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334Y1 - 캐스터 - Google Patents

캐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334Y1
KR200286334Y1 KR2019990007356U KR19990007356U KR200286334Y1 KR 200286334 Y1 KR200286334 Y1 KR 200286334Y1 KR 2019990007356 U KR2019990007356 U KR 2019990007356U KR 19990007356 U KR19990007356 U KR 19990007356U KR 200286334 Y1 KR200286334 Y1 KR 2002863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adjustment
rotation
height
lever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73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304U (ko
Inventor
광 섭 정
Original Assignee
광 섭 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 섭 정 filed Critical 광 섭 정
Priority to KR20199900073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334Y1/ko
Publication of KR200000203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3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3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334Y1/ko

Links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량물의 저면에 구비시켜 이송 또는 방향을 자유로이 할 수 있는 캐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이 가능하며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정밀하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의 높이조절부를 마련한 캐스터에 관한 것이다.
회전되어지도록 걸어 사용되는 래크기어(44)와, 타측 외주면에는 나사식 회전으로 고정받침대(50)의 승, 하강이 이루어지게 형성된 높낮이조절나사(45)를 구비한 높낮이조절축(40)과, 상기 높낮이조절나사(44)에 대응되도록 내부에 고정편(51)을 관통, 고정하여서 몸체(30)의 내부에 마련한 안내턱(31)을 따라 승,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안내홈(52)을 마련한 고정 받침대(50)와, 상기 높낮이조절나사(45)의 래크기어(44)에 회전힘을 전달하거나 절리 또는 고정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부(77)과, 평상시에는 절첩 상태에서 회전 사용 시에는 회전프레임(70)과 일축선상에 위치시킬 수 있는 레버(90)를 구비하였다.
따라서, 절첩가능한 레버(90)를 구비하여 높낮이조절축(40)에서 먼 곳으로부터 힘점을 주도록 하여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쉽게 회전시키도록 하는 것이며, 높낮이조절편(80)에의해 높낮이조절축(40)을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보다 간편하게 고정받침대(50)를 승, 하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 또한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캐스터 {CASTER}
본 고안은 중량물의 저면에 구비시켜 이송 또는 방향을 자유로이 할 수 있는 캐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이 가능하며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정밀하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의 높이조절부를 마련한 캐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종래의 캐스터는 이동의 용이성으로 인해 많이 쓰여지고 있으나 정밀을 요하는 기기에 있어서는 요동이나 진동 및 수평성에 불안정성을 갖고 있어서 높이 조절 및 고정을 하도록 하는 고정부를 구비하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캐스터를 “도5”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중을 지지하도록 중량물의 저면에 결합하도록 형성된 플랜지(110)와,
상기 플랜지(110)의 외주면에 좌, 우 회동되도록 베어링(111)을 매개로 구비된 몸체(120)와, 몸체(120)의 일축에 구비된 이동바퀴(130)를 갖는 이송부와,
상기 플랜지(110)의 저면에 손으로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핸들(140)과, 이의 핸들(140) 저면에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된 높이조절나사축(141)의 회전에 의해 승, 하강되어지는 고정받침대(150)를 구비한 높이조절부로 크게 나누어져 있다.
따라서, 핸들(140)을 좌, 우 회전시키면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높이조절나사축(141)의 회전에 의해 고정받침대(150)가 이송부에 구비된 이동바퀴(130)의 바닥에 밀착하는 면의 높이보다 높거나 낮게 조절시켜 중량물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거나 또는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고정받침대(150)를 승, 하강시키기 위해 회전시키는 핸들(140)은 중량물의 하중이 상승함과 비례하여 높이조절나사축(141)의 부하가 커지는 것이므로 상기 높이조절나사축(141)과 일체로 형성된 핸들(140)을 손으로 돌리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동반되는 것이다.
