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202Y1 - 냉온수기용 급수 안내구 - Google Patents

냉온수기용 급수 안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202Y1
KR200285202Y1 KR2020020013176U KR20020013176U KR200285202Y1 KR 200285202 Y1 KR200285202 Y1 KR 200285202Y1 KR 2020020013176 U KR2020020013176 U KR 2020020013176U KR 20020013176 U KR20020013176 U KR 20020013176U KR 200285202 Y1 KR200285202 Y1 KR 2002852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cold
guide tube
drink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1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낙원
Original Assignee
정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낙원 filed Critical 정낙원
Priority to KR20200200131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2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2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202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온수기의 상단에 결합되는 생수통의 마개를 천공시켜 그 내부의 물을 안내하여 급수통으로 공급하여 주기 위한 냉온수기용 급수 안내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온수기(100) 내부의 급수통(102)의 개방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원통체의 안내관부(2) 상단에 첨예한 개봉돌부(22)를 일체로 형성하며, 그 안내관부(2) 내부에는 급수통로(46) 및 공기통로(27)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부(2)의 외면 상단에는 첨예한 개봉돌부(22)가 형성되고, 경사면(222) 일측에 일정 크기의 천공날(224)이 복수개 돌출 형성되며, 타측에는 음용수유입공(28)과 공기유출공(23)이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외주연에 나선(24)을 갖는 결합부(25)가 형성되며, 그 하측 끝단에는 저면에 다수의 요입홈(262)을 갖는 수평날개부(26)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안내관부(2)의 내측에는 상기 음용수유입공(28)과 연통되는 급수통로(46)와, 상기 공기유출공(23)과 연통되는 공기통로(27)가 각각 형성되어 일체형으로 성형시킨 것으로, 구성부품이 일체형으로 제작됨으로 생산비용이 절감되며 구성이 간결하여 보수 유지가 용이하게 하고, 생수통 마개의 천공시 마개 파편의 발생을 방지하여 위생상 청결하게 하며, 음용수유입공에 경사진 면치부가 형성됨으로써 음용수가 원만하게 유입될 수 있어 소음 발생이 억제되고, 수평날개부의 저면에 다수의 요입홈이 형성되므로 수막 발생의 방지와 공기의 유출입이 용이하게 하여 쿨럭거림이 배제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냉온수기용 급수 안내구 { a water supply rod for a water purifier }
본 고안은 냉온수기의 상단에 결합되는 생수통의 마개를 천공시켜 그 내부의 물을 안내하여 급수통으로 공급하여 주기 위한 냉온수기용 급수 안내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되는 구성 부품수를 감축한 일체형의 구조로 성형시켜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보다 기능이 향상된 냉온수기용 급수 안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수기는 생수통에 밀봉되게 담겨진 음용수를 공급받아서 필요시에 인출하여서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하는 수단으로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전의 냉온수기는, 사용시에 생수통에 담겨진 음용수를 밀봉한 뚜껑을 미리 떼어낸 후에 생수통의 주입구를 냉온수기 상부에 트여진 입구에 거꾸로 결합시켜서 그 생수통 내의 음용수를 급수통 내부에 공급함으로 인하여, 생수통을 거꾸로 들어올려서 주입구를 냉온수기의 입구측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음용수가 쏟아져서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온수기(100') 내부의 급수통(102')에 내설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원통체의 안내관부(2')의 상단에는 첨예한 개봉돌부(22')를 일체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급수통로(46')를 가지는 분할관체(4')를 끼워 결합시킨 것이다.
즉 상기 안내관부(2')는 일측면에는 음용수유입공(28')이, 타측면에는 공기유출공(23')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첨예한 개봉돌부(22')가 형성되며, 하부측 외주연에는 나사부(24')가 형성되고, 그 하측 끝단에 수평날개부(26')가 형성되어 냉온수기(100') 내부의 급수통(102')에 내설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원통체이다.
또한 상기 분할관체(4')는 내부에 급수통로(46')를 갖는 원통체로서, 상부측 일측면에는 상기 음용수유입공(28')과 연통되는 통공(44')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공기유출공(23')과 연통되는 공기통로(27')가 형성되며, 하부측 외주연에는 복수의 걸림돌기(42')가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생수통(200')을 거꾸로 꽂으면 상기 안내관부(2')의 개봉돌부(22')에 의해 마개(202')가 천공됨과 동시에 유출된 음용수는 상기 안내관부(2')의 음용수유입공(28')과 급수통로(46')를 통과해서 음용수유출공(29')을 통해 급수통(102')에 공급되어진다.
