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1828B1 - 식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식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1828B1
KR100621828B1 KR1020060036965A KR20060036965A KR100621828B1 KR 100621828 B1 KR100621828 B1 KR 100621828B1 KR 1020060036965 A KR1020060036965 A KR 1020060036965A KR 20060036965 A KR20060036965 A KR 20060036965A KR 100621828 B1 KR100621828 B1 KR 100621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t water
water tank
cold
col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만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물사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물사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물사랑
Priority to KR1020060036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1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20Pillar fountains or like apparatus for dispensing drink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05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combined with heat 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당이나, 휴게소, 공원, 학교 등에 설치되어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하는 식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수를 바로 온수탱크로 유입되도록 하여 온수를 계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온수탱크에 의해 끓여진 식수(食水)가 차가운 상수에 의해 열 교환되는 열교환기를 거쳐 냉수탱크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냉각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며 냉각과정이 지연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냉각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폐열을 이용하여 온수탱크의 상수를 빠르게 끓일 수 있도록 하며 온수공급과 냉수의 공급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온수탱크의 뚜껑을 개방하거나 하는 등의 작업이 생략되어 외부의 불순물이 식수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온수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열 교환기를 거쳐 냉각되는 과정에서 공급라인을 급수전을 통해 버려지는 배수조를 거치도록 하여 냉각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식수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식수 공급장치는, 상수가 내부에 공급되고 내부에 가열히터(110)가 구비된 온수탱크(120)와, 상기 온수탱크에 연결되어 온수탱크의 끓여진 온수가 배수되는 온수급수전(130)을 갖는 온수공급부(100)와; 내부에 냉각부(211)가 구비되고 상기 온수탱크(120)의 끓여진 물이 공급되어 상기 냉각부(211)에 의해 열 교환되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열 교환기(210)를 갖는 열 교환부(200)와; 상기 열 교환부(200)를 구성하는 열 교환기(210)의 내부에 구비된 냉 각부(211)에 차가운 상수를 공급하는 수단인 냉각수라인(220)과; 상기 열 교환부(200)에 의해 열 교환된 물이 내부로 유입되고 내부에 상기 열 교환되어 내부에 유입되는 물을 냉각하는 냉각코일(310)이 구비된 냉수탱크(320)와, 상기 냉수탱크(320)에 연결되어 냉각코일(310)에 의해 냉각된 냉수가 배수되는 냉수급수전(330)을 갖는 냉수공급부(300)와; 상기 온수공급부(100)와, 열 교환부(200) 및 냉수공급부(300)에 각각 연결되어 온수탱크의 끓여진 물이 열 교환기를 지나 냉수탱크로 유입되도록 하는 수단인 공급라인(P)이 포함된 것과, 상기 열 교환부(200)의 열 교환기(210)에 의해 냉각된 물이 상기 냉수공급부(300)의 냉수탱크(320)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급라인(P1)은 상기 냉수급수전(230)에 의해 버려지는 물이 배수되는 배수조(12)의 내부를 지나 상기 냉수공급부(300)의 냉수탱크(320)에 연결된 것과, 상기 온수공급부(100)의 온수탱크(120)에 의해 끓여진 물을 냉각시켜 상기 냉수공급부(300)의 냉수탱크(320)의 내부로 공급하는 상기 열 교환부(200)에는 상기 열 교환기(210)에 의해 냉각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조(230)가 더 구비되는 것과, 상기 저장조(230)의 일측에는 상기 저장조(230)에 저장된 물을 강제적으로 상기 냉수공급부(300)의 냉수탱크(320)로 공급하는 펌프(2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온수 공급장치, 식수공급장치, 식수급수장치

Description

식수 공급장치{WATER-SUPPLY APPARATUS IMPROVED}
