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050Y1 - 판독기 부착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판독기 부착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050Y1
KR200286050Y1 KR2020020015002U KR20020015002U KR200286050Y1 KR 200286050 Y1 KR200286050 Y1 KR 200286050Y1 KR 2020020015002 U KR2020020015002 U KR 2020020015002U KR 20020015002 U KR20020015002 U KR 20020015002U KR 200286050 Y1 KR200286050 Y1 KR 2002860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information
delivery
invoic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0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준
최재우
박찬용
이종국
박정현
김영신
정홍준
Original Assignee
모빌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빌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모빌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50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0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0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05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판독기 부착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에 부착된 판독기를 통하여 화물에 부착된 송장정보를 인식하고, 그 송장정보에 대응하는 물류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서버로 전송하여, 여러 곳에서 물류정보 분산처리가 가능케함으로써, 화물집하장에서의 화물배송지별 분류작업과 배송지에서의 배송정산작업에서의 화물의 분류 및 정산 업무흐름에 따르는 병목현상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화물에 부착되는 송장정보를 판독하는 판독기를 부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을 보면서 화물 수집 및 배송정보를 현장에서 입력하여 서버로 바로바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화물 수집, 수집점 분류, 도착점 분류, 배송, 정산단계에서 각 지점에 수집되는 송장 전표 입력 과정에 의해 발생되는 대기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이동중에도 화물의 수집 및 배송정보와 이에 따른 재고관리를 실시간으로 분산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써, 집하장에서 화물을 분류하기 위하여 송장 전표 입력 완료시까지 기다려야 하는 차량의 대기시간이 줄게 되어 차량의 집하장 대기공간을 줄일 수 있고, 배송지별 화물의 양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게 되어 배송차량을 계획적으로 수배할 수가 있어 배송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화물의 수집인, 운반인 및 배송인들의 작업내용이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바로바로 서버에 입력되므로, 각 수집인, 운반인 및 배송인의 작업실적에 따른 정산이 바로 가능하다. 또한, 서버에서 전체 물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각 지점에서 화물배송정보를 별도 입력할 필요가 없으므로 관리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고객차원에서는 실시간으로 화물의 위치 및 배송결과를 조회할 수 있게 되어 고객만족도 증가에 따른 수익이 증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판독기 부착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a scanning reader}
본 고안은 판독기 부착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부착된 판독기를 통하여 화물에 부착된 송장정보를 인식하고, 그 송장정보에 대응하는 화물배송정보의 수집과 관리를 과거 일괄처리(batch)방식에 의한 중앙집중처리방식으로 처리하던 방식에서 화물 수집인 및 배송인이 판독기 부착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서버로 직접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분산처리가 가능케함으로써, 화물집하장의 화물배송지별 분류작업과 배송지의 배송정산작업에서의 화물 분류 및 정산 업무흐름에 따르는 병목현상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판독기 부착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류의 넓은 의미는 각종 화물을 조달, 수송, 분류, 입고, 보관, 출고하는 것을 포함하여, 필요한 화물을 적시에 원하는 사람에게 공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화물이 확인, 분류되고 비용정산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과 노력이들어가게 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물류분야의 한 분야인 택배운송 분야에서 화물의 확인, 분류, 비용정산하는데 시간 및 노력이 많이 들어가게 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운송 화물의 수집업무 및 수집점 분류업무와 도 2에 도시된 운송 화물의 도착점 분류 및 배송업무를 통해 고객(10)이 주문하는 화물을 배달지로 배송하게 된다.