이때 음용수가 공급되면서 발생된 기포 및 급수통에 차 있던 공기는 상기 안내관부(2')의 내주면과 분할관체(4')의 외주연 사이에 형성된 틈새(50')를 통해 상부로 이동하여 공기통로(27')와 공기유출공(23')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저수된 음용수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발생되는 공기압의 변동시 상기 공기유동공 및 공기통로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생수통에 담긴 음용수가 쿨렁거리지 않고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조립되는 구성 부품수가 증가되는 만큼 냉온수기 전체의 생산비용이 상승되고 보수 유지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생수통 마개가 개방돌부에 의해 천공될 때 마개 파편이 발생되어 인체에 해를 끼칠 우려가 있고, 음용수유입공이 안내관부의 외측면에 단턱이 지는 직각으로 형성되므로 음용수가 유입될 때 쿨럭거리게 되어 소음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으며, 상기 수평날개부의 저면에 저수된 음용수의 수면이 닿게되면 수막이 형성되어 공기의 출입이 차단되므로 쿨렁거림이 발생되어 냉온수기가 흔들리게 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냉온수기의 급수통 내부에 단순화된 구조로서 독자적으로 설치되어 생수통 내의 음용수를 원할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되 불필요한 구성 부품을 배제시키기 위해 일체형으로 제작됨으로 생산비용이 절감되며 보수 유지가 용이하게 하고, 생수통 마개의 천공시 마개 파편의 발생을 방지하여 위생상 청결하게 하며, 음용수가 유입공을 원만하게 통과됨으로써 소음 발생이 억제되고, 수평날개부의 저면에 수막 발생 현상을 제거하여 공기의 유출입 도중에 쿨럭거림이 배제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온수기용 급수 안내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5는 종래 기술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안내관부 22 - 개봉돌부 23- 공기유출공
24 - 나선 25 - 결합부 26 - 수평날개부
28 - 음용수유입공 222- 경사면 224 - 천공날
262 - 요입홈 282 - 면치부 27 - 공기통로
46 - 급수통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냉온수기(100) 내부의 급수통(102)의 개방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원통체의 안내관부(2) 상단에 첨예한 개봉돌부(22)를 일체로 형성하며, 그 안내관부(2) 내부에는 급수통로(46) 및 공기통로(27)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적 개념이 유사하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용 급수 안내구(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안내관부(2)의 외면 상단에는 첨예한 개봉돌부(22)가 형성되고, 경사면(222) 일측에 일정 크기의 천공날(224)이 복수개 돌출 형성되며, 타측에는 음용수유입공(28)과 공기유출공(23)이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외주연에 나선(24)을 갖는 결합부(25)가 형성되며, 그 하측 끝단에는 저면에 다수의 요입홈(262)을 갖는 수평날개부(26)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안내관부(2)의 내측에는 상기 음용수유입공(28)과 연통되는 급수통로(46)와, 상기 공기유출공(23)과 연통되는 공기통로(27)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개봉돌부(22)는 안내관부(2)의 상단에 첨예한 선단을 갖도록 형성하되, 그 경사면(222)에 일정 크기를 갖는 천공날(224)을 복수개 돌출 형성시킨 것으로, 생수통(200)의 주입구를 밀봉한 마개(202)를 천공시 단번에 마개(202)가 절개됨으로써 파편 발생을 방지하여 위생상 청결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음용수유입공(28)은 물의 유입량을 고려하여 필요한 크기로써 상기 경사면(222)에서 직하방으로 형성되어 급수통로(46)와 연통되어지는 것으로, 개구부의 상하측은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절취시켜 면치부(282)를 형성됨으로써 음용수가 원만하게 유입되도록 하여 쿨럭거리는 소음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공기유출공(23)은 상기 음용수유입공(28)의 타측에 형성되어 내부의 공기통로(27)와 연통되어지는 것으로, 상기 공기통로(27)의 하단에 형성된 공기유입공(2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공기유입공(21)을 통해 급수통(102)에 음용수가 유입되면서 수면이 상승되고 그에 의해 밀려오르게 되는 공기가 작은 직경의 공기유출공(23)을 통해 배출되면서 압축력이 작용되어 생수통(200) 내부에 신속하게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평날개부(26)의 저면에는 요입홈(262)이 다수 형성됨으로써 저수된 음용수의 수면이 닿더라도 상기 요입홈(262)에 의해 수막발생이 방지되도록 하고, 공기의 유출입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온수기(100)의 입구에 거꾸로 생수통(200)을 세우면, 그 생수통(200)를 밀봉한 마개(202)가 상기 개봉돌부(22)에 의해 단번에 천공 절개됨과 동시에 음용수가 상기 음용수유입공(28)을 통해 급수통로(46)를 타고 하단의 음용수유출공(29)으로 유출되어 급수통(102)에 공급되어 저수된다.