도 1은 종래 식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식수 공급장치가 적용된 식수대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식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식수 공급장치의 구성요부 중 하나인 열 교환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식수 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식수 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온수공급부 110 : 가열히터
120 : 온수탱크 130 : 온수급수전
200 : 열 교환부 210 : 열 교환기
211 : 냉각부 220 : 냉각수라인
230 : 저장조 240 : 펌프
300 : 냉수공급부 310 : 냉각코일
320 : 냉수탱크 330 : 냉수급수전
P, P1 : 공급라인
본 발명은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하는 식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히터가 구비된 온수탱크에 의해 공급되는 상수를 끓여 온수를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수탱크에 의해 끓여진 물이 열교환기에 의해 식혀진 물이 냉수탱크로 공급되도록 하여 냉수탱크의 냉각코일에 의해 냉수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냉수탱크의 냉각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각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폐열을 이용하여 온수탱크의 상수를 빠르게 끓일 수 있도록 하며 온수공급과 냉수의 공급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끓인 물이 냉각되는 과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성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는 식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식당, 휴게소, 공원 등에는 여러사람이 동시에 식수를 음용할 수 있는 식수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식수장치는 대개 수돗물의 상수를 그대로 식수대에 공급토록 하여 수돗물을 음용하도록 하고 있는 바, 불안전한 수돗물을 그대로 음용함으로써 여름철의 배탈이나 기타의 질병에 노출되고 있어 음용을 꺼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추운 겨울철에는 식수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상수인 수돗물이 얼게 되어 동파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식수의 공급을 중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수돗물인 상수를 그대로 공급하여 음용하는 식수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자들어서는, 수돗물인 상수를 끓여 음용하도록 하고 있는 식수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수돗물을 끓여 온수를 공급하고 또한 끓인 물을 냉각하여 냉수를 공급하는 식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가열히터(1)가 내장된 온수탱크(2)와 내부에 냉각코일(3)이 내장된 냉수탱크(4)와 상기 온수탱크(2)의 끓인 물이 상기 냉수탱크(4)로 공급되는 공급라인(5)과, 상기 온수탱크(2)와 냉수탱크(4)로부터 연결되어 온수 및 냉수를 배출하는 수단인 다수개의 급수전(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식수장치는, 상기 온수탱크(2)에 관리자가 직접 물을 부워 온수탱크(2)의 내부에 구성된 가열히터(1)를 이용하여 물을 끓인 다음, 온수탱크(2) 내부의 끓여진 물을 상기 공급라인(5)을 통해 상기 냉수탱크(4)로 공급함으로써 냉수탱크(4)의 냉각코일(3)에 의해 냉수가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냉수탱크(4)로 온수가 공급되기 전에 온수의 냉각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온수탱크(2)의 끓여진 물의 온도를 어느 정도 다운시켜야 하는 바, 이를 위해 관리자가 직접 상기 온수탱크의 뚜껑을 열어 자연적인 방법에 의해 끓여진 온수탱크의 물을 식히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온수탱크의 뚜껑을 개방하여 끓여진 물의 온도를 낮추는 방법은, 끓여진 물의 온도를 낮추는 시간에 의해 냉각과정이 지체되어 냉수를 바로 공급받아 음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관리자가 직접 손으로 온수탱크의 뚜껑을 열어 온수를 식히기 때문에 외부의 불순물이 상기 온수탱크내부로 유입되어 식수를 음용하는 사람들의 건강에 해를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온수탱크에 물을 부워 끓인 다음, 다시 온수탱크의 뚜껑을 열어 끓여진 물을 식혀야 함에 따라 관리자가 항상 식수장치의 주변에 상주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식수장치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수를 바로 온수탱크로 유입되도록 하여 온수를 계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온수탱크에 의해 끓여진 식수(食水)가 차가운 상수에 의해 열 교환되는 열교환기를 거쳐 냉수탱크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냉각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며 냉각과정이 지연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냉각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폐열을 이용하여 온수탱크의 상수를 빠르게 끓일 