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576Y1 - 냉·온수용 파이프 구조 - Google Patents

냉·온수용 파이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576Y1
KR200285576Y1 KR2020020015843U KR20020015843U KR200285576Y1 KR 200285576 Y1 KR200285576 Y1 KR 200285576Y1 KR 2020020015843 U KR2020020015843 U KR 2020020015843U KR 20020015843 U KR20020015843 U KR 20020015843U KR 200285576 Y1 KR200285576 Y1 KR 2002855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ld
hot water
water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8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오
윤병호
손광하
Original Assignee
(주)혜원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혜원전기 filed Critical (주)혜원전기
Priority to KR20200200158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5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5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576Y1/ko

Links

Landscapes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온수용 파이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 유입수 파이프를 통해 물이 유입되어 냉·온수 파이프를 흐르는 동안 냉매나 히터에 의해 냉·온수화된 후, 유출수 파이프를 통해 유출될 수 있도록 하여 유입된 물이 냉·온수 파이프를 흐르는 동안에 냉·온수화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일정 길이의 소정 형상으로 절곡되어 일단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타단으로 흐르게 하는 중공의 냉·온수 파이프; 냉·온수 파이프의 절곡된 형상대로 그 내부에 설치되어지되 양단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냉·온수 파이프의 내부를 흐르는 물을 냉각 또는 가열을 통해 냉·온수화하는 냉매 파이프 또는 히터 파이프; 냉·온수 파이프의 양단 외주면 각각에 일단이 결합되어지되 타단은 냉·온수 파이프의 양단으로 각각 돌출된 냉매 파이프 또는 히터 파이프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그 각각의 외주면 적소에는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형성되어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유출입수 연결부가 구비된 중공의 파이프 연결부재; 파이프 연결부재의 유출입수 연결부 각각에 결합되어 일측은 일측 파이프 연결부재로 유입수가 유입되도록 하고, 타측은 타측 파이프 연결부재로부터 유출되는 냉·온수를 유출되도록 하는 유출입수 파이프; 및 각각의 파이프 연결부재 타단측에 구비되어 파이프 연결부재의 타단과 냉매 파이프 또는 히터 파이프를 결합시켜 냉·온수 파이프의 내부가 폐회로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용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냉·온수용 파이프 구조{Pipe structure for cool and warm water}
본 고안은 냉·온수 파이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되는 물을 냉·온수화 하기 위한 냉·온수 파이프와 냉매를 흐르게 하는 냉매 파이프 및 히터 파이프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유입된 물이 냉·온수 파이프를 흐르는 냉·온수화될 수 있도록 하는 냉·온수 파이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누구나 깨끗한 물을 마시고자 하는 기본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인간은 누구나 장수하기를 원한다. 이처럼 건강하게 장수하고 싶은 욕망은 염소로 소독된 수돗물로는 세탁과 청소를 하고 식수는 미네럴워터나 생수로 대용하는 등의 깨끗한 물에 대한 관심도에서 엿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깨끗한 물에 대한 관심으로 인해 물을 정수하는 정수기의 개발이 이루어져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정수기는 물 속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 등을 걸러줌으로써 보다 깨끗한 음용수를 마실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근래 들어 정수기의 수요가 날로 증대되고 있는데 그 원인으로는 과밀화된 인구, 산업의 고도성장, 도시지역의 확대 및 토지이용의 남용 등에 따라 각종 오수를 받아들이는 지표수의 오염도가 심화되어 수돗물에 대한 불식에서 기인된다. 