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427Y1 - 다목적 레저용 조끼 - Google Patents

다목적 레저용 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427Y1
KR200373427Y1 KR20-2004-0030598U KR20040030598U KR200373427Y1 KR 200373427 Y1 KR200373427 Y1 KR 200373427Y1 KR 20040030598 U KR20040030598 U KR 20040030598U KR 200373427 Y1 KR200373427 Y1 KR 200373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electrically connected
leisure
vest
accommoda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5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우
Original Assignee
김남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우 filed Critical 김남우
Priority to KR20-2004-00305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4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4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reflective or luminous safet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5Pockets adapted to receive a mobile phone or other electronic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uterwear In General, And Traditional Japanese Garment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목적 레저용 조끼에 관한 것으로, 착용자의 양측 어깨에 얹혀지는 복수개의 어깨끈과, 상기 어깨끈과 일체로 연결되며 착용자의 가슴에 둘러져 버클에 의해 체결되는 전,후면커버로 구성된 레저용 조끼에 있어서, 상기 어깨끈(300)의 외측에는 스피커(2)가 설치되며, 상기 전면커버(100)에는, 상기 스피커(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송신부(4)와; 상기 스피커(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음향기기 수납부(5)와; 상기 스피커(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핸드폰 수납부(6)와; 상기 송신부(4) 및 핸드폰 수납부(6)와 음향기기 수납부(5), 스피커(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피커(2)를 통해 발생되는 음량을 조절하는 볼륨조절기(84)와, 핸드폰(60)과 음향기기(52)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절환스위치(82), 전원스위치(86) 및 배터리로 구성된 제어장치(8);가 구비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스피커를 통해 MP3나 라디오 같은 음향기기와 핸드폰 및 무선교신기의 청취가 가능하여, 레저활동에 필용한 활동성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아울러 간접청취에 의해 청력을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레저용 조끼 {a multipurpose vest for leisure and sports}
본 고안은 다목적 레저용 조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귀와 인접하도록 어깨끈에 스피커가 구비됨으로써 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음악청취 및 핸드폰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다목적 레저용 조끼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MTB, 인라인, 조깅, 등산과 같은 다양한 레저 및 스포츠 활동을 즐기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활동성을 고려한 다양한 보조용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상기 보조용품 중의 일예로서 레저용 조끼를 들 수 있는데, 이는 다수의 포켓이 구비되어 있어, 여기에 라디오나 MP3와 같은 음향기기, 핸드폰, 다용도칼 등 각종 장비들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핸드폰 또는 라디오나 MP3와 같은 음향기기는 사용자가 활동에 방해받지 않기 위해 대개 이어폰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이어폰을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청력에 이상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주변의 소리를 전혀 들을 수 없어 사고발생 상황에 즉각적으로 적절한 대비를 못하여 매우 위험한 상황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어깨끈의 일측, 즉 착용한 상태에서 귀와 가장 근접될 수 있는 위치에 스피커를 각각 설치하고, 이 스피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MP3나 라디오 같은 음향기기와 핸드폰 및 무선교신기를 수납시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악을 듣거나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자의 자유로운 활동성이 보장될 수 있고, 또한 간접청취에 의해 청력을 보호할 수 있으며, 아울러 주변에서 발생된 소리도 들을 수 있어 위험상황을 즉각 인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배가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레저용 조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전면 또는 후면에 발광체가 구비되어 야간에 식별이 가능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레저용 조끼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착용자의 양측 어깨에 얹혀지는 복수개의 어깨끈과, 상기 어깨끈과 일체로 연결되며 착용자의 가슴에 둘러져 버클에 의해 체결되는 전,후면커버로 구성된 레저용 조끼에 있어서,