이와 동시에, 음용수가 채워지면서 상승되는 수면에 의해 밀어올려진 공기는 상기 공기유입공(21)과 공기통로(27)를 통과해서 공기유출공(23)을 통해생수통(200) 내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며, 음용수가 차오르면서 상기 공기유출공(23)이 폐쇄되면 생수통(20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가 차단됨에 따라 생수통(200) 내의 음용수가 더이상 배출되지 않고 일정수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A")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관부(2")의 상단에 형성되는 개봉돌부(22")를 반구형으로 형성시키고 그 상면(222")에 다수의 천공날(224")과 음용수유입공(28")과 공기유출공(23")을 형성시킨 것으로, 그 작용효과는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실시되는 본 고안의 효과를 종합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의 냉온수기용 급수 안내구는 구성부품이 일체형으로 제작됨으로 생산비용이 절감되며 구성이 간결하여 보수 유지가 용이하게 하고, 생수통 마개의 천공시 마개 파편의 발생을 방지하여 위생상 청결하게 하며, 음용수유입공에 경사진 면치부가 형성됨으로써 음용수가 원만하게 유입될 수 있어 소음 발생이 억제되고, 수평날개부의 저면에 다수의 요입홈이 형성되므로 수막 발생의 방지와 공기의 유출입이 용이하게 하여 쿨럭거림이 배제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냉온수기(100) 내부의 급수통(102)의 개방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원통체의 안내관부(2) 상단에 개봉돌부(22)를 일체로 형성하며, 그 안내관부(2) 내부에는 급수통로(46) 및 공기통로(27)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부(2)의 외면 상단에는 첨예한 개봉돌부(22)가 형성되고, 경사면(222) 일측에 일정 크기의 천공날(224)이 복수개 돌출 형성되며, 타측에는 음용수유입공(28)과 공기유출공(23)이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외주연에 나선(24)을 갖는 결합부(25)가 형성되며, 그 하측 끝단에는 저면에 다수의 요입홈(262)을 갖는 수평날개부(26)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안내관부(2)의 내측에는 상기 음용수유입공(28)과 연통되는 급수통로(46)와, 상기 공기유출공(23)과 연통되는 공기통로(27)가 상기 안내관부(2)에 일체형으로 성형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용 급수 안내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222)에서 직하방으로 형성되어 급수통로(46)와 연통되며, 개구부의 상하측은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절취시켜 면치부(282)가 형성되도록 한 음용수유입공(28)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용 급수 안내구.
  3. 제1항에 있어서, 개봉돌부(22")를 반구형으로 형성시키고 그 상면(222")에다수의 천공날(224")과 음용수유입공(28")과 공기유출공(23")을 형성시켜 된 안내관부(2")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용 급수 안내구.
KR2020020013176U 2002-04-30 2002-04-30 냉온수기용 급수 안내구 KR2002852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176U KR200285202Y1 (ko) 2002-04-30 2002-04-30 냉온수기용 급수 안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176U KR200285202Y1 (ko) 2002-04-30 2002-04-30 냉온수기용 급수 안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202Y1 true KR200285202Y1 (ko) 2002-08-13

Family

ID=7312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176U KR200285202Y1 (ko) 2002-04-30 2002-04-30 냉온수기용 급수 안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2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161B1 (ko) * 2006-05-17 2007-06-04 주식회사 크로버 물통 장착 공급기의 제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161B1 (ko) * 2006-05-17 2007-06-04 주식회사 크로버 물통 장착 공급기의 제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8766B1 (ko)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음료용기
US20150375909A1 (en) Cap
WO2013171351A1 (es) Tapa con tapon para recipiente de bebidas
KR200285202Y1 (ko) 냉온수기용 급수 안내구
US5682932A (en) Humidifier water bottle
JP3114418U (ja) 漏斗受け具
ES2170542T5 (es) Valvula de envasado para liquidos con contenido en fibras.
JP3201923U (ja) 逆止弁付き飲み口体
KR200478513Y1 (ko) 더치커피 추출 장치
CN207428975U (zh) 一种水汽分离装置
KR200411164Y1 (ko) 컵 덮개
KR200397038Y1 (ko)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음료용기
JP2000118552A (ja) 液体注ぎ容器
JP3112855U (ja) 飲料容器用鼻腔内洗浄アダプター
KR200381098Y1 (ko) 냉온수기용 기능성 물병마개
KR200250733Y1 (ko) 액체저장 용기용 공기유입구
BR102021023641A2 (pt) Dispositivo de controle de fluxo para inserção em aberturas de recipientes
KR970000883Y1 (ko) 음료용기용 뚜껑
JPS6110578Y2 (ko)
KR200301595Y1 (ko) 액체배출용 기구
KR200253085Y1 (ko) 이중구조의 먹는샘물 포장용기
JP3939569B2 (ja) 洗浄液注出容器の流量調整機構
JP3808613B2 (ja) 水洗便器用薬剤供給装置
KR200243274Y1 (ko) 이중구조의 유체 저장용기
JP6353760B2 (ja) 簡易給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