즉, 상수원으로 이용되고 있는 지표수에 산업폐수, 생활오수 및 축산폐수 등의 오염물질이 유입됨으로써 그 오염도가 날이 갈수록 심화되어 음용수로써 부적당한 지경에 이르고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기의 필요에 따라 그 수요는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더욱 깨끗한 음용수를 마실 수 있도록 정수기의 개량에 많은 연구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도 1 은 종래의 온수히터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온수히터(10)는 저수탱크(도시하지 않음)에 저수된 물을 가열시키는 발열히터(12)와 발열히터(12)를 저수탱크에 설치 가능하도록 하는 플랜지(14)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온수히터(10)에서 발열히터(12)는 "U"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양단에는 접점단자(12a)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플랜지(14)는 그 양측 적소에 발열히터(12)의 양단이 삽입 체결되는 히터 삽입홈(도시하지 않음)이 상하로 천공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온수히터(10)는 플랜지(14)의 히터 삽입홈에 발열히터(12)의 양단이 삽입되어 일정한 길이로 돌출된 상태에서 발열히터(12)가 삽입된 히터 삽입홈을 통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부면의 발열히터(12)와 히터 삽입홈 경계면에는 용접(A)이 이루어지고, 하부면의 발열히터(12)와 히터 삽입홈 경계면에는 실리콘 몰딩(도시하지 않음)이 이루어져 제작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작되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온수히터 구조는 저수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저수탱크 내부에 저수된 물을 가열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정수기의 구조에 있어 저수탱크를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저수탱크를 필요로 하는 정수기의 부피는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온수히터 구조는 저수된 많은 양의 물을 상시 가열(냉매 파이프 구조일 경우에는 저수된 물을 냉각시킴)시켜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상당히 많이 드는 문제가 있어 경제적인 면이나 전력의 효율적인 면에서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온수히터 구조는 상시 저수된 물을 대상으로 가열(냉각)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냉·온수를 필요로 하는 시설물에서 물을 냉·온수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시 저수탱크가 필요하게 되어 냉·온수 공급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냉·온수 파이프의 내측에 냉매가 흐르는 냉매 파이프나 히터 파이프를 설치한 상태에서 냉·온수 파이프의 양단에 "T"자 형태의 파이프 연결부재를 연결하여 냉·온수 파이프, 냉매 파이프나 히터 파이프, 유입수가 유입되는 유입수 파이프 및 냉·온수화된 냉·온수를 유출시키는 유출수 파이프를 결합시킴으로써 유입수 파이프를 통해 물이 유입되어 냉·온수 파이프를 흐르는 동안 냉매나 히터에 의해 냉·온수화된 후, 유출수 파이프를 통해 유출될 수 있도록 하여 유입된 물이 냉·온수 파이프를 흐르는 동안에 냉·온수화될 수 있도록 한 냉·온수용 파이프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유입된 물이 냉·온수 파이프를 흐르는 동안에 냉·온수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저수탱크를 필요로 하지 않는 구조의 정수기를 포함한 냉·온수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유입된 물이 냉·온수 파이프를 흐르는 동안에 냉·온수화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저수탱크를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정수기를 포함한 냉·온수 공급장치의 부피를 더욱 줄일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은 냉·온수 파이프로 유입되는 물을 직접 냉각 또는 가열하여 냉·온수화할 수 있도록 하는 단순한 구조의 냉·온수 파이프를 통해 정수기를 포함한 냉·온수 공급장치 물을 보다 용이하게 냉·온수화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온수히터 파이프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온수용 파이프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온수용 파이프 구조를 보인 제 1 실시예의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온수용 파이프 구조를 보인 제 2 실시예의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온수용 파이프 구조를 보인 제 3 실시예의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냉수용 파이프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냉수용 파이프 구조를 보인 제 1 실시예의 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냉수용 파이프 구조를 보인 제 2 실시예의 단면도.
