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015Y1 - 중공사출 성형을 위한 수지 역류량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중공사출 성형을 위한 수지 역류량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015Y1
KR200286015Y1 KR2020020014310U KR20020014310U KR200286015Y1 KR 200286015 Y1 KR200286015 Y1 KR 200286015Y1 KR 2020020014310 U KR2020020014310 U KR 2020020014310U KR 20020014310 U KR20020014310 U KR 20020014310U KR 200286015 Y1 KR200286015 Y1 KR 2002860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resin
cylindrical portion
nozzle body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43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만영
김철주
Original Assignee
나라엠앤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라엠앤디(주) filed Critical 나라엠앤디(주)
Priority to KR20200200143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0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0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015Y1/ko

Links

Landscapes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공 사출 성형시 역류하는 수지량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장치는, 사출성형기의 실린더에 연결되어, 수지가 내부를 통과하는 통로(132)를 구비하는 노즐본체(130)와; 상기 노즐본체(130)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통로(132)와 동일한 단면적의 통로(146)를 구비하며, 상기 통로(146)를 통하여 공급되는 액상 수지가 금형의 캐비티 내부로 공급되는 노즐공(148)을 전단부에 구비하는 노즐헤드(140); 상기 노즐본체(130)의 통로(132)의 입구측에 형성되는 입구측 경사원통형부(134); 상기 노즐헤드(140)의 통로(146)의 출구측에 형성되는 출구측 경사원통형부(142); 그리고 상기 통로(132,146)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입구측 경사원통형부에 선접촉하는 전방의 반구형부(220)와, 상기 출구측 경사원통형부에 선접촉하는 후방의 반구형부(230), 그리고 상기 구형접촉부(220,230) 사이에 형성되고 일정 간격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통형상부(210), 그리고 상기 통형상부(210)에서 반구형부(230)에 걸쳐 형성되는 유입홈(240)을 구비하는 이동부재(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공사출 성형을 위한 수지 역류량 제어장치{A device controlling back flow volume for gas assisted injection molding}
본 고안은 중공 사출 성형시 역류하는 수지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출 성형물의 내부에서 중공부분이 형성될 때 역류하게 되는 수지의 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지 역류량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종래의 중공 사출 성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사출 성형 금형을 이용하여 중공 사출 성형을 실시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용융된 수지는 유동주입구(2)를 통하여, 상하부금형(10a,10b)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의 캐비티 내부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수지에 의하여, 금형(10a,10b) 내부에 형성되는 캐비티의 내면 형상에 대응하는 1차성형부(6)가 성형된다. 그리고 이러한 캐비티 내부의 수지가 응고되기 전에 일측에 성형되어 있는 가스주입구(4)를 통하여 질소가스가 주입된다. 이렇게 주입되는 질소가스에 의하여, 1차성형부(6)의내부에는 중공부분(6a)이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중앙부분이 비어있는 중공 사출에 의하여 제품이 제조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중공 사출물은, 핸들 등과 같이 내부가 비어있는 상태이고, 외부만이 금형(10a,10b)의 캐비티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스주입구(4)를 통하여 질소가스가 주입되는 경우, 1차성형부(6) 내부의 수지가 금형의 캐비티 내부에서 밀려나오게 된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가스주입구(4)가 유동주입구(2)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장치를 사용하는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질소가스의 주입에 의하여 밀려나오는 수지를 담을 수 있는 오버플로부(8)를 필요로 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에는 가스주입구(4a)가 유동주입구(2)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는 금형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상기 금형 내부에 용융된 수지가 주입되는 것과, 상기 가스주입구(4a)를 통하여 질소가스가 1차성형부(6)의 내부로 주입되는 것은 동일하다.