상기 어깨끈의 외측에는 스피커가 설치되며,
상기 전면커버에는, 상기 스피커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송신부와; 상기 스피커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음향기기 수납부와; 상기 스피커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핸드폰 수납부와; 상기 송신부 및 핸드폰 수납부와 음향기기 수납부, 스피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피커를 통해 발생되는 음량을 조절하는 볼륨조절기와, 핸드폰과 음향기기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절환스위치, 및 전원스위치로 구성된 제어장치;가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전면커버 및 후면커버의 외측에 발광띠 또는 발광램프와 같은 발광체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스피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면커버에 구비된 무선교신기 수납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레저용 조끼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레저용 조끼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레저용 조끼의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스피커 4 : 송신부
5 : 음향기기 수납부 6 : 핸드폰 수납부
7 : 무선교신기 수납부 8 : 제어장치
100 : 전면커버 200 : 후면커버
300 : 어깨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레저용 조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레저용 조끼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레저용 조끼의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레저용 조끼(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가슴에 둘러지는 전면커버(100) 및 후면커버(200)로 구성되며, 상기 전면커버(100)와 후면커버(200)를 연결하며 착용자의 어깨에 얹혀지는 복수개의 어깨끈(30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커버(100)의 중앙에는 클립식으로 끼워지는 공지된 형태의 버클(102)이 구비되어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였고, 일측에는 전술한 음향기기 수납부(5)와 핸드폰 수납부(6)가 구비된다.
상기 복수개의 어깨끈(300)의 외측에는 스피커(2)가 각각 설치되는데, 이 스피커(2)는 어깨끈(300)을 착용했을 때 착용자의 귀와 가장 근접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대략 중간부에 설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송신부(4)는 소형의 마이크로폰(42)과 온오프(ON/OFF) 스위치(44)로 구성된 것으로, 이는 통상의 핸즈프리의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며, 전면커버(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장치(8)와 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상기 핸드폰(60) 및 무선교신기(미도시)의 사용시 송화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음향기기 수납부(5) 또는 핸드폰 수납부(6)는, 라디오 및 MP3와 같은 음향기기(52) 또는 핸드폰(60)을 수납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포켓으로 구성되는데, 이 포켓의 내측에는 상기 음향기기(52) 및 핸드폰(60)의 연결단자에 꽂아지며 상기 제어장치(8)와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잭(54,62)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장치(8)는, 상기 송신부(4) 및 핸드폰 수납부(6)와 음향기기 수납부(5), 스피커(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피커(2)를 통해 핸드폰(60)의 통화 및 음향기기(52)의 청취가 가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일종의 앰프장치로서, 핸드폰(60) 또는 음향기기(52)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절환스위치(82)와, 송화음 및 수신음의 강도를 조절하는 볼륨조절기(84)와, 전원스위치(86) 및 배터리로 구성된 것이며, 전면커버(100)에 형성된 소정의 수납부(80)에 넣어져 고정된다.
상기 제어장치(8)의 입력측의 전선은 상기 음향기기 수납부(5) 및 핸드폰 수납부(6)에 구비된 연결잭(54,62)과 연결시키고, 출력측의 전선은 상기 스피커(2)와 연결시켜서 배선을 함으로써 핸드폰(60) 및 음향기기(52)로부터 입력된 음향신호가 상기 제어장치(8)를 통해서 스피커(2)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핸드폰 수납부(6)가 제어장치(8)와 전면커버(100)로는 버클에 의해 단락된 상태이므로 상기 핸드폰 수납부(6)에 구비된 연결잭(62)의 전선이 후면커버(200)를 거쳐서 제어장치(8)와 연결되도록 배선하였다(도 1 참조).