도 1에 의하면, 고객(10)이 의뢰한 화물 배송의뢰(1)를 회사의 접수계(15)가 접수하여 수집인(20)에게 수집지시(2)를 하면 수집인(20)은 수집차량(25)을 가지고 고객(10)의 화물을 수집하러 이동한다(3). 수집인(20)은 화물에 송장(도 5 참조)을 부착하고 그 송장전표중 고객용 전표는 고객에게 주고 배송자용 전표는 보관한다. 그 후 수집인(20)은 수집물량의 수집이 끝나게 되면 집하장을 운영하는 지점(30)으로 이동하여(4) 배송자용 송장전표를 지점접수계의 전산입력부(35)에 접수시킨다(5). 지점접수계의 전산입력부(35)는 각 송장전표에 기재된 배송정보를 전산입력한다(6). 이 때, 전산입력된 배송정보는 서버(60)와 데이터저장부(65)를 포함하는 서버시스템(600)에 저장된다. 그런 다음, 수집인 또는 화물하역분류 담당자로 하여금 수집점 집하장(40)으로 차량(25)을 이동하여 전산입력된 송장전표의 배송정보와 화물에 부착된 송장의 바코드등의 아이덴티피케이션(식별확인)과정을 통한 화물의 배송지별 분류작업을 위하여 화물을 하역분류하도록 한다(7). 이때 통상 차량(25)으로부터 화물의 하역 후 배송지별로 분류하는 과정은 화물의 종류 및 수량을 송장에 기재된 배송정보와 대조하여 확인한다. 이와 아울러, 각집하장(40)에서는 각 지역(간선노선)으로 이동할 화물의 물량을 파악하여 배송지별로 투입되는 간선차량의 운영계획을 수립하여 배차한다. 상기 하역분류된 화물은 배송지별로 배차된 차량에 상차되어 배송지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수집 및 수집점 분류업무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첫째, 수집을 마치고 지점(수집점 집하장)으로 돌아온 차량들이 송장에 기재된 수집화물의 상세 배송정보를 집하장의 지점접수계의 전산입력부에 접수한 후 전산입력이 끝날 때까지 차량을 집하장에 대기시켜 연속적인 업무흐름을 정지시킨다.
둘째, 전산입력이 마무리 될 때까지의 차량의 대기시간이 길어질수록 동일 시간대에 도착하는 수집차량은 집하장의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집하장의 공간효율성을 떨어뜨려 보다 넓은 면적의 집하장 면적 및 공간을 필요로 하게 한다.
셋째, 일일 발생한 수집데이터를 마감시점을 정하여 모아서 일괄처리하는 경우, 전산입력 대기시간이 더욱 길어지면서 수집물량의 실시간적인 파악이 지연되어 간선차량의 운영계획이 지연된다. 급한 화물인 경우 별도의 용역차량을 투입하여 배송하게 되나, 통상 차량 수배가 어렵고 상대적으로 운송비 부담도 증가하게 된다.
넷째, 전산입력이 수기 및 서류 수발 위주에 의한 업무 형태이므로 오기, 누락, 분실 등의 업무사고 발생 소지가 높아진다.
다섯째, 통상의 수집 화물의 분류 및 확인업무는 전산입력된 송장정보와 화물에 부착된 송장의 전자기계식 확인 또는 육안에 의한 송장전표와 화물에 부착된송장의 확인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전자기계식 확인시에도 전산입력시 화물의 종류와 수량을 잘못 기재하는 경우 화물을 확인하는데 많은 시간을 허비하게 되며, 육안에 의한 대조확인 경우에 화물의 종류 및 수량과 송장 등에 기재된 사항을 확인하는 중에 누락, 분실, 실수 등에 의한 사고 발생 소지가 있으면, 사고 발생시 사고 발생의 책임소재가 불분명해지는 등 업무상의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육안에 의한 대조작업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실수가 발생될 수 있어 배달지연의 원인이 된다.
도 2에 의하면 도 1의 수집점 집하장(40)에서 수집 분류된 화물은 간선차량(25')에 상차되어 도착점 집하장(40')에 도착되고, 도착점 집하장(40')에서는 수집점 집하장(40)에서처럼 하역, 분류확인 후 배달지별로 상차되어, 배달인(20')과 차량(25'')을 통하여 수화주(70-73)에게 화물배송하게 된다(8). 화물배송 후 배달인(20')은 수화주로부터 송장에 서명날인을 받아 지점 또는 영업소의 전산입력부(35')에 돌아와 배달결과를 집계정산하며, 영업점이나 지점의 전산입력부(35')에서 본사의 서버시스템(600)내의 서버(60)를 통해 데이터저장부(65)에 배송 데이터를 입력 저장하게 된다. 이로써, 송화주(10)는 자신의 컴퓨터(12)를 이용하여 인터넷망과 같은 네트워크(50)를 통해 물류 데이터를 받아서 제공하는 서버(60)를 통해 배송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고객은 배송결과를 즉시 알 수 없고, 8시간 내지 48시간 후에나 결과를 알 수 있게 된다.
