규 자동차 냉각수 저레벨 경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165A (ko) * 2002-03-02 2003-09-13 손실규 자동차 냉각수 저레벨 경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6789B2 (en) Electrolysis cell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kit comprising the same
US7617725B2 (en) Electric generator protection system
WO2011139893A1 (en) Dry cell electrolytic hydrogen generating system
US5369396A (en) Apparatus for detecting a level of liquid
US20100229839A1 (en) Hydrogen fuel enhancement system
KR200286632Y1 (ko) 자동차 냉각수 저레벨 경보장치
JP4618182B2 (ja) 車両用燃料ガス検出装置
CN111946441A (zh) 液位报警装置、方法、冷却系统和车辆
KR20030072165A (ko) 자동차 냉각수 저레벨 경보장치
US3257643A (en) Safety signaling system for marine engine cooling systems
JP2010019142A (ja) アルコール含有燃料用燃料ポンプの交換警報システム
KR20020013112A (ko) 자동차의 연료잔량센서 설치구조
US4680575A (en) Liquid level detecting device
KR20130068419A (ko) 차량의 배터리 방전 장치 및 방법
CN219960203U (zh) 车载供电自动切换电路及智慧警车
CN215633297U (zh) 散热装置、发动机冷却系统及车辆
KR100768339B1 (ko) 자동차의 연료부족 경고장치
KR19980052770A (ko) 차량의 연료탱크 경고등 장치
KR200188927Y1 (ko) 자동차의 와셔액 예열 및 경보장치
KR200313557Y1 (ko) 경유차량용 연료필터의 수위레벨감지장치
KR0138195Y1 (ko) 자동차의 연료 경고등 구동장치
KR200165689Y1 (ko) 리저버 탱크의 냉각수 동결 경고 및 제어장치
JPH0734841A (ja) 液レベルセンサの断線判定装置
KR100216997B1 (ko) 차량의 냉각수 오버플로 감지장치
KR20030066264A (ko) 자동차 냉각수 부력차 레벨 스위치형 저레벨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