도 3에는 이와 같이 역류하는 수지를 제어하기 위한 역류제어장치에 대한 종래의 기술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사출실린더(5)와 노즐본체(30) 사이에는 밸브본체(10)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노즐본체(30)는 밸브본체(10)에 나사결합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밸브본체(10)와 사출실린더(5)도 나사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본체(10)의 중심부분에 형성되는 통로(16)에는 제1밸브시트(11)와 제2밸브시트(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중심에는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통로(14)와 제2통로(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통로상에는 볼(17)이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통로(14)의 출구측(도면상의 좌측)에는, 상기 통로(16)의 내주면에서 동축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유입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통로(15)는 제1통로(14)에 비하여 직경이 작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기 볼(17)은 제1통로(14) 내에서만 좌우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출실린더(5)에서 용융된 수지액이 공급되면, 상기 볼(17)은 사출 압력에의하여 도면상의 좌측으로 밀리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통로(14)의 외주면에 동축방향으로 성형되어 있는 유입홈(13)을 통하여 수지는 노즐본체(30)를 통하여, 도 1에 도시한 금형으로 공급될 수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도 1 또는 도 2에 도시한 가스주입구(4,4a)를 통하여 가스가 주입되면, 수지는 역류하게 된다. 수지가 역류하게 되면, 상기 볼(17)은 제1통로(14)의 내부에서 우측으로 이동하지만, 제2통로(15) 내부로는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제2통로(15)의 입구부분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구성에 의하면, 역류하는 수지가 충분하게 실린더 내부로 역류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질소가스가 유동주입구(2) 근처에 위치한 가스주입구(4)를 통하여 용융수지 내부로 주입될 때, 중공부의 체적에 상당하는 용융수지의 양이 역류하지만 이렇게 역류하는 수지를 실린더로 역류시키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금형(10a,10b)의 내부에는 오버플로부(8)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다. 이러한 금형의 구조는, 실질적으로 금형의 부피를 크게하고 오버플로에 의한 수지의 손실을 발생하게 하는 등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성형품의 외측면에 수지의 흐름에 의한 플로우마크가 발생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제품의 불량을 초래하는 결과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리고 도3의 상기 제1통로(14) 및 제2통로(15) 사이와, 제1통로(14)와 노즐본체(30)에 형성되는 통로(33) 사이에는 급격한 단면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그 구석진 부분에 용융수지의 정체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수지의 정체는, 색상이 상이한 수지로 교환하여 제품을 형성하는 경우, 교환하기 전의 수지의 색이 교환후의 수지에 묻어나오게 되어, 제품의 외형에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그리고 완전한 색상교환을 위해서는, 각각의 부품의 완전한 청소 및 교환을 필요로 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그 과정에서도 매우 복잡한 단점이 지적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그 내부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그 개폐장치의 교체 작업이 그리 용이하지 못한 근본적인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중공 사출 제품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체적에 대응하는 역류량을 제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오버플로부와 같은 복잡한 금형구조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교환 및 관리 유지가 보다 간편한 수지 역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지의 역류량에 대응하는 수지의 흡수능력을 구비하는 수지 역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중공 사출 성형시 수지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금형을 보다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수지 역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중공사출 성형의 예를 보이는 단면 설명도.
도 2는 중공사출 성형의 다른 예를 보이는 단면 설명도.
도 3은 종래의 역류방지장치의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수지 역류량 제어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이동부재의 예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30 ..... 노즐본체 132 ..... 통로
134 ..... 구형접촉부 140 ..... 노즐헤드
142 ..... 구형접촉부 144 ..... 나사결합부
146 ..... 통로 148 ..... 노즐공
200 ..... 이동부재 210 ..... 통형상부
220 ..... 입구측 반구형부 230 ..... 출구측 반구형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중공 사출 성형을 위한 수지 역류량 제어장치는, 사출성형기의 실린더에 연결되어, 수지가 내부를 통과하는 통로를 구비하는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통로와 동일한 단면적의 통로을 구비하며, 상기 통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액상 수지가 금형의 캐비티 내부로 공급되는 노즐공을 전단부에 구비하는 노즐헤드; 상기 노즐본체의 통로의 입구측에 성형되는 입구측 반구형부; 상기 노즐헤드의 통로의 출구측에 성형되는 출구측 반구형부; 그리고 상기 통로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입구측 경사원통형부에 선접촉하는 전방의 구형접촉부와, 상기 출구측 경사원통형부에 선접촉하는 후방의 구형접촉부, 그리고 상기 구형접촉부 사이에 형성되고 일정 간격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통형상부, 그리고 상기 통형상부에서 구형접촉부에 걸쳐 성형되는 유입홈을 구비하는 이동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노즐헤드는 노즐본체에 대하여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입홈은 방사상으로 복수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예를 들면 상기 유입홈은 단면이 