상기 절환스위치(82)는, 핸드폰(60) 또는 음향기기(52)의 사용을 선택적으로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예컨대 스피커(2)를 통해 MP3 또는 라디오등의 음향기기(52)의 청취중 전화가 오면 상기 절환스위치(82)를 조작하여 음향기기(52)의 작동을 일시중지시키고 핸드폰(60)으로 절환시켜서 핸드폰(60)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통화가 끝나면 다시 절환스위치(82)를 조작하여 음향기기(52)의 청취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볼륨조절기(84)를 조작하여 스피커(2)를 통해 발생되는 음량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100)의 일측에는 워키토키와 같은 소형 무선교신기를 수납할 수 있는 무선교신기 수납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무선교신기 수납부는 전술한 음향기기 수납부(5) 및 핸드폰 수납부(6)와 그 구조가 동일하며 제어장치와 연결되는 구조 또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핸드폰 및 음향기기 수납부(5)와 제어장치(8), 스피커(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은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단락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전면커버(100) 또는 후면커버(200) 및 어깨끈(300)의 내부로 매설시킴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면커버(100) 및 후면커버(200)에는 야간에도 착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소정의 발광체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야광 또는 축광물질로 된 발광띠나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발광램프를 사용함이 적당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음향기기 수납부(5)에 MP3나 라디오와 같은 음향기기(52)를 수납하고, 그 연결잭(54)을 꽂아 연결시키고,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핸드폰 수납부(6)에도 핸드폰(60)을 수납하고 연결잭(62)을 연결시킨다.
이후, 상기 음향기기(52)를 작동하여 청취하고자 할 경우는, 상기 제어장치(8)의 전원스위치(86)를 조작하여 전원을 켜고 상기 절환스위치(82)를 음향기기 측으로 설정한 후 상기 음향기기(52)의 전원을 켜서 작동시켜주면 상기 스피커(2)를 통해 청취할 수 있으며, 착용자는 상기 볼륨조절기(84)를 조작하여 적당한 음량으로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피커(2)는 대략 착용자의 귀밑에 위치되므로 크게 음량을 조절하지 않더라도 청취하는데 지장이 없다.
한편, 외부로부터 전화가 올 경우에는 상기 제어장치(8)의 절환스위치(82)를 핸드폰 측으로 설정하여 음향기기(52)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일시적으로 중지시키고, 상기 송신부(4)의 온오프 스위치(44)를 조작하여 핸드폰(60)을 켜서 통상의 핸즈프리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하게 사용하게 된다.
이후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온오프 스위치(44)를 조작하여 핸드폰(60)을 끄고, 상기 제어장치(8)의 절환스위치(82)를 음향기기 측으로 설정하면 스피커(2)를 통한 청취가 계속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레저용 조끼는, 어깨끈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MP3나 라디오 같은 음향기기와 핸드폰 및 무선교신기의청취가 가능하여, 레저활동에 필용한 활동성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아울러 간접청취에 의해 청력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아울러 주변에서 발생된 소리도 들을 수 있어 위험상황을 즉각 인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배가될 수 있다.
그리고, 전면 또는 후면커버에 설치된 발광체에 의해 야간에도 식별이 가능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Claims (6)

  1. 착용자의 양측 어깨에 얹혀지는 복수개의 어깨끈과, 상기 어깨끈과 일체로 연결되며 착용자의 가슴에 둘러져 버클에 의해 체결되는 전,후면커버로 구성된 레저용 조끼에 있어서,
    상기 어깨끈(300)의 외측에는 스피커(2)가 설치되며,
    상기 전면커버(100)에는, 상기 스피커(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송신부(4)와;
    상기 스피커(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음향기기 수납부(5)와;
    상기 스피커(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핸드폰 수납부(6)와;
    상기 송신부(4) 및 핸드폰 수납부(6)와 음향기기 수납부(5), 스피커(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피커(2)를 통해 발생되는 음량을 조절하는 볼륨조절기(84)와,
    핸드폰(60)과 음향기기(52)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절환스위치(82), 전원스위치(86) 및 배터리로 구성된 제어장치(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레저용 조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2)는 착용자의 귀와 가장 근접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어깨끈(300)의 중간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레저용 조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4)는 마이크로폰(42)과 온오프(ON/OFF) 스위치(4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레저용 조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기기 수납부(5) 및 핸드폰 수납부(6)는, 상기 음향기기(52) 및 핸드폰(60)의 연결단자에 꽂아지며 상기 제어장치(8)와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잭(54,62)이 내측에 구비된 포켓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레저용 조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100)의 일측에는 무선교신기를 수납할 수 있는 무선교신기 수납부(7)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레저용 조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100) 및 후면커버(200)에는 발광체(4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레저용 조끼.
