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741Y1 - 텅레일(tongue rail)과 직접 연결된 유압식 선로전환기 - Google Patents

텅레일(tongue rail)과 직접 연결된 유압식 선로전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741Y1
KR200285741Y1 KR2020020005474U KR20020005474U KR200285741Y1 KR 200285741 Y1 KR200285741 Y1 KR 200285741Y1 KR 2020020005474 U KR2020020005474 U KR 2020020005474U KR 20020005474 U KR20020005474 U KR 20020005474U KR 200285741 Y1 KR200285741 Y1 KR 2002857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train
control unit
rail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종
Original Assignee
이영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종 filed Critical 이영종
Priority to KR2020020005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7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7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741Y1/ko

Links

Landscapes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차의 안전한 운행과 신속하고 정확한 진로구성에 관한 것으로, 더욱더 상세하게는 열차의 진로구성시 열차의 진행 방향을 결정하는 텅레일(tongue rail)을 전환시키는 선로전환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정확한 동작과 힘, 그리고 확장성을 가지고 있어 열차운행의 안전과 경제적인 효과를 갖게하는 유압식 선로전환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열차의 진행방향을 결정하는 텅레일(tongue rail)에 직접연결 되어 전환동작을 하는, 실린더로드와 보조로드, 에리고스프링(Eligo spring)의 결합체 결과인 유압동작(Actuator)부, 그 유압동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유압제어부, 전기제어부, 그리고, 텅레일(tongue rail)의 밀착상태를 확인하는 밀착검지기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텅레일(tongue rail)과 직접 연결된 유압식 선로전환기{Hydraulic Point Switch}
본 고안은 철도 신호의 선로전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압동작(Actuator)부 본체가 열차의 진행 방향을 결정하는 텅레일(tongue rail)에 직접 연결되어 전환 동작을 하는 유압식 선로전환기에 관한 것이다.
열차의 진로를 구성하는 종래의 선로전환기는 순수한 전기식 선로전환기로서 마찰클러치, 밀림클러치, 기어, 교류(AC)전동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전기 선로전환기는 열차의 진로구성 신호조작에 의해 전동기, 클러치, 기어 순으로 동작하여 텅레일(tongue rail)을 기본레일에 밀착시켜 쇄정(잠금)동작을 이룬 다음 열차의 진로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위와 같이, 동작하는 전기선로전환기는 무거운 중량(320kg)을 가지고 있어 긴급사고 복구상황, 비상훈련상황에 운반, 보수시 큰사고의 우려가 있다. 또한 관리자가 보수나 정비, 점검을 주기로 하고 있어도 열차 진로구성시 전동기의 권선, 기어의 소손을 막고 전환기의 힘을 결정하는 클러치(마찰연축기)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클러치 내부에 주입되어 있는 오일의 점성이 변하여 클러치 내부 마찰판의 접촉 압력이 자주변해 계절이 변하면 장애가 발생하며 평상시에 관리자의 보수나 정비를 긴급하게 필요로 한다. 