U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의한 수지 역류 제어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수지 역류 제어장치는, 사출 성형기의 실린더(C)에 결합되는 노즐본체(130)와, 상기 노즐본체(130)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노즐헤드(140), 그리고 상기 노즐본체(130)의 내부에 내장되는 이동부재(20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노즐본체(130)는 사출 성형기의 실린더(C)에 결합되어, 실린더에서 공급되는 액상의 수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노즐본체(130)는, 실린더(C)에 나사결합부(139)를 통하여 나사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나사결합부(139)는 노즐헤드(14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부와, 노즐본체(130)의 전단부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암나사부가 서로 결합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노즐본체(130)의 내부에는 축방향의 통로(1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로(132)는 일정한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실린더(C)에서 공급되는 수지의 통로임과 동시에, 역류하는 수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노즐본체(130)의 전면에 설치되는 노즐헤드(140)는, 나사결합부(144)에 의하여 노즐본체(130)에 결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노즐헤드(140)의 후방에 형성되는 수나사부와, 노즐본체(130)의 전방에 오목하게 성형되는 암나사부가 서로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양자가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노즐헤드(140)와 노즐본체(130)는 실질적으로 동축상에 형성된다. 상기 노즐헤드(140)의 중심부분에도 축방향을 따르는 통로(146)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노즐헤드(140)의 통로(146)와, 노즐본체(130)의 통로(132)는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헤드(140)가 노즐본체(13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통로(132)와 통로(146)는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있다. 상기 노즐헤드(140)의 전단부에는 노즐공(148)이 성형되어 있어서, 공급되는 수지를, 금형의 캐비티 내부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통로(132)와 통로(146)는, 실질적으로 상기 노즐본체(130)와노즐헤드(140)의 길이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즐헤드(140)와 노즐본체(130)의 길이를 적절하게 설계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통로(132,146)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상기 통로(132,146)의 내부 체적을 노즐헤드(140)와 노즐본체(130)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통로(132,146)의 내부 체적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역류하는 수지를 받을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통로(132,146)의 내부에는, 이동부재(200)가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도 5를 같이 참조하면서 상기 이동부재(2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200)는 중간부분에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통형상부분(21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통형상부분(210)은 일정한 지름을 가지고 있으며, 축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통형상부분(210)을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통로(132,146)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정상적인 위치에서 좌우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통형상부분(210)의 좌측에는 출구측 반구형부(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부분에는 입구측 반구형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출구측 반구형부(230)과 입구측 반구형부(220)는, 실질적으로 반구형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200)의 통형상부분(210)에는 축방향으로 성형되는 다수개의 유입홈(24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유입홈(240)은 상기 통형상부분(210)에서 출구측 반구형부(230) 까지 성형되는 것인데, 이는 상기 이동부재(200)의 표면을 일정 깊이로 절삭하여 성형되는 것이다. 상기 유입홈(240)은 예를 들면 그 단면이 U자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홈(240)은, 입구측 반구형부(220)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상기 이동부재(200)가 삽입되는 통로(132,146)의 전후단부분을 살펴보면, 노즐헤드(140)의 통로(146)의 우측부분에는 상기 이동부재(200)가 접촉할 수 있는 구형접촉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형접촉부(142)는 이동부재(200)의 출구측 반구형부(230)에 접촉하는 부분으로, 이동부재(200)가 완전히 좌측으로 밀린 상태에서, 상기 출구측 반구형부(230)와 상기 구형접촉부(142)는 원주상으로 선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200)가 완전히 우측으로 밀착되면, 이동부재(200)의 입구측 반구형부(220)는 노즐본체(130)의 통로(132)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구형접촉부(134)에 접촉된다. 이 때 상기 입구측 반구형부(220)는 구형접촉부(134)와 면접촉이 되거나, 원주방향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선접촉하게 됨으로써, 실질적으로 통로(132)의 입구측을 완전히 막게 되어, 역류하는 수지가 실린더(C) 내부로 역류되지 않도록 동작하게 된다. 상기 입구측반구형부(220)와 구형접촉부(134)는, 입구측 반구형부(220)가 약간 기울어져도 원주상에 대하여 선접촉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통로(132)의 후단부분을 완전히 막아서, 수지가 흐를 수 없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상술한 이동부재(200)는 상기 통로(132,146)의 내부에서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하는데, 예를 들면 이동부재(200)의 통형상부분(210)의 직경과 통로(132,146)의 내경 사이에는 최대 0.4mm의 틈새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수지 제어장치에 의한 전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중공 사출 성형에 있어서, 금형부분은 도 2에 도시한 금형을 참고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사출 성형기의 실린더(C)에서 용융상태의 액상 수지가 공급되면, 이러한 수지는 통로(132) 및 통로(146)를 통하여 상기 노즐헤드(140)로 공급된다. 