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381Y1 - 전기식 음이온 발생 헤어드라이어 - Google Patents

전기식 음이온 발생 헤어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381Y1
KR200284381Y1 KR2020020006946U KR20020006946U KR200284381Y1 KR 200284381 Y1 KR200284381 Y1 KR 200284381Y1 KR 2020020006946 U KR2020020006946 U KR 2020020006946U KR 20020006946 U KR20020006946 U KR 20020006946U KR 200284381 Y1 KR200284381 Y1 KR 2002843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dryer
air
hair
power
high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9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
박수홍
Original Assignee
유닉스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닉스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닉스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69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3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3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381Y1/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마 혹은 염색등으로 손상된 모발이나 두피의 상태를 건강하게 유지시킴은 물론, 모발의 세팅상태를 장시간 동안 유지시켜 주면서 모발의 윤기를 활성화시키는 전기식 음이온 발생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헤어드라이어의 히터 및 모터동작을 위한 교류전원을 공급받은 후 그 공급받은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로 부터 정류된 교류전원이 음전위의 반사이클로 되었을 때에는 턴온되고, 교류전원이 양전위의 반사이클로 되었을 때에는 턴오프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턴오프에는 전류전압의 피이크까지 충전되고, 상기 스위칭부가 턴온시에는 충전된 전류전압을 방전시키는 충방전용 콘덴서, 상기 충방전용 콘덴서로 부터 방전된 전류전압이 일차측에 유기될 때 이차측에서 고압을 발생시켜 대기중의 공기 이온을 음이온으로 변환시키는 고압발생부로 구성된 전기식 음이온 발생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식 음이온 발생 헤어드라이어{Anion generation for electricity type of a hairdrier}
본 고안은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헤어드라이어의 분출구로 부터 온풍이나 냉풍이 분출될 때 음이온이 함께 분출되도록 헤어드라이어에 음이온 발생회로를 부가하여 분출되는 음이온이 파마 혹은 염색등으로 손상된 모발이나 두피의 상태를 건강하게 유지시킴은 물론, 모발의 세팅상태를 장시간 동안 유지시켜 주면서 모발의 윤기를 활성화시키는 전기식 음이온 발생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헤어드라이어(100)는 공기흡입구(1)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분출관(3)의 공기분출구(2)를 통해 온풍이나 냉풍을 모발에 공급하여 모발의 세팅이나 건조를 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상기 헤어드라이어(100)에 구성된 분출관(3)의 내부에는 히터선(4)이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히터선(4)은 사용자의 조작으로 부터 그 가열이 이루어지면서 공기분출구(2)를 통해 온풍을 분출하고, 상기 히터선(4)의 가열이 없는 경우에는 공기분출구(2)를 통해 냉풍의 분출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헤어드라이어(100)를 자주 이용하면 모발의 끝이 갈라지는 등 모발의 건강상태가 악화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모발의 건강상태를 극복하기 위해 종래에는 단백질 성분을 함유한 샴푸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샴푸의 경우에도 그 사용이 많아질수록 오히려 모발의 건강을 해치는 폐단이 따랐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헤어드라이어의 공기분출구로 부터 온풍이나 냉풍이 분출될 