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247Y1 - 신발중창 - Google Patents

신발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247Y1
KR200285247Y1 KR2020020013912U KR20020013912U KR200285247Y1 KR 200285247 Y1 KR200285247 Y1 KR 200285247Y1 KR 2020020013912 U KR2020020013912 U KR 2020020013912U KR 20020013912 U KR20020013912 U KR 20020013912U KR 200285247 Y1 KR200285247 Y1 KR 2002852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midsole
shank
air tube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9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성
Original Assignee
이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성 filed Critical 이태성
Priority to KR20200200139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2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2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247Y1/ko

Lin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중창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측에 복수개로 분할된 다수의 공간부가 하향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발바닥 전체에 부하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지지해주기 위한 섕크와, 저면측 일부분이 상기 공간부의 외측으로 하향 융출되도록 상기 섕크의 공간부에 하나 이상 수용 및 지지되어 그 지점으로부터 착용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주는 에어튜브와, 상기 섕크의 둘레 및 상부에 일체로 발포 성형된 중창몸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신발중창에 의하면, 중창몸체부 내에 형성된 섕크에 의해 하향 지지되는 에어튜브 구조를 이룸으로써 기존의 충격완화용 신발에 비해 그 기능이 더욱 향상되어 일반적인 달리기 및 걷기 운동이나 파워워킹시에도 착용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신발중창{Midsole of shoes}
본 고안은 신발중창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충격완화용 신발에 비해 그 기능이 더욱 향상되어 일반적인 달리기 및 걷기 운동이나 파워워킹시에도 착용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 신발중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달리기나 걷기는 자신의 체력 조건에 맞는 적절한 속도와 거리를 파악한 후 규칙적이고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경우에 다른 어떤 운동보다도 자신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가장 이상적인 운동방법인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운동화 정도만 있으면 그 외에 특별한 장비나 장소의 제약 없이 누구나 손쉽게 운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 주변에서는 조석으로 달리기나 걷기 운동을 하는 사람들을 흔히 접할 수 있으며, 그 저변 인구가 급증하여 이미 가장 보편화된 운동으로 자리잡고 있다.
최근 미국 매사추세츠 의과대학측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주당 4회, 1회당 45분을 일정속도로 걷는 사람은 음식물 섭취와 상관없이 해마다 체중을 8.2kg 정도 감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장과 폐 및 뼈가 튼튼해지고, 지구력이 향상되어 피로감 없이 일상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고 한다. 특히, 등을 펴 상체를 똑바르게 하고 복부와 턱을 끌어당긴 상태에서 무릎 안쪽을 쭉 펴고 발은 뒤꿈치부터 발끝에 이르도록 접지하며 팔을 앞뒤로 크게 흔들어 속보하는 파워워킹(power walking)은 오히려 정상적인 달리기를 하는 것보다도 더 많은 운동효과를 낼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누구나 손쉽게 할 수 있는 이러한 달리기나 걷기 운동도 개인의 습관에 의해 바른 자세를 유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장기간 계속하거나 또는 성급한 마음으로 무리하게 지속하게 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허리나 무릎 등의 관절부위에 심각한 부상을 입을 수도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척추나 관절 계통의 부상 예방을 위해서는 상기 운동들에 적합한 전용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현재 시중에는 운동 중 착용자에게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도록 중창 내에 에어튜브가 개재된 기능성 신발들이 다양하게 보급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에어튜브가 내장된 종래의 중창은 상기 에어튜브의 공기용적 자체가 적고, 그 상하 공기수용 폭을 보존함과 동시에 측방으로의 신축변형을 억제하여 상기 에어튜브의 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상기 중창 자체의 신축성이 낮으므로 에어쿠션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중창은 착용자가 발뒤꿈치로부터 발끝에 이르도록 접지하여 걷는 파워워킹시에는 적합하지 못하여 장시간 운동시 착용자의 관절 등에 무리를 줄 수 있으므로 부상의 위험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기존의 충격완화용 신발에 비해 그 기능이 더욱 향상되어 일반적인 달리기 및 걷기 운동이나 파워워킹시에도 착용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신발중창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에어튜브 내에 발광수단을 장착하여 착용자가걸을 때마다 신발창 외부로 빛이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심미감을 갖게 할 뿐만 아니라 유아 등에게 호기심을 