도 9 는 본 고안에 따른 냉수용 파이프 구조를 보인 제 3 실시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냉·온수용 파이프 구조 110. 냉·온수 파이프
120, 120a. 히터 파이프와 냉매 파이프 122. 히터
130, 130a. 파이프 연결부재 132, 132a. 유출입수 연결부
134. 연통공 140. 유입수 파이프
142. 유출수 파이프 150. 연결용 캡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의 냉·온수 파이프 구조는 유입된 물을 냉매 또는 히터를 통해 냉·온수화 하기 위한 정수기의 냉·온수용 파이프 구조에 있어서, 일정 길이의 소정 형상으로 절곡되어 일단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타단으로 흐르게 하는 중공의 냉·온수 파이프; 냉·온수 파이프의 절곡된 형상대로 그 내부에 설치되어지되 양단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냉·온수 파이프의 내부를 흐르는 물을 냉각 또는 가열을 통해 냉·온수화하는 냉매 파이프 또는 히터 파이프; 냉·온수 파이프의 양단 외주면 각각에 일단이 결합되어지되 타단은 냉·온수 파이프의 양단으로 각각 돌출된 냉매 파이프 또는 히터 파이프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그 각각의 외주면 적소에는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형성되어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유출입수 연결부가 구비된 중공의 파이프 연결부재; 파이프 연결부재의 유출입수 연결부 각각에 결합되어 일측은 일측 파이프 연결부재로 유입수가 유입되도록 하고, 타측은 타측파이프 연결부재로부터 유출되는 냉·온수를 유출되도록 하는 유출입수 파이프; 및 각각의 파이프 연결부재 타단측에 구비되어 파이프 연결부재의 타단과 냉매 파이프 또는 히터 파이프를 결합시켜 냉·온수 파이프의 내부가 폐회로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용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파이프 연결부재와 냉·온수 파이프의 양단, 파이프 연결부재와 유입수 파이프 또는 파이프 연결부재와 유출수 파이프, 파이프 연결부재와 연결용 캡, 연결용 캡과 냉매 파이프 또는 히터 파이프의 결합은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파이프 연결부재와 냉·온수 파이프의 양단, 파이프 연결부재와 유입수 파이프 또는 파이프 연결부재와 유출수 파이프, 파이프 연결부재와 연결용 캡, 연결용 캡과 냉매 파이프 또는 히터 파이프의 결합은 파이프 연결부재의 압착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전술한 파이프 연결부재의 타단과 연결용 캡의 일측은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 예에 따른 냉·온수용 파이프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온수용 파이프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온수용 파이프 구조를 보인 제 1 실시예의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온수용 파이프 구조를 보인 제 2 실시예의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온수용 파이프 구조를 보인 제 3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용 파이프 구조(100)는 소정의 형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 냉·온수 파이프(110), 냉·온수 파이프(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냉매 파이프 또는 히터 파이프(120), 유출입수 연결부(132, 132a)가 구비된 중공의 파이프 연결부재(130, 130a), 유입수가 유입되는 유입수 파이프(140)와 냉·온수가 유출되는 유출수 파이프(142) 및 냉·온수 파이프(110)의 내부를 폐회로로 구성하기 위한 연결용 캡(150)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용 파이프 구조(100)는 유입수 파이프(140)를 통해 물이 유입되어 냉·온수 파이프(110)의 내부를 흐르는 동안 냉매 파이프 또는 히터 파이프(120)의 냉각 또는 가열에 의해 냉·온수화되어 유출수 파이프(142)를 통해 유출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파이프 연결부재(130, 130a)는 냉·온수 파이프(110)의 양단 각각에 구비되어지되 유출입수 파이프(140, 142), 냉매 파이프 또는 히터 파이프(120)를 연결하여 냉·온수 파이프(110)의 내부가 폐회로로 구성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용 파이프 구조(1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냉·온수 파이프(110)는 유입된 유입수가 내부를 흐르는 동안 냉·온수화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 냉·온수 파이프(110)는 유입수가 흐르는 동안 충분히 냉각되거나 가열되어 냉·온수화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냉·온수 파이프(110)는 그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절곡 형성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은 냉·온수 파이프(110)를 본 고안에서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의 다층으로 절곡된 구조로 형성하였지만, 냉·온수 장치 및정수기 등의 구조에 알맞게 다양한 형태로 절곡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냉매 파이프 또는 히터 파이프(120)는 냉·온수 파이프(110)의 내부를 흐르는 물을 냉각 또는 가열을 통해 냉·온수화하는 것으로, 이 냉매 파이프 또는 히터 파이프(120)는 냉·온수 파이프(110)의 절곡된 형상대로 그 내부에 설치되어지되 양단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냉매 파이프 또는 히터 파이프(120)의 외경은 냉·온수 파이프(110) 내부에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어 유입수가 흐를 수 있도록 냉·온수 파이프(110)의 내경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냉매 파이프 또는 히터 파이프(120)는 유입된 물을 냉수화 할 경우 도 6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 파이프(120a)의 내부에 냉매가 흐르도록 하여 냉·온수 파이프(110) 내부를 흐르는 물을 냉각시켜 냉수화시키게 되고, 유입된 물을 온수화 할 경우에는 도 2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122)가 내부에 설치된 히터 파이프(120)를 통해 냉·온수 파이프(110) 내부를 흐르는 물을 가열하여 온수화시키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용 파이프 구조(100)를 통해 물을 냉수화시키는 경우에는 도 6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가 흐를 수 있는 냉매 파이프(120a)를 적용하고, 물을 온수화시키는 경우에는 도 2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122)가 설치된 히터 파이프(120)를 적용하게 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가 흐르는 냉매 파이프(120a)는 내측의 동 파이프(122a)와 외측의 서스 파이프(122b) 이중구조로 이루어진다.
