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189Y1 - 연막 및 분무 분사 겸용 소독기 - Google Patents

연막 및 분무 분사 겸용 소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189Y1
KR200284189Y1 KR2020020013152U KR20020013152U KR200284189Y1 KR 200284189 Y1 KR200284189 Y1 KR 200284189Y1 KR 2020020013152 U KR2020020013152 U KR 2020020013152U KR 20020013152 U KR20020013152 U KR 20020013152U KR 200284189 Y1 KR200284189 Y1 KR 2002841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liquid
smoke
spray
blower
ster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에코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에코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에코넷
Priority to KR2020020013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1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1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189Y1/ko

Links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무 분사를 수행하고 있는 기존 소독기에 엔진의 배기매니폴드로 약액이 유입되도록 별도의 라인을 설치한 후, 엔진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압력 및 배기가스온도를 이용하여 유입된 약액을 기화 연막화시켜 연막 분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하나의 소독기를 이용하여 연막 및 분무 분사의 기능을 동시에 가능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송풍기를 이용하여 단시간내에 보다 광범위한 지역의 방제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한 연막 및 분무 분사 겸용 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엔진으로부터 동력이 발생되며 흡배기매니폴드 등의 기관이 구비되는 동력발생부와, 약액이 저장된 약액탱크와, 상기 동력발생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약액탱크 내의 약액을 펌핑하여 분사노즐로 공급시키는 약액펌프가 구비된 약액공급부와, 송풍팬과 송풍팬케이스 및 송풍구로 이루어지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송풍구에 설치되고 상기 약액공급부로부터 약액이 공급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되는 약액의 양과 분사압을 조절하고 공급되는 약액이 초과될 경우 약액탱크로 리턴시켜 주는 분사압조절밸브와 리턴호스로 이루어져 약액을 분무상태로 분사시키는 통상의 분무용 소독기에 있어서,
상기 분무용 소독기에 동력을 온/오프시키는 전자클러치(23)를 갖는 연막용펌프(22)를 별도로 구비하되, 상기 연막용펌프(22)는 분사노즐(30)이 결합된 유니온라인(31)에 연결시키고, 상기 분사노즐(30)은 배기매니폴드(12)상에 부착시켜 연막용펌프(22)로부터 공급되는 약액이 배기매니폴드(12) 내로 유입되도록 하되, 상기 배기매니폴드(12)의 배출공(15)으로는 송풍기(50)의 유입구(53)와 연결되는 약액이송파이프(70)를 결합시켜 배기매니폴드(12) 내로 유입된 약액이 배기가스온도와 압력에 의해 기화 연막상태로 변화되어 약액이송파이프(70)를 통해 송풍기(50) 내로 유입되도록 구성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기존의 분무 분사용 소독기를 이용하여 연막 분사를 동시에 병행하여 수행하게 됨에 따라 소독기의 기능이 일층 향상 됨은 물론 부품수 절감과 생산공정의 단순화로 생산단가의 절감 및 생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게 되고, 아울러 송풍기를 이용하여 단시간 내에 보다 광범위한 지역의 소독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연막 및 분무 분사 겸용 소독기 {sterilizer combned smoke screen and spray jet }
본 고안은 연막 및 분무 분사를 겸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소독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분무 분사를 수행하고 있는 기존 소독기에 엔진의 배기매니폴드로 약액이 유입되도록 별도의 라인을 설치한 후, 엔진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압력 및 배기가스온도를 이용하여 유입된 약액을 기화 연막화시켜 연막 분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하나의 소독기를 이용하여 연막 및 분무 분사의 기능을 동시에 가능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송풍기를 이용하여 단시간내에 보다 광범위한 지역의 방제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한 연막 및 분무 분사 겸용 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독기나 농약 방제기는 농지에 병충해를 방지하기 위해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며, 약제탱크, 엔진, 펌프, 분무덕트 등으로 구성되어 소독약액을 분사하게 된다.