유발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운동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신발중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신발중창은, 내측에 복수개로 분할된 다수의 공간부가 하향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발바닥 전체에 부하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지지해주기 위한 섕크와, 저면측 일부분이 상기 공간부의 외측으로 하향 융출되도록 상기 섕크의 공간부에 하나 이상 수용 및 지지되어 그 지점으로부터 착용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주는 에어튜브와, 상기 섕크의 둘레 및 상부에 일체로 발포 성형된 중창몸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창몸체부의 측면에는 상기 에어튜브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투시창이 형성되고, 착용자의 발바닥 일부와 맞닿는 상기 에어튜브 상면쪽의 중창몸체부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및 이와 연결되어 회로를 개폐 조작시켜주는 접점스위치가 수용 설치되며, 상기 에어튜브 내에는 상기 배터리 및 접점스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접점스위치의 가압에 의한 폐회로 구성시 상기 에어튜브 내에서 발광할 수 있는 전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섕크는 하향 개방된 3개의 공간부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중 착용자의 체중이 집중적으로 부하되는 각 부위에서 완충 가능하도록 상기 양단쪽 공간부에 복수의 에어튜브가 각각 결합 수용됨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섕크는 하향 개방된 3개의 공간부로 분할 형성되고, 착용자가 발뒤꿈치로부터 발끝에 이르도록 접지하여 걷는 파워워킹시 완충 가능하도록 상기 공간부중 중앙쪽 공간부에 상기 에어튜브가 결합 수용된 구성을 이룰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중창이 적용된 신발창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중창이 적용된 신발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중창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중창이 적용된 신발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안창(insole) 2 ; 바깥창(outsole)
10, 20 ; 중창(midsole) 11, 31 ; 중창몸체부
12 ; 투시창 13 ; 섕크(shank)
14 ; 공간부 15 ; 에어튜브(air tube)
20 ; 발광장치부 21 ; 전구
22 ; 배터리 23 ; 접점스위치
w ; 완충 폭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중창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중창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의 중창(10)이 적용된 신발창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중창(10)이 적용된 신발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중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신발창은 착용자의 발바닥과 맞닿게 되는 안창(1)과, 착용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중창(10) 및 지면과 접촉하는 바깥창(2)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안창(1)은 흡습성 및 통기성이 좋은 재질을 사용하고, 상기 바깥창(2)은 내마모성 및 탄성이 좋은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되며, 이는 통상의 것과 유사하다.
본 고안에 따른 중창(10)은, 내측에 복수개로 분할된 다수의 공간부(14)가 하향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발바닥 전체에 부하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지지해주기 위한 섕크(13)와, 저면측 일부분이 상기 공간부의 외측으로 하향 융출되도록 상기 섕크(13)의 공간부에 하나 이상 수용 및 지지되어 그 지점으로부터 착용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주는 에어튜브(15)와, 상기 섕크(13)의 둘레 및상부에 일체로 발포 성형된 중창몸체부(11)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섕크(13)는 3개의 분할된 공간부(14)를 갖는 대략 3개의 원호형상으로 볼록하게 상향 굴곡진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 정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경화수지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에어튜브(15)는 상기 섕크(13)의 공간부(14)에 끼워 맞춰지는 것으로, 상기 공간부(14)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지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할 수 있는 두께를 갖는 것이다. 상기 에어튜브(15)는 상기 공간부(14)중 착용자의 체중이 집중적으로 부하되는 각 부위에서 완충 가능하도록 상기 양단쪽 공간부(14)에 2개의 에어튜브(15)가 각각 결합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중창몸체부(11)의 측면에는 상기 에어튜브(15)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투시창(12)이 형성되고, 상기 중창몸체부(11) 및 에어튜브(15)에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발광장치부(20)가 장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발광장치부(20)는, 상기 에어튜브(15) 내에 설치되는 전구(21)와, 상기 전구(21)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22)와, 착용자가 발바닥으로 가압할 때마다 상기 전구(21)가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회로를 개폐시켜주는 접점스위치(23)를 갖는 것으로서, 착용자의 발바닥 일부와 맞닿는 상기 에어튜브(15) 상면쪽의 중창몸체부(11)에는 상기 배터리(22) 및 접점스위치(23)가 수용 설치되며, 상기 에어튜브(15) 내에는 상기 에어튜브 내에서 발광할 수 있는 상기 전구(21)가 구비된 구조를 이루는 것이다.