때 음이온이 함께 분출되도록 전기식 음이온 발생 헤어드라이어를 구성하므로서, 헤어드라이어의 공기분출구로 부터 분출되는 음이온이 파마 혹은 염색등으로 손상된 모발이나 두피의 상태를 건강하게 유지시키도록 함은 물론, 모발의 세팅상태를 장시간 동안 유지시켜 주면서 모발의 윤기를 보다 활성화시킬수 있도록 하는 전기식 음이온 발생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헤어드라이어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헤어드라이어에 적용되는 음이온 발생 회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고압발생핀이 히터선의 사이에 설치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 고압발생핀이 헤어드라이어의 외측면에 설치된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실시예로 헤어드라이어의 내측면에 대전방지제를 도포시킨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C; 교류전원 R1,D1,D2; 정류부
R2,R3; 저항 D3; 다이오드
SCR; 스위칭부 C1; 충방전용 콘덴서
T; 고압발생부 10; 고압발생핀
20; 수지분말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에 참조되는 도면에 대하여는 설명의 편의상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헤어드라이어에 적용되는 음이온 발생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기흡입구(1)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온풍시키거나 또는 냉풍한 후 이를 히터선(4)이 배열된 분출관(3)의 공기분출구(2)를 통해 모발에 공급하는 통상의 헤어드라이어(100)에 있어서,
상기 헤어드라이어(100)의 히터 및 모터동작을 위한 교류전원(AC)을 공급받은 후 그 공급받은 교류전원(AC)을 정류하는 정류부(R1,D1,D2);
상기 정류부(R1,D1,D2)로 부터 정류된 교류전원(AC)이 음전위(-)의 반사이클로 되었을 때에는 턴온(turn on)되고, 교류전원(AC)이 양전위(+)의 반사이클로 되었을 때에는 턴오프(turn off)되는 스위칭부(SCR);
상기 스위칭부(SCR)의 턴오프에는 전류전압의 피이크까지 충전되고, 상기 스위칭부(SCR)가 턴온시에는 충전된 전류전압을 방전시키는 충방전용 콘덴서(C1);
상기 충방전용 콘덴서(C1)로 부터 방전된 전류전압이 일차측에 유기될 때 이차측에서 고압을 발생시켜 대기중의 공기를 음이온화시키도록 고압발생핀(10)을 가지는 고압발생부(T); 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압발생핀(10)은 헤어드라이어(100)의 분출관(3)내에 위치하는 히터선(4)의 사이에 설치하므로서, 헤어드라이어(100)의 공기분출구(2)를 통해 온풍이나 냉풍이 분출될 때 대기중의 공기 음이온화가 보다 촉진될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미설명된 도면부호 R2,R3는 저항이고, D3는 다이오드 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헤어드라이어(100)에 교류전원(AC)이 공급되어 그 내부의 히터 및 모터가 동작을 할 때, 사용자는 헤어드라이어(100)의 공기분출구(2)를 통해 냉풍 또는 온풍을 분출시킬 것인가를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선택으로 부터 공기분출구(2)를 통해 냉풍 또는 온풍이 분출시, 상기 헤어드라이어(100)의 선단에 내장된 음이온 발생회로의정류부(R1,D1,D2)에서는 교류전원(AC)을 정류한다.
이때, 상기 음이온 발생회로에 포함된 스위칭부(SCR)은 상기 정류부(R1,D1,D2)로 부터 정류된 교류전원(AC)이 음전위(-)의 반사이클로 되었을때 턴온의 동작을 하고, 교류전원(AC)이 양전위(+)의 반사이클로 되었을때 턴오프의 동작을 하는 바,
상기 스위칭부(SCR)의 턴오프 동작으로 부터 고압발생부(T)의 일차측에 연결된 충방전용 콘덴서(C1)는 정류부(R1,D1,D2)를 통하여 공급된 정류전원에 따라 전류전압의 피이크까지 그 충전이 이루어진다.
한편, 정류된 교류전원(AC)이 음전위(-)의 반사이클로 되었을때, 상기 교류전원(AC)은 스위칭부(SCR)의 게이트단(G)→스위칭부(SCR)의 캐소우드단(K)을 거쳐 교류전원(AC)의 루우프로 게이트 전류가 인가되는 바, 상기 인가되는 게이트 전류에 따라 스위칭부(SCR)는 턴온의 동작을 한다.
이때, 상기 스위칭부(SCR)의 턴온 동작으로 부터 고압발생핀(10)을 가지는 고압발생부(T)의 일차측에 연결된 충방전용 콘덴서(C1)는 피이크까지 충전된 전류전압을 방전시킨 후 그 방전된 전류전압을 고압발생부(T)의 일차측에 유기시킨다.
그러므로, 상기 고압발생부(T)의 이차측에서는 상기 충방전용 콘덴서(C1)로 부터 방전된 전류전압이 일차측에 유기될 때 고압을 발생시키게 되고, 상기 고압발생부(T)의 이차측으로 부터 발생된 고압에 따라 대기중의 공기는 음이온화 된다.