수 있도록 하며 온수공급과 냉수의 공급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온수탱크의 뚜껑을 개방하거나 하는 등의 작업이 생략되어 외부의 불순물이 식수에 유입되지 않도록 한 식수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수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열 교환기를 거쳐 냉각되는 과정에서 공급라인을 급수전을 통해 버려지는 배수조를 거치도록 하여 냉각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식수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식수 공급장치는, 상수가 내부에 공급되고 내부에 가열히터가 구비된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에 연결되어 온수탱크의 끓여진 온수가 배수되는 온수급수전을 갖는 온수공급부와; 내부에 냉각부가 구비되고 상기 온수탱크의 끓여진 물이 공급되어 상기 냉각부에 의해 열 교환되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열 교환기를 갖는 열 교환부와; 상기 열 교환부를 구성하는 열 교환기의 내부에 구비된 냉각부에 차가운 상수를 공급하는 수단인 냉각수라인과; 상기 열 교환부에 의해 열 교환된 물이 내부로 유입되고 내부에 상기 열 교환되어 내부에 유입되는 물을 냉각하는 냉각코일이 구비된 냉수탱크와, 상기 냉수탱크에 연결되어 냉각코일에 의해 냉각된 냉수가 배수되는 냉수급수전을 갖는 냉수공급부와; 상기 온수공급부와, 열 교환부 및 냉수공급부에 각각 연결되어 온수탱크의 끓여진 물이 열 교환기를 지나 냉수탱크로 유입되도록 하는 수단인 공급라인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 교환부의 열 교환기에 의해 냉각된 물이 상기 냉수공급부의 냉수탱크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급라인은 상기 급수전에 의해 버려지는 물이 배수되는 배수조의 내부를 지나 상기 냉수탱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수탱크에 의해 끓여진 물을 냉각시켜 상기 냉수탱크의 내부로 공급하는 상기 열 교환부에는 열 교환기에 의해 냉각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조가 더 구비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조의 일측에는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물을 강제적으로 냉수탱크로 공급하는 펌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인 식수 공급장치는, 온수탱크의 내부에서 끓여진 물이 공급라인에 의해 냉수탱크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내부에 냉각수 라인에 의해 공급되는 차가운 상수가 냉각부가 구비된 열 교환기를 갖는 열 교환부에 의해 열 교환이 이루어짐으로써 냉각과정이 지연되는 것이 방지되어 냉각효율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냉각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폐열을 이용하여 온수탱크의 상수를 빠르게 끓일 수 있도록 하며 온수공급과 냉수의 공급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관리자가 상주할 필요 없이 냉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불필요한 경비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식수가 급수전을 통해 급수되기 전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외부의 불순물이 식수에 유입되거나 하지 않는다.
더욱이, 열 교환부를 거쳐 냉각된 식수가 다시 배수조에 의해 냉각됨으로써 냉각효율성이 극대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며,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식수 공급장치가 적용된 식수대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 며, 도 3은 본 발명인 식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식수 공급장치는, 전면에 다수개의 급수전(11)이 구비되고 상기 급수전 하단부에 배수조(12)가 형성된 식수대(10)의 내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공급되는 상수가 가열되어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부(100)와 상기 온수공급부(100)의 가열된 물을 열 교환하여 냉각하는 열 교환부(200)와, 상기 열 교환부(200)에 의해 열 교환된 물이 공급되는 냉수공급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온수공급부(100)와 냉수공급부(300)는, 상기 식수대(10)의 상부 내측 양단에 각각 구성되고 또한, 상기 열 교환부(200)는 상기 식수대(10)의 하부 내측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수 공급부(100)는, 상수가 내부에 공급되고 내부에 가열히터(110)가 구비된 온수탱크(120)와, 상기 온수탱크에 연결되어 온수탱크의 끓여진 온수가 배수되는 온수급수전(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수는, 일반적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정화장치를 더 구비하여 정화장치에 의해 정화된 정화수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상기 열 교환부(200)는, 내부에 냉각부(211)가 구비되고 상기 온수탱크(120)의 끓여진 물이 공급되어 상기 냉각부(211)에 의해 열 교환되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열 교환기(210)로 구성된다.
