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937Y1 - 야외용 매트와 연결된 보일러장치 - Google Patents

야외용 매트와 연결된 보일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937Y1
KR200284937Y1 KR2020020013499U KR20020013499U KR200284937Y1 KR 200284937 Y1 KR200284937 Y1 KR 200284937Y1 KR 2020020013499 U KR2020020013499 U KR 2020020013499U KR 20020013499 U KR20020013499 U KR 20020013499U KR 200284937 Y1 KR200284937 Y1 KR 2002849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r
exhaust tank
mat
stea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준
김종윤
Original Assignee
김시준
김종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준, 김종윤 filed Critical 김시준
Priority to KR2020020013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9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9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937Y1/ko

Links

Landscapes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에서 공급된 스팀이 연결호우스를 통하여 보온매트와 라디에이터에 공급됨과 아울러 배기탱크에 저장이 되면서 타측의 보일러는 냉각과 함께 진공상태가 유지됨과 동시에 배기탱크의 물이 보일러 내부로 반복적인 바이패스가 되는 야외용 매트를 가열시키는 보일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야외용 매트와 연결된 보일러장치{boiler matting with concatenate device}
본 발명은 야외용 매트에 연결된 보일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보일러에서 공급된 스팀이 연결호우스를 통하여 보온매트와 라디에이터에 공급됨과 아울러 스팀은 배기탱크에 저장이 되면서 타측의 보일러는 냉각과 함께 진공상태가 유지됨과 동시에 배기탱크의 물이 보일러 내부로 반복적인 바이패스가 되는 야외용 매트를 가열시키는 보일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야영을 하거나 등산, 낚시를 할 때는 버너나 가스렌인지 등의 취사가구를 휴대하여서 각종 음식물을 자체적으로 요리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야외에서 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야외용 버너에 용기를 이용하여 물을 끓여 사용하게 되었고, 또한 난방을 위해서는 별도의 난방용 히터에 전기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는것 외에는 별다른 방법이 없었으며, 또한 취침시 수면을 취하는 바닥부위에서의 난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매트형 난방장치는 아직 개발되지 않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수단으로 많은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아직 미흡한 단계이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를 일부해결한 선행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출원제1987-015275호의 " 야외용 스팀담요의 가열장치 "가 있다.
이른 담요 내에 티자형 스팀분기관체와 스팀집합관체를 이용하여 방열로 배관시키되, 상기 스팀발생통의 내부상측에 고온수 유출방지판을 설치하고 저면에는 폐증기입구와 폐증기방출구가 형성된 폐증기 가열관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현실적으로 적용하기에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하는데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되는 단점과 함께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간단하고 안전하게 보일러에서 발생된 스팀을 보온매트와 배기탱크를 통하여 다시 보일러 내부로 바이패스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지대와 연결된 브래킷 좌우측에 보일러와 배기탱크를 각각 형성시키되, 상기 브래킷에 이동볼이 수용된 가이드바를 고정하였으며, 또한 상기 보일러와 배기탱크에는 연결밸브를 형성하여 보온매트와 연결시킬 수 있는 야외용 매트와 연결된 보일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가 부착된 상태의 조립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보일러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보일러 장치가 작동되는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보일러 장치가 작동되는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보일러 11. 배기탱크
12. 지지대 13. 받침대
14. 고정구 15. 가이드바
16. 브래킷 17. 이동볼
18. 보온매트 19. 라디에이터
20. 연결호우스 21. 체크밸브
22. 고정핀 23. 연결밸브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가 부착된 상태의 조립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보일러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보일러 장치가 작동되는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보일러 장치가 작동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2와 같이 보일러(10)에서 공급된 스팀은 연결호우스(20)를 통하여 보온매트(18)와 라디에이터(19)에 공급됨과 함께 스팀은 물로 변화되어 배기탱크(11)에 다시 저장 된다.
이때, 보일러(10)는 냉각과 함께 진공상태가 유지됨과 동시에 배기탱크(11)의 물은 그 압력에 의해 보일러(10) 내부로 바이패스 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1과 같이 보일러(10)와 배기탱크(11)는 브래킷(16)의 양측에 각각 조립되게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16)은 지지대(12)에 결합되어 무게중심에 의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브래킷(16)의 측면에는 이동볼(17)이 수용된 가이드 바(15)를 고정시키되, 상기 이동볼(17)은 가이드 바(15) 내부에서 좌우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는 구조이다.
한편, 지지대(12)의 하측에는 고정구(14) 수개가 형성된 받침대(13)를 결착시켜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게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보일러(10)와 배기탱크(11)에는 각각의 체크밸브(21)와 안전변(미도시됨)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보온매트(18) 내부에 구성된 연결호우스(20)와 상기 보일러(10) 및 배기탱크(11)에 형성된 연결밸브(22)를 하나로 연결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황에 따라 상기 연결호우스(20)는 라디에이터(19)와 바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애 고압과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재질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보일러(10)와 배기탱크(11)는 케이스(미도시됨)에 보관될 수 있도록 조립식으로 제작하여 휴대와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과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과 같이 보일러(10)에 소량의 물을 충전시킨 상태에서 가열하게 된다.
다음 상기 보일러(10)는 서서히 가열되면서 스팀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스팀은 다시 보온매트(18)와 연결된 연결호우스(20)를 통하여 배기탱크(11)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일러(10)에 가열이 중단되면서 서서히 냉각과 동시에 진공상태가 유지 되면서 브래킷(16)에 고정된 상기 보일러(10)는 무게중심에 의해 배기탱크(11)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보일러(10) 내부에 진공상태가 유지됨과 아울러 배기탱크(11)로 이동한 물은 압력에 의해 상기 연결호우스(20)를 통하여 보일러(10) 내부로 다시 바이패스가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상황에서 가이드 바(15) 내부에 수용된 이동볼(17)은 상기 보일러(10) 내부에 물이 일정량 충전됨과 동시에 원위치 상태로 기울어지면서 물이 바이패스 되는 상황을 돕게된다.
그리고 물이 보일러(10) 내부에 충전을 완료하면 다시 가열이 되면서 스팀이 발생됨과 함께 스팀은 다시 연결호우스(20)로 내부로 이동을 반복하면서 보온매트(18)를 일정온도까지 가열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일러(10)와 배기탱크(11)를 지지하는 받침대(13)는 통상적으로 야외에 설치하게 되므로 안전에 유의할 수 있게 지면에 고정시켜야 한다.
따라서 상기 받침대(13)의 표면에 형성된 수개의 고정구(14)에 고정핀(22)을 삽입하여 지면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보일러(10)와 배기탱크(11)의 규격은 보온매트(18)의 크기에 따라 각각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어떤 방법 보다 기능이 안전하면서 현실적으로 작동이 가능함으로 인하여 야외에서 생활하는 모든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는 획기적인 유용한 기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례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보일러장치는 야외에서도 가열된 스팀를 용이하게 순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장소에 상관없이 난방을 할 수 있는 특징과 함께 야외활동을 하는 모든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인하여 판매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이익창출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야외활동시 혹한으로부터 체온 유지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휴대용 보일러에서 생성된 고온의 스팀 및 온수를 내방에 수용한 호우스를 통해 순환시켜 난방작용을 수행하는 휴대용 보일러의 난방매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와 배기탱크는 지지대와 연결된 브래킷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시키되, 상기 브래킷에 이동볼이 수용된 가이드 바를 고정하여 무게중심에 따라 움직이게 구성하고, 상기 보일러와 배기탱크에는 연결밸브를 각각 형성하여 보온매트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야외용 매트와 연결된 보일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에서 가열된 스팀은 배기탱크로 이동된 후, 보일러 냉각에 의해 진공상태가 유지 되면서 배기탱크의 물이 다시 보일러로 바이패스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야외용 매트와 연결된 보일러장치
KR2020020013499U 2002-04-23 2002-04-23 야외용 매트와 연결된 보일러장치 KR2002849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499U KR200284937Y1 (ko) 2002-04-23 2002-04-23 야외용 매트와 연결된 보일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499U KR200284937Y1 (ko) 2002-04-23 2002-04-23 야외용 매트와 연결된 보일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937Y1 true KR200284937Y1 (ko) 2002-08-07

