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203Y1 - 냉온 겸용 식품저장기 - Google Patents

냉온 겸용 식품저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203Y1
KR200285203Y1 KR2020020013205U KR20020013205U KR200285203Y1 KR 200285203 Y1 KR200285203 Y1 KR 200285203Y1 KR 2020020013205 U KR2020020013205 U KR 2020020013205U KR 20020013205 U KR20020013205 U KR 20020013205U KR 200285203 Y1 KR200285203 Y1 KR 2002852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unit
cold air
cold
wa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2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오
최갑진
오병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진양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진양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진양테크
Priority to KR20200200132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2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2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203Y1/ko
Priority to CNU032573545U priority patent/CN2632004Y/zh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able Equipment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온 겸용 식품저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제작된 냉장부 및 온장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를 분리 가능하도록 하여 계절의 변화에 따라 식품의 저장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식품저장기의 이동 및 운반을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110)를 구비하여 프레임(120)과 투명창(130)으로 이루어진 밀폐공간 하면에 토출구(140)가 형성되고 외측 하부에 다수개의 걸쇠(160)가 구비된 온장부(100)와; 도어(210)를 구비하여 프레임(220)과 투명창(230)으로 이루어진 밀폐공간 상면에 토출구(240) 및 흡입구(250)가 형성되고 외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다수개의 고정고리(270) 및 걸쇠(260)가 구비된 냉장부(200)와; 외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다수개의 고정고리(370) 및 걸쇠(360)가 구비되어 상기 온장부(100)와 냉장부(200) 사이에 위치하며, 제어패널(3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온장부(100)에 온기를 공급하는 온기발생장치(320)와, 상기 냉장부(20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발생장치(330)로 이루어진 제어부(300)와; 외측 상부에 체결된 다수개의 고정고리(470)와, 하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구름수단(410)으로 이루어진 이동부(400)로 구성되어, 내부를 볼 수 있는 일체형 식품저장기를 이용하여 계절의 변화에 따라 식품의 저장위치를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동시에, 적은 면적을 점유하게 됨으로써, 식품의 보관 및 판매를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식품저장기를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동 및 운반은 물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경제성 및 상품성을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냉온 겸용 식품저장기 {Hot and cold multi-food reservoir}
본 고안은 냉온 겸용 식품저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제작된 냉장부 및 온장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를 분리 가능하도록 하여 계절의 변화에 따라 식품의 저장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식품저장기의 이동 및 운반을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한 장치로써, 내부를 볼 수 있는 일체형 식품저장기를 이용하여 계절의 변화에 따라 식품의 저장위치를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동시에, 적은 면적을 점유하게 됨으로써, 식품의 보관 및 판매를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식품저장기를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동 및 운반은 물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경제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의 전시와 판매를 목적으로 제작되는 식품저장기는 크게 온장기능을 갖은 식품저장기와 냉장기능을 가진 식품저장기로 분류되며, 이러한 식품저장기는 식품의 유통보관 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식품저장기는 온장 또는 냉장의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하면서도 소비자가 상기와 같이 식품저장기 내에 진열되어 있는 식품을 용이하게 눈으로 보거나 손으로 만져 본 후, 구매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식품저장기는 온장용 식품저장기와 냉장용 식품저장기가 각각 개별적으로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계절 및 식품의 보관온도에 따라 온장용 식품저장기와 냉장용 식품저장기를 동시에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많은 공간이 요구되어 질 뿐 아니라, 개별적인 제작단가가 상승하게 되며, 이러한 온장용 식품저장기와 냉장용 식품저장기를 동일한 장소에 설치하게 되면, 번갈아 가면서 교체하여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이러한 식품저장기는 단열을 목적으로 불투명하게 처리되고 있어, 그 내부를 용이하게 볼 수 없기 때문에 식품의 진열 및 광고효과가 