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268Y1 -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268Y1
KR200284268Y1 KR2020020012584U KR20020012584U KR200284268Y1 KR 200284268 Y1 KR200284268 Y1 KR 200284268Y1 KR 2020020012584 U KR2020020012584 U KR 2020020012584U KR 20020012584 U KR20020012584 U KR 20020012584U KR 200284268 Y1 KR200284268 Y1 KR 2002842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racket
fixed
sides
small diamet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5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퓨어
Priority to KR20200200125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2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2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268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공공장소 또는 실내의 벽면 등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분실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에게 미려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 양측에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이 흡입구와 흡입구의 사이에 정화된 공기 및 음이온이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전면커버와; 상기 전면커버와 착탈가능하게 결합고정되고, 내측면 상단 양측에 리브가 내측으로 돌출구성되며, 이 리브에 소직경 및 대직경으로 이루어진 관통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에 결합공이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 배면커버와; 양측이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벽면에 밀착고정되고, 양측에 상기 배면커버의 내측면에 형성된 관통공의 대직경에 삽입고정되는 결합돌기가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며, 이 결합돌기에 관통공의 소직경과 동일축상을 갖는 나사공이 형성된 지지브라켓과; 상기 배면커버에 형성된 관통공의 소직경을 통하여 지지브라켓의 결합돌기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결합되어 배면커버를 지지브라켓에 결합고정하는 체결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an anion generate air cleaaner}
본 고안은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공장소 또는 실내의 벽면 등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분실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에게 미려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공해물질의 과다한 배출로 인하여 대기 환경이 많이 오염되고 있고, 실내의 공기 또한 흡연이나 각종 오염물질로 인하여 심하게 오염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세균 등에 감염된 공기가 실내에 존재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특히 병원, 연구실 등과 같은 곳에서는 실내공기 중에 세균이 존재할 우려가 크게 되는데, 이러한 실내의 오염은 인체에 정신적, 육체적으로 악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기청정기는 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지의 실내공기 정화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주로 스탠드형으로 제작되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숙박시설 및 공공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설치수단을 구비하여 벽면 등에 장착하여 사용하고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가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설명하면, 전면커버(10) 및 배면커버(12)로 이루어진 공기청정기(14)가 구비되어지고, 이 전면커버(10) 및 배면커버(12)는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진다. 배면커버(12)의 하단에 받침부재(16)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전면커버(10) 및 배면커버(12)의 내측에는 각종 부품들이 내장되어진다. 공기청정기(14)를 벽면(18)에 설치할 수 있는 설치수단(20)이 구비되어지고, 이 설치수단(20)의 전면에는 공기청정기(14)가 안착되는 안착부(22)가 형성되어진다. 이 설치수단(20)은 볼트 등의 고정수단(24)에 의하여 벽면(18)에 결합고정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청정기가 설치수단에 의하여 벽면에 설치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설치수단(20)의 일측면을 벽면(18)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볼트 등의 고정수단(24)을 이용하여 설치수단(20)을 벽면(18)에 고정한다. 이때, 설치수단(20)이 자중이나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하여 벽면(18)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수단(24)을 등간격으로 배열하여 고정한다. 볼트 등의 고정수단(24)에 의하여 설치수단(20)이 벽면(18)에 고정되면, 공기청정기(14)에서 발생되는 음이온 및 정화된 공기가 실내로 넓게 확산되도록 공기청정기(14)를 설치수단(20)의 안착부(22)에 안착시킨다. 이때, 받침부재(16)가 안착부(22)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를 이용하여 음이온을 발생하여 인체의 활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깨끗하고 신선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지만,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벽면에 설치하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즉, 공기청정기를 벽면에설치하기 위하여는 다수의 철판이 절곡되어 용접된 설치수단을 제작 또는 구비한 상태에서 설치수단이 벽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수단을 등간격으로 배열하여 결합고정하여야 함으로 많은 제작비용이 발생됨은 물론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설치수단은 다수의 철판이 절곡되어 용접되어 있음으로 많은 공간을 차지함은 물론 전체적인 분위기와 조화되지 못하는 문제가 잇었다.