즉, 상기 헤어드라이어(100)의 분출관(3)내에 위치하는 히터선(4)의 사이에 설치된 고압발생핀(10)으로 부터 헤어드라이어(100)의 공기분출구(2)를 통해 온풍이나 냉풍이 분출될 때 대기중 공기의 음이온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헤어드라이어(100)의 공기분출구(2)를 통해 냉풍 또는 온풍이 모발로 분출될 때, 상기 음이온화된 대기중의 공기도 모발로 그 분출이 함께 이루어지므로서, 상기의 음이온화된 대기중의 공기로 인해 사용자는 파마 혹은 염색등으로 손상된 모발이나 두피의 상태를 항상 건강하게 유지시킬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 이는 고압발생핀(10)을 헤어드라이어(100)의 분출관(3) 외측면에 설치한 상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와 그 작용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5는 헤어드라이어(100)의 분출관(3) 내측면을 대전방지제인 수지분말(20)로 코팅시킨 본 고안의 또 다른실시예로, 이는 히터선(4)의 사이 또는 분출관(3)의 외측면에 설치된 고압발생핀(10)으로 부터 대기중의 공기가 음이온화될 때, 그 음이온화된 공기가 헤어드라이어(100)의 사출물로 대전(帶電)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헤어드라이어의 공기분출구로 부터 온풍이나 냉풍이 분출될 때 음이온이 함께 분출되도록 헤어드라이어에 음이온 발생회로를 부가하므로서, 헤어드라이어의 공기분출구로 부터 분출되는 음이온이 파마 혹은 염색등으로 손상된 모발이나 두피의 상태를 건강하게 유지시키도록 함은 물론, 모발의 세팅상태를 장시간 동안 유지시켜 주면서 모발의 윤기를 보다 활성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4)

  1. 공기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온풍시키거나 또는 냉풍한 후 이를 히터선이 배열된 분출관의 공기분출구를 통해 모발에 공급하는 통상의 헤어드라이어에 있어서,
    상기 헤어드라이어의 히터 및 모터동작을 위한 교류전원을 공급받은 후 그 공급받은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로 부터 정류된 교류전원이 음전위의 반사이클로 되었을 때에는 턴온되고, 교류전원이 양전위의 반사이클로 되었을 때에는 턴오프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턴오프에는 전류전압의 피이크까지 충전되고, 상기 스위칭부가 턴온시에는 충전된 전류전압을 방전시키는 충방전용 콘덴서; 및,
    상기 충방전용 콘덴서로 부터 방전된 전류전압이 일차측에 유기될 때 이차측에서 고압을 발생시켜 대기중의 공기를 음이온화시키도록 고압발생핀을 가지는 고압발생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음이온 발생 헤어드라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발생핀은,
    헤어드라이어의 분출관내에 위치하는 히터선의 사이에 설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음이온 발생 헤어드라이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발생핀은,
    헤어드라이어의 분출관 외측면에 설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음이온 발생 헤어드라이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드라이어의 분출관 내측면에는,
    고압발생핀으로 부터 대기중의 공기가 음이온화될 때 그 음이온화된 공기가 헤어드라이어의 사출물로 대전(帶電)되지 않도록 대전방지제인 수지분말로 코팅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음이온 발생 헤어드라이어.
KR2020020006946U 2002-03-09 2002-03-09 전기식 음이온 발생 헤어드라이어 KR2002843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946U KR200284381Y1 (ko) 2002-03-09 2002-03-09 전기식 음이온 발생 헤어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946U KR200284381Y1 (ko) 2002-03-09 2002-03-09 전기식 음이온 발생 헤어드라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381Y1 true KR200284381Y1 (ko) 2002-08-10

Family

ID=73118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946U KR200284381Y1 (ko) 2002-03-09 2002-03-09 전기식 음이온 발생 헤어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38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1930B1 (en) Ionizing hair dryer
KR20190062382A (ko) 배터리 구동식 헤어 드라이어에서 열을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2708153B1 (en) Method for humidifying hair and reducing damage, and device for humidifying hair and reducing damage
RU2006133376A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нагрева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и схема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укладки волос
US20090078800A1 (en) Electrostatic atomizer and hot air blower having the same
EP3632256B1 (en) Hair dryer
KR200284381Y1 (ko) 전기식 음이온 발생 헤어드라이어
US5866082A (en) Hand-held ozone-producing apparatus
AU2016203852B2 (en) Microwave Household or Commercial Appliance
JP2008220974A (ja) ヘアアイロン
CN114308799A (zh) 蒸汽设备,蒸汽设备的控制方法及蒸汽清洁机
JP4205375B2 (ja) ヘアブラシ
GB2055573A (en) Hair drying apparatus
KR20170082726A (ko) 다기능 전기 헤어롤
CN209898566U (zh) 干发器的体部及干发器
US6329790B1 (en) Battery charger
KR101183019B1 (ko) 헤어 드라이어 구동 회로
JP2011245382A (ja) 静電霧化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美容装置
CN110535382A (zh) 同步整流发电机及其能量分配方法
CN211932986U (zh) 一种温差发电可自充电式吹风机
KR20030067897A (ko) 보일러 점화제어장치
KR100362636B1 (ko) 전원 공급 장치
JPWO2022239371A5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US5943470A (en) Low-voltage generation in mains-powered hot-air appliances having a fan motor
JP2002369713A (ja) ヘアードライヤ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