종래의 도착점에서의 분류 및 배송업무 흐름에서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통상 배송결과에 따라서 배달인에게 배달료를 정산하게 되는데, 만일 배송결과가 정상적인 배송완료가 아닌 경우, 즉, 수화주(수취인)의 부재, 수취거부, 주소부정 등으로 배송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고객(의뢰인)에 대한 배송결과 정산을 완료할 수가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송결과를 당일 업무 종료 시점에 일괄적으로 입력하기 때문에 고객의 입장에서는 즉각적인 화물배송정보에 부응하기 어려운 점이 있어 능동적인 고객서비스를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배송결과에 대한 정산의 경우에도 지점 또는 영업소에서 일괄적으로 배송결과를 입력하기 때문에, 문서수발방식에 의해 배달인이 송장의 전표를 지점 또는 영업소에 제출하여야 하며, 지점 또는 영업소에서의 입력이 지연되거나 누락되는 경우 배달인과 운송회사, 본사와 지점 또는 영업소 사이에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종래의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류 처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판독기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로써, 본 고안은 종래의 지점 및 영업소에서의 문서수발방식에 의한 송장정보 전산입력에 드는 소요시간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송장정보 전산입력이 완료될 때까지 집하장에서 대기하여야 하는 수집차량 및 배송차량을 위한 집하장 공간의 확보 및 배송완료 정보가 전산입력될 때까지 정산이 미루어지는 정산대기시간을 제거하여 업무효율면에서나 비용경제적으로 월등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택배 운송 화물의 수집업무 및 수집점에서의 분류업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종래 택배 운송 화물의 도착점에서의 분류업무 및 배송업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택배 운송 화물의 수집업무 및 수집점에서의 분류업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택배 운송 화물의 도착점에서의 분류업무 및 배송업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바코드형태의 송장정보를 갖는 송장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화물수집시 송장정보를 판독할 때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수집정보 입력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화물수집시 송장정보를 판독할 때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수집정보 입력창에 수집정보를 기재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에서 수집인이 수집할 수집목록을 본 고안의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다른 화면 모드로 표시될 수 있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에서 수집인이 수집할 수집화물의 상세정보를 본 고안의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다른 화면 모드로 표시될 수 있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화물배송시 운송장의 정보를 판독할 때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배송완료정보 입력창에 배송완료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서 배송인이 배송할 배송목록을 본 고안의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다른 화면 모드로 표시될 수 있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에서 배송인이 배송할 배송화물의 상세정보를 본 고안의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다른 화면 모드로 표시될 수 있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와 도 13b는 본 고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략적인 외형을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a와 도 13b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기적인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 본사, 지점 간의 네트워크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고객(송화주), 15...고객화물접수인
20...수집인, 배달인, 22...판독기부착 이동통신단말기
25...차량, 40...수집점 집하장
40'...도착점 집하장, 50...네트워크
55...바코드, 60...서버
65...데이터저장부, 71-73...화물수령인(수화주)
600...서버시스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본 고안의 일 형태에 의하면, 상기 종래의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음성정보 및 문자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화물에 부착된 송장의 송장정보를 스캐닝하는 판독기; 및 상기 판독기에 의해 판독된 송장정보에 대응하여 수집정보 및 배송정보를 화면에 입력받아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기본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판독기에 의해 판독된 송장정보에 대응하여 수집정보 또는 배송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될 입력모드창 포맷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르는 판독기가 부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의 구성요소들의 참조번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고안의 판독기가 부착된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 및 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a와 도 13b는 본 고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략적인 외형을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13a와 도 13b에 도시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기적인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a와 도 13b 및 도 14에 도시된 판독기 부착 이동통신단말기는 통상의 이동통신단말기의 형태 및 구성과 매우 유사하다. 고안의 성격상 그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간단히 설명하고 차이나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은 제어부로서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140)를 포함한다. 이는 CDMA 모듈 내의 MPU(micro processing unit; 초소형 연산처리장치)가 아닌 전체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별도의 중앙처리장치이다.
또한 입력부로서 키패드(Keypad)(143)를 포함하여 일반적인 영숫자입력(영문, 국문 지원), 각종의 기능키를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은 입력부로 화물의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바코드 스캐너와 같은 판독기(142)를 구비한다.
출력부로서, 상술한 LCD(150)를 포함하고, 입출력부로서 코덱을 수행하는 음성변환기(146), 스피커/마이크로폰 또는 헤드셋과 같은 송수화부(141), 적외선송수신모듈 또는 블루투쓰와 같은 통신모듈(147)을 구비하여, 지근 거리의 외부 기기와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또한, RS232C(138)는 일반적인 시리얼포트로서 케이블을 이용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 충전포트(137)는 케이블(어댑터)을 통한 전력관리부와 직접적 전력 공급 포트이다. 이 충전포트는 일반 폰에서는 존재하지 않다.