본 고안은 특히 일반적인 분무방식의 소독과 엔진의 배기매니폴드에 발생하는 배기가스압력과 배기가스온도를 이용하여 소독약액을 기화 연막화시켜 연막 분사를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배기매니폴드(Exhaust manifold)는 가지가 나누어진 파이프라는 뜻을 가지며 각 실린더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를 모아 이그조스트파이프(배기가스를 통과시키는 파이프)로 보내는 관으로서 고출력 엔진에서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1000℃이상이 되므로 내열 초합금이 쓰이게 된다.
한편 소독약액을 다소 용이하게 공급시켜 주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공개특허 제 97-14562호 방제용 농약방제기)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건의 청구범위를 살펴보면 청구항 1. 운반차의 짐받이위에 약제탱크, 엔진, 펌프 등을 장비함과 아울러 분무덕트를 장비하여 구성하는 방제용 약제분사기에 있어서, 상기한 분무덕트 내에는 축류팬을 설치하며 그 축류팬의 하류측에는 여유단이 하류측으로 갈수록 끝이 가늘어지는 원뿔형상의 정류체를 설치하고 상기한 분무덕트에는 복수개의 주위노즐을 설치하며 상기한 액체공급파이프의 중심부에서 상기한 정류체의 하류측에는 중앙노즐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한 액체공급파이프와 중앙노즐 등을 복수의 지지파이프를 개재하여 연결하고 그 지지파이프 중의 적어도 1개의 지지파이프에 의하여 약제를 중앙노즐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청구항 2는 제1항에 있어서, 중앙노즐로 약액공급을 정지시킬 수 있는 밸브장치를 중앙노즐의 근방부위로 배치하여 설치하고 주위노즐과 중앙노즐 또는 주위 노즐만으로 약제분사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제공된 방제용 약제분사기는 차량에 장착되어 농지의 근거리 약제분사용으로는 다소 적합하기는 하나 차량진입이 어려운 대규모 농지일 경우 분사거리가 짧기 때문에 농지의 안쪽까지 농약을 충분히 공급시켜주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약제의 분사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경사조절구조의 결여로 인해 농약을 일정한 부분에만 계속적으로 공급하게 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약제분사 방향의 조절도 용이하지 못하였다.
본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 제221498호(명칭:농약 방제기, 기술평가유지결정됨.)를 고안한 바 있으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방제 차량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고 일측면에 교반기가 설치된 약액탱크가 설치되며 내측 중앙에 모터 및 감속기와 연결된 송풍휀이 설치된 통상의 농약방제기에 있어서, 중앙에 입설된 설치플레이트의 상면 중양에 지지환테가 결합된 기대후레임이 설치되고 지지환테의 내측에 설치되며 내주연에 치합된 피니언기어가 저부 스윙모터와 축설된 차량본체와, 상기 피니언기어가 치합된 상태로 회전되는 내접기어가 상부 안착판의 저부에 결합되고 일측에 유압실린더의 로드선단이 고정핀에 의해 고정된 브라켓이 양쪽에 고정 결합된 지지후레임 및 지지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브라켓에 일단이 고정된 유압실린더 몸체가 지지편에 의해 고정되어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후방 엔진부와 함께 승강프레임이 동시에 승강 동작될 수 있도록 구성된 작동부와, 승강프레임 일측에 설치되고 외주 저부에 근거리분사노즐이 결합되며 그 길이가 연장 구성된 송풍안내관이 송풍휀과 외주 저부에 보조노즐이 결합된 분무부 사이에 설치되어 구성된 방제기 본체로 이루어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제기는 승강프레임 일측에 설치되고 내측 중앙에 모터 및 감속기와 연결된 송풍휀 그리고 송풍휀의 송풍과 동시에 농약을 분무할 수 있도록 후단부 내측에 환설된 분무부 및 저부에 보조노즐 및 분무덕트등으로 이루어진 분무부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송풍휀과 분무부 사이의 길이를 연장하여 이에 송풍안내관을 구성하여줌으로서 원거리 농약분사를 가능하게 하며 송풍안내관의 저부에 근거리분사노즐이 결합되어 근거리 농약분사도 함께할 수 있도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제용 농약방제기 및 농약 방제기는 차량에 장착되어 이동이 용이하고 농약분사를 위한 분무부의 각도 및 방향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약액을 분무상태로 분사시키는 효과는 있으나 이 약액을 기화 연막화 하여 연막분사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없었다.