그리고 기본레일의 복진 및 유동, 텅레일(tongue rail)마모의 요인으로 쇄정 불량, 밀착 불량의 장애의 요인이 많아 열차의 신속하고, 안전한 운행에 지장을 주고 있고, 텅레일(tongue rail)의 밀착동작시 힘의 한계(300kg)가 있어 텅레일(tongue rail)의 길이가 길면 2대의 전기선로전환기가 설치되어 있어 보수, 정비, 점검의 크기와, 경제적인 손실이 크게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열차의 진로 구성시 텅레일(tongue rail)을 동작하는 힘과 밀착, 그리고 쇄정(잠금)을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유압식 선로전환기의 유압동작(Actuator)부를 텅레일(tongue rail)에 직접 연결하였으며, 이 정확한 동작과 힘을 가지고 장애요인을 제거하여 보수, 정비의 체계적인 효과, 경제적인 손실을 막을 수 있는 유압식 선로전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유압식 선로전환기 유압동작부 사시도
도 2는 유압식 선로전환기 설치상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정위 전환 완료상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위 전환 완료시 텅레일(tongue rail)밀착상태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반위 전환 완료상태 사시도
도 6은 도4의 반위 전환 완료시 텅레일(tongue rail)밀착상태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응용 설치 상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유압기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2a. 텅레일(tougue rail)
3. 유압동작(Actuator)부 3a. 실린더 로드
4a. 정용량형 기어펌프 4f. 전기방식 전환변
5, 5a. 에리고스프링(Eligo spring)
6a, 6b, 6c, 6d. 밀착 검지기 10.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본 고안에 따르면 유압동작부(3)가 열차의 진행 방향을 결정하는 텅레일(2, 2a)에 직접 연결되어 정확한 동작과 힘으로 전환하는 특징을 가진 유압식 선로전환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열차의 진행 방향을 결정하는 텅레일(2, 2a)에 직접 연결되어 전환동작 하는 유압동작부(3)를 도시한 것으로서 열차의 운행과 유압동작부(3)의 전환동작중 열차의 진동과 텅레일(2, 2a)의 무게에 의한, 유압동작부(3)에 결합된 실린더 로드(3a)의 굴곡 방지와 힘의 분할을 위한 보조로드(3b, 3c), 그리고 열차 진로 구성시 유압에 의해 신장과 수축 동작을 하는 실린더 로드(3a), 또한 텅레일(2, 2a)과 기본레일(1, 1a)의 불밀착상태에서 도 8의 정용량형 기어펌프(4a)의 파손 방지를 위한 에리고스프링(5, 5a)의 결합체인 유압동작부(3)이다.
도 2는 본 고안이 현장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열차의 진행 방향을 결정하는 텅레일(2, 2a)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 유압동작부(3)와 유압식 선로전환기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유압제어부(7, 7a), 전기제어부(8), 그리고 텅레일(2, 2a)과 기본레일(1, 1a)의 밀착을 확인하는 밀착검지기(6a, 6b, 6c, 6d)가 현장에 설치 되어 열차 진로 구성시 동작하는 유압식 선로전환기이다.