그 외 전원관리장치(Power management chipset)(145) 및 배터리(144)가 구비되어 있고, CDMA 모듈(148)내에 자체 MPU를 내장하고 있다. 또한, 메모리(149)를 구비하여 운영체제 및 기타 훰웨어(firmware), 업무용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본 고안에서는 우선 판독기(142)로서 바코드 스캔 모듈을 내장하고 있으며,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바코드엔진창(130)을 통해 레이저를 발사하고 읽어 들이는 역할을 한다. 기능키(132)의 도입으로, 메뉴목록 중 업무메뉴 포함하여 메뉴기능을 불러오거나 (FN1), 전화번호부 기능을 불러오는 기능을 수행한다(FN2). 또한, OK 키(134)를 통하여 업무메뉴로 바로 가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고안에서는 레이저를 사용하는 바코드 판독기 이외에 자기스트립 판독기 또는 초음파, 적외선, 고주파 신호를 사용하는 스마트카드 등의 비접촉 판독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는 작업자 업무의 간편화를 위하여 데이터 수집 업무 종료시 사용자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데이터 전송하도록 한다. 즉, 리얼타임모드(real time mode)에서 데이터 확보 시 실시간 전송한다. 스케쥴모드(schedule mode)에서는 예를 들어 30분에 한번씩 전송한다. 배치모드(batch mode)에서 예를 들어 10건을 모아서 한번에 전송한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의 확인을 위하여 단말기와 서버 간 업무 담당자와 무관하게 데이터 전송 후 확인여부를 전송한다.
본 고안의 이동통신단말기는 통신망을 통해 공중 데이터를 전송할 시 암호화하는 프로그램과 이를 행하는 장치 또는 공중 데이터를 받을 때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하는 프로그램과 이를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스템 도용을 막는 보안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반 폰의 경우 도난 및 분실 시 CDMA모듈(148) 내 고유번호만을 변경해 사용 가능하나, 본 단말기의 경우 별도 MPU의 인증 없는 CDMA 모듈(148)내 고유번호만의 변경은 인정하지 않아 단말기 습득자 등이 본 시스템을 자의적으로 이용 및 도용할 수 없도록 한다.
무선 전송 후 사무실 등에 복귀하여 동기화 등(유선)을 통해 무선네트워크 상의 불안 요소 제거한다. 또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장착함으로 업무시 서명(sign)을 받는 경우 LCD(150)에 바로 사인할 수 있도록 한다.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결제, 승인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특정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와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단말기에서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 시에 통신사업자를 통하는 방식 이외에 서버와의 직접적인 전송(TCP/IP 이용)을 지원한다.
또한, 계산기 및 숫자입력에 사용하는 00 키, 키패드 상의 0 키의 보조 수단으로서의 0키(136)를 구비한다. 통상 숫자버튼 중에 0 키의 사용이 지나치게 과다해 0 키 부분의 파손이 일어나 중요한 고장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고, 자주 사용되는 0키를 사용하기 편하게 하기 위하여 부가된다.
통신모듈(147)로서 저렴한 데이터와 음성용 단거리 무선 통신의 업계 표준의 일례로서 블루투스(Bluetooth)를 내장하여 지근거리 상의 외부 기기와 무선 데이터 통신 지원한다. 활용 가능 장비로서는 휴대용 프린터, 휴대용 카드리더기 등이 있다. 통신모듈(147)의 다른 예로서 IrDA를 내장하여 지근거리 상의 외부 기기와 무선 데이터 통신 지원하며, 적외선 데이터 통신의 규격의 활용 가능 장비로서 휴대용 프린터, 휴대용 카드리더기 등이 있다.
그밖에 사용자의 편리한 사용을 위하여 매직 테이프(135)를 이동통신단말기의 후면에 부착한다. 배달자의 업무용 의복(ex. 조끼)과 단말기를 매직테입(찍찍이)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해 음성통화 시에는 핸즈프리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보관을 용이하게 하며, 판독기 등을 사용할 경우 착탈이 용이하게 한다.
