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668Y1 - 충관물 - Google Patents

충관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668Y1
KR200285668Y1 KR2020020013549U KR20020013549U KR200285668Y1 KR 200285668 Y1 KR200285668 Y1 KR 200285668Y1 KR 2020020013549 U KR2020020013549 U KR 2020020013549U KR 20020013549 U KR20020013549 U KR 20020013549U KR 200285668 Y1 KR200285668 Y1 KR 2002856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ing
present
tube
filled
juni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해동
Original Assignee
황해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해동 filed Critical 황해동
Priority to KR20200200135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6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6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668Y1/ko

Links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신이 안치된 관의 빈 공간부에 채워 넣는 용도로 사용하는 충관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충관작업이 편리하면서 충관완료된 관의 외관이 미려토록 함과 동시에 탈취 및 습기제거의 효과가 탁월한 충관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마직물을 재단봉재하여 사각주머니 (30)를 만들고, 상기 사각주머니(30) 내에 향나무를 이용하여 얻어진 대팻밥이나 톱밥과 같은 충진물(20)을 채운 다음 입구부를 밀봉하여 충관물(10)을 얻고, 상기 충관물(10)을 관의 빈 공간부에 채워 넣어 사용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충관물{Articles for filling coffin}
본 고안은 시신을 입관할때 시신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관의 빈 공간부에 채워 넣는 용도로 사용하는 충관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신을 입관할 때에는 관의 빈 공간부에 고인의 옷이나 화장지 등을 채워 넣어 운구 도중 시신이 움직이지 않고 반듯하게 위치토록 함과 동시에 시신에서 발생하는 누액을 흡수토록 하는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미관상 보기가 좋지 않을뿐 아니라 빈 공간부에 적당한 내용물을 채워 넣는 작업에 많은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시정하고자 시신이 입관된 관의 빈 공간부에 채워 넣을 수 있도록 충관물을 구성하고, 상기 충관물을 이용하여 관의 빈 공간부에 채워넣어 시신이 움직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시신으로부터 발생될 염려가 있는 누액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탈취의 효과까지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마직물을 재단봉재하여 적절한 크기의 사각주머니를 제작하고, 상기 사각주머니 내에 향나무를 얇게 깎아 얻어진 대팻밥이나 톱밥등을 충진하고, 입구부를 밀봉하여서 된 것이다.
이때 제조되는 충관물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성은 없으나 15 ×25cm정도의 크기가 적합하다.
도 1 : 본 고안의 평면구성도
도 2 : 본 고안의 측면구성도
도 3 : 본 고안의 단면구성도
도 4 : 본 고안 충관물 제조를 위한 사각주머니의 단면구성도
도 5 :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충관물 (20)--충진물
(30)--사각주머니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충관물(10)의 평면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측면 및 단면구성도로서, 마직물을 재단봉재하여 사각형태의 주머니(30)를 만들고, 주머니 내에 충진물(20)을 채운 다음 입구부를 밀봉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에서 사각주머니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성은 없으나 대략 15 ×25 cm 정도의 크기이면 적합하다.
그러나 사각주머니의 크기를 여러종류로 준비하였다가 필요한 공간에 채워 넣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사각주머니(30) 내에 충진되는 충진물(20)은 주로 향나무를 얇게 깎아 만든 대팻밥이나 톱밥을 충진하는 것이 이상적이며, 이는 향나무의 향이 탈취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습기제거의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이다.
상기에서 사각주머니(30) 내에 채워지는 충진물(20)을 일반목재의 대팻밥이나 톱밥을 채워넣어 사용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40)은 관, (41)은 시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5에서와 같이 관(40) 내에 시신(41)을 입관한 다음 남는 공간부에 충관물(10)을 채워 넣어 운구 도중이나 하관시 시신(41)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동시에 시신(41)으로부터 발생할 우려가 있는 누액을 흡수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향나무의 향이 탈취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충관물(10)은 종래 충관물로 사용되던 고인의 옷이나 화장지를 사용하지 않고 규격화된 충관물(10)을 이용하기 때문에 충관물(10)의 충입작업이 용이할 뿐 아니라 외관이 미려하고 빈 공간부를 거의 고른 밀도로 충관물(10)을 채워 넣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마직물을 이용하여 사각주머니를 얻고, 상기 주머니 내에 향나무 대팻밥이나 톱밥으로 구성된 충진물을 채운 다음 입구부를밀봉하여 충관물을 만들고, 상기 충관물을 시신이 입관된 관의 빈 공간부에 채워 넣는 용도로 사용케 하므로서 관의 빈 공간부를 채우는 충입작업이 편리할 뿐 아니라, 충관물이 채워진 상태의 외관이 미려하게 처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향나무의 향이 탈취효과와 습기제거효과가 있어 충관물의 고유기능을 만족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마직물을 재단봉재하여 사각주머니(30)를 만들고, 상기 주머니(30) 내에 향나무를 이용하여 만든 대팻밥이나 톱밥과 같은 충진물(20)을 채운 다음 입구부를 밀봉하여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관물.
KR2020020013549U 2002-05-03 2002-05-03 충관물 KR2002856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549U KR200285668Y1 (ko) 2002-05-03 2002-05-03 충관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549U KR200285668Y1 (ko) 2002-05-03 2002-05-03 충관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668Y1 true KR200285668Y1 (ko) 2002-08-13

Family

ID=73084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549U KR200285668Y1 (ko) 2002-05-03 2002-05-03 충관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6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371B1 (ko) 2011-05-23 2014-05-07 명필솔루션 주식회사 보공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371B1 (ko) 2011-05-23 2014-05-07 명필솔루션 주식회사 보공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269680A (ja) 掃除モップの包装物
KR200285668Y1 (ko) 충관물
AU779382B2 (en) A portable disposable personal article containing a product for body care
KR20090034471A (ko) 무방부제 물주머니와 함께 포장된 일회용 물수건.
KR20090034472A (ko) 무방부제 막대형물통과 함께포장된 일회용티슈.
JP2007268848A (ja) 各種粉末状物質と香料を貼着した紙又は布の製造方法
CN101862149B (zh) 具有擦拭层的液体容置装置及其制造方法
KR100703846B1 (ko) 제오라이트를 이용한 유골의 안치방법 및 그 유골 포장재
DE50103186D1 (de) Kräuterpackung zur Herstellung eines Heil- und Pflegebades
KR200382306Y1 (ko) 일회용 포장재
KR200309926Y1 (ko) 납골함용 유골 및 분골 보존 포장재
KR200346860Y1 (ko) 충관물
KR200322099Y1 (ko) 기능성 베개
DE502004000324D1 (de) Packungseinheit mit kosmetisch wirksamen Bestandteilen
KR200249014Y1 (ko) 장식용 방향용구
DE50306563D1 (de) Kräuterpackung zur Herstellung eines Heil- und Pflegebades mit rückfettenden Substanzen
KR910001910Y1 (ko) 방습제를 내장한 포장용 용기뚜껑
KR200394127Y1 (ko) 제오라이트를 이용한 유골 포장재
JP3089931U (ja) エッセンス嚢袋構造
KR200317264Y1 (ko) 나들이 기저귀(물티슈)
JP3019659U (ja) ヒバ包装体
PL331696A1 (en) Packaging container in the form of sack or bag made of plastic material or similar one impermeable to air
JP3095103U (ja) 入浴用パック並びにその包装物
KR20150004265U (ko) 1회용 비누 파우치
CN108673695A (zh) 一种木桌添香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