또한, 공기청정기는 단순히 설치수단의 안착부에 안착되어 있음으로 분실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최근에는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이프나 끈을 이용하여 설치수단과 공기청정기를 일체 결합시키고 있지만, 이는 시각적인 이미지를 떨어드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의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공공장소 또는 실내의 벽면 등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분실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에게 미려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가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가 벽면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가 벽면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의 받침부재가 착탈되는 상태를 보인 저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흡입구 32 : 전면커버
34 : 토출구 36 : 배면커버
38 : 리브 40 : 관통공
40a : 소직경 40b : 대직경
42 : 결합공 44 : 고정수단
46 : 벽면 48 : 지지브라켓
50 : 결합돌기 52 : 나사공
54 : 체결공 56 : 받침부재
58 : 체결나사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면 양측에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이 흡입구와 흡입구의 사이에 정화된 공기 및 음이온이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전면커버와; 상기 전면커버와 착탈가능하게 결합고정되고, 내측면 상단 양측에 리브가 내측으로 돌출구성되며, 이 리브에 소직경 및 대직경으로 이루어진 관통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에 결합공이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배면커버와; 양측이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벽면에 밀착고정되고, 양측에 상기 배면커버의 내측면에 형성된 관통공의 대직경에 삽입고정되는 결합돌기가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며, 이 결합돌기에 관통공의 소직경과 동일축상을 갖는 나사공이 형성된 지지브라켓과; 상기 배면커버에 형성된 관통공의 소직경을 통하여 지지브라켓의 결합돌기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결합되어 배면커버를 지지브라켓에 결합고정하는 체결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단에 상기 배면커버의 바닥면에 형성된 결합공과 동일축상을 갖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고정수단에 의하여 착탈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가 벽면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가 벽면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의 받침부재가 착탈되는 상태를 보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면을 설명하면, 전면 양측에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30)가 형성된 전면커버(32)가 구비되고, 이 흡입구(30)와 흡입구(30)의 사이에는 정화된 공기 및 음이온을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구(34)가 형성된다. 흡입구(30) 및 토출구(34)는 격자모양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전면커버(32)와 착탈가능하게 결합고정되는 배면커버(36)가 구비되고, 이 배면커버(36)의 폭은 전면커버(32)의 폭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배면커버(36)의 내측면 상단 양측에 리브(38)가 내측으로 돌출구성되고, 이 리브(38)에는 소직경(40a) 및 대직경(40b)으로 이루어진 관통공(40)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배면커버(36)의 바닥면에는 결합공(42)이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양측이 볼트 등의 고정수단(44)에 의하여 벽면(46)에 밀착고정되는 지지브라켓(48)이 구비되고, 이 지지브라켓(48)의 양측에는 배면커버(36)의 내측면에 형성된 관통공(40)의 대직경(40b)에 삽입고정되는 결합돌기(50)가 외측으로 돌출구성된다. 이 결합돌기(50)에는 관통공(40)의 소직경(40a)과 동일축상을 갖는 나사공(52)이 형성된다.
상단에 배면커버(36)의 바닥면에 형성된 결합공(42)과 동일축상을 갖는 체결공(54)이 형성된 받침부재(56)가 구비된다. 배면커버(36)에 형성된 관통공(40)의 소직경(40a)을 통하여 지지브라켓(48)의 결합돌기(50)에 형성된 나사공(52)에 나사결합되어 배면커버(36)를 지지브라켓(48)에 결합고정하는 체결나사(58)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가 벽면에 결합고정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볼트 등의 고정수단(44)을 이용하여 지지브라켓(48)을 벽면(46)에 결합고정한다. 이때, 지지브라켓(48)의 일측벽은 벽면(46)에 밀착된 상태를 갖는다. 볼트 등의 고정수단(44)에 의하여 지지브라켓(48)이 벽면(46)에 결합고정되면, 지지브라켓(48)의 양측에 돌출구성된 결합돌기(50)에 배면커버(36)에 형성된 관통공(40)의 대직경(40b)을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배면커버(36)를 벽면(46)으로 이동시킨다.