또한, 오토바이 택배업 종사자(퀵서비스)의 경우 음성인식 등을 이용한 보이스호출(voice calling)기능을 삽입할 수 있고, 스피커폰기능, 핸즈프리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폰 기능 외 다른 기능을 부가한 장치로서, 바코드 인쇄기 등의 휴대용 프린터, GPS 수신기/추적기, 디지털카메라등, 확장 외부 기기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휴대폰, 무전기, 기타 장비의 기능을 모두 구비하여 복합 이동 단말기로서의 기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밖에 충전 전원잭으로서 전원공급 전용 포트(137)를 채택하고, 일반적인 RS232C와 같이 데이터 전송까지는 지원하지 않고 전력관리장치와 직접 연결되며, RS232C(138)를 포함하여 근거리통신망에 접속될 수 있다. CDMA모듈(148)을 내장하고, 원활한 데이터 처리 및 시스템 운영 목적으로 별도 MPU(또는 CPU)를 사용한다. 일반 폰의 경우 CDMA모듈(148)내에만 MPU가 존재하나 본 단말기의 경우 CDMA모듈(148)내의 MPU외에 별도의 MPU를 사용한다. 추후 키패드 이외의 데이터 입력 방식으로 체택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장착 LCD(150)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판독기 부착 이동통신단말기를 가지고 본 고안이 적용되는 물류 처리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물류 처리 방법중의 하나인 택배 운송 화물의 처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택배 운송 화물의 수집업무 및 수집점에서의 분류업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택배 운송 화물의 도착점에서의 분류업무 및 배송업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의 구성요소 중 도 1 및 도 2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착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집단계, 수집점분류단계, 배송지별 상차단계, 배송지로 이동하는 단계, 도착점분류단계, 배달처별 상차단계, 배달단계를 거쳐 고객이 원하는 도착지에 운송하는 택배 운송 화물을 처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하여, 화물의 수집인 및 배달인(20)이 휴대하고 화물에 부착되는 송장정보를 판독하는 판독기를 구비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수집정보 및 배송정보를 입력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기(22, 2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택배 운송 화물 처리 시스템은 화물의 수집 및 배송시 수집인 및 배달인(20)이 이동통신단말기(22, 22')를 통하여 입력한 수집정보 및 배송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제공하는 서버(60)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60)에는 각종 화물 운송 관련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 하여 저장하는 저장부(65)가 접속되어, 이동통신단말기(22, 22')에서 요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네트워크상에서 및 이동통신망상에서 상호 공유하도록 한다. 즉, 구성원간의 모든 정보는 서버시스템(600)을 통하여 공유되어, 각 구성원은 원하는 운송 화물 정보를 조회할 수가 있다. 또한, 고객 및 지점(영업소)의 사용자 퍼스널컴퓨터는 서버시스템(600)과의 통신을 통하여 화물 정보를 항시 조회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의 이동통신단말기(22, 22')와 서버(60), 및 사용자 퍼스널컴퓨터(152, 153)와 서버(6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동작에 대해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동통신단말기(22, 22')와 서버(60) 사이의 동작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22, 22')로부터의 데이터는 기지국의 안테나(155)를 통하여 중계기(157)와 게이트웨이(159)를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되어 본사 서버(60)에 전송된다. 사용자 퍼스널컴퓨터(152, 153)와 서버시스템(600) 사이의 동작에 의하면, 동기화를 지원하는 프로그램(또는 동기화 프로그램)(154)이 구비되어 클라이언트(유선, 무선)의 데이터를 서버시스템(600)의 DB나 PC의 DB와 연동하게 한다.
또한, 본사 서버시스템(600)내의 서버(60)를 커넥션하기 위해서는 미들웨어(Middleware)(1506)가 필요하다. 즉, 클라이언트에게 서버(60)와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커넥션(1505)을 제공하며 클라이언트에게 받은 정보를 업데이트 하기 위해 DB관리서버 커넥션(1507)을 통해 서버(60)의 DB와 연결된다.
본 고안에서 서버(60)에는 일반 고객들이 화물의 처리상태를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 클라이언트는 이동단말기 사용자인 무선 클라이언트(파트 1)와 지점, 본사 등의 내근직이 사용하는 PC 등의 유선 클라이언트(파트 3)로 구분된다.
이하 도 15의 파트별로 통신네트워크상의 단말기와 서버간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파트 1은 일반 망 사업자에 관한 부분으로, 이동통신단말기(22, 22')는 망사업자의 통신망을 통하여 기지국(155, 157)에 연결이 되고 이동통신단말기(22, 22')는 망사업자의 게이트웨이(159) 및 네트워크(151)를 통해 서버(60)에 접속하게 된다.