도 3과 도4는 열차의 진로구성을 할 때, 본 고안인 유압식 선로전환기의 정위전환동작 완료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열차 진로 구성시 도 3의 전기제어부(8)에서 전기신호를 받아 유압제어부(7, 7a)에 전기신호를 준다. 유압제어부(7, 7a)는 도 8의 펌프 구동전동기(4d)를 동작하여 커플링(4c)에 의해 연결된 정용량형 기어펌프(4a)를 동작하게 한다. 정용량형 기어펌프(4a)는 작동유(4i)를 토출하여, 체크벨브(4d), 릴리프벨브(4e)를 거쳐 도 3의 전기제어부(8)에서 정위방향으로 전환방향 지정한 도 8의 전기방식 전환변(4f)을 통하여 작동유(4i)를 토출하게 된다. 정위 방향으로 토출하는 작동유(4i)는 도 3의 유압동작부(3)에 결합된 실린더 로드(3a)를 정위방향으로 신장동작을 하게 한다. 유압동작부(3)에 결합된 실린더 로드(3a)가 정위 방향으로 신장 동작을 하며 양쪽의 보조로드(3c, 3d)와 함께 힘을 분할하여 유압동작부(3)와 직접 연결된 좌, 우측 텅레일(2, 2a)을 함께 움직여 좌측 텅레일(2)이 좌측 기본레일(1)에 밀착 동작을 하게 한다. 좌측 텅레일(2)과 좌측 기본레일(1)의 밀착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도 4의 밀착검지기(6a, 6b)이다. 하나의 밀착검지기(6a)는 좌측 텅레일(2)이 좌측 기본레일(1)에10mm밀착된 것을 검지 확인하고, 또 하나의 밀착검지기(6b)는 좌측 텅레일(2)이 좌측 기본레일(1)에 1mm밀착된 것을 검지 확인한 후 밀착완료 전기신호를 도 3의 전기제어부(8)에 보낸다. 이때, 도 4의 10mm밀착을 확인하는 밀착검지기(6a)가 좌측 텅레일(2)이 기본레일(1)에 밀착된 것을 검지하여 1초가 지나도록 좌측 텅레일(2)과 좌측 기본레일(1)의 1mm밀착을 확인하는 밀착검지기(6b)의 밀착검지확인 전기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도 3의 전기제어부(8)는 장애신호를 발생하며 전원을 차단한다. 그리고, 도 4의 1mm밀착을 확인하는 밀착검지기(6b)가 좌측 텅레일(2)과 좌측 기본레일(1)의 밀착검지를 확인하는 전기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1초동안 계속 동작하는 도 8의 정용량형 기어펌프(4a)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있다. 그것은 도 3의 에리고스프링(5, 5a)이다. 이 에리고스프링(5, 5a)은 도 4의 1mm밀착을 확인하는 밀착검지기(6b)의 밀착검지 확인 전기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계속 신장 동작을 하는 도 3의 유압동작부(3)에 결합된, 실린더 로드(3a)와 보조로드(3b, 3c)에 의해 좌측 에리고스프링(5)은 수축, 우측 에리고스프링(5a)은 신장을 하게 되어 도 8의 정용량형 기어펌프(4a)의 파손을 방지한다.
위와 같이 유압식 선로전환기의 정위 전환시 도 3의 좌측 텅레일(2)과 좌측기본레일(1)의 밀착상태를 확인하는 도 4의 밀착검지기(6a, 6b)가 밀착검지를 정확히 확인한 전기신호를 받으면 도 3의 전기제어부(8)는 열차 진로를 구성하며, 도 4의 밀착검지기(6a, 6b)가 밀착검지의 확인 전기신호를 보내지 않으면 도 3의 전기제어부(8)는 장애신호를 발생 하며 전원을 차단한다.
도 5와 도6은 열차의 진로구성을 할 때, 본 고안인 유압식 선로전환기의 반위전환 동작완료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열차 진로 구성시 도 5의 전기제어부(8)에서 전기신호를 받아 유압제어부(7, 7a)로 전기신호를 준다. 유압제어부(7, 7a)는 도 8의 펌프 구동전동기(4d)를 동작하여 커플링(4c)에 의해 연결된 정용량형 기어펌프(4a)를 동작하게 한다. 정용량형 기어펌프(4a)는 작동유(4i)를 토출하여, 체크벨브(4d), 릴리프벨브(4e)를 거쳐 도 5의 전기제어부(8)에서 반위방향으로 전환방향 지정한 도 8의 전기방식 전환변(4f)을 통하여 작동유(4i)를 토출하게 된다. 반위 방향으로 토출하는 작동유(4i)는 도 5의 유압동작부(3)에 결합된 실린더 로드(3a)를 반위방향으로 신장동작을 하게 한다. 유압동작부(3)에 결합된 실린더 로드(3a)가 반위 방향으로 신장 동작을 하며 양쪽의 보조로드(3c, 3d)와 함께 힘을 분할하여 유압동작부(3)와 직접 연결된 좌, 우측 텅레일(2, 2a)을 함께 움직여 우측 텅레일(2a)이 우측 기본레일(1a)에 밀착 동작을 하게 한다. 우측 텅레일(2a)과 우측 기본레일(1a)의 밀착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도 6의 밀착검지기(6c, 6d)이다. 하나의 밀착검지기(6c)는 우측 텅레일(2a)이 우측 기본레일(1a)에 10mm밀착된 것을 검지확인하고, 또 하나의 밀착검지기(6d)는 우측 텅레일(2a)이 우측 기본레일(1a)에 1mm밀착된 것을 검지확인한 후 밀착완료 전기신호를 도 5의 전기제어부(8)에 보낸다. 