배면커버(36)가 벽면(46)으로 이동되면, 지지브라켓(48)에 돌출구성된 결합돌기(50)가 배면커버(36)에 형성된 관통공(40)의 대직경(40b)에 삽입고정된 상태를 갖는다. 이때, 결합돌기(50)의 나사공(52)과 관통공(40)의 소직경(40a)이 동일축상에 위치된 상태를 갖는다. 결합돌기(50)의 나사공(52)과 관통공(40)의 소직경(40a)이 동일축상에 위치되도록 결합돌기(50)가 관통공(40)의 대직경(40b)에 삽입고정되면, 체결나사(58)를 이용하여 배면커버(36)를 지지브라켓(48)에 결합고정한다. 이때, 체결나사(58)는 관통공(40)의 소직경(40a)을 통하여 결합돌기(50)의 나사공(52)에 나사결합된 상태를 갖는다.
볼트 등의 고정수단(44)에 의하여 벽면(46)에 결합고정된 지지브라켓(48)에 체결나사(58)에 의하여 배면커버(36)가 결합고정되어 있음으로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하여 공기청정기가 지지브라켓(48)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공기청정기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지지브라켓(48)이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고, 이 지지브라켓(48)을 벽면(46)에 결합고정하는 고정수단(44)의 수가 상대적으로 감소됨으로 제작비용이 감소됨은 물론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것이다. 지지브라켓(48)이 공기청정기와 벽면(46)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 협소한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공기청정기를 벽면(46)에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 시각적인 이미지를 극대화 할 수 있는것이다.
또한, 받침부재(56)가 볼트 등의 고정수단(44)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음으로 사용자의 취향이나 공간여부에 따라 스탠드나 벽걸이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는 공공장소 또는 실내의 벽면 등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 분실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에게 미려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전면 양측에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이 흡입구와 흡입구의 사이에 정화된 공기 및 음이온이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전면커버와;
    상기 전면커버와 착탈가능하게 결합고정되고, 내측면 상단 양측에 리브가 내측으로 돌출구성되며, 이 리브에 소직경 및 대직경으로 이루어진 관통공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에 결합공이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 배면커버와;
    양측이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벽면에 밀착고정되고, 양측에 상기 배면커버의 내측면에 형성된 관통공의 대직경에 삽입고정되는 결합돌기가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며, 이 결합돌기에 관통공의 소직경과 동일축상을 갖는 나사공이 형성된 지지브라켓과;
    상기 배면커버에 형성된 관통공의 소직경을 통하여 지지브라켓의 결합돌기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결합되어 배면커버를 지지브라켓에 결합고정하는 체결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단에 상기 배면커버의 바닥면에 형성된 결합공과 동일축상을 갖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고정수단에 의하여 착탈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
KR2020020012584U 2002-04-25 2002-04-25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 KR2002842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584U KR200284268Y1 (ko) 2002-04-25 2002-04-25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584U KR200284268Y1 (ko) 2002-04-25 2002-04-25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268Y1 true KR200284268Y1 (ko) 2002-08-13

Family

ID=73075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584U KR200284268Y1 (ko) 2002-04-25 2002-04-25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2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43352A (ko) 환기 겸용 실내 공기청정기
KR100956850B1 (ko) 공기정화장치
US6523184B2 (en) Toilet ventilation system
KR200284268Y1 (ko) 음이온발생 공기청정기
US20020123305A1 (en) Ultimate vent
KR100652800B1 (ko) 공기 청정기
KR200278565Y1 (ko) 공기 청정기
KR101715480B1 (ko) 환풍기 그릴 체결장치
CN215305422U (zh) 除臭系统、马桶盖以及马桶
JPH0532168Y2 (ko)
CN215571054U (zh) 一种用于酒店的空气监测与净化装置
CN220083228U (zh) 一种新风过滤装置
CN212339501U (zh) 空气净化装置
CN216159247U (zh) 空气净化照明装置
KR200326122Y1 (ko) 벽걸이 및 스텐드 겸용 공기 청정기
CN214614423U (zh) 一种厕所负压除臭系统
CN212987531U (zh) 一种壁挂式家用净化器
CN218820886U (zh) 一种挂壁式离子空气净化器
CN212108827U (zh) 一种嵌入式室内净化器
KR200326118Y1 (ko) 공기 청정기
JPH04113843U (ja) ダクト用換気扇
KR200201796Y1 (ko) 진공 청소기의 배풍구
KR20040005279A (ko) 공기청정기
KR200310749Y1 (ko) 공기정화기의 필터설치구조
JPH013538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