파트 2는 서버시스템(600)에 관한 부분으로 네트워크(151)를 통하여 미들웨어(1506)는 네트워크(151)와 연결되는 네트워크커넥션(1505)과 본사의 DB관리서버(60)와 연결되는 DB관리커넥션(1507)을 가진다. 미들웨어(1506)는 네트워크(151)에 무선으로 연결된 이동통신단말기(22, 22')에서 들어온 데이터를 받아 사용자 인증, 사용자 관리의 기능을 수행하며 데이터를 알맞게 가공해 DB관리서버커넥션(1507)을 이용 본사의 DB관리서버(60)에 보내게 된다. 여기서 DB관리서버(60)에는 데이터저장부(65)가 접속되어 각종 데이터를 저장 및 재생되도록 한다. 물류 DB관리서버(60)는 물류 전체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로 미들웨어(1506)의 DB관리서버커넥션(1507)에서 온 데이터를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팅한다. 또한 서버(60)는 고객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고객이 송장번호등으로 현재 배송한 물품이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도록 하며, 기타 고객 관리에 관련된 기능을 제공한다.
파트 3은 동기화를 지원하는 프로그램(또는 동기화 프로그램)(154)을 구비하여 이동통신단말기(22, 22') 사용자의 PC(152, 153)와 연결된 크래들을 통해 받은 데이터를 네트워크(151)를 통해 미들웨어(1506)의 DB관리서버커넥션(1507)을 통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팅하거나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22, 22')로 다운로드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도 3에 의하면, 고객의 화물을 수집단계, 수집점 분류단계, 배송지별 상차단계, 배송지로 이동하는 단계, 도착점분류단계, 배달처별 상차단계, 배달단계를 거쳐 고객이 원하는 도착지에 운송하는 물류 처리 방법에서는 일단 화물의 수집인 및 배달인(20, 20')에게 화물에 부착되는 송장정보를 판독하는 판독기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22, 22')를 부여한다. 그 다음, 고객(10)이 접수계(15)에 배송의뢰를 하면(1'), 접수계(15)는 수집인(20)에게 수집지시를 하여(2'), 수집인(20)으로 하여금 고객의 화물이 위치한 곳으로 이동하여 수집하도록 한다(3'). 그 다음, 화물의 수집시 수집인(20)은 화물에 송장을 부착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2)를 이용하여 상기 송장의 정보를 판독한 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수집데이터 입력모드창에 화물의 수집 및 배송정보를 입력하여 본사 서버(60)로 전송한다(4'). 상기 수집정보로는 스캐닝된 송장번호에 따르는 적어도 도착점 정보를 포함하며, 그 외에 운임구분, 금액 등을 포함한다. 서버(60)는 상기 수집정보를 저장부(65)에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여, 외부에서 요청이 올 때마다 그 데이터베이스를 불러 전송한다.
그 다음 수집인(20)의 수집차량(25)은 수집점 집하장에서 별도의 송장정보의 입력 대기시간없이 집하장(40)으로 이동하여(5'), 화물을 하역분류하고(6'), 분류된 화물을 다시 간선차량(25')에 상차하여 도착점별로 배송한다(7'). 그러나, 수집점 집하장에서의 하역분류와 동시에 수집점 집하장의 전산입력부(35')에서는 수집인(20)이 가져온 송장전표에 기재되어 있는 송화주 및 수화주의 상세사항 및 화물의 상세사항 등의 정보를 입력하게 하여 수집인에게 입력에 들어가는 부담을 덜어 줄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 수집점 집하장에서의 송장정보의 전산입력 과정동안 차량이 대기하는 시간을 원천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
도 4에 의하면, 도착점 집하장(40')에 화물을 실은 차량(25')이 도착하면 바로 즉시 하역 분류하여 배달지별로 배달차량(25")에 상차한 후 배달인(20')이 상기 화물을 수취인(70-73)에게 배달한 후(8') 그 수취인(70-73)으로부터 서명받은 송장정보에 대응하는 배송완료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22')를 통해 본사 서버(60)로 제공한다. 상기 배송완료정보는 배송결과, 시간 및 비용지불 정보 등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는 수집인(2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화물의 수집시 화물에 부착되는 송장에 적혀 있는 송장번호(화물정보)(55)를 판독하면 이동통신단말기(22)의 화면에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수집정보 입력모드의 화면이 자동으로 표시되고, 배달인(20')이 상기 화물의 배송시 화물에 부착되는 송장에 적혀 있는 정보를 판독하면 이동통신단말기(22')의 화면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송완료정보 입력모드의 화면이 자동으로 표시된다. 상기 송장에 적혀 있는 정보는 화물의 고유번호를 부여한 바코드형태(55) 또는 자기스트립의 형태로 이루어져, 이동통신단말기(22, 22')에 부착된 판독기로 정보를 읽어드린다. 