즉, 상기 핸들(140)의 중심축과 힘점의 거리가 몸체(120)의 내부에 짧게 형성되어 중량물의 부하가 커진 높이조절나사축(141)을 회전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선출원된 실용신안(공개번호 96-16751)에 기제되어 있듯이,
핸들의 외주면을 워엄기어로 형성시키고, 상기 워엄기어와 치합되도록 일측의 몸체에 워엄축을 설치하되, 이 워엄축의 양단에 워엄축으로 회전력을 전달해주는 토오크 인가부가 형성되고, 몸체의 일측에 상기 워엄축이 지지되는 축대를 형성시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한바 있다.
그러나, 상기구성에 있어서 워엄축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워엄축의 양단에 형성된 토오크인가부에 렌치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야만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일정한 도구를 주위에 구비시켜야만 하는 불편함을 갖게 되는 것이며,
워엄축과 직각으로 형성시켜 회전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바닥면과 또는 중량물의 저면과의 간섭을 피하도록 하기 위해 렌치를 토오크 인가부에서 착, 탈 시키기를 수회 반복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핸들을 일 피치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워엄축의 회전수를 워엄기어의 잇수 만큼 회전시켜야만 하여 이에 따른 작업시간의 증가 및 사용자의 반복작업에 의한 피로를 누적시켜 결과적으로 생산량까지 악화시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높이조절 및 수평맞춤을 위해 고정시키도록 형성된 높이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고도 원활히 승, 하강시키도록 하기 위한 캐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도2의 A-A선 횡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도2의 B-B선의 일측회전을 보인 작동상태도.
도 4b는 본 고안의 도2의 B-B선의 타측회전을 보인 작동상태도.
도 5는 종래 고안의 조립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캐스터 20-플랜지 30-몸체
31-안내턱 32-이동바퀴 40-높낮이조절축
41-고정나사홈 42-고정축단 43-회전축단
44-래크기어 50-고정받침대 51-고정편
52-안내홈 60-핸들 61-보스
70-회전프레임 71-회전축홈 72-스프링
73-볼 80-높낮이조절편 81-걸림턱
82-역회전경계턱 90-레버
따라서,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캐스터의 첨부도면인 “도1”과 “도2”에 의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량물의 저면에 결합하는 플랜지(20)와, 상기 플랜지(20)의 외측면에는 좌, 우 회동되어지도록 베어링(24)을 구비하여 결합되는 몸체(30)와, 상기 몸체(30)의 일측에는 이동바퀴(32)를 구비한 캐스터(10)에 있어서,
일측에는 상기 플랜지(20)의 하측에 관통되어 고정시키는 고정나사(23)가 결합되어지기 위한 고정나사홈(41)과, 외주면에는 핸들(60)을 결합하기 위한 고정축단(42)과, 높이조절부(77)을 지지하도록 되는 회전축단(43)과, 회전되어지도록 걸어 사용되는 래크기어(44)와, 타측 외주면에는 나사식 회전으로 고정받침대(50)의 승, 하강이 이루어지게 형성된 높낮이조절나사(45)를 구비한 높낮이조절축(40)과,
상기 높낮이조절축(40)의 고정축단(42)에 고정결합되는 보스(61)를 형성하고, 손으로도 승, 하강시킬 수 있는 다수의 돌기를 마련한 핸들(60)과,
상기 높낮이조절나사(45)에 대응되도록 내부에 고정편(51)을 관통, 고정하여서 몸체(30)의 내부에 마련한 안내턱(31)을 따라 승,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안내홈(52)을 마련한 고정받침대(50)와,
상기 높낮이조절나사(45)의 래크기어(44)에 회전힘을 전달하거나 절리 또는 고정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부(7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높이조절부(77)는 일측이 회전축단(43)에 결합되어져 회전되어지도록 형성된 회전축홈(71)을 구비하고, 타측은 상기 몸체(30)의 외부로 길게 연장되어 적은 힘으로도 좌, 우 회전시킬 수 있는 레버(90)를 구비하며,
내부에는 스프링(72)에 의해 탄설되는 볼(73)을 구비한 회전프레임(70)과,