어렵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를 볼 수 있는 일체형 식품저장기를 이용하여 계절의 변화에 따라 식품의 저장위치를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동시에, 적은 면적을 점유하게 됨으로써, 식품의 보관 및 판매를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식품저장기를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동 및 운반은 물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경제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냉온 겸용 식품저장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어를 구비하여 프레임과 투명창으로 이루어진 밀폐공간 하면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외측 하부에 다수개의 걸쇠가 구비된 온장부와; 도어를 구비하여 프레임과 투명창으로 이루어진 밀폐공간 상면에 토출구 및 흡입구가 형성되고 외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다수개의 고정고리 및 걸쇠가 구비된 냉장부와; 외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다수개의 고정고리 및 걸쇠가 구비되어 상기 온장부와 냉장부 사이에 위치하며, 제어패널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온장부에 온기를 공급하는 온기발생장치와, 상기 냉장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발생장치로 이루어진 제어부와; 외측 상부에 체결된 다수개의 고정고리와, 하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구름수단으로 이루어진 이동부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냉온 겸용 식품저장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냉온 겸용 식품저장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냉온 겸용 식품저장기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냉온 겸용 식품저장기에 대한 제어부의 온기발생장치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냉온 겸용 식품저장기에 대한 제어부의 냉기발생장치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온장부 110, 210 : 도어
120, 220 : 프레임 130, 230 : 투명창
160, 260, 360 : 걸쇠 180, 280 : 온도센서
200 : 냉장부 270, 370, 470 : 고정고리
300 : 제어부 310 : 제어패널
320 : 온기발생장치 330 : 냉기발생장치
400 : 이동부 410 : 구름수단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냉온 겸용 식품저장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냉온 겸용 식품저장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냉온 겸용 식품저장기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냉온 겸용 식품저장기에 대한 제어부의 온기발생장치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냉온 겸용 식품저장기에 대한 제어부의 냉기발생장치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냉온 겸용 식품저장기는, 도어(110)를 구비하여 프레임(120)과 투명창(130)으로 이루어진 밀폐공간 하면에 토출구(140)가 형성되고 외측 하부에 다수개의 걸쇠(160)가 구비된 온장부(100)와; 도어(210)를 구비하여 프레임(220)과 투명창(230)으로 이루어진 밀폐공간 상면에 토출구(240) 및 흡입구(250)가 형성되고 외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다수개의 고정고리(270) 및 걸쇠(260)가 구비된 냉장부(200)와; 외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다수개의고정고리(370) 및 걸쇠(360)가 구비되어 상기 온장부(100)와 냉장부(200) 사이에 위치하며, 제어패널(3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온장부(100)에 온기를 공급하는 온기발생장치(320)와, 상기 냉장부(20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발생장치(330)로 이루어진 제어부(300)와; 외측 상부에 체결된 다수개의 고정고리(470)와, 하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구름수단(410)으로 이루어진 이동부(400)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물이 저류되어 열선(322)에 의하여 가열되는 용기(321)와, 상기 용기(321)에 구비된 수위감지센서(323)로 이루어진 온기발생장치(320)와; 컴프레서(331)와 콘덴서(332)에 의하여 냉기를 생성시켜 토출팬(333)을 통하여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발생장치(330)와; 내부의 열기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배기팬(350)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온장부(100) 및 냉장부(200)의 내부에 각각 추가로 구비된 온도센서(180, 280)로부터 온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패널(3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온기발생장치(320) 및 냉기발생장치(330)를 작동시키며, 전면에 위치한 표시부에 현재온도 및 설정온도를 지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냉온 겸용 식품저장기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온장부(100), 제어부(300), 냉장부(200), 이동부(400)가 수직하게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전면에 구비된 제어패널(310)의 제어에 따라 냉기와 온기를 생성시키며, 상기 온장부(100)는 하측에 위치한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온기를 공급받아 온장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냉장부(200)는 상측에 위치한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냉기를 공급받아 냉장기능을 수행하게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냉장부(200)의 하측에는 구름수단(410)을 구비한 이동부(400)가 위치한다.