여기서, 상기 송장정보는 바코드형태 이외에 자기스트립의 형태 또는 초음파, 적외선, 고주파 신호를 사용하는 스마트카드 등의 비접촉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집정보 입력모드의 화면에는 화물의 송장정보에 대응하는 고유번호가 표시되어 수집인이 적어도 도착점정보를 포함하며 추가로는 지불방법, 지불금액과 같은 수집정보를 기재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원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수집정보 이외에, 수집인의 수집목록(도 8), 화물의 종류, 수량, 화주의 주소/연락처, 화물의 도착점의 상세정보(도 9)와 같은 정보들은 다른 화면모드에서 표시되도록 하여, 관계자가 즉시 화물운송정보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송시에도 수집시와 마찬가지로 배달인(20')이 이동통신단말기(22')를 통하여 화물의 송장으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이면 화면에 표시되는 배송완료정보 입력창에 배송완료정보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배송완료정보이외에도 배송목록(도 11) 및 배송상세정보(도 12)와 같은 정보들은 다른 화면모드에서 표시되도록 하여, 관계자가 즉시 화물운송정보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수집정보 입력모드 및 배송완료정보 입력모드 창의 양식은 하나의 예시적인 형태로 이동통신단말기(22, 22')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다가 판독기의 송장 스캐닝 데이터가 입력됨과 동시에 그 스캐닝 데이터에 의해 지정되는 화물의 고유번호와 함께 입력모드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형태로는 상기 수집정보 입력모드 및 배송완료정보 입력모드 창의 양식은 이동통신단말기(22, 22')의 판독기를 통해 스캐닝데이터가 입력되면 서버(60)로부터 운송화물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일부분인 입력모드 양식이 불리워져 이동통신단말기(22, 22')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로써, 본 고안은 수집되는 수집화물의 집계 및 상세정보를 본사 서버에 즉시 입력하여, 본사에서는 송장을 취합하지 않고도 수집화물의 배송처 및 종류 등을 미리 파악하여 배송차량 및 배달인 등의 계획을 미리 세울 수 있고,또한 배송되는 배송화물의 집계 및 상세정보를 배달인별로 즉시 파악이 가능하여 송장을 취합하지 않고도 배달인과 배달실적에 따른 급여정산을 바로바로 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배달인이 배달이 끝난 후 배달완료된 송장전표를 영업소(지점)에 제출하여야 전산입력부(35')에서 전산입력되어 정산이 되었지만, 본 고안에서는 배달인이 배달완료한 후 배송완료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22, 22')를 통하여 전산입력제출함으로써 별도의 송장전표의 취합 및 전산입력등의 절차가 절약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판독기 부착 이동통신단말기능을 통해 과거 중앙집중적이고 일괄처리방식에 의해서만 가능했던 운송화물의 수집데이터가 수집인과 배송인에 의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분산처리를 가능케 함으로 배송지별 화물의 양과 재고관리가 실시간으로 파악될 수 있도록 한 물류 처리 시스템을 제공가능케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배송화물의 집계 및 상세정보와 배달인들의 배달상황을 즉시 파악을 가능케 함으로써 과거 운송장의 취합에 의거하여 논란이 많았던 배달실적에 따른 급여정산을 자동으로 그리고 실시간적으로 계산이 가능케 할 수 있게 하는 물류 처리 시스템을 제공가능케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원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을 설명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인 난이도 측면을 고려할 때, 당분야에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 사람이면 용이하게 본 고안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와 다른 변형을 가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설명에서 사상을 이용한 실시예와 변형은 모두 본 고안의 청구 범위에 모두 귀속됨은 명백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판독기 부착 이동통신단말기는 화물에 부착되는 송장에 인쇄된 바코드등의 화물번호정보를 읽어들여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수집정보입력 창에 수집정보를 입력하고, 배송완료정보 입력 창에 배송완료입력정보를 입력하여 순시적으로 화물의 수집 및 배송 관련 정보를 서버에 저장 및 관리한다. 이 결과, 화물의 분류시 수집차량의 대기시간을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대기차량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어 대기차량용으로 넓은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으며, 미리미리 배송차량등을 수배할 수 있어 계획적인 차량 및 배달인의 계획을 세울 수 있다. 또한 배송이 완료된 경우에도 일일이 송장을 취합하여 배송정산을 하지 않고, 서버에 입력된 배송완료정보를 가지고 수집 및 배송관련 업무를 정산할 수 있어, 비용 경제적으로 물류 처리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판독기 부착 이동통신단말기를 도입함으로써 얻게 되는 효과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1단계 도입효과
a1) 음성서비스 이외에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수집지시가 가능하다.
