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546Y1 - 물빠짐이 좋은 비누곽 - Google Patents

물빠짐이 좋은 비누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546Y1
KR200286546Y1 KR2020020015186U KR20020015186U KR200286546Y1 KR 200286546 Y1 KR200286546 Y1 KR 200286546Y1 KR 2020020015186 U KR2020020015186 U KR 2020020015186U KR 20020015186 U KR20020015186 U KR 20020015186U KR 200286546 Y1 KR200286546 Y1 KR 2002865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support protrusion
drainage
height
dra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1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석재
Original Assignee
임석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석재 filed Critical 임석재
Priority to KR20200200151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5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5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546Y1/ko

Links

Landscapes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누가 수용되는 수용부에 비누를 지지하는 받침돌출부와 배수공이 형성된 비누곽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받침돌출부는, 그 높이가 그 두께의 폭보다 크게 수용부 바닥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비누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따라 좌우대칭형으로 연장되며,
상기 배수공은, 상기 받침돌출부에 인접하여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비누곽에 따르면, 비누곽의 비누 수용부로 흘러내리는 물이 정체되지 않고 신속하게 배출되므로, 비누가 쉽게 물러지지 않으며, 양호한 배수성으로 인하여, 비누의 손실도 적어 비누를 보다 오래 사용할 수 있으므로, 훨씬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물빠짐이 좋은 비누곽{DRAINING-EFFECTIVE SOAP CASE}
본 고안은 비누가 수용되는 수용부에 받침돌출부가 형성된 비누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받침돌출부의 높이를 그 두께의 폭보다 크게 하여 수용부에 좌우대칭형으로 형성시킴으로써, 비누와 수용부의 접촉면적을 최소로 유지하면서도, 비누의 하부에 물이 정체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비누곽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누 받침대(10,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과정등에서 유입된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그 중심부에 배수공(11,21)이 형성되고, 중심부가 오목한 원형 또는 사각형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누 받침대(10,20)는 비누(1)와 받침대(10,20)표면 사이의 접촉면적이 커서, 비누(1) 하부면과 받침대(10,20) 표면 사이에 스며든 물이 배수공(11,21)으로 잘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비누(1) 하부면과 받침대(10,20) 표면 사이에 정체되는 물에 의하여 비누(1)가 녹아서 물러지므로 그 형상이 쉽게 변형될 뿐 아니라, 비누(1)가 쉽게 소모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3과 같은 비누곽(30;구체적으로는 비누곽의 하부케이스)이 고안되었다. 도 3의 비누곽(30)은 비누(1)가 놓여지는 수용부에 장공 형태의 배수공(31)과 비누(1)를 지지하는 돌기(32)를 형성하여, 비누(1)와 비누곽(30)과의 접촉면적을 줄이고, 배수공(31)으로 물을 배출하게 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비누곽(30)은 사용에 의하여 비누(1)의 크기가돌기(32)의 간격보다 작아졌을 때에는 비누가 상기 돌기(32)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도 1 및 도 2의 비누 받침대(10,20)와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돌기(32)를 비누곽(30) 수용부의 여러 곳에 형성하거나, 돌기(32)의 길이를 길게 연장한다 하더라도, 돌기(32)의 높이가 낮아서 비누(1) 하부면과 수용부 사이에 물이나 습기가 정체하는 문제를 만족스럽게 해결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두께 폭보다 큰 높이를 가진 좌우 대칭형의 받침돌출부와, 상기 받침돌출부와 인접한 다수개의 배수공을 비누의 수용부에 형성하여, 비누와 수용부의 접촉면적을 최소로 유지하고 비누 하부면에 물이 정체됨이 없이 신속히 배수가능한 물빠짐이 우수한 비누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비누 받침대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비누 받침대의 측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비누곽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비누곽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비누곽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비누곽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비누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6의 비누곽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비누곽,
101...배수공,
102...받침돌출부,
110...수용부,
120...다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비누곽은 비누가 안착되는 수용부에 일정한 두께와 높이를 가지는 받침돌출부와, 물빠짐을 위한 배수공이 형성된 비누곽에 있어서,
상기 받침돌출부는, 그 높이가 그 두께의 폭보다 크게 수용부 바닥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비누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따라 좌우대칭형으로 연장되며,
상기 배수공은 상기 받침돌출부에 인접하여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비누와 받침돌출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받침돌출부 폭을 작게 하고, 비누와 수용부 사이에 물이 정체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받침돌출부의 높이를 받침돌출부의 폭보다 크게 하는데 본 고안의 주된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비누곽 수용부의 주변부보다 그 중심부에 더 많은 개수와 더 큰 크기의 배수공을 형성하는 것이 신속한 배수를 위해서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비누곽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다리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비누곽으로부터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비누곽은 그 중심부가 가장 낮은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비누곽(1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4의 비누곽(100)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상기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비누곽(100)은 그 중심부가 오목하게 만곡된 형태의 비누곽으로서, 비누 수용부(110)에는 비누(1)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연장된 좌우 대칭형의 받침돌출부(102)가 형성되어 있다.