이때, 10mm밀착을 확인하는 밀착검지기(6c)가 우측 텅레일(2a)이 우측 기본레일(1a)에 밀착된 것을 검지하여 1초가 지나도록 우측 텅레일(2)과 우측 기본레일(1a)의 1mm밀착을 확인하는 밀착검지기(6d)의 밀착검지 확인 전기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도 5의 전기제어부(8)는 장애 신호를 발생하며 전원을 차단한다. 그리고, 도 6의 1mm밀착을 확인하는 밀착검지기(6d)가 우측 텅레일(2a)과 우측 기본레일(1a)의 밀착을 확인하는 전기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1초 동안 계속 동작하는도 8의 정용량형 기어펌프(4a)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있다. 그것은 도 5의 에리고스프링(5, 5a)이다. 이 에리고스프링(5, 5a)은 도 6의 1mm밀착을 확인하는 밀착검지기(6d)의 밀착검지 확인 전기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계속 신장 동작을 하는 도 5의 유압동작부(3)에 결합된 실린더 로드(3a)와 보조로드(3b, 3c)에 의해 우측 에리고스프링(5a)은 수축, 좌측 에리고스프링(5)은 신장을 하게되어 도 8의 정용량형 기어펌프(4a)의 파손을 방지한다.
위와 같이 유압식 선로전환기의 반위 전환시 우측 텅레일(2a)과 우측 기본레일(1a)의 밀착상태를 확인하는 도 6의 밀착검지기(6c, 6d)가 밀착검지를 정확히 확인한 전기신호를 받으면 도 5의 전기제어부(8)는 열차 진로를 구성하며, 도 6의 밀착검지기(6c, 6d)가 밀착검지의 확인 전기신호를 보내지 않으면 도 5의 전기제어부(8)는 장애신호를 발생 하며 전원을 차단한다.
도 7은 본 고안인 유압식 선로전환기의 응용 설치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1대의 유압제어부(7, 7a)와 전기제어부(8)로 10M내의 근거리에서 2대의 유압동작부(3)를 제어할 수 있다. 열차 진로 구성시 도 7의 1대의 유압동작부(3d)에 대한 정위방향 전환 진로구성의 전기신호가 내려지면 전기제어부(8)는 유압제어부(7, 7a)로 전기신호를 준다. 유압제어부(7, 7a)는 도 8의 펌프 구동전동기(4d)를 동작하여 커플링(4c)에 의해 연결된 정용량형 기어펌프(4a)를 동작하게 한다. 정용량형 기어펌프(4a)는 작동유(4i)를 토출하여, 체크벨브(4d), 릴리프벨브(4e)를 거쳐 도 7의 전기 제어부(8)에서 정위방향으로 전환방향을 지정한 도 8의 전기방식 전환변(4f)을 통하여 작동유(4i)를 토출하게 된다. 토출하는 작동유(4i)는 도 7의배관(9a)을 거쳐 유압동작부(3d)에 결합된 실린더 로드(3a)를 양쪽의 보조로드(3c, 3d)와 함께 힘을 분할하여 신장동작을 하며 텅레일(2, 2a)을 전환 동작시킨다. 이 때, 배관(9a)을 거쳐서 토출되는 도 8의 작동유(4i)의 압력이 떨어지는 것을 대비하여 도 7의 어큐뮬레이터(10)를 설치 하였다. 어큐뮬레이터(10)는 압력을 저장하여 도 8의 작동유(4i)가 토출 할 때 압력이 부족하면 보충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유압식 선로전환기의 사용시 텅레일(2, 2a)의 밀착 및 쇄정(잠금)역할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장발생이 적고 텅레일(2, 2a)과 유압동작부(3)가 직접 연결되어 전환동작을 하며, 정확한 동작과 힘을 제공하고, 이 정확한 동작과 힘을 가지고 장애율의 저하, 보수, 정비의 체계적인 효과, 경제적인 손실을 막을 수 있는 유압식 선로전환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실린더 로드(3a), 보조로드(3b, 3c), 에리고스프링(5, 5c)의 결합구조형태를 가진 유압동작부(3)를 유압제어부(7, 7a)와 전기제어부(8)에서 원격 자동제어를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선로전환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텅레일(2, 2a)과 유압식 선로전환기의 유압동작부(3)가 직접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선로전환기.