a2) 업무 결과가 발생하는 즉시 해당 데이터를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해 서버에 전송 가능하다.
a3) 서로 다른 업무 단위 간에 화물을 인수인계할 경우 바코드 확인을 통한 신속한 인수인계가 가능하다.
a4) 집배송 인력의 작업량 파악이 신속하고 작업자는 전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실시간 정산 및 조회가 가능하다.
본 고안의 2단계 도입효과
b1) 작업자별 업무 할당 시, 작업자별 업무 결과 보고를 이동 중에 실현시켜 실질적인 업무 시간이 증대한다.
b2) 기존 프로세스에서 업무 적체가 발생되던 수집송장 정보 입력 및 분류 단계, 배송결과 입력 과정의 업무 간소화 및 업무 처리 시간을 단축한다.
b3)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수집 데이터에 의거한 사전 준비(간선차량 및 배송차량 운용 계획 수립 등)로 대기차량 전용 면적 확보, 불확실한 준비 등에서 발생되는 비용을 절감한다.
b4) 업무 단위의 최하부까지 투명하게 파악할 수 있어 상호간의 오류를 극소화한다.
본 고안의 3단계 도입효과
c1) 전체적으로 업무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한다.
c2) 실시간으로 고객과 커뮤티케이션이 가능(처리상황, 위치확인, 배송 시점 예측 등)해 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고객만족도를 동시에 획득한다.
c3) 투명한 업무 흐름으로 조직 구성원간 상호 신뢰도를 제고한다.

Claims (3)

  1. 음성정보 및 문자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화물에 부착된 송장의 송장정보를 판독하는 판독기; 및
    상기 판독기에 의해 판독된 송장정보에 대응하여 수집정보 및 배송정보를 화면에 입력받아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기본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기에 의해 판독된 송장정보에 대응하여 수집정보 또는 배송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될 입력모드창 포맷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장에 적혀 있는 정보는 화물의 고유번호와 배송정보를 부여한 바코드형태 또는 자기스트립의 형태 및 초음파, 적외선, 고주파 신호를 사용하는 스마트카드 등의 비접촉 형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20020015002U 2002-05-16 2002-05-16 판독기 부착 이동통신단말기 KR2002860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002U KR200286050Y1 (ko) 2002-05-16 2002-05-16 판독기 부착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002U KR200286050Y1 (ko) 2002-05-16 2002-05-16 판독기 부착 이동통신단말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184A Division KR20020041393A (ko) 2002-05-16 2002-05-16 판독기 부착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물류 처리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050Y1 true KR200286050Y1 (ko) 2002-08-22

Family

ID=73123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002U KR200286050Y1 (ko) 2002-05-16 2002-05-16 판독기 부착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05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8325B1 (en) Apparatus and method to decentralize processing of a mail piece
US8339251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freight carriers
US8799180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ly routing a vehicle
US7798400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hipping, tracking, and delivering a shipment of packages employing the capture of shipping document images and recognition-processing thereof initiated from the point of pickup and completed while shipment is being transported to its first scanning point so as to facilitate early billing processing for shipment delivery
US20050216553A1 (en) Mobile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y management
KR20050010964A (ko) 차량 통과 게이트의 게이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41393A (ko) 판독기 부착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물류 처리방법 및 시스템
JP2005082349A (ja) コンテナクレーン作業管理システム、コンテナクレーン作業管理方法、及びコンテナクレーン
KR200286051Y1 (ko) 판독기 부착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물류 처리 장치
KR200286050Y1 (ko) 판독기 부착 이동통신단말기
JP2002173227A (ja) 物流ドライバシステム
KR20220090772A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자동화물류정보 시스템
JP2002269197A (ja) 物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