비누(1)의 형상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받침돌출부(102)가 폭방향으로 연장된 받침돌출부(102)보다 길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받침돌출부(102) 두께의 폭은 그 높이에 비하여 상당히 좁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비누(1)와 받침돌출부(102)와의 접촉면적을 최소로 하여, 세면과정이나 목욕을 하는 과정에서 비누(1)에 묻어 있던 물이 받침돌출부(102) 표면에 정체됨으로써, 비누(1)가 불어서 물러지게 되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받침돌출부(102)의 높이는 그 두께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훨씬 높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돌출부(102)는 비누(1)가 지지되는 받침돌출부(102) 표면과 수용부(110) 바닥면과의 사이에 물이 고이지 않고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비누(1)와 비누곽(100)의 크기를 고려하여, 그 높이를 적당한 범위에서 정하여야 한다. 비누(1)와 받침돌출부(102)와의 접촉면적과 물의 배수속도 등을 감안하였을 때, 상기 받침돌출부(102)의 높이는 받침돌출부 두께 폭의 3~5배 또는 비누곽(100) 몸체 높이의 1/5~1/3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고안에 따른 비누곽(100)에 있어서는, 상기 받침돌출부(102)의 주위에 배수공(101)을 적절히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용부(110) 중심부의 배수공(101)은 비누곽(100)의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하므로, 받침돌출부(102)와 일정 간격 떨어져서 형성하여도 무방하지만, 수용부(110)의 주변부에 형성되는 배수공(101)은 가능한 한 받침돌출부(102)에 인접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수용부(110) 주변부의 배수공(101)이 받침돌출부(102)와 이격되어 형성될 경우, 배수공(101)과 받침돌출부(102) 사이의 수용부 공간에 물이 정체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배수효율을 좋게 하기 위하여, 수용부(110)의 주변부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수용부 중심부 쪽에, 배수공(101)을 더 많이 배치하는 한편, 수용부 중심부 쪽에 더 큰 크기의 배수공(101)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비누곽의 하부면의 폭방향 양측에는 복수개의 다리(120)가 형성되어 있다. 다리(120)가 없을 경우, 비누곽의 하부면이 직접 욕실이나 세면기의 바닥면과 접촉하게 되어 배수속도가 느려질 뿐만 아니라, 주위에 물이 많이 있는 경우에는 배수공(101)으로 빠져나간 물이 상기 비누곽 내부로 다시 역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다리(120)는, 비누곽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비누곽하부면의 양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시키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다리(120)의 높이 역시 배수된 물이 바닥면과 비누곽 하부에 정체되지 않도록 높게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비누곽 몸체 높이의 1/5~1/3이 되는 것이 좋다.
비누 하부면과 수용부 표면에 물이 정체되지 않을 정도의 적절한 폭과 높이를 가지는 받침돌출부(102)를 형성하고, 신속히 배수되도록 배수공을 적절히 배치한다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상기 받침돌출부(102)의 형상과 배수공(101)의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함을 물론이다.
도 7은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본 고안에 따른 비누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비누곽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상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비누곽 역시, 비누 수용부의 중심부에 배수공(101)이 더 많이, 그리고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비누곽에 따르면, 비누곽의 비누 수용부로 흘러내리는 물이 정체되지 않고 신속하게 배출되므로, 비누가 쉽게 물러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호한 배수성으로 인하여, 비누의 손실도 적어 비누를 보다 오래 사용할 수 있으므로, 훨씬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비누가 안착되는 수용부에 일정한 두께와 높이를 가지는 받침돌출부와, 물빠짐을 위한 배수공이 형성된 비누곽에 있어서,
    상기 받침돌출부(102)는, 그 높이가 그 두께의 폭보다 크게 수용부(110) 바닥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비누(1)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을 따라 좌우대칭형으로 연장되며,
    상기 배수공(101)은, 상기 받침돌출부(102)에 인접하여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빠짐이 좋은 비누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돌출부(102)의 높이는, 그 두께 폭의 3배~5배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빠짐이 좋은 비누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돌출부(102)의 높이는, 비누곽 높이의 1/5~1/3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빠짐이 좋은 비누곽.
  4. 제1항에 있어서,
    비누 수용부(110)의 주변부보다 그 중심부에 더 많은 수의 배수공(10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빠짐이 좋은 비누곽.
  5. 제1항에 있어서,
    비누 수용부(110)의 주변부에 형성된 배수공(101)보다 그 중심부에 형성된 배수공(101)의 크기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물빠짐이 좋은 비누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곽(100)은 중심부가 가장 낮은 오목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빠짐이 좋은 비누곽.
  7. 제1항에 있어서,
    비누곽 하부의 폭방향 양측에 다수개의 다리(1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빠짐이 좋은 비누곽.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120)의 높이가 비누곽 몸체 높이의 1/5~1/3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빠짐이 좋은 비누곽.
KR2020020015186U 2002-05-17 2002-05-17 물빠짐이 좋은 비누곽 KR2002865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186U KR200286546Y1 (ko) 2002-05-17 2002-05-17 물빠짐이 좋은 비누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186U KR200286546Y1 (ko) 2002-05-17 2002-05-17 물빠짐이 좋은 비누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546Y1 true KR200286546Y1 (ko) 2002-08-21