상기 회전프레임(70)의 내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래크기어(44)의 이에 치합되는 형상의 걸림턱(81)을 좌, 우에 마련하고, 상기 볼(73)의 탄성에 의해 좌, 우에 마련한 걸림턱(81)을 선택적으로 상기 래크기어(44)에 치합시켜 승강, 또는 하강만을 하도록 되는 역회전경계턱(82)을 마련한 높낮이조절편(80)을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레버(90)의 일측에는 회전프레임(70)의 타측에 마련한 레버힌지(74)에 결합되어져 평상시에는 절첩 상태에서 회전 사용 시에는 회전프레임(70)과 일축선상에 위치시킬 수 있는 레버축(91)을 일측에 마련한 레버(90)를 구비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도2”, “도3”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높낮이조절축(40)을 회전시키면 일축에 구비되어있는 높낮이조절나사(45)에 나사식 결합되어있는 고정편(51)을 갖는 고정받침대(50)가 몸체(30)의 내부에 마련된 안내턱(31)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회전프레임(70)의 일측에 구비된 레버(90)는 평상시에는 절첩 되어 있다가 사용 시에는 높낮이조절축(45)과 직각으로 연장되어 사용되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높낮이조절축(40)을 회전시키는 작용에 대해서 “도4a”, “도4b”에 의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회전프레임(70)의 내부에 마련된 높낮이조절편(80)은 역회전경계턱(82)을 경계로 일측방향의 걸림턱(81)을 래크기어(44)와 치합시킨 후 래버(90)를 좌, 우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있다.
이때, 일측방향으로의 회전 시에는 높낮이조절축(40)를 회전시키고, 타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프링(72)의 탄성에 의해 래크기어(44)와 걸림턱(81)이 공회전되어 높낮이조절축(40)을 다시 회전시킬 수 있는 위치로 되돌려주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또한, 높낮이조절편(80)을 타측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는 높낮이조절편(80)을 회전시켜 역회전경계턱(82)에 위치한 볼(73)이 역회전경계턱(82)을 넘어 타측에 위치하도록 놓고서 레버(90)를 좌, 우 회전시키면 상기와 반대되는 작용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프레임(70)의 회전축홈(71)은 상기 높낮이조절축(40)의 회전축단(43)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프레임(70)을 고정할 뿐만 아니라, 회전 시 걸림턱(81)에서의 회전프레임(7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캐스터는
절첩 가능한 레버(90)를 구비하여 미사용 시에는 중량에 의해 절첩되어져 있다가 사용 시에는 회전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시켜 회전프레임(70)과 일축선상에 위치시킨 후 사용되어지는 것으로서 높낮이조절축(40)에서 먼 곳으로부터 힘점을 주도록 하여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쉽게 회전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역회전경계턱(82)을 경계로 높낮이조절편(80)을 좌, 우 회전시키면 높낮이조절축(40)을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보다 간편하게 고정받침대(50)를 승, 하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 또한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중량물의 저면에 결합하는 플랜지(20)와, 플랜지(20)의 외측면에는 좌, 우 회동되어지도록 베어링(24)을 구비하여 결합되는 몸체(30)와, 상기 몸체(30)의 일측에는 이동바퀴(32)를 구비한 캐스터(10)에 있어서,
    일측에는 상기 플랜지(20)의 하측에 관통되어 고정시키는 고정나사(23)가 결합되어지기 위한 고정나사홈(41)과, 외주면에는 핸들(60)을 결합하기 위한 고정축단(42)과, 높이조절부(77)를 지지하도록 되는 회전축단(43)과, 회전되어지도록 걸어 사용되는 래크기어(44)와, 타측 외주면에는 나사식 회전으로 고정받침대(50)의 승, 하강이 이루어지게 형성된 높낮이조절나사(45)를 구비한 높낮이조절축(40)과,
    상기 높이조절축(40)의 고정축단(42)에 고정결합되는 보스(61)를 형성하고, 손으로도 승, 하강시킬 수 있는 다수의 돌기를 마련한 핸들(60)과,
    상기 높낮이조절나사(45)에 대응되도록 내부에 고정편(51)을 관통, 고정하여서 몸체의 내부에 마련한 안내턱을 따라 승,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안내홈(52)을 마련한 고정받침대(50)와,
