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837Y1 - 골전도 소자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 - Google Patents

골전도 소자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837Y1
KR200285837Y1 KR2020020015328U KR20020015328U KR200285837Y1 KR 200285837 Y1 KR200285837 Y1 KR 200285837Y1 KR 2020020015328 U KR2020020015328 U KR 2020020015328U KR 20020015328 U KR20020015328 U KR 20020015328U KR 200285837 Y1 KR200285837 Y1 KR 2002858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conduction
signal
wireless terminal
hands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길
Original Assignee
텔레피아반도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피아반도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텔레피아반도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5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8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8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837Y1/ko

Links

Abstract

음성 신호를 진동 신호로 변환하여 입력 및 출력하는 골전도 소자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한다.
골전도 소자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는 발성에 따라 두개골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골전도 마이크, 골전도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진동 신호 및 무선 단말기로 수신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고 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수단 및 제어 수단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진동 신호로 변환하며, 진동자를 진동시켜 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두개골을 진동시켜 진동 신호를 음성 신호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골전도 스피커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핸즈프리 장치에 의하면 외부의 소음에 영향을 받지 않고 통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골전도 스피커와 골전도 마이크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돌발상황이나 격렬한 움직임에도 핸즈프리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골전도 소자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Hands-free Apparatus for Wireless Terminal Using Bone Conduction Device}
본 고안은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성 신호를 진동 신호로 변환하여 입력 및 출력하는 골전도 소자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무선 단말기의 보급율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 단말기의 보급은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지 원하는 상대와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동시에 여러 가지 사회적인 문제 또한 내포하고 있다.
무선 단말기 사용으로 인한 대표적인 문제 중의 하나는 운전 중 무선 단말기 사용으로 인한 교통 사고 등 작업중 사고 발생을 유발한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최근 들어 무선 단말기를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 통화할 수 있는 핸즈프리 장치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핸즈프리 장치 장치는 무선 단말기와 케이블로 연결된 이어폰 및 마이크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이어폰을 귀에 꽂고 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원동기를 이용한 배달 서비스, 홈쇼핑 서비스가 급증하고 있으며, 배달 서비스 제공자들은 주로 무선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주문 내용을 접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배달 서비스 제공자들이 핸즈프리 장치 장치의 이어폰을 항상 귀에 꽂은 상태에서 원동기를 조작하기 때문에 주변 교통 상황에 집중력을 저하시켜 사고 발생율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텔레마케터는 항상 이어폰을 귀에 꽂은 상태에서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청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핸즈프리 장치는 이어폰을 귀에 꽂은 상태에서 통화를 하여야 하므로 장시간 이어폰을 장착하는 경우 귀에 무리를 일으키고 청력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원동기 운전 중에는 외부의 소음으로 인하여 통화가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업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실제로 전화통화를 많이 하는 직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경우 1년에 4∼5㏈의 청력이 저하된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근래에는 무선 핸즈프리 장치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헬멧을 착용한 상태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이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많다.
뿐만 아니라 건설현장 근무자, 경찰, 군인 등과 같이 무전기 등의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조직원들과 계속적인 연락을 취하면서 행동해야 하고, 소음 속에 있으며, 외부의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헬멧을 착용해야 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의 경우에도 헬멧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주위의 소음에 방해받지 않고 자유롭게 상대와 교신할 수 있는 핸즈프리 장치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노환 등으로 인한 난청자, 후천적 청각 장애자가 타인과 의사소통을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골전도(Bone Conduction) 소자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골전도 소자는 이러한 난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소자이다. 사람이 말을 할 때 소리가 전달되는 경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으며, 첫째는 입으로부터 나오는 발성자의 소리가 주위의 공기를 진동시켜 귓바퀴로 소리를 모아 외이도를 거쳐 내이로 들어가는 경로이며, 이를 기도음이라 한다. 두 번째는 공기를 통하지 않고 발성자의 성대 진동이 두개골의 진동을 통해 내이로 직접 전달되는 경로이며, 이를 골전도라 한다. 골전도는 소리가 두개골을 통해 귀속으로 전달되는 과정을 말하며 골전도 소자는 이를 이용하여 두개골을 진동시키는 것에 의해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기계적/전기적 변환기를 말한다.