Family

ID=73123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186U KR200286546Y1 (ko) 2002-05-17 2002-05-17 물빠짐이 좋은 비누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54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433B1 (ko) 2010-08-27 2012-06-11 김남훈 비누 받침대
KR20170019215A (ko) 2015-08-11 2017-02-21 (주)광주금형 흡습기능이 있는 비누케이스
KR20220077767A (ko) 2020-12-02 2022-06-09 이단비 물 빠짐이 좋은 고무 비눗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433B1 (ko) 2010-08-27 2012-06-11 김남훈 비누 받침대
KR20170019215A (ko) 2015-08-11 2017-02-21 (주)광주금형 흡습기능이 있는 비누케이스
KR20220077767A (ko) 2020-12-02 2022-06-09 이단비 물 빠짐이 좋은 고무 비눗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1743B2 (ja) 水廻り用棚
US20220378252A1 (en) Foldable drain pad for faucet and draining method thereof
KR200286546Y1 (ko) 물빠짐이 좋은 비누곽
CN111344461A (zh) 洗面器
KR200192506Y1 (ko) 의료용 세발기
JP4388441B2 (ja) 浴室の排水配管
JP2007198021A (ja) 排水枡のトラップ取付構造
JPH0357175Y2 (ko)
KR200277420Y1 (ko) 급수대의 물받침판
CN220458016U (zh) 一种花盆
CN217285549U (zh) 一种可折叠水龙头用沥水垫
KR200290606Y1 (ko) 빨래판이 일체로 된 함지박
KR102464564B1 (ko) 비누 지지 장치
KR200329292Y1 (ko) 싱크대용 수절판
KR200146328Y1 (ko) 세면컵고정봉을 가진 비누걸이대
JP2001137141A (ja) 浴 槽
KR100971091B1 (ko) 높이 조절식 간이 세면대
JP4474351B2 (ja) 石けん置き
JPS6014867Y2 (ja) 排水器
JPH084076A (ja) 手洗器付大便器ユニット
JP3021828U (ja) ベビーバス
JP2002291629A (ja) 水切り乾燥スタンド
PL3090S2 (pl) Wanna kapielowa
KR200141737Y1 (ko) 세척대가 부설된 입식세탁조
KR0115750Y1 (ko) 신발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