그러므로 연막분사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연막분사용 소독기를 구비하여야만 가능하였으므로 많은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소형 연막소독기는 펌핑레버의 조작으로 약액을 흡입하여 코일스프링을 통과하는 과정에 가열 기화되어 분출되게 형성하였으므로 약액이 코일스프링을 통과하는 과정에 막힘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같이 한번 막히면 소통이 불가능하여 재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어 약액을 기화하는 가열통을 원통형으로 하고 유입구측에 분무기노즐을 고정한 것이 일부 사용되었으나 이 또한 하부에서 흡입되는 약액이 노즐을 폐쇄시켜 분사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고 고열에 의해 연쇄적으로 부품이 파손되어 부품소모가 많아짐에 따라 유지비가 과다하게 발생하게 되며, 제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분무 분사를 수행하고 있는 기존 소독기에 엔진의 배기매니폴드로 약액이유입되도록 별도의 라인을 설치한 후, 엔진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압력 및 배기가스온도를 이용하여 유입된 약액을 기화 연막화시켜 연막 분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하나의 소독기를 이용하여 연막 및 분무 분사의 기능을 동시에 가능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송풍기를 이용하여 단시간내에 보다 광범위한 지역의 소독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한 연막 및 분무 분사 겸용 소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엔진의 배기매니폴드에 노즐을 직접 부착한 후 소독약액을 배기가스압력 및 배기가스온도를 이용하여 기화 연막화된 상태로 만드는 것과, 둘째 상기에서 기화 연막화된 소독약액을 단시간내에 원거리 분사가 용이토록 하는 것, 그리고 셋째로 연막 및 분무 분사 작업의 변환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연막 및 분무 분사 겸용 소독기를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리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예시도.
도4는 종래의 분무 분사용 소독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동력발생부 11 : 엔진
12 : 배기매니폴드 13 : 파이프
14 : 통공 20 : 약액공급부
21 : 약액탱크 22 : 연막용펌프
23 : 전자클러치 24 : 호스
30 : 분사노즐 40 : 분사압조절밸브
41 : 리턴호스 50 : 송풍기
51 : 송풍기케이스 52 : 송풍구
53 : 유입공 60 : 연결파이프
61 : 전환밸브 70 : 약액이송파이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엔진으로부터 동력이 발생되며 흡배기매니폴드 등의 기관이 구비되는 동력발생부와, 약액이 저장된 약액탱크와, 상기 동력발생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약액탱크 내의 약액을 펌핑하여 분사노즐로 공급시키는 약액펌프가 구비된 약액공급부와, 송풍팬과 송풍팬케이스 및 송풍구로 이루어지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송풍구에 설치되고 상기 약액공급부로부터 약액이 공급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되는 약액의 양과 분사압을 조절하고 공급되는 약액이 초과될 경우 약액탱크로 리턴시켜 주는 분사압조절밸브와 리턴호스로 이루어져 약액을 분무상태로 분사시키는 통상의 분무용 소독기에 있어서,
상기 분무용 소독기에 동력을 온/오프시키는 전자클러치(23)를 갖는 연막용펌프(22)를 별도로 구비하되, 상기 연막용펌프(22)는 분사노즐(30)이 결합된 유니온라인(31)에 연결시키고, 상기 분사분사노즐(30)은 배기매니폴드(12)상에 부착시켜 연막용펌프(22)로부터 공급되는 약액이 배기매니폴드(12) 내로 유입되도록 하되, 상기 배기매니폴드(12)의 배출공(15)으로는 송풍기(50)의 유입공(53)과 연결되는 약액이송파이프(70)를 결합시켜 배기매니폴드(12) 내로 유입된 약액이 배기가스온도와 압력에 의해 기화 연막상태로 변화되어 약액이송파이프(70)를 통해 송풍기(50) 내로 유입되도록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 및 분무 분사 겸용 소독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니언라인(31)에 결합되는 분사노즐(30)은 배기매니폴드(12)의 파이프(13)에 대응되게 형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배기매니폴드(12)의 배출공(15)과 약액이송파이프(70) 사이로 연결파이프(60)를 개재시키되, 상기 연결파이프(60)는 중간부위에 연막 및 배기시 위치를 전환하는 전환밸브(61)를 구비하고, 일측으로는 약액이송파이프(70)를 다른 일측으로는 소음기파이프(80)를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분무분사와 연막분사의 기능 선택은 리모콘트롤러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리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예시도이며, 도4는 종래의 분무 분사용 소독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면부호 10은 동력발생부, 11은 엔진, 12는 배기매니폴드, 20은 약액공급부, 21은 약액탱크, 22는 연막용펌프, 23은 전자클러치, 30은 노즐, 40은 분사압조절밸브, 41은 리턴호스, 50은 송풍기이다.