이때, 상기 온장부(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벼우면서도 높은 강도를 지닌 프레임(120)에 단열유리로 이루어진 투명창(110)이 밀폐되도록 고정 체결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손잡이(211)를 구비한 도어(210)가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120)의 일측에 힌지 체결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온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토출구(14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111)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110)를 개방시킨 후, 상기 온장부(100)의 내부에 온장보관을 하고자 하는 식품을 진열할 수 있으며, 하측에 형성된 토출구(140)를 통하여 온기가 공급되어 식품을 온장 보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온장부(100)의 내부에는 상기 프레임(120)에 양단이 고정되도록 채반가이드(194)를 체결시키고, 상기 채반가이드(194)에 안착 가능하도록 채반(193)을 설치하여 상기 채반(193)을 이용하여 다단으로 식품을 보관할 수도 있으며, 상기 온장부(100)의 내부 상측에 조명수단(191)을 추가로 구비하도록 하여 야간이나 어두운 공간에서도 상기 온장부(100)의 내부에 보관 중인 식품을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 온장부(100)의 내부 상측면에는 결로방지판(192)을 수평하게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토출구(140)를 통하여 상기 온장부(100)로 공급된 습증기에의하여 상측면에서 응결수가 발생하여 식품으로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냉장부(200)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벼우면서도 높은 강도를 지닌 프레임(220)에 단열유리로 이루어진 투명창(230)이 밀폐되도록 고정 체결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손잡이(211)를 구비한 도어(210)가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220)의 일측에 힌지 체결되어 있으며, 상부 일측에는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냉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토출구(240)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타측에는 상기 제어부(300)로 내부의 공기가 배출 가능하도록 흡입구(25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211)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210)를 개방시킨 후, 상기 냉장부(200)의 내부에 냉장보관을 하고자 하는 식품을 진열할 수 있으며, 상부 일측에 형성된 토출구(240)를 통하여 냉기가 공급되며, 상기 냉장부(200)로 토출된 냉기는 식품에 냉기를 전달한 후 상부 타측에 형성된 흡입구(250)로 배출됨으로써 식품을 냉장 보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냉장부(200)의 내부에는 상기 프레임(220)에 양단이 고정되도록 채반가이드(294)를 체결시키고, 상기 채반가이드(294)에 안착 가능하도록 채반(293)을 설치하여 상기 채반(293)을 이용하여 다단으로 식품을 보관할 수도 있으며, 상기 냉장부(200)의 내부 상측에 조명수단(291)을 추가로 구비하도록 하여 야간이나 어두운 공간에서도 상기 냉장부(200)의 내부에 보관 중인 식품을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온장부(100) 및 냉장부(200)에 온기 및 냉기를 공급하는 제어부(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온기와 냉기를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패널(31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패널(310)에는 다수개의 로터리방식 스위치나 버튼식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온장부(100) 및 냉장부(200)를 용이하게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패널(310)은 상기 온장부(100) 및 냉장부(200)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분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300)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패널(310)의 제어에 따라 온기 및 냉기를 발생시키는 온기발생장치(320)와 냉기발생장치(330)가 각각 상측 및 하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온기발생장치(3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의 흐름에 따라 고열을 발생시키는 열선(322)을 물이 저류된 상기 용기(321)의 저부에 배치시킨 후, 상기 열선(322)에서 발생되는 고열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321)의 내부에 저류된 물을 끓임으로써, 이때, 발생되는 습증기를 상기 온장부(100)의 토출구(140)로 공급하여 상기 온장부(100)의 내부에 진열된 식품을 습식으로 온장 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용기(321)의 일측에는 상기 용기(321) 내부에 저류된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감지센서(323)를 설치하여 상기 용기 내부에 저류된 물의 양을 수시로 감지할 수 있으며, 경고부저나 경고램프 등을 상기 제어부(300)에 추가로 설치하여 상기 용기(321)에 저류된 물이 일정수위 이하로 낮아지면 경고음이 울리거나 경고램프가 점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냉기발생장치(3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프레서(331)와 콘덴서(332) 등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냉각 시스템을 적용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냉각 시스템에 의하여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코일을 토출팬(333)과 함께 상기 냉장부(200)의 흡입구(250)로 흡입한 공기를 냉각시킨 후 상기 냉장부(200)의 토출구(240)로 토출시켜 상기 냉장부(200)를 건식으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에는 상기 냉기발생장치(330)의 콘덴서(332)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시키는 배기팬(350)을 추가로 설치하여 상기 제어부(300) 내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4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냉장부(200) 