Family

ID=73122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499U KR200284937Y1 (ko) 2002-04-23 2002-04-23 야외용 매트와 연결된 보일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9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4937Y1 (ko) 야외용 매트와 연결된 보일러장치
JP2021004711A (ja) 調理機能付きストーブ
JP5362267B2 (ja) 業務用厨房の廃熱利用システム
KR20060081318A (ko) 난방용 보일러
KR100757857B1 (ko) 조리용 가스랜지의 폐열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KR20110045433A (ko) 직화폐열 온수난방장치
CN102141262A (zh) 一种可移动的高效节能电热水暖装置
KR102578161B1 (ko) 가스를 이용한 온풍 및 매트 난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1243011B2 (en) Heat emitting radiator
CN214094673U (zh) 一种墙暖和墙暖系统
JP2598049Y2 (ja) 温度制御床マット
JP2003302068A (ja) セラミックパネルヒータ
RU2172448C1 (ru) Отопительно-варочная печь
JPH0213889Y2 (ko)
KR200377057Y1 (ko) 조리용 가스랜지의 폐열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JP3165133U (ja) 電磁誘導加熱式暖房機器
KR20130004255U (ko) 조리기구의 폐열을 이용한 난방장치
JPH0463966B2 (ko)
JP3064401U (ja) 対流式ヒ―タ―
JPH0233715Y2 (ko)
KR920005609Y1 (ko) 시공용 히트파이프식 방열기 어셈블리
JPH0112095Y2 (ko)
KR200212600Y1 (ko) 보일러 겸용 난로
JPH11221265A (ja) サウナ用ヒータ装置
JPH011209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