    상기 높낮이조절나사(45)의 래크기어(44)에 회전힘을 전달하거나 절리 또는 고정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부(77)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높이조절부(77)은 일측이 회전축단(43)에 결합되어져 회전되어지도록 형성된 회전축홈(71)을 구비하고, 타측은 상기 몸체(30)의 외부로 길게 연장되어 적은 힘으로도 좌, 우 회전시킬 수 있는 레버(90)와,
    내부에는 스프링(72)에 의해 탄설되는 볼(73)을 구비한 회전프레임(70)과,
    상기 회전프레임(70)의 내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래크기어(44)의 이에 치합되는 형상의 걸림턱(81)을 좌, 우에 마련하고, 상기 볼(73)의 탄설에 의해 좌, 우에 마련한 걸림턱(81)을 선택적으로 상기 래크기어(44)에 치합시켜 승강, 또는 하강만을 하도록 되는 역회전경계턱(82)을 마련한 높낮이조절편(8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90)의 일측에는 회전프레임(70)의 타측에 마련한 레버힌지(74)에 결합되어져 평상시에는 절첩 상태에서 회전 사용 시에는 회전프레임(70)과 일축선상에 위치시킬 수 있는 레버축(91)을 일측에 마련한 레버(9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KR2019990007356U 1999-05-03 1999-05-03 캐스터 KR2002863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356U KR200286334Y1 (ko) 1999-05-03 1999-05-03 캐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356U KR200286334Y1 (ko) 1999-05-03 1999-05-03 캐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304U KR20000020304U (ko) 2000-12-05
KR200286334Y1 true KR200286334Y1 (ko) 2002-08-22

Family

ID=54762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356U KR200286334Y1 (ko) 1999-05-03 1999-05-03 캐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3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920B1 (ko) * 2011-10-13 2013-08-22 이헌문 캐스터용 손잡이 회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841B1 (ko) * 2015-12-22 2016-02-19 우일산업 주식회사 캐스터
KR102638324B1 (ko) * 2023-05-16 2024-02-21 주식회사 디에스나이키 모빌랙 레일의 높낮이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920B1 (ko) * 2011-10-13 2013-08-22 이헌문 캐스터용 손잡이 회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304U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7306B2 (en) Lifting machine base assembly for a machine tool
US6367494B1 (en) Movable sunshade base
US5987664A (en) Invalid hoists
US6367103B1 (en) Invalid hoists
CN111212744A (zh) 水平脚轮
KR200286334Y1 (ko) 캐스터
US6086047A (en) Hydraulic jack
GB2176458A (en) Vehicle jacks
KR100323803B1 (ko) 이동식작업대
JPH0764518B2 (ja) シザーズ・ジャッキ
EP0321164B1 (en) Vehicle jack
KR200232159Y1 (ko) 캐스터
KR200243589Y1 (ko) 캐스터
JP3341874B2 (ja) 台車への車輪取付構造
JP2000229500A (ja) マーキング装置
KR100389589B1 (ko) 이동식 작업대
CN215894988U (zh) 一种激光探测器
CN214162042U (zh) 减速器组装用辅助设备
CN215772729U (zh) 一种便携式单三相6kw通用发电机组用折叠机架
JP2954518B2 (ja) 投光機
JPH0523767B2 (ko)
JPH0956204A (ja) 作業機におけるツールバーの調節装置
JPH1170501A (ja) 昇降装置及びそのロック装置
JPH0432242Y2 (ko)
KR200277569Y1 (ko) 러닝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승·하강 및 접을 수 있는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