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924Y1 - 나사휴대용구 - Google Patents

나사휴대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924Y1
KR200284924Y1 KR2020020011001U KR20020011001U KR200284924Y1 KR 200284924 Y1 KR200284924 Y1 KR 200284924Y1 KR 2020020011001 U KR2020020011001 U KR 2020020011001U KR 20020011001 U KR20020011001 U KR 20020011001U KR 200284924 Y1 KR200284924 Y1 KR 2002849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magnet
cover
substr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0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강열
Original Assignee
문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강열 filed Critical 문강열
Priority to KR20200200110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9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9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924Y1/ko
Priority to PCT/KR2002/002282 priority patent/WO2003047819A1/en
Priority to KR1020047007080A priority patent/KR20040053293A/ko
Priority to AU2002365857A priority patent/AU2002365857A1/en

Links

Landscapes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무자석(30)과, 상기 고무자석(30)의 저부에 형성되고 자석(12)을 내장하는 자석홀더(10)와, 상기 고무자석(30)과 자석홀더(10)를 씌우기 위한 기판(21) 및 커버(40)와, 상기 기판(21)의 양측단부에 결합되는 집게(22)로 구성되어진 나사휴대용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처럼 본 고안은 팔이나 손등과 같이 한정된 신체부위 뿐만 아니라 작업환경과 장소에 따라 착용부위의 제약없이 나사휴대용구를 착용하므로써 작업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나사휴대용구{Carrying device for screw}
본 고안은 나사휴대용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나사를 휴대하여 사용하기 위한 나사휴대용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나사를 많이 사용하는 작업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작업자는 대개 많은 갯수의 나사가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몇개의 나사를 입에 물고서 작업을 하거나, 많은 갯수의 나사를 필요로 한 작업을 할 경우에는 필요한 수량의 나사를 주머니 속에 넣어두었다가 하나씩 하나씩 꺼내어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들 중 입으로 나사를 물고 있다가 사용하는 방법은 매우 비위생적이고, 주머니에 넣고 꺼내어 작업하는 것은 눈에 나사가 보이지 않기때문에 필요한 나사를 확인하면서 꺼내기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나사에 손을 찔리기도 하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나사보관함과 작업장소간에 상당한 거리차이가 있는 것이어서 나사를 다시 보충하러 가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이로인해 작업동선이 좋지못한 단점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나사를 사용하는 작업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자력(磁力)을 갖는 나사휴대판과, 상기 나사휴대판에 결합되는 착용수단에 의해 신체 일부에 착용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써 상기 나사휴대판의 자력으로 나사를 휴대하되 작업자의 팔 또는 손등에 착용하도록 하므로써 작업동선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나사의 위치가 한눈에 확인되므로 신속하게 정확하게 나사를 집어들 수 있어 안전사고의 우려를 줄일 수 있으며, 위생적이고, 빠른 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나사휴대용구를 실용신안 제20-2002-0005421호로 선출원한 바 있으나, 상기 나사휴대용구를 착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무밴드를 사용하였으나, 상기 고무밴드는 작업자의 팔 또는 손목에 끼워넣어 밴드의 탄성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이므로 작업자의 팔과 손목의 굵기에 따라 밴드의 직경도 달라지게 되며, 밴드를 오랜시간 착용시에는 땀이 차게 되는 등 여러가지 폐단을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밴드타입의 나사휴대용구는 팔이나 손목같이 밴드체결이 가능한 곳이 아니면 착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나사휴대용구가 갖는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무자석과, 상기 고무자석의 저부에 형성되고 자석을 내장하는 자석홀더와, 상기 고무자석과 자석홀더를 씌우기 위한 기판 및 커버와, 상기 기판의 양측단에 결합되는 집게로 구성되어 땀이 차지않으면서도 다양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나사휴대용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 본 고안 나사휴대용구 제 1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2 - 도 1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 -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 - 본 고안 나사휴대용구의 커버의 사용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5 - 본 고안 제 2실시예의 사시도.
도 6 - 본 고안 제 3실시예의 사시도.
도 7 - 본 고안 제 4실시예의 사시도.
도 8 - 본 고안의 사용상태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나사휴대용구
10: 자석홀더 11: 부직포
11a: 통공(通孔) 12: 영구자석
20: 착용수단 21: 기판(基板)
22: 집게 22a: 연결끈
30: 고무자석
40: 커버 41: 벨크로천
50: 나사제거용 커버 51: 손잡이
52: 벨크로천
60: 재봉부 70: 집게
80: 고무밴드 90,90a: 벨크로천
A: 나사(볼트, 너트, 리벳 등 자석에 붙는 모든 체결수단을 통칭한다)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나사휴대용구(1)는 고무자석(30)과, 상기 고무자석(30)의 저부에 형성되고 자석(12)을 내장하는 자석홀더(10)와, 상기 고무자석(30)과 자석홀더(10)를 씌우기 위한 기판(21) 및 커버(40)와, 상기 기판(21)의 양측단에 결합되는 집게(22)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자석홀더(10)는 다수개의 영구자석(12)이 안착(安着)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11a)이 형성된 부직포(11)로 이루어져 있으나, 부직포(11) 위에 자석이 접착된 상태의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자석홀더의 상부에는 고무자석(30)이 판(板)형상으로 얹혀지게 되며, 상기 고무자석(30)과 자석홀더(10)는 기판(21)과 커버(40)에 의해 씌워진 상태로 재봉되어 내장되어진다. 이때 상기 기판(21)과 커버(40)를 재봉(裁縫)할 때 집게(22)에 결합된 연결끈(22a)이 함께 재봉되어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집게(22)가 직접 기판(21) 또는 커버(40)에 미도시된 리벳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기판(21) 또는 커버(40)의 일측의중앙부분이 연장되어 연결끈과 같은 역활을 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커버(40)의 상부에는 나사제거용 커버(50)가 형성되어지는데, 상기 나사제거용 커버(50)는 상기 고무자석(30)에 남아있는 나사(A)들을 용이하게 떼어내기 위한 구성으로 작업 후 상기 나사제거용 커버(50)를 들어올리게 되면 나사가 자석으로 부터 이격(離隔)되어지고 이로인해 상기 고무자석(30)에 붙어있던 나사들이 모두 한꺼번에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나사제거용 커버(50)의 고정되지 않는 부분이 사용중에 덜렁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되지 않는 나사제거용 커버(50)의 일측 저면과, 상기 나사제거용 커버(50)의 저부에 대향된 커버(40)의 일측 상면에 각각 벨크로천(41,52)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 나사휴대용구(1)의 제 2실시예는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집게(22)의 대향되는 위치에 또 하나의 집게(70)를 형성한 것으로, 이는 나사휴대용구(1)의 양측에서 착용부위에 고정시켜 작업중에 나사휴대용구가 덜렁거려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도 6은 상기 기판(21)에 고무밴드(80)를 형성하여 작업자의 팔이나 손등에 착용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기판(21) 일측 저면에 벨크로천(90a)을 형성하고, 작업복 이나 작업모자의 일정부위에 벨크로천(90)를 형성하므로써 팔이나 손등에 나사휴대용구를 착용할 수 없는 좁은공간에서도 작업복의 가슴부위나 작업모자에 나사휴대용구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나사휴대용구(1)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작업전에 상기 나사휴대용구(1)의 상부 표면에 필요한 만큼의 나사를 올려놓게 된다. 이때 나사들은 영구자석(12)과, 고무자석(30)의 자력에 의해 본 고안 나사휴대용구(1)의 표면에 부착되어있는 상태가 되며, 작업자는 이를 착용수단(20)에 형성된 집게(22)에 의해 신체의 일부에 착용한 다음 작업에 임하게 되는 것이다. 착용부위는 작업자의 팔이나 손등의 어느 한곳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작업자의 편리성, 작업의 종류, 작업위치, 작업동선을 고려하여 작업복이나 작업모자의 일정부위에도 착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작업의 환경에 따라 나사휴대용구를 착용부위의 제약없이 착용을 할수 있게 되어 작업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은 팔이나 손등과 같은 한정된 신체부위 뿐만 아니라 작업환경과 장소에 따라 착용부위의 제약없이 다양한 방법으로 나사휴대용구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고무자석(30)과, 상기 고무자석(30)의 저부에 형성되고 자석(12)을 내장하는 자석홀더(10)와, 상기 고무자석(30)과 자석홀더(10)를 씌우기 위한 기판(21) 및 커버(40)와, 상기 기판(21)의 양측단부에 결합되는 집게(22)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휴대용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21)의 일측에 고무밴드(80)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휴대용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21)의 일측 저면에 벨크로천(90,90a)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휴대용구.
KR2020020011001U 2001-12-07 2002-04-12 나사휴대용구 KR2002849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001U KR200284924Y1 (ko) 2002-04-12 2002-04-12 나사휴대용구
PCT/KR2002/002282 WO2003047819A1 (en) 2001-12-07 2002-12-04 Armband for holding fastening pieces
KR1020047007080A KR20040053293A (ko) 2001-12-07 2002-12-04 체결수단을 홀딩하기 위한 아암밴드
AU2002365857A AU2002365857A1 (en) 2001-12-07 2002-12-04 Armband for holding fastening pie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001U KR200284924Y1 (ko) 2002-04-12 2002-04-12 나사휴대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924Y1 true KR200284924Y1 (ko) 2002-08-10