KR20-2004-0030598U 2004-10-29 2004-10-29 다목적 레저용 조끼 KR2003734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598U KR200373427Y1 (ko) 2004-10-29 2004-10-29 다목적 레저용 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598U KR200373427Y1 (ko) 2004-10-29 2004-10-29 다목적 레저용 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427Y1 true KR200373427Y1 (ko) 2005-01-15

Family

ID=49485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598U KR200373427Y1 (ko) 2004-10-29 2004-10-29 다목적 레저용 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42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724B1 (ko) 2007-03-28 2007-05-25 주식회사 비비패션 무선통신이 가능한 기능성 방한복
KR100726400B1 (ko) 2006-10-20 2007-06-08 박선희 소지품의 수납기능이 마련된 레저용 밴드
KR101311160B1 (ko) * 2012-02-02 2013-09-23 제일모직주식회사 스피커가 내장된 의류
KR101815294B1 (ko) * 2016-01-28 2018-01-30 (주) 아프로윈 착탈식 전자 웨어 장치
KR102344475B1 (ko) 2021-06-18 2021-12-27 김병수 단말기 포켓이 부착된 상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400B1 (ko) 2006-10-20 2007-06-08 박선희 소지품의 수납기능이 마련된 레저용 밴드
WO2008048073A1 (en) * 2006-10-20 2008-04-24 Sun-Hee Park Leisure sports band
KR100721724B1 (ko) 2007-03-28 2007-05-25 주식회사 비비패션 무선통신이 가능한 기능성 방한복
KR101311160B1 (ko) * 2012-02-02 2013-09-23 제일모직주식회사 스피커가 내장된 의류
KR101815294B1 (ko) * 2016-01-28 2018-01-30 (주) 아프로윈 착탈식 전자 웨어 장치
KR102344475B1 (ko) 2021-06-18 2021-12-27 김병수 단말기 포켓이 부착된 상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43775A1 (en) Multipurpose vest for leisure and sport
US6873862B2 (en) Wireless headphones with selective connection to auxiliary audio devices and a cellular telephone
US7319762B2 (en) Headset with flashing light emitting diodes
US8014824B2 (en) Article of manufacture integrated with music and telephonic communication devices
US20050288067A1 (en) Incoming call alert adapter for mobile devices
US9455677B2 (en) Wireless audio control apparatus
US20020065115A1 (en) Accessory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JP3140230U (ja) 受信機能付きメガネ
KR101686205B1 (ko) 넥밴드형 휴대폰용 블루투스 이어셋
US20070154052A1 (en) Noise cancelling cable assembly
KR20130108368A (ko) 스포츠 뮤지컴 헤드셋
JP2004173018A (ja) ヘルメット用通信装置
KR200373427Y1 (ko) 다목적 레저용 조끼
JP2007259276A (ja) 無線通信通話ユニット
US6807434B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telephone
KR200341662Y1 (ko) 모노 스테레오 겸용 무선 헤드셋
US20030053650A1 (en) Earphone device for motorcycle rider and passenger
KR200254302Y1 (ko) 송,수신 헬멧
WO2007102651A1 (en) A bluetooth typed headset assembly for mobile phones
KR101861357B1 (ko) 소음 감지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장치
KR100253828B1 (ko) 휴대전화기 핸드프리 장치
GB2402835A (en) Earring type headset
KR200184608Y1 (ko) 휴대전화용 핸드프리 장치
KR200297341Y1 (ko) 핸드폰용 핸즈프리 송수신기를 장착한 헬멧
KR200355990Y1 (ko) 송수신 헤드셋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