및 온장부(100)와 제어부(300)가 수직하게 안착되며, 하측에는 다수개의 구름수단(410)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식품저장기의 설치위치를 용이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와 상기 냉장부(200)의 상하 측면에는 각각 고정고리(370, 270)와 걸쇠(360, 260)가 고정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온장부(100)의 하부 측면에는 걸쇠(160)가 고정 체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400)의 상부 측면에는 고정고리(470)가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온장부(100)의 걸쇠(160)에 상기 제어부(300)의 고정고리(370)를 체결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300)의 걸쇠(360)에 상기 냉장부(200)의 고정고리(270)를 체결할 수 있고, 상기 냉장부(200)의 걸쇠(260)에 상기 이동부(400)의고정고리(470)를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품저장기를 설치한 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걸쇠(160, 260, 360)와 고정고리(270, 370, 470)를 각각 체결하여 상기 식품저장기를 일체로 수직하게 조립하여 사용하게 되며, 상기 식품저장기를 이동 또는 운반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걸쇠(160, 260, 360)와 고정고리(270, 370, 470)를 해제시켜 상기 식품저장기를 분리시킨 후 용이하게 운반 또는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장부(100) 및 냉장부(200)의 내부에 각각 온도센서(180, 280)를 추가로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300)의 전면에 액정표시창으로 이루어진 표시부를 추가로 설치하여, 상기 온장부(100) 및 냉장부(200)에 구비된 온도센서(180, 280)에서 측정된 상기 온장부(100)와 냉장부(200)의 현재온도가 상기 표시부에 지시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온장부(100)와 냉장부(200)의 현재온도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패널(310)을 통하여 사용자가 설정온도를 입력하게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어패널(310)을 통하여 입력받은 설정온도와 상기 온장부(100) 및 냉장부(200)의 온도센서(180, 280)에서 측정된 현재온도를 입력받아, 설정온도와 현재온도를 비교하여 일정온도 차이가 발생하게되면 상기 온기발생장치(320) 및 냉기발생장치(330)를 작동시키게 하는 동시에, 전면에 위치한 표시부에 현재온도 및 설정온도를 지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식품의 진열 및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온장부(100) 및냉장부(200)와 제어부(300)를 걸쇠(160, 260)와 고정고리(370)를 통하여 일체로 수직하게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공간의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계절 및 보관온도에 따라 온장부(100) 및 냉장부(200)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식품저장기를 이동 또는 운반은 물론 유지보수시에는 각각의 부위를 분리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어부(300)에 마련된 제어패널(310)과 표시부를 통하여 온장부(100) 및 냉장부(200)의 현재온도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도 있으며 개별적인 온도제어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내부를 볼 수 있는 일체형 식품저장기를 이용하여 계절의 변화에 따라 식품의 저장위치를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동시에, 적은 면적을 점유하게 됨으로써, 식품의 보관 및 판매를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식품저장기를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동 및 운반은 물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경제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도어를 구비하여 프레임과 투명창으로 이루어진 밀폐공간 하면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외측 하부에 다수개의 걸쇠가 구비된 온장부와;
    도어를 구비하여 프레임과 투명창으로 이루어진 밀폐공간 상면에 토출구 및 흡입구가 형성되고 외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다수개의 고정고리 및 걸쇠가 구비된 냉장부와;
    외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다수개의 고정고리 및 걸쇠가 구비되어 상기 온장부와 냉장부 사이에 위치하며, 제어패널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온장부에 온기를 공급하는 온기발생장치와, 상기 냉장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발생장치로 이루어진 제어부와;
    외측 상부에 체결된 다수개의 고정고리와, 하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구름수단으로 이루어진 이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겸용 식품저장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물이 저류되어 열선에 의하여 가열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에 구비된 수위감지센서로 이루어진 온기발생장치와;
    컴프레서와 콘덴서에 의하여 냉기를 생성시켜 토출팬을 통하여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발생장치와;
    내부의 열기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배기팬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겸용 식품저장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장부 및 냉장부의 내부에 각각 추가로 구비된 온도센서로부터 온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패널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온기발생장치 및 냉기발생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전면에 위치하여 현재온도 및 설정온도를 지시하는 표시부가 추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겸용 식품저장기.
