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262Y1 - 농산물 건조줄 - Google Patents
농산물 건조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85262Y1 KR200285262Y1 KR2020020014153U KR20020014153U KR200285262Y1 KR 200285262 Y1 KR200285262 Y1 KR 200285262Y1 KR 2020020014153 U KR2020020014153 U KR 2020020014153U KR 20020014153 U KR20020014153 U KR 20020014153U KR 200285262 Y1 KR200285262 Y1 KR 20028526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dry
- rack
- drying
- fixing hol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늘, 양파, 고추, 곳감등의 농산물을 건조시 원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건조줄과 접촉부위를 가능한 줄여 건조시킴으로서 건조물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농산물 건조줄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고안에는
건조 농산물의 꽂이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의 하부에 연장되며 상기 꽂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공이 형성되는 판 형상의 꽂이 고정부와;
상기 고정공의 하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꽂이 고정부의 두께 보다 두껍게 돌출형성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꽂이 고정부와 상기 받침부가 하나의 단위를 형성하고, 이들 단위들이 서로 이어져 하나의 줄을 형성하는 농산물 건조줄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농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농산물 건조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늘, 양파, 고추, 곳감등의 농산물을 건조시 원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건조줄과 접촉부위를 가능한 줄여 건조시킴으로서 건조물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농산물 건조줄에 관한 것이다.
인력이 부족한 농가에서 농산물을 편리하게 건조시키기 위한 농산물 건조줄은 필수적인 것으로 여러 가지 방식의 건조줄들이 연구 개발되어져 왔다. 그 중 하나가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35709호에 기재된 곶감꽂이 행거라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농산물 건조줄에 해당하는 행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행거는 곳감 꽂이용 행거로서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에 도시된 도면으로서 주요 구성은 곳감 꽂이홈(22)이 형성된 고정부(20)와 고정부의 하단과 연결되는 연결부위에 링(32)이 형성된 연결대(30)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구성의 행거는 곳감을 비롯한 농산물을 꽂아 건조시킬 때, 농산물이 건조됨에 따라서 아래로 처지게 되고, 이와 같이 처짐 현상이 나타나게 되면 고정부(20)나 연결대(30)에 식용코자 하는 부분이 접촉하게되고, 충분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아 부패나 변색이 이루어져 상품성을 상실하게 된다.
또한, 곳감 꽂이홈(22)는 상, 하 방향으로 테이퍼 형상의 홈으로 직선 형상을 유지하기 때문에 줄에 외부 충격이 가하여 지거나 바람이 심하게 부는 경우에는 곳감이 탈루되게 된다.
또한, 곳감 꽂이가 곳감 꽂이홈(22)에 고정되고, 곳감의 하중이 지면에 수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곳감의 형상이 아래로 처지는 형상으로 원래상태보다 기형적으로 변형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곳감을 비롯하여 건조가 필요한 농산물을 건조시킬 때, 사용하기가 편리하고, 부패나 변색등의 염려가 줄어들고, 외부충격에 탈루가 되지 않으며, 가능한원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조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농산물 건조줄에 해당하는 행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곳감을 꽂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건조줄이 설치되는 고정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건조 농산물의 꽂이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의 하부에 연장되며 상기 꽂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공이 형성되는 판 형상의 꽂이 고정부와;
상기 고정공의 하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꽂이 고정부의 두께 보다 두껍게 돌출형성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꽂이 고정부와 상기 받침부가 하나의 단위를 형성하고, 이들 단위들이 서로 이어져 하나의 줄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고정공의 형상은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고정공의 종단에 형성되는 사각형상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서 연장되어 다음 꽂이 고정부에 이어지는 원형 또는 반원 형상의 연장부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합성수지 판재로 이루어진 고정부(20) 내에는 마름모꼴의 꽂이 삽입공(21)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모서리에는 고정공(22)이 형성된다. 고정공(22)은 곡선, 바람직하기로는 S자 형상의 곡선이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고정공(22)의 하단부에는 사각 돌출부(30)가 형성되어져 있고, 사각 돌출부(30)에는반원형상의 연장부(31)가 형성된다. 이때, 반원상 연장부는 다음 고정부(21)의 상면에 형성되어지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곳감을 꽂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곳감을 꽂아 건조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곳감은 감의 과실부분(101)의 껍질을 벗기고, 감의 꼭지받침(102)과 꼭지대(103)로 이루어진 꼭지중 꼭지대(103)를 삽입공(21)에 넣고 아래로 당기게 되면 꼭지대(103)는 고정공(22)을 따라서 아래로 내려가 걸리게 된다. 이때, 꼭지받침(102)은 사각 돌출부(30)의 상면에 걸쳐지게되고, 과실부분(101)은 반원상 연장부(31)에 걸쳐지게 된다.
상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곳감이 건조줄에 꼿아져 건조될 때, 과실부분(101)이 직접 건조줄에 접촉되는 부분이 최소화 됨으로써 접촉부위의 변색등을 최소화한다. 또한, 곳감이 건조줄에 최대로 가압하는 부분에 사각 돌출부(30)를 형성하고, 이 상면에 곳감의 꼭지받침(102)이 접촉되고, 이 꼭지받침(102)은 곳감의 최종 가공시에 잘라버려지게 됨으로써 곳감 전체적으로 동일한 색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각 돌출부(30)는 고정부(20)의 판재보다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곳감의 꼭지대(103)가 건조줄의 고정공(22)에 협지되어 장시간을 매달리고, 곳감의 하중에 의하여 고정공(22)이 벌어져 곳감이 고정공으로 이탈되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사각 돌출부(30)는 꼭지 받침(102)을 받쳐줌으로써 건조시 곳감의 아래로 쳐짐현상을 많이 완화시켜주어 가능한 원형 상태를 유지토록 한다.