상기 동력발생부(10)의 엔진(11)에 연결된 배기매니폴드(12)의 각 파이프(13)에 분사노즐(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통공(14)을 형성하여 상기 통공(14)으로 분사노즐(30)을 부착시킨다.
상기 분사노즐(30)은 배기매니폴드(12)의 파이프(13)의 수와 대응되게 형성토록 한다.
한편 상기 분사노즐(30)은 유니온라인(31)에 유니온볼트(32)로 연결되며, 유니온라인(31)은 호스(24)를 이용하여 연막용펌프(22)에 연결되고, 상기 연막용펌프(22)는 약액탱크(21)에 호스(24)로 연결되어 약액탱크(21)내의 약액을 펌핑하여 배기매니폴드(12)에 연결된 분사노즐(3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분사노즐(30)과 약액탱크(21) 사이에 형성된 분사압조절밸브(40)는 분사노즐(30)로 분사되는 약액의 분사압을 조절하게 되며, 분사노즐(30)로 전달된 약액이 과다할 경우 리턴호스(41)에 의해 약액탱크(21)내로 리턴시키게 된다.
상기 약액탱크(21)는 동력을 온/오프시켜 주는 전자클러치(23)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전자클러치(23)는 엔진(11)에 연결되어지게 된다.
상기 배기매니폴드(12)의 배출공(15)과 약액이송파이프(70)사이에 개재되는 연결파이프(60)는 중간부위에 전환밸브(61)를 구비하되, 일측으로는 약액이송파이프(70)를 결합시키고, 다른 일측으로는 소음기파이프(80)를 결합시킨후, 연막소독시에는 상기 전환밸브(61)가 약액이송파이프(70) 측으로 개방되어 연막상태의 약액을 송풍기(50)의 유입공(53)을 통해 송풍기(50) 내로 유입시키고, 분무분사시에는 전환밸브(61)가 반대로 약액이송파이프측은 차단되고 소음기파이프(80)측이 개방되어 배기가스를 배출시키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종래 분무 분사식 소독기를 이용하여 엔진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온도와 압력을 이용하여 소독약액을 기화 연막화된 상태로 분사될수 있도록 하여 분무 및 연막을 하나의 소독기를 이용하여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일단 엔진(11)의 배기매니폴드(12)의 각 파이프(13)상에 형성된 통공(14)으로 분사노즐(30)을 부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분사노즐(30)이 배기매니폴드(12)에 부착된 상태에서 분사노즐(30)을 유니언볼트(32)를 이용하여 유니언라인(31)에 결합시킨 후, 상기 유니언라인(31)은 호스(24)로 연막용펌프(22)에 연결한다.
연막용펌프(22)는 호스(24)로 약액탱크(21)에 연결되어지게 되며, 리턴호스(41)로 분사압조절밸브(40)로도 연결되게 된다.
한편 유니언라인(31)과 분사압조절밸브(40) 및 약액탱크(21),연막용펌프(22)는 호스(24)에 의해 연결 및 결합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도1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리모콘트롤러가 연막실행 신호를 보내면 연막용펌프(22)에 연결돠어진 전자클러치(23)가 이를 감지하여 연막용펌프(22)에 작동신호를 보내고 이를 감지한 연막용펌프(22)는 온(ON) 상태로 되며 동력발생부(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이 시작되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을 시작한 연막용펌프(22)는 약액탱크(21)내에 저장된 약액을 펌핑하여 25㎏/㎠의 분사압에 의해 분사노즐(30)로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약액은 호스(24)를 통해 유니온라인(31)을 거쳐 공급되게 된다.