골전도 소자를 이용하면 청각 장애가 있는 경우나 소음이 심한 장소에서도 음성/음향을 용이하게 청취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는 골전도 소자를 이용하여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한정되어 있고, 일반적인 마이크를 사용하여 음성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핸즈프리 장치의 스피커 및 마이크를 골전도 소자로 구성함으로써 소음이 심한 장소에서도 통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골전도 스피커와 골전도 마이크를 연결 부재에 의해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헬멧을 장착하기 전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도록 함으로써 격렬한 움직임이 요구되는 업무 수행 중에도 연락이 두절되지 않도록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골전도 소자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를 무선 단말기에 접속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어 수단의 상세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제어 수단의 외관을 구성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골전도 스피커 및 골전도 마이크와 제어 수단을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핸즈프리 장치를 무선 단말기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무선 단말기 20 : 제어수단
30 : 골전도 스피커 40 : 골전도 마이크
42 : 연결 부재 100 : 핸즈프리 장치
202 : 전원 공급부 204 : 온/오프 스위치
206 : 전원 공급 표시부 208 : 입력 신호 증폭부
210 : 입력 신호 조절부 212 : 감도 조절 스위치
214 : 감도 조절 표시부 216 : 제어부
218 : 출력 신호 조절부 220 : 출력 신호 증폭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발성에 따라 두개골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골전도 마이크; 상기 골전도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진동 신호 및 무선 단말기로 수신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고 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진동 신호로 변환하며, 진동자를 진동시켜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두개골을 진동시켜 상기 진동 신호를 음성 신호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골전도 스피커;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 수단은 전원 공급부; 상기 골전도 마이크를 통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입력 신호 증폭부; 상기 입력 신호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가 설정된 신호보다 클 경우 상기 전기적 신호의 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입력 신호 조절부; 상기 무선 단말기를 통하여 제어 수단으로 수신된 음성 신호가 설정된 세기보다 클 경우 음성 신호의 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출력 신호 조절부; 및 출력 신호 조절부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상기 골전도 스피커를 구동시킬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증폭하기 위한 출력 신호 증폭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골전도 스피커 및 상기 골전도 마이크는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며, 이때 상기 골전도 스피커는 사용자의 귀 부근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골전도 마이크는 사용자의 머리 상부에 위치하도록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무선 단말기라 함은 셀룰러 폰, PCS, PDA, TRS 등 모든 종류의 무선망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골전도 소자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를 무선 단말기에 접속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무선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100)는 무선 단말기(10)의 이어폰 잭에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는 제어 수단(20), 제어 수단(20)에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는 골전도 스피커(20) 및 골전도 마이크(40)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제어 수단(20)은 핸즈프리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리모콘으로 동작하며, 무선 단말기(10)로 수신된 음성 신호 및 골전도 마이크(40)를 통해 입력되는 진동 신호를 증폭하고 감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골전도 스피커(20)는 제어 수단(20)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진동 신호로 변환하며, 사용자의 두개골의 진동을 내이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진동을 음성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골전도 마이크(40)는 사용자가 발음을 함으로써 발생하는 진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 수단(20)으로 입력하는 입력 수단으로서, 음성 신호가 아닌 두개골의 진동 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외부의 소리가 입력되지 않아 외부 소음이 심한 곳에서도 신호가 왜곡되지 않고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제어 