상기 열 교환기(210)는, 통상적으로 원통형이나 판형 또는 쉘앤튜브형으로 구성된 일반적인 열 교환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냉각수가 유로하는 냉각부(211)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기능이 이루어지는 것 으로, 상기 열 교환기(210)의 내부에 구비된 냉각부(211)에 차가운 상수를 공급하는 수단인 냉각수라인(220)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냉각수라인(220)을 통해 유로되는 냉각수가 상기 열 교환기(210)의 내부에 구성된 냉각부(211)에 의해 열 교환기(210)의 내부에 유입됨으로써, 상기 냉각부(211)에 의해 열 교환기(210)의 내부에서 열 교환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냉수공급부(30))는, 상기 열 교환부(200)에 의해 열 교환된 물이 내부로 유입되고 내부에 상기 열 교환되어 내부에 유입되는 물을 냉각하는 냉각코일(310)이 구비된 냉수탱크(320)와, 상기 냉수탱크(320)에 연결되어 냉각코일(310)에 의해 냉각된 냉수가 배수되는 냉수급수전(330)으로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온수공급부(100)와, 열 교환부(200) 및 냉수공급부(300)에 각각 연결되어 온수탱크의 끓여진 물이 열 교환기를 지나 냉수탱크로 유입되도록 하는 수단인 공급라인(P)이 더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식수 공급장치는, 공급되는 상수가 상기 온수공급부(100)의 온수탱크(120) 내부로 유입되어 온수탱크(120)의 내부에 구성된 가열히터(110)에 의해 가열되어 끓여진 온수가 상기 온수탱크(120)와 연결된 온수급수전(130)을 통해 급수되어 온수를 음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공급부(100)의 온수탱크(120)에 의해 끓여진 물은 다시 공급라인(P)를 통해 열 교환부(200)의 열 교환기(2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이 열 교환기(210)에 의해 열 교환이 이루어지는 바, 상기 열 교환기(210)는 필요에 따라 그 개수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열 교환 기(210)(210)(210)를 연결 구성할 경우에는, 최초의 열 교환기(210)에 의해 1차 열 교환되는 상기 온수탱크(120)로부터 공급되는 끓여진 물은 약 70??로 냉각되고, 계속해서 두 번째 열 교환기(210)를 거치면서 다시 약 40??로 2차 열 교환되며, 세 번째 열교환기(210)를 거치면서 물의 온도는 약25??로 3차 열 교환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최초의 열교환기(210)에 의해 발생되는 폐열이 상기 온수탱크(12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폐열에 의해 온수탱크(120)의 내부에 공급되는 상수의 끓이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온수탱크(120) 내부에 구비된 가열히터(110)를 가열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전기료의 부담이 줄어든다.