Family

ID=73121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001U KR200284924Y1 (ko) 2001-12-07 2002-04-12 나사휴대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9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77145S1 (en) Portable device
US7146651B1 (en) Magnetic work apparel
US5720043A (en) Convertible beach towel and poncho
US6889834B2 (en) Tool bag with multiple combinations of pockets
US20020148031A1 (en) Magnetic work glove
US6530508B1 (en) Utility wristband
US20050082323A1 (en) Wrist tool holder
US7761930B2 (en) Cord holding garment
US20130326789A1 (en) Hand covering with magnetic securing mechanism
WO2001087432A3 (en) A protective appliance
KR101189095B1 (ko) 헬멧의 벨트 걸이구
US20130025023A1 (en) Sanding glove
US8523377B1 (en) Illuminating assembly
KR200284924Y1 (ko) 나사휴대용구
US6397394B1 (en) Tool gripping assembly
US7945969B1 (en) Cord holding garment
KR200269456Y1 (ko) 나사휴대용구
JP6344875B1 (ja) 器具兼多目的を意図する自己等防災用擬似手袋
JP2011083569A (ja) 磁石装着具
JP3129047U (ja) 杖の握り部カバー
KR101440279B1 (ko) 휴대용 몸통부착용 우산거치대
CN216776835U (zh) 一种卸妆手套
GB2403127A (en) Tool holder
KR200443637Y1 (ko) 수공구 및 부속 부착구가 구비된 작업복
JP5914948B1 (ja) 落下防止具及び落下防止具を備えた手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