수단(20)은 핸즈프리 장치 사용자가 조작하기 용이한 곳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무선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100)는 케이블을 통해 제어 수단(20)과 무선 단말기(10)의 이어폰 잭을 접속하고, 골전도 스피커(30)와 골전도 마이크(40)를 연결 수단에 의해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설 현장 근무자, 배달 서비스 제공자, 소방수, 군인, 경찰 등이 착용하는 헬멧을 착용하기 전 일체형으로 구성한 골전도 스피커 및 골전도 마이크를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골전도 스피커(30)는 사용자의 귀 부근에 위치하도록 하고, 골전도 마이크(40)는 사용자의 머리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진동 신호가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핸즈프리 장치(100)를 이용하여 무선 단말기로 통화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무선 단말기(10)로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선 단말기(10) 사용자가 핸즈프리 장치(100) 또는 무선 단말기(10)의 키를 조작하여 통화로가 형성된 후, 무선 단말기(10)로 수신된 음성 신호는 제어수단(20)에서 증폭되어 골전도 스피커(30)로 전송된다. 골전도 스피커(30)는 수신된 음성 신호를 진동 신호로 변환하여 진동자가 진동되도록 하고 이 진동 신호가 사용자의 두개골을 진동시켜 내이로 전달되도록 하여, 제어수단(20)으로부터 출력된 진동 신호가 핸즈프리 장치(100) 사용자에게 음성 신호로 감지되도록 한다. 즉, 골전도 스피커(30)의 진동 신호가 사용자의 두개골을 통해 내이로 전달됨에 따라 음성 신호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발성하는 음성 신호를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핸즈프리 장치(100) 사용자가 발성함에 따라 사용자의 두개골이 진동하게 되며, 이 진동 신호가 골전도 마이크(40)로 전달되게 된다. 골전도 마이크(40)는 입력된 진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무선 단말기(10)로 입력한다. 무선 단말기(10)로 입력된 음성 신호는 일반적인 무선 통화 방식에 의해 상대방에게 전달되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어 수단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핸즈프리 장치(100)의 제어 수단(20)은 전원 공급부(202), 온/오프(on/off) 스위치(204), 전원 공급 표시부(206), 입력 신호 증폭부(208), 입력 신호 조절부(210), 감도 조절 스위치(212), 감도 조절 표시부(214), 제어부(216), 출력 신호 조절부(218) 및 출력 신호 증폭부(220)를 구비한다.
전원 공급부(202)는 제어 수단(20)에 주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부분으로 제어 수단(20) 내의 각 전기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며, 범용적으로 구입하기 용이한 AA 사이즈 건전지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오프 스위치(204)는 전원 공급부(202)로부터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어 수단(20)의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스위치이며, 장시간 사용시나 보관시에는 온/오프 스위치를(204) 오프 상태로 하여 각 전기 소자에 보내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전원 공급 표시부(206)는 전원 잔량을 표시하는 부분으로 LED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잔량이 회로를 동작시키는 데 문제가 없으면 점등 상태를유지하고, 전원 잔량이 회로를 동작시키는 데 부족하게 되면 LED를 오프하여 사용자에게 전원을 교체할 것을 알린다.
입력 신호 증폭부(208)는 골전도 마이크(40)를 통해 입력되는 진동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것이다. 골전도 마이크(40)로 입력되는 진동 신호는 음성 신호와 비교하면 매우 미약하여 무선 단말기를 통한 통화시 원활한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입력 신호 증폭부(208)에서 일단 증폭을 한 후에 진동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다. 입력 신호 조절부(210)는 골전도 마이크(40)에서 입력된 후 입력 신호 증폭부(208)에서 증폭된 신호가 설정된 신호보다 클 경우 입력되는 신호의 감도를 조절한다.
제어부(216)는 제어 수단(20)의 각 부분과 연계하여 전원 공급 및 차단, 골전도 마이크(40)의 입력 신호와 스피커(30) 출력 신호 조절 등을 수행한다.
출력 신호 조절부(218)는 무선 단말기(10)로 수신된 음성 신호가 설정된 세기보다 클 경우 사용자가 듣기에 적합한 세기로 조절한다. 출력 신호 증폭부(220)는 무선 단말기(10)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가 제어부(216) 및 출력 신호 조절부(218)를 통하여 입력되면 입력된 음성 신호가 골전도 스피커(30)를 구동시킬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증폭한다.
이와 같이, 무선 단말기(10)로 수신된 음성 신호가 출력 신호 조절부(218) 및 출력 신호 증폭부(220)를 통해 전류 신호로 변환되어 골전도 스피커(30)로 입력되면, 골전도 스피커(30)는 사용자의 두개골을 진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본 고안의 핸즈프리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청각 신경에 소리를 전달함으로써 소리를 정상적으로 들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핸즈프리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발성하면, 음성 발성에 의한 두개골의 진동 신호가 골전도 마이크(40)로 입력되고, 골전도 마이크(40)로 입력된 진동 신호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후 입력 신호 증폭부(206) 및 입력 신호 조절부(210)를 통해 증폭 및 조절되어 무선 단말기(10)로 입력된다. 이후, 통상적인 무선 통신 방법에 의해 상대방에게 음성 신호가 전달되게 된다.