KR2020020013205U 2002-04-30 2002-04-30 냉온 겸용 식품저장기 KR2002852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205U KR200285203Y1 (ko) 2002-04-30 2002-04-30 냉온 겸용 식품저장기
CNU032573545U CN2632004Y (zh) 2002-04-30 2003-04-29 冷热兼用食品储藏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205U KR200285203Y1 (ko) 2002-04-30 2002-04-30 냉온 겸용 식품저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203Y1 true KR200285203Y1 (ko) 2002-08-13

Family

ID=34309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205U KR200285203Y1 (ko) 2002-04-30 2002-04-30 냉온 겸용 식품저장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285203Y1 (ko)
CN (1) CN2632004Y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385B1 (ko) * 2020-04-21 2021-09-07 주식회사 비전과학 의료용 냉온 보관장치
CN114735328A (zh) * 2022-03-04 2022-07-12 福建臻奇农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食材批发分拣用食材存放装置
CN117844627A (zh) * 2024-03-07 2024-04-09 石家庄市金标检验服务有限公司 一种食品微生物快速检测装置及检测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2341A (zh) * 2014-11-11 2015-03-04 南华大学 一种用于派送件货系统
CN112082321A (zh) * 2020-09-02 2020-12-15 衡阳市红彤彤农副产品有限公司 一种农产品冷藏密封观测窗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385B1 (ko) * 2020-04-21 2021-09-07 주식회사 비전과학 의료용 냉온 보관장치
CN114735328A (zh) * 2022-03-04 2022-07-12 福建臻奇农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食材批发分拣用食材存放装置
CN117844627A (zh) * 2024-03-07 2024-04-09 石家庄市金标检验服务有限公司 一种食品微生物快速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17844627B (zh) * 2024-03-07 2024-05-28 石家庄市金标检验服务有限公司 一种食品微生物快速检测装置及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632004Y (zh) 2004-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0949B2 (en) Mullion assembly for refrigerator quick chill and thaw pan
US7685837B2 (en) Freezer storage assembly for a refrigerator
US20140216706A1 (en) Humidity control sensor for a refrigerator
CN201808794U (zh) 一种多功能药物储存箱
KR20110033394A (ko) 현관문 및 대문에 부착되는 냉장고
US20110219800A1 (en) Supercooling system
US4505131A (en) Insulated cabinet
CN104520659B (zh) 冰箱
EP3132214B1 (en) Refrigerator
US6564570B2 (en) Horizontal refrigerator
KR200285203Y1 (ko) 냉온 겸용 식품저장기
US7334425B1 (en) Rotative tri-module refrigeration unit
JP2002235976A (ja) 冷蔵庫
JP2007175130A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JP2007282809A (ja) 調理販売ユニット
EP2092861B1 (en) Sales furniture
CN107339844A (zh) 壁挂式冷藏箱
KR101429599B1 (ko) 냉장/도시락 겸용 오픈 쇼케이스 제어방법
KR101398176B1 (ko) 냉,온장 겸용 오픈쇼케이스
JPH1047845A (ja) 家庭用冷蔵庫
JPS6249156A (ja) シヨ−ケ−ス
JP5277760B2 (ja) 冷蔵庫
JP3120285U (ja) 保冷・保温容器
US3010291A (en) Refrigeration apparatus
JP2022065405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