파이프 연결부재(130, 130a)는 냉·온수 파이프(110), 냉매 파이프 또는 히터 파이프(120), 후술할 유출입수 파이프(140, 142)를 결합하여 냉·온수 파이프(110) 내부가 폐회로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 파이프 연결부재(130, 130a)는 냉·온수 파이프(110)의 양단 외주면 각각에 일단이 결합되어지되 타단은 냉·온수 파이프(110)의 양단으로 각각 돌출된 냉매 파이프 또는 히터 파이프(12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그 각각의 외주면 적소에는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공(134)이 형성되어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유출입수 연결부(132, 132a)가 구비된다. 즉, 파이프 연결부재(130, 130a)는 냉·온수 파이프(110) 양단과 동일 선상의 양측과 외주면 중심의 수직선상의 3방향이 내외측으로 연통된 구조로 냉·온수 파이프(110) 양단 각각에 구비된다. 이처럼 구성된 파이프 연결부재(130, 130a)는 "T"자형 구조를 이룬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파이프 연결부재(140)의 일단은 냉·온수 파이프(110) 각각의 끝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술할 연결용 캡(150)에 의해 냉·온수 파이프(110)의 양단 외측으로 돌출된 각각의 냉매 파이프 또는 히터 파이프(120) 외주면에 결합되며, 유출입수 연결부(132, 132a)는 후술할 유입수 파이프(140)와 유출수 파이프(142)와 결합된다.
전술한 냉·온수 파이프(110)의 구조에서 일단은 물이 유입되는 유입수측을 이루고, 타단은 냉·온수가 유출되는 유출수측을 이루기 때문에 냉·온수 파이프(110)의 양단 각각에는 동일한 구조의 파이프 연결부재(130, 130a)가 연결된다. 이때, 유입수측의 파이프 연결부재(130)에는 유입수 파이프(140)가 연결되고,유출수측 파이프 연결부재(130a)에는 유출수 파이프(142)가 연결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 연결부재(130, 130a)와 냉·온수 파이프(110), 후술할 연결용 캡(150) 및 냉매 파이프 또는 히터 파이프(120)와의 결합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A)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B)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 연결부재(130, 130a)는 냉·온수 파이프(110), 후술할 연결용 캡(150) 및 냉매 파이프 또는 히터 파이프(120)와의 결합을 통해 냉·온수 파이프(110)의 내부가 폐회로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유입수 파이프(140)와 유출수 파이프(142)는 유입수를 냉·온수 파이프(110)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고, 냉·온수화된 물을 유출시키는 것으로, 유입수 파이프(140)와 유출수 파이프(142)는 냉·온수 파이프(110) 양단 각각에 결합된 파이프 연결부재(130, 130a) 각각의 유출입수 연결부(132, 132a)에 연결된다. 이때, 파이프 연결부재(130, 130a) 각각의 유출입수 연결부(132, 132a)에 연결되는 유출입수 파이프(140, 142)는 용접 또는 압착에 의해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 연결부재(130, 130a) 각각의 유출입수 연결부(132, 132a)에 연결되는 유출입수 파이프(140, 142)의 유입수 파이프(140)로는 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은 냉·온수 파이프(110)를 흐르는 동안 냉·온수화 된 후, 유출수 파이프(142)를 통해 유출된다.