한편, 무선 단말기(10)의 각 제품은 송수신 음성 신호의 세기가 각 제조사마다 다르므로, 음성 신호를 청취하기에 전반적으로 균등한 세기의 신호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매우 작은 신호가 출력되는 무선 단말기의 경우에는 음성 신호를 최대한 증폭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감도 조절 스위치(212)는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매우 작은 크기의 음성 신호에 대하여 음성 신호의 감도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감도 조절 표시부(214)는 감도 조절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장치로서 LED로 구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감도 조절 스위치(212)가 동작되어 송수신 음성 신호를 증폭하면 LED가 점등 상태가 되도록 하고, 감도 조절 스위치(212)가 동작되지 않을 경우에는 표시등을 오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제어 수단의 외관을 구성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핸즈프리 장치(100)에 적용되는 제어 수단(20)은 전원 공급부(202)에 범용적으로 구입하기 용이한 AA 사이즈 건전지를 장착하여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고안의 휴대와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어 수단(202)의 일면에 클립(226)구성하여, 사용자의 의복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온/오프 스위치(204)를 조작하여 제어 수단(2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온/오프 스위치(204)를 온 상태로 하여 제어 수단(2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전원 공급 표시부(206)가 점등되게 되며, 온/오프 스위치(204)를 오프 상태로 하여 제어 수단(20)에 전원이 차단되면 전원 공급 표시부(206)의 표시등이 오프되게 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골전도 스피커 및 골전도 마이크와 제어 수단을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핸즈프리 장치를 무선 단말기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골전도 스피커(30)와 골전도 마이크(40)를 다수의 연결 부재(42)에 의해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도록 한다. 즉, 골전도 스피커(30)와 골전도 마이크(40)를 모자 형상의 그물망으로 제작하되, 골전도 마이크(40)는 상부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고 골전도 스피커(30)는 좌우 단부에 대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형태의 핸즈프리 장치를 착용하게 되면, 골전도 스피커(30)는 사용자의 귀 부근에 위치하도록 하여 귀에 물리적으로 가해지는 부담을 줄이고, 골전도 마이크(40)는 사용자의 머리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발성에 의한 진동 신호가 외부의 소음과 무관하게 입력되도록 하여, 진동 신호가 정확하게 송수신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골전도 스피커(30) 및 골전도 마이크(40)는 케이블에 의해 제어 수단(20)과 접속하여 사용자가 제어 수단(20)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케이블에 의해 무선 단말기(10)의 이어폰 잭에 제어 수단(20)을 접속하고, 골전도 스피커(30) 및 골전도 마이크(40)를 케이블에 의해 제어 수단(20)에 접속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의 핸즈프리 장치는 골전도 스피커(30) 및 골전도 마이크(40)를 연결 부재(42)에 의해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건설 현장 근무자, 배달 서비스 제공자, 소방수, 군인, 경찰 등이 착용하는 헬멧을 장착하기 전 머리에 착용하도록 함으로써 돌발상황이나 격렬한 움직임에도 핸즈프리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핸즈프리 장치의 이어폰을 골전도 소자를 이용하여 제작함에 따라 이어폰을 장시간 사용함에 따른 청각 저하 증세를 예방할 수 있고, 이어폰이 귀를 덮지 않아 답답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핸즈프리 장치의 스피커를 골전도 소자로 제작함으로써 통화시 발성자의 음성 외에 외부 소음이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심한 소음 속에서도 통화가 순조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골전도 스피커 및 골전도 마이크를 연결 부재에 의해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건설 현장 근무자, 배달 서비스 제공자, 소방수, 군인, 경찰 등이 착용하는 헬멧을 장착하기 전 머리에 착용하도록 함으로써 돌발상황이나 격렬한 움직임에도 핸즈프리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핸즈프리 장치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한 곳에 탈부착이 가능한 제어 수단에 의해 핸즈프리 장치를 조작할 수 있고, 사용자의 두 귀가 주변 상황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항상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핸즈프리 장치 사용에 의한 작업 능률 저하 및 안전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Claims (9)

  1. 발성에 따라 두개골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골전도 마이크;
    상기 골전도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진동 신호 및 무선 단말기로 수신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고 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진동 신호로 변환하며, 진동자를 진동시켜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두개골을 진동시켜 상기 진동 신호를 음성 신호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골전도 스피커;