또한, 열 교환부(200)의 열 교환기(210)에 의해 열 교환된 물은 공급라인(P)을 통해 상기 냉수공급부(300)의 냉수탱크(320)로 이동되어 유입되고, 이와 같이 냉수탱크(320)의 내부에 유입된 물은 다시 상기 냉수탱크(320)의 내부에 구성된 냉각코일(310)에 의해 냉각되어 음용자는 상기 냉수탱크(320)와 연결된 냉수급수전(330)을 통해 시원한 냉수를 음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최초의 상수가 온수공급부(100)의 온수탱크(120)의 내부에서 가열되어 끓여짐으로써 상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유해균이 사라진 온수를 음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온수공급부(100)의 온수탱크(120)에 의해 끓여진 물이 다시 열교환부(200)의 열 교환기(210)를 지나가는 과정에서 뜨거운 온수가 열 교환기(210)에 의해 냉각되기 때문에, 상기 냉수공급부(300)의 냉수탱크(320)에 공급되는 물은, 약 25??까지 냉각이 완료된 상태에서 냉수탱크(320)로 공급되어 냉수탱 크(320)의 냉각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온수공급부(100)의 온수탱크(120)에 의해 끓여진 물이 상기 냉수공급부(300)의 냉수탱크(320)에 유입되는 과정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외부의 각종 유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인 식수 공급장치는, 상기 열 교환부(200)의 열 교환기(210) 내부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라인(220)과, 상기 온수공급부(100)의 온수탱크(120)의 끓여진 물이 상기 열 교환부(200)로 전달되는 공급라인(P)에 각각 솔레노이드밸브(B)가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냉수를 사용하지 않은 겨울철에 상기 솔레노이드밸브(B)를 닫아 냉수가 공급되지 않고 온수만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식수 공급장치는, 냉각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폐열을 이용하여 온수탱크의 상수를 빠르게 끓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온수공급과 냉수의 공급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인 식수 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 교환부(200)의 열 교환기(210)에 의해 냉각된 물이 상기 냉수공급부(300)의 냉수탱크(320)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급라인(P1)은 상기 냉수급수전(230)에 의해 버려지는 물이 배수되는 배수조(12)의 내부를 지나 상기 냉수공급부(300)의 냉수탱크(320)에 연결된다.
즉, 상기 공급라인(P1)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수급수전(230)을 통해 음용자가 물을 공급받는 과정에서 버려지는 물이 모아져 배수되는 배수조(12) 의 내부를 지나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온수탱크(120)에 의해 끓여진 물은 열 교환부(200)를 지나는 과정에서 열 교환되어 냉각되고 다시 상기 공급라인(P1)이 인입된 상기 배수조(12)의 내부에 버려지는 차가운 폐수에 의해 재차 냉각되어 냉각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온수공급부(100)의 온수탱크(120)에 의해 끓여진 물을 냉각시켜 상기 냉수공급부(300)의 냉수탱크(320)의 내부로 공급하는 상기 열 교환부(200)에는 상기 열 교환기(210)에 의해 냉각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조(2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음용자가 상기 냉수공급부(300)에 의해 냉수를 이용하지 않아 냉수탱크(320)의 내부에 냉각된 물이 충진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온수탱크(120)의 물이 어느 정도 냉각되어 상기 저장조(230)에 저장되어 있다가, 상기 냉수탱크(320)의 물이 어느 정도 빠져나간 후에는 상기 저장조(230)에 저장된 물이 냉수탱크(320)에 공급되어 물의 냉각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저장조(230)의 일측에는 상기 저장조(230)에 저장된 물을 강제적으로 상기 냉수공급부(300)의 냉수탱크(320)로 공급하는 펌프(24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펌프(240)는 필요에 따라 구동되는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냉수탱크(320)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물이 어느 정도 빠져나가게 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펌프(240)가 구동되도록 하여 상기 저장조(230)에 저장되어 있는 물이 상기 냉수탱크(32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계속적인 냉수의 공급 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인 식수 공급장치는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범위을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식수 공급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한다.
첫째, 본 발명인 식수 공급장치는, 온수탱크의 내부에서 끓여진 물이 공급라인에 의해 냉수탱크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내부에 냉각수 라인에 의해 공급되는 차가운 상수가 냉각부가 구비된 열 교환기를 갖는 열 교환부에 의해 열 교환이 이루어짐으로써 냉각과정이 지연되는 것이 방지되어 냉각효율성이 향상된다.
둘째, 본 발명인 식수 공급장치는, 관리자가 상주할 필요 없이 냉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불필요한 경비를 줄일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인 식수 공급장치는, 식수가 급수전을 통해 급수되기 전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외부의 불순물이 식수에 유입되거나 하지 않는다.