연결용 캡(150)은 파이프 연결부재(130,130a)의 타단을 냉매 파이프 또는 히터 파이프(120)에 연결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 연결용 캡(150) 일단의 내경은파이프 연결부재(130, 130a)의 외경에 관계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연결용 캡(150) 타단의 내경은 냉매 파이프 또는 히터 파이프(120) 외경에 관계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파이프 연결부재(130, 130a)의 타단과 냉매 파이프 또는 히터 파이프(120)를 연결함으로써 냉·온수 파이프(110)의 내부가 폐회로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냉·온수용 파이프 구조(100)의 설명에서 파이프 연결부재(130, 130a)의 내경은 냉·온수 파이프(110)의 외경에 관계하여 형성되고, 유출입수 연결부(132, 132a)의 연통공(134) 내경은 유입수 파이프(140)와 유출수 파이프(142)의 외경에 관계하여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연결용 캡(150)과 파이프 연결부재(130, 130a)와의 결합은 도 3 에서와 같이 용접(A)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4 에서와 같이 압착(B)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도 5 에서와 같은 내사결합(C)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냉·온수용 파이프 구조(100)는 유입수 파이프(140)를 통해 유입된 물이 냉·온수 파이프(110)를 흐르는 동안 냉매 파이프 또는 히터 파이프(120)를 통해 직접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하여 냉·온수화한 상태로 유출수 파이프(142)를 통해 유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냉수용 파이프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냉수용 파이프 구조를 보인 제 1 실시예의 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냉수용 파이프 구조를 보인 제 2 실시예의 단면도, 도 9 는 본 고안에 따른 냉수용 파이프 구조를 보인 제 3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 는 유입된 물을 냉수화하는 구조의 냉·온수용 파이프 구조(100)를 보인 것으로, 냉·온수 파이프(110), 파이프 연결부재(130, 130a), 유입수 파이프와 유출수 파이프(140, 142) 및 연결용 캡(150)의 구성은 도 2 내지 도 5 의 구성과 동일하나, 도 2 내지 도 5 의 온수화 구조에서 히터 파이프(120)를 적용하는 것과는 도 6 내지 도 9 의 구성이 냉수와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냉매 파이프(120a)가 적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냉매 파이프(120a)는 앞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내측의 동 파이프(122a)와 외측의 서스 파이프(122b) 이중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온수화 구조일 때는 히터 파이프(120) 구조가 적용되고, 냉수화 구조일 때는 냉매 파이프(120a) 구조가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냉·온수 파이프의 내측에 냉매가 흐르는 냉매 파이프나 히터 파이프를 설치한 상태에서 냉·온수 파이프의 양단에 "T"자 형태의 파이프 연결부재를 연결하여 냉·온수 파이프, 냉매 파이프나 히터 파이프, 유입수가 유입되는 유입수 파이프 및 냉·온수화된 냉·온수를 유출시키는 유출수 파이프를 결합시킴으로써 유입수 파이프를 통해 물이 유입되어 냉·온수 파이프를 흐르는 동안 냉매나 히터에 의해 냉·온수화된 후, 유출수 파이프를 통해 유출될 수 있도록 하여 유입된 물이 냉·온수 파이프를 흐르는 동안에 냉·온수화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휘된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로는 유입된 물이 냉·온수 파이프를 흐르는 동안에 냉·온수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저수탱크를 필요로 하지 않는 구조의 정수 기 및 냉·온수 공급장치를 설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는 유입된 물이 냉·온수 파이프를 흐르는 동안에 냉·온수화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저수탱크를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정수기를 포함한 냉·온수 공급장치의 부피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은 냉·온수 파이프로 유입되는 물을 직접 냉각 또는 가열하여 냉·온수화할 수 있도록 하는 단순한 구조의 냉·온수 파이프를 통해 정수기를 포함한 냉·온수 공급장치 물을 보다 용이하게 냉·온수화할 수 있다.