    를 구비하는 골전도 소자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전원 공급부;
    상기 골전도 마이크를 통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입력 신호 증폭부;
    상기 입력 신호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가 설정된 신호보다 클 경우 상기 전기적 신호의 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입력 신호 조절부;
    상기 무선 단말기를 통하여 제어 수단으로 수신된 음성 신호가 설정된 세기보다 클 경우 음성 신호의 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출력 신호 조절부; 및
    출력 신호 조절부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상기 골전도 스피커를 구동시킬 수있는 크기를 갖도록 증폭하기 위한 출력 신호 증폭부;
    를 구비하는 골전도 소자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어 수단의 사용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 및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원 잔량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전원 공급 표시부;
    를 더 구비하는 골전도 소자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감도 조절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골전도 소자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감도 조절 스위치의 동작 여부에 따라 점등되거나 소등되는 감도 조절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골전도 소자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표시부는 LED로 구성하는 골전도 소자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의 외관에는 사용자와 탈부착이 용이한 클립을 구비하는 골전도 소자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 스피커 및 상기 골전도 마이크는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는 골전도 소자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 스피커는 사용자의 귀 부근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골전도 마이크는 사용자의 머리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골전도 소자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
KR2020020015328U 2002-05-20 2002-05-20 골전도 소자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 KR2002858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328U KR200285837Y1 (ko) 2002-05-20 2002-05-20 골전도 소자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328U KR200285837Y1 (ko) 2002-05-20 2002-05-20 골전도 소자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708A Division KR20030089823A (ko) 2002-05-20 2002-05-20 골전도 소자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837Y1 true KR200285837Y1 (ko) 2002-08-14

Family

ID=73084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328U KR200285837Y1 (ko) 2002-05-20 2002-05-20 골전도 소자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8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885B1 (ko) 2003-09-18 2011-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이어폰 세트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885B1 (ko) 2003-09-18 2011-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이어폰 세트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6147B2 (ja) 骨伝導マイク・スピーカ通話装置
US7548617B2 (en) Bluetooth earphone
KR101457928B1 (ko) 현장맞춤형 히어링 이퀄라이저
CN201197140Y (zh) 无线外放耳机
JP2002164986A (ja) 難聴者用携帯電話機アタッチメント
US20050008147A1 (en) Two-purpose wireless hand-free earphone set for use in driving
KR100809549B1 (ko) 보청기 겸용 무선 헤드셋 및 그 제어방법
JP3066305U (ja) 聴力補助器
US7251498B2 (en) Radio headset system
KR200285837Y1 (ko) 골전도 소자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
JPH09238182A (ja) ハンドフリー式電話変換装置
JP2007259276A (ja) 無線通信通話ユニット
KR20030089823A (ko) 골전도 소자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
KR20130050499A (ko) 통신기기를 위한 진동마이크로폰 일체형 무선 핸즈프리
KR20030080445A (ko) 골전도 소자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
KR20110080306A (ko) 보청기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KR200282080Y1 (ko) 골전도 소자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
JP2007135155A (ja) 聴覚補助機能付電話機
DE10005007A1 (de) Freisprecheinrichtung für ein Mobiltelefon
KR101861357B1 (ko) 소음 감지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장치
CN108124214B (zh) 一种蓝牙耳机及其组合
CN213462328U (zh) 一种领夹式扩音器
KR200373427Y1 (ko) 다목적 레저용 조끼
WO2023007840A1 (ja) 通話装置
KR20050096301A (ko) 무선 이어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