상기의 발광구조는 착용자가 발바닥으로 체중을 실었을 때 상기접점스위치(23)가 눌려져 폐회로를 이룸으로써 중창몸체부(11)의 투시창(12)을 통해 빛이 발산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이루는 상기 실시예의 구조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발바닥 부위중 가압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전후 부위에 대하여 완충될 수 있으므로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신발창의 바닥면에 대해 소정의 완충 폭(w)을 유지함과 아울러 그 탄성이 내부의 섕크(13)에 의해 지지되므로 완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에어튜브(15)의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파워워킹(power walking)용으로 적합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중창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창(30)의 단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중창(30)이 적용된 신발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중창(30)은, 선행 실시예에서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상기 섕크(13)의 중앙쪽 공간부(14)에 하나의 에어튜브(15)가 삽입 설치된 구성으로서, 착용자가 발뒤꿈치로부터 발끝에 이르도록 접지하여 걷는 파워워킹시 완충 가능하도록 상기 공간부(14)중 중앙쪽 공간부(14)에 에어튜브(15)가 수용되어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파워워킹은 발뒤꿈치로부터 발끝에 이르기까지 순차적으로 접지하게 되므로 신발창의 중앙부위에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면 그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중창몸체부(11) 및 에어튜브(15) 내에 별도의 발광장치부(20)를 마련하여 외부로 빛을 발산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신발중창은, 중창몸체부 내에 형성된 섕크에 의해 하향 지지되는 에어튜브 구조를 이룸으로써 기존의 충격완화용 신발에 비해 그 기능이 더욱 향상되어 일반적인 달리기 및 걷기 운동이나 파워워킹시에도 착용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신발중창은, 에어튜브 내에 발광수단을 장착하여 착용자가 걸을 때마다 신발창 외부로 빛이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심미감을 갖게 할 뿐만 아니라 유아 등에게 호기심을 유발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운동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함은 극히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내측에 복수개로 분할된 다수의 공간부가 하향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발바닥 전체에 부하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지지해주기 위한 섕크;
    저면측 일부분이 상기 공간부의 외측으로 하향 융출되도록 상기 섕크의 공간부에 하나 이상 수용 및 지지되어 그 지점으로부터 착용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주는 에어튜브; 및
    상기 섕크의 둘레 및 상부에 일체로 발포 성형된 중창몸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중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몸체부의 측면에는 상기 에어튜브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투시창이 형성되고, 착용자의 발바닥 일부와 맞닿는 상기 에어튜브 상면쪽의 중창몸체부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및 이와 연결되어 회로를 개폐 조작시켜주는 접점스위치가 수용 설치되며, 상기 에어튜브 내에는 상기 배터리 및 스위치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의 가압에 의한 폐회로 구성시 상기 에어튜브 내에서 발광할 수 있는 전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중창.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섕크는 하향 개방된 3개의 공간부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중 착용자의 체중이 집중적으로 부하되는 각 부위에서 완충 가능하도록 상기 양단쪽 공간부에 복수의 에어튜브가 각각 결합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중창.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섕크는 하향 개방된 3개의 공간부로 분할 형성되고, 착용자가 발뒤꿈치로부터 발끝에 이르도록 접지하여 걷는 파워워킹시 완충 가능하도록 상기 공간부중 중앙쪽 공간부에 상기 에어튜브가 결합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중창.
KR2020020013912U 2002-05-07 2002-05-07 신발중창 KR2002852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912U KR200285247Y1 (ko) 2002-05-07 2002-05-07 신발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912U KR200285247Y1 (ko) 2002-05-07 2002-05-07 신발중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247Y1 true KR200285247Y1 (ko) 2002-08-13

Family

ID=73122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912U KR200285247Y1 (ko) 2002-05-07 2002-05-07 신발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2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40223B (zh) 具有稳定围栏的鞋类物品
ES2397161T3 (es) Calzado propioceptivo/cinestético
US4223457A (en) Heel shock absorber for footwear
US7900376B2 (en) Shoe spring and shock absorbing system
US4974343A (en) Foot support and cushioning device
GB2288720A (en) Resilient sole
JP2015526251A (ja) バスケットボール・インソール
US6065229A (en) Multiple-part foot-support sole
US5621984A (en) Amusement footwear having a resilient sole
US20170202306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new insole board and insole structure to absorb shock and keep resilience at forefoot and heel areas of foot
KR100960562B1 (ko)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
US5685092A (en) Physiological motion enhancing shoe sole
JPH04503626A (ja) 履物の中底
EP4248785A1 (en) Shoe sole with shock absorbing layer structure
KR200285247Y1 (ko) 신발중창
KR101245973B1 (ko) 신발 중창
KR100498615B1 (ko) 족저근막염 안창
JP2010184098A (ja) インソール及びインソールを製造する方法
JP4618622B2 (ja) トレ−ニングシュ−ズ
KR200384325Y1 (ko) 발 교정용 신발깔창
US6189241B1 (en) Cushioned in-line skate shoe
CN213550067U (zh) 磁铁弹跳鞋底
US20050160630A1 (en) Soccer shoe component or insert made of one material and/or a composite and/or laminate of one or more materials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the soccer shoe
JP3111460U (ja) 履物
CN219877586U (zh) 一种鞋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