Claims (4)

  1. 유입된 물을 냉매 또는 히터를 통해 냉·온수화 하기 위한 정수기의 냉·온수용 파이프 구조에 있어서,
    일정 길이의 소정 형상으로 절곡되어 일단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타단으로 흐르게 하는 중공의 냉·온수 파이프;
    상기 냉·온수 파이프의 절곡된 형상대로 그 내부에 설치되어지되 양단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냉·온수 파이프의 내부를 흐르는 물을 냉각 또는 가열을 통해 냉·온수화하는 냉매 파이프 또는 히터 파이프;
    상기 냉·온수 파이프의 양단 외주면 각각에 일단이 결합되어지되 타단은 상기 냉·온수 파이프의 양단으로 각각 돌출된 냉매 파이프 또는 히터 파이프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그 각각의 외주면 적소에는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형성되어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유출입수 연결부가 구비된 중공의 파이프 연결부재;
    상기 파이프 연결부재의 유출입수 연결부 각각에 결합되어 일측은 상기 일측의 파이프 연결부재로 유입수가 유입되도록 하고, 타측은 상기 타측의 파이프 연결부재로부터 유출되는 냉·온수를 유출되도록 하는 유출입수 파이프; 및
    상기 각각의 파이프 연결부재 타단측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 연결부재의 타단과 상기 냉매 파이프 또는 히터 파이프를 결합시켜 상기 냉·온수 파이프의 내부가 폐회로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용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용 파이프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연결부재와 냉·온수 파이프의 양단, 상기 파이프 연결부재와 유입수 파이프 또는 상기 파이프 연결부재와 유출수 파이프, 상기 파이프 연결부재와 연결용 캡, 상기 연결용 캡과 냉매 파이프 또는 히터 파이프의 결합은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용 파이프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연결부재와 냉·온수 파이프의 양단, 상기 파이프 연결부재와 유입수 파이프 또는 상기 파이프 연결부재와 유출수 파이프, 상기 파이프 연결부재와 연결용 캡, 상기 연결용 캡과 냉매 파이프 또는 히터 파이프의 결합은 상기 파이프 연결부재의 압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용 파이프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연결부재의 타단과 연결용 캡의 일측은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용 파이프 구조.
KR2020020015843U 2002-05-23 2002-05-23 냉·온수용 파이프 구조 KR2002855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843U KR200285576Y1 (ko) 2002-05-23 2002-05-23 냉·온수용 파이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843U KR200285576Y1 (ko) 2002-05-23 2002-05-23 냉·온수용 파이프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708A Division KR100477528B1 (ko) 2002-05-23 2002-05-23 냉·온수용 파이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576Y1 true KR200285576Y1 (ko) 2002-08-13

Family

ID=73076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843U KR200285576Y1 (ko) 2002-05-23 2002-05-23 냉·온수용 파이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5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639B1 (ko) 냉수 공급장치의 수통구조
KR100477528B1 (ko) 냉·온수용 파이프 구조
KR200285576Y1 (ko) 냉·온수용 파이프 구조
KR100656961B1 (ko) 싱크대용 상냉(온) 정수기
JP3149968U (ja) 給湯装置
JP2007139200A (ja) 温水システム及び電気式追焚、循環ろ過装置付き温水システム
CN208843752U (zh) 净水器的冷水供给系统
KR100621828B1 (ko) 식수 공급장치
KR100393917B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KR100889825B1 (ko) 냉온수용 파이프
US7055339B2 (en) Integrated thermosyphon refrigerant heat recovery system and hot water heater
CN216393810U (zh) 一种步进式加热无承压下热交换凉白开水恒温饮水机
KR100837240B1 (ko) 냉온수용 파이프 구조
KR101228834B1 (ko) 냉매·발열히터 파이프 고정구조
JP2004219065A (ja) 廃熱回収用熱交換装置
CN208769509U (zh) 用于水处理装置的壳体组件及具有其的水处理装置
KR100594694B1 (ko) 정수시스템
JP2006162157A (ja) 渦巻型熱交換器
KR20030081005A (ko) 물 공급기
KR20020024236A (ko) 냉온정수기의 급속냉각장치
KR20040082361A (ko) Te 소자를 이용한 순간 냉/온 정수장치
KR20060006486A (ko) 정수시스템
KR200320051Y1 (ko)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의 세척이 가능한 냉온정수기
KR200253578Y1 (ko) 정수기용 관 연결구
KR200219771Y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