이 때 고압의 용융 수지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재(200)가 출구측(도면상의 좌측)으로 밀리게 된다. 상기 이동부재(200)가 완전히 출구측으로 밀리게 되면, 노즐헤드(140)에 형성된 출구측 경사원통형(142)에 밀착되어 정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이동부재(200)의 유입홈(240)을 통하여 용융수지가 공급되어, 소정의 금형(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금형)의 캐비티 내부로 공급된다. 이러한 수지의 공급시 상기 통형상부분(210)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통로(146)의 내부에서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위치를 유지하면서 상기 수지를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금형(10a,10b)의 캐비티 내부에 액상의 수지가 충진되면, 수지의 공급은 중단되고, 가스주입구(4a)를 통하여 질소가스가 주입된다. 상기 가스주입구(4a)를 통하여 질소가스가 주입되면, 성형부분(6)의 내부에 중공부(6a)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금형의 캐비티 내부의 수지는 상기 중공부(6a)에 해당하는 만큼의 수지가 역류하게 된다. 이러한 수지의 역류는 노즐헤드(140)를 통하여 상기 통로(146,132)의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 이러한 수지의 역류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재(200)는 입구측(사출 실린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부재(200)와 완전히 후진하게 되면, 노즐본체(130)의 입구측 구형접촉부(134)에 이동부재(200)의 입구측 반구형부(220)가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이동부재의 입구측 반구형부(220)와 상기 구형접촉부(134)는, 단면 원주상으로 선접촉을 수행하고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는 상기 입구측 반구형부(220)와 구형접촉부(134)는 서로 밀착되는 면접촉(실제 가공이 어렵다)을 하고 있음도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구형접촉부(134)와 입구측 반구형부(220)는 선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역류하는 수지가 실린더(C)의 내부까지는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입구측 반구형부(220)와 구형접촉부(134)는, 이동부재(200)가 약간 치우치게 되는 경우에도 완전한 선접촉을 통하여 역류하는 수지가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역류하는 수지는, 상기 이동부재(200)의 입구측 반구형부(220)과 통로(132)의 구형접촉부(134)에 접촉하게 되면 더 이상의 역류가 방지된다. 이 때 상기 중공부(6a)의 체적은, 실질적으로 상기 통로(132,146)에 의하여 결정되는 체적으로 설계된다. 그리고 상기 통로(132,146)의 체적은 실직적으로 노즐본체(130) 및/또는 노즐헤드(14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충분히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수지 역류량 제어장치는, 상기통로(132,146)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내부의 체적이, 중공부(6a)의 체적과 동일하도록 하거나, 약간 크도록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200)의 후진에 의하여, 이동부재(200)의 후방에서 통로(132)의 내부에 남아 있는 수지는 다시 실린더(C)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어 다음번의 사출 성형시 그대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이동부재(200)의 전진에서 후진까지의 이동거리와 통로(132,146)의 직경에 의하여 결정되는 체적은, 상기 이동부재(200)의 후방의 통로(132) 내부를 채우고 있던 수지(실린더에서 공급되어 금형의 내부로 공급되지 못한 수지)는 입구측 반구형부(220)에 의하여 사출 실린더(C)의 내부로 역주입하는데 필요한 역류량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균일한 횡단면을 가지는 통형상부분(210)은 표준화하여 다양한 길이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중공부의 체적이 다른 제품을 중공사출 성형하는 경우, 동일한 노즐헤드(140)와 노즐본체(130)에 이동부재(200)를 간단히 교체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역류하는 수지량의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노즐본체(130), 노즐헤드(140), 그리고 이동부재(200)로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장치가, 일정한 형상의 금형(D)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핫런너 매니폴드(M)를 통하여 금형(D)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어서, 노즐헤드(140)와 노즐본체(130)가 매니폴트(M)에 의하여 가압되어 완전히 설치되는 실시예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장치는 다른 금형에 의하여 매니폴드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중공 사출 성형에 있어서, 액상의 수지가 공급되는 유동주입구의 반대편에서 질소가스가 역방향으로 주입되는 경우, 역류되는 수지를 본 고안의 장치 내부에서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금형의 내부에 마련되는 오버플로부를 없앨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금형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금형을 보다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통로(132) 내부에 있는 용융 수지가 사출 실린더 내부로 일정량 역류될 수 있도록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다음 성형 주기에 사출 실린더 내부로 흘러들어간 수지를 다시 재사용할 수 있게 되어 수지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동주입구 근처의 성형품에서 발생하는 수축과 플로우마크를 제거할 수 있어서, 실질적으로 제품의 외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불량율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수지 역류량 제어장치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지의 이동 통로(132,146)는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것에 의하여, 용융수지의 정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색상의 수지 교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잇점이있을 뿐만 아니라 본 고안 장치의 전체적인 간단한 구성에 의한 관리가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기대된다.