  4. 제1항에 있어서 10M내의 근거리에서 유압제어부(7, 7a)와 전기제어부(8) 1대로 유압동작부(3)를 2대까지 제어하는 조합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선로전환기.
KR2020020005474U 2002-02-20 2002-02-20 텅레일(tongue rail)과 직접 연결된 유압식 선로전환기 KR2002857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474U KR200285741Y1 (ko) 2002-02-20 2002-02-20 텅레일(tongue rail)과 직접 연결된 유압식 선로전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474U KR200285741Y1 (ko) 2002-02-20 2002-02-20 텅레일(tongue rail)과 직접 연결된 유압식 선로전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741Y1 true KR200285741Y1 (ko) 2002-08-14

Family

ID=73073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474U KR200285741Y1 (ko) 2002-02-20 2002-02-20 텅레일(tongue rail)과 직접 연결된 유압식 선로전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74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072B1 (ko) 2011-11-14 2013-02-07 (주) 주은산업 양방향 안내구조를 갖는 선로전환기
KR101331612B1 (ko) 2011-11-29 2013-11-22 한국기계연구원 부하변동에 따른 실린더의 출력보상이 가능한 선로 전환 장치
KR20200011257A (ko) 2018-07-24 2020-02-03 (주)제이.케이.에스 선로전환기용 유압식 쇄정 실린더의 내구성 시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072B1 (ko) 2011-11-14 2013-02-07 (주) 주은산업 양방향 안내구조를 갖는 선로전환기
KR101331612B1 (ko) 2011-11-29 2013-11-22 한국기계연구원 부하변동에 따른 실린더의 출력보상이 가능한 선로 전환 장치
KR20200011257A (ko) 2018-07-24 2020-02-03 (주)제이.케이.에스 선로전환기용 유압식 쇄정 실린더의 내구성 시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03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uxiliary train control system
CN101598025B (zh) 多功能装配式液压驱动移动栈桥
EP0712772A2 (en) Operating device for railway switches, particularly for high-speed lines
US20140252175A9 (en) Hydraulic switch machine for railroads
CN205854175U (zh) 巡检机器人用轨道限位器及轨道限位系统
KR200285741Y1 (ko) 텅레일(tongue rail)과 직접 연결된 유압식 선로전환기
US20210025115A1 (en) Saborage-resistant switch device for moving railroad switch points
CA2111661C (en) Apparatus for locking moveable elements
EP2620347B1 (en) Non trailable switch machine for railroad switches or the like
EP2307256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eisenbahnsicherungsanlage
US20210129876A1 (en) Railway switch device for moving railroad switch points
US5775647A (en) Hydraulic switch stand
CN201428460Y (zh) 多功能装配式液压驱动移动栈桥
KR20110103426A (ko) 유도 차량의 분야의 전기 스위칭 시스템의 스위칭 상태의 조절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1459954B1 (en) Railway points actuating system
US4970965A (en) Safety locking structure for a rotary guideway switch
KR20200085054A (ko) 열차선로 전환 시스템
EP3926094B1 (en) Track-changing device for pneumatic transport vehicles
JP3559916B2 (ja) 複数の転てつ機の転換制御方法とその装置
US6164602A (en) Railroad frog assembly with multi-position holdback
AU2006251241B2 (en) Drive system for a rail switch
CN107313309A (zh) 一种用于中低速磁浮的单渡线道岔
JP7149521B2 (ja) 分岐まくらぎ及び転換装置
WO2008027662A1 (en) Hydraulic motor for railway switches
KR101043321B1 (ko) 데이터 추종구조의 전자연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