넷째, 본 발명인 식수 공급장치는, 열 교환부를 거쳐 냉각된 식수가 다시 배수조에 의해 또 한번 냉각됨으로써 냉각효율성이 극대화 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인 식수 공급장치는, 냉각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차가운 냉수를 바로 공급받아 음용할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인 식수 공급장치는, 온수가 공급되는 열교환기의 폐열을 상 기 온수탱크 내부로 다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폐열을 이용하여 온수탱크의 상수를 빠르게 끓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열히터의 가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전기료를 월등하게 줄일 수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인 식수 공급장치는, 온수공급과 냉수의 공급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음용자가 언제든지 온수와 냉수를 선택하여 음용할 수 있다.

Claims (4)

  1. 상수가 내부에 공급되고 내부에 가열히터(110)가 구비된 온수탱크(120)와, 상기 온수탱크에 연결되어 온수탱크의 끓여진 온수가 배수되는 온수급수전(130)을 갖는 온수공급부(100)와;
    내부에 냉각부(211)가 구비되고 상기 온수탱크(120)의 끓여진 물이 공급되어 상기 냉각부(211)에 의해 열 교환되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열 교환기(210)를 갖는 열 교환부(200)와;
    상기 열 교환부(200)를 구성하는 열 교환기(210)의 내부에 구비된 냉각부(211)에 차가운 상수를 공급하는 수단인 냉각수라인(220)과;
    상기 열 교환부(200)에 의해 열 교환된 물이 내부로 유입되고 내부에 상기 열 교환되어 내부에 유입되는 물을 냉각하는 냉각코일(310)이 구비된 냉수탱크(320)와, 상기 냉수탱크(320)에 연결되어 냉각코일(310)에 의해 냉각된 냉수가 배수되는 냉수급수전(330)을 갖는 냉수공급부(300)와;
    상기 온수공급부(100)와, 열 교환부(200) 및 냉수공급부(300)에 각각 연결되어 온수탱크의 끓여진 물이 열 교환기를 지나 냉수탱크로 유입되도록 하는 수단인 공급라인(P)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부(200)의 열 교환기(210)에 의해 냉각된 물이 상기 냉수공급 부(300)의 냉수탱크(320)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급라인(P1)은 상기 냉수급수전(230)에 의해 버려지는 물이 배수되는 배수조(12)의 내부를 지나 상기 냉수공급부(300)의 냉수탱크(32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공급부(100)의 온수탱크(120)에 의해 끓여진 물을 냉각시켜 상기 냉수공급부(300)의 냉수탱크(320)의 내부로 공급하는 상기 열 교환부(200)에는 상기 열 교환기(210)에 의해 냉각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조(23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공급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230)의 일측에는 상기 저장조(230)에 저장된 물을 강제적으로 상기 냉수공급부(300)의 냉수탱크(320)로 공급하는 펌프(2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공급장치.