Claims (4)

  1. 사출성형기의 실린더에 연결되어, 수지가 내부를 통과하는 통로(132)를 구비하는 노즐본체(130)와;
    상기 노즐본체(130)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통로(132)와 동일한 단면적이고 연속되는 통로(146)를 구비하며, 상기 통로(146)를 통하여 공급되는 액상 수지가 금형의 캐비티 내부로 공급되는 노즐공(148)을 전단부에 구비하는 노즐헤드(140);
    상기 노즐본체(130)의 통로(132)의 입구측에 성형되는 입구측 경사원통형부(134);
    상기 노즐헤드(140)의 통로(146)의 출구측에 성형되는 출구측 경사원통형부(142); 그리고
    상기 통로(132,146)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입구측 경사원통형부에 선접촉하는 전방의 출구측 반구형부(230)와, 상기 출구측 경사원통형부에 선접촉하는 후방의 입구측 반구형부(220), 그리고 상기 반구형부(220,230) 사이에 형성되고 일정 간격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통형상부(210), 그리고 상기 통형상부(210)에서 출구측 반구형부(230)에 걸쳐 형성되는 유입홈(240)을 구비하는 이동부재(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사출 성형을 위한 수지 역류량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헤드(140)는 노즐본체(130)에 대하여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역류량 제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홈은 방사상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역류량 제어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홈은 단면이 U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역류량 제어장치.
KR2020020014310U 2002-05-10 2002-05-10 중공사출 성형을 위한 수지 역류량 제어장치 KR2002860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310U KR200286015Y1 (ko) 2002-05-10 2002-05-10 중공사출 성형을 위한 수지 역류량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310U KR200286015Y1 (ko) 2002-05-10 2002-05-10 중공사출 성형을 위한 수지 역류량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015Y1 true KR200286015Y1 (ko) 2002-08-22

Family

ID=73122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310U KR200286015Y1 (ko) 2002-05-10 2002-05-10 중공사출 성형을 위한 수지 역류량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01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2125B2 (en) Injection mold, molding tool comprising the mold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0590021B1 (en) Nozzle for gas assisted injection molding
AU714434B2 (en) Valve-gate bushing for gas-assisted injection molding
CN101161444B (zh) 共注射成型装置及其热流道喷嘴
US3535742A (en) Molding apparatus valve and nozzle
CA2148056C (en) High thermal capacity mold assembly
CA2107346C (en) Plastic injection molding nozzle with gas assist
US5284429A (en) Gas-assisted injection molding apparatus
JPH02253911A (ja) 弁ゲート式高温湯道射出成形装置
CA1323157C (en) Injection molding nozzle
JPH05245879A (ja) 射出成形用小型金型、射出成形装置およびガス支援型射出成形用小型ノズル
CA2649177C (en) Two-piece bottom insert
KR20000069819A (ko) 동심 핀 부재를 갖는 유체 보조식 밸브-게이트 부싱
US5208046A (en) Nozzle apparatus for gas assisted injection molding
KR200286015Y1 (ko) 중공사출 성형을 위한 수지 역류량 제어장치
US20020070288A1 (en) Mixer bushing to improve melt homogeneity in injection molding machines and hot runners
CN111361111A (zh) 一种注塑模具
CN108883560B (zh) 注塑模具
WO1995008429A1 (en) Pin in barrel injection molding nozzle using short pin
WO2013181689A1 (en) Improved cold runner block
JP2776244B2 (ja) 加圧流体圧入排出装置
KR100510578B1 (ko) 사출금형 냉각용 수냉식 냉각장치
JPH08140881A (ja) 合成樹脂製シャワー成形品及びその成形方法
JP2022101221A (ja) 樹脂製パイプの製造方法
JPH0732419A (ja) 射出成形用ダ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