또한, 고정공(22)의 형상이 곡선을 형성하도록 하여 외부 충격에 의하여 곳감이 건조줄로부터 쉽게 탈루 되지 않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제 1 실시예에서 연장부(31)가 고정부(20)의 판재상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나,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의 변형된 예로서, 연장부(31)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통 형상의 연장부(31)의 중심 두께에서 판재형상으로 고정부(20)가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시된 실시예들과는 달리 고정부(20)의 고정공이 곡선형상이 아니라 단순히 직선형성으로 입구가 크고, 종단이 작은 테이퍼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건조줄이 하나의 금형에 의하여 생성될 때 금형의 크기를 축소하기 위하여 금형 배치상 복수의 곡선부를 갖도록 생성하고, 사출물이 굳기 전에 곡선부를 펴서 줄이 완성되도록 한다. 이때, 금형 배치상 곡선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사각 돌출부(30)와 연장부(31)는 직선부에 비해서 돌출되는 정도가 작게 형성함으로써 곡선이 이루어지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건조줄이 설치되는 고정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건조줄(200)의 상단부에는 버클공이 형성된 고리(32)가 형성되어져 있고, 구조물에 고정설치된 건조대(110)에 건조줄(200)의 상단부를 감고, 건조줄(200)의 하단부를 고리(32)내부로 통과시켜 잡아당기면 건조줄(200)은 건조대(110)에 고정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 특히 곳감을 건조시키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농산물등의 건조에도 변경 설계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기의 목적과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르면,
(1) 곳감을 비롯한 농산물을 외부충격이나 바람등에 안정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으며,
(2) 건조시에 특정부위의 색상의 변화나 습기로 인한 곰팡이등을 제거할 수 있어 건조물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3) 건조전의 원형상태를 보존하면서 건조가 용이하기 때문에 건조 대상물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3)
- 건조 농산물의 꽂이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의 하부에 연장되며 상기 꽂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공이 형성되는 판 형상의 꽂이 고정부와;상기 고정공의 하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꽂이 고정부의 두께 보다 두껍게 돌출형성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꽂이 고정부와 상기 받침부가 하나의 단위를 형성하고, 이들 단위들이 서로 이어져 하나의 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공의 형상은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줄.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고정공의 종단에 형성되는 사각형상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서 연장되어 다음 꽂이 고정부에 이어지는 원형 또는 반원 형상의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14153U KR200285262Y1 (ko) | 2002-05-09 | 2002-05-09 | 농산물 건조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14153U KR200285262Y1 (ko) | 2002-05-09 | 2002-05-09 | 농산물 건조줄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25202A Division KR100443749B1 (ko) | 2002-05-08 | 2002-05-08 | 농산물 건조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85262Y1 true KR200285262Y1 (ko) | 2002-08-13 |
Family
ID=73122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14153U KR200285262Y1 (ko) | 2002-05-09 | 2002-05-09 | 농산물 건조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85262Y1 (ko) |
-
2002
- 2002-05-09 KR KR2020020014153U patent/KR20028526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360164A (en) | Clothespin | |
NZ504022A (en) | Animal chew comprising moulded, dehydrated fruit chips | |
USD468193S1 (en) | Clothes bar | |
KR100443749B1 (ko) | 농산물 건조줄 | |
KR200285262Y1 (ko) | 농산물 건조줄 | |
US4391427A (en) | Holder for a bar of soap | |
IT1307284B1 (it) | Alimento addizionato con una carnitina, atto a stimolare la biosintesidi acidi grassi poliinsaturi dagli acidi grassi saturi contenuti | |
KR200234090Y1 (ko) | 곶감 건조용 선반 | |
KR200369332Y1 (ko) | 곶감 건조기 | |
KR200283286Y1 (ko) | 합성수지 채반 | |
CN211944605U (zh) | 花束用球形果蔬固定装置 | |
KR910007110Y1 (ko) | 어류 건조기 | |
KR970002405Y1 (ko) | 오징어 건조 형틀 | |
JPS6022868Y2 (ja) | ブラシケ−ス | |
KR200242292Y1 (ko) | 생선회용 접시 | |
KR200369348Y1 (ko) | 곶감 걸이구 | |
JPS5854953Y2 (ja) | 凍豆腐用吊具 | |
KR200234346Y1 (ko) | 망사수세미 | |
KR200220869Y1 (ko) | 씨 버리는 접시 | |
KR0140720Y1 (ko) | 통풍 및 통습효과가 우수한 농업용 매트 | |
JPH11239445A (ja) | 柿つるし具 | |
KR200241169Y1 (ko) | 의류용 걸이대 | |
KR200352585Y1 (ko) | 음식조리용 찜판 | |
US20030041510A1 (en) | Gardening ornament frame | |
JPH062638Y2 (ja) | 物干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305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