KR1020060036965A 2006-04-25 2006-04-25 식수 공급장치 KR100621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965A KR100621828B1 (ko) 2006-04-25 2006-04-25 식수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965A KR100621828B1 (ko) 2006-04-25 2006-04-25 식수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1828B1 true KR100621828B1 (ko) 2006-09-11

Family

ID=3762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965A KR100621828B1 (ko) 2006-04-25 2006-04-25 식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182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911B1 (ko) 2007-06-08 2007-12-27 김종태 직수를 음용수로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0954160B1 (ko) * 2007-12-10 2010-04-20 김창근 음용수 공급 장치
KR200452878Y1 (ko) * 2008-06-19 2011-03-23 이병화 단체급수용 식수대
KR101624542B1 (ko) * 2014-07-21 2016-05-26 주식회사 물사랑 열교환기가 구비된 집단급수용 가열소독 정수설비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336U (ko) * 1989-06-30 1991-01-24 주식회사 금성사 어학학습용 오디오 시스템
JPH03134455A (ja) * 1989-10-16 1991-06-07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却飲料ディスペンサ装置
KR940004255U (ko) * 1992-07-31 1994-02-24 금성계전주식회사 전자접촉기의 여자코일장치
KR940008438A (ko) * 1992-09-28 1994-04-29 윤종용 타이머의 개별적인 기능 콘트롤 방법
JPH0848394A (ja) * 1994-08-04 1996-02-20 Hoshizaki Electric Co Ltd 飲料ディスペンサ
KR20000020068U (ko) * 1999-04-27 2000-11-25 김철병 음용수용 온수 공급 보일러
KR200285574Y1 (ko) * 2002-05-23 2002-08-13 하광효 냉수공급장치
KR200367329Y1 (ko) * 2004-08-10 2004-11-11 주식회사 경남주방기계 냉온수 공급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336U (ko) * 1989-06-30 1991-01-24 주식회사 금성사 어학학습용 오디오 시스템
JPH03134455A (ja) * 1989-10-16 1991-06-07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却飲料ディスペンサ装置
KR940004255U (ko) * 1992-07-31 1994-02-24 금성계전주식회사 전자접촉기의 여자코일장치
KR940008438A (ko) * 1992-09-28 1994-04-29 윤종용 타이머의 개별적인 기능 콘트롤 방법
JPH0848394A (ja) * 1994-08-04 1996-02-20 Hoshizaki Electric Co Ltd 飲料ディスペンサ
KR20000020068U (ko) * 1999-04-27 2000-11-25 김철병 음용수용 온수 공급 보일러
KR200285574Y1 (ko) * 2002-05-23 2002-08-13 하광효 냉수공급장치
KR200367329Y1 (ko) * 2004-08-10 2004-11-11 주식회사 경남주방기계 냉온수 공급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911B1 (ko) 2007-06-08 2007-12-27 김종태 직수를 음용수로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0954160B1 (ko) * 2007-12-10 2010-04-20 김창근 음용수 공급 장치
KR200452878Y1 (ko) * 2008-06-19 2011-03-23 이병화 단체급수용 식수대
KR101624542B1 (ko) * 2014-07-21 2016-05-26 주식회사 물사랑 열교환기가 구비된 집단급수용 가열소독 정수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1828B1 (ko) 식수 공급장치
KR101632202B1 (ko) 바닥코일 가온 방식 양식 수조용 히트펌프 시스템
CN207365390U (zh) 一种节能双热智能直饮开水机
KR200424091Y1 (ko) 냉수와 온수의 순환교류방식에 따른 급수시스템
CN209235825U (zh) 一种具有节能防烫功能的即热式开水器
KR101753530B1 (ko) 직수형 고온살균 급수시스템
CN104067066B (zh) 锅炉附着型热水箱
CN216393810U (zh) 一种步进式加热无承压下热交换凉白开水恒温饮水机
JP4937561B2 (ja) 純自然温泉風呂用の温泉水の供給システム
GB2304877A (en) Water supply with heat recovery
CN208851226U (zh) 一种多龙头饮水台
JP2007051830A (ja) 蓄熱式給湯装置
CN219422623U (zh) 一种饮水机
CA2748025C (en) Indirect hot water cooling device
DK200200188U3 (da) Vandvarmesystem til opvarmning af brugsvand i en vandvarmer
CN216393819U (zh) 一种步进式加热无承压下热交换凉白开水恒温系统
CN1284631A (zh) 一种供应饮用水的开水炉
KR200285574Y1 (ko) 냉수공급장치
JP2007071409A (ja) 貯湯式給湯装置
JP5706304B2 (ja) 貯湯式風呂装置
CN215190947U (zh) 一种即热式婴幼儿智能饮用水机
CN214484256U (zh) 饮水机的灭菌装置
CN210493739U (zh) 一种节水型公共饮水设备
CN218237876U (zh) 饮用水供给装置
CN213147103U (zh) 一种家用净水器制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