한편 상기 약액탱크(21)와 연막용펌프(22) 즉 약액공급부(20)에서 분사노즐(30)로 공급되는 약액의 양이 초과할 경우는 분사압조절밸브(40)가 이를 조절하여 일정하게 유지토록하며 초과된 약액은 리턴호스(41)를 통해 약액탱크(21) 내로 리턴시켜 순환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약액공급부(20)로 부터 약액이 분사노즐(30)로 공급되면 상기 분사노즐(30)이 동력발생부(10)의 배기매니폴드(12)내로 약액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기매니폴드(12) 내로 약액이 공급되면 상기 약액은 배기가스온도와 배기가스압력에 의해 기화 연막화된 상태로 배출공(1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출공(15)을 통해 배출된 기화 연막화된 약액은연결파이프(60)로 유입되며 이때 연결파이프(60)에 구비된 전환밸브(61)는 약액이송파이프측으로 개방되어져 약액을 약액이송파이프(70)와 연결되어진 송풍기(50)의 유입공(53)을 통해 송풍기(50) 내부로 유입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약액이 전달된 송풍기(50)는 송풍기케이스 내의 송풍팬이 작동함에 따라 송풍기케이스(51) 내에서 회전하며 송풍구(52)로 기화 연막된 상태로 분사되어지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을 이용하여 분무 분사를 할 경우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트롤러를 이용하여 분무 분사측 약액펌프(22a)로 작동신호를 보내면 연막용펌프(22)에 설치된 전자클러치(23)가 이를 감지하여 연막용펌프(22)의 작동이 오프상태로 즉 정지되게 됨에 따라 유니언라인(31)과 분사노즐(30)을 통해 배기매니폴드(12)로 유입되던 약액의 공급이 차단되고, 또한 연결파이프(60)에 구비된 전환밸브(61) 역시 소음기파이프(80)측으로 개방되어 소음 및 배기가스를 배출시키게 된다.
즉 분무 분사시에는 연막 분사가 정지되고 분무 분사만 이루어지며 분사는 송풍기(50)의 송풍구(52)에 위치한 분사노즐(30a)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때 분사압조절밸브(40a)는 분사노즐(30a)로 공급된 약액이 과다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리턴호스(41a)를 거쳐 약액탱크(21)내로 리턴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기존의 분무 분사용 소독기를 이용하여 분무 및 연막분사를 동시에 병행하여 수행하게 됨에 따라 소독기의 기능이 일층 향상 됨은 물론 부품수 절감과 생산공정의 단순화로 생산단가의 절감 및 생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게 되고, 아울러 송풍기를 이용하여 단시간 내에 보다 광범위한 지역의 소독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엔진으로부터 동력이 발생되며 흡배기매니폴드 등의 기관이 구비되는 동력발생부와, 약액이 저장된 약액탱크와, 상기 동력발생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약액탱크 내의 약액을 펌핑하여 노즐로 공급시키는 약액펌프가 구비된 약액공급부와, 송풍팬과 송풍팬케이스 및 송풍구로 이루어지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송풍구에 설치되고 상기 약액공급부로부터 약액이 공급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되는 약액의 양과 분사압을 조절하고 공급되는 약액이 초과될 경우 약액탱크로 리턴시켜 주는 분사압조절밸브와 리턴호스로 이루어져 약액을 분무상태로 분사시키는 통상의 분무용 소독기에 있어서,
    상기 분무용 소독기에 동력을 온/오프시키는 전자클러치(23)를 갖는 연막용펌프(22)를 별도로 구비하되, 상기 연막용펌프(22)는 분사노즐(30)이 결합된 유니온라인(31)에 연결시키고, 상기 분사노즐(30)은 배기매니폴드(12)상에 부착시켜 연막용펌프(22)로부터 공급되는 약액이 배기매니폴드(12) 내로 유입되도록 하되, 상기 배기매니폴드(12)의 배출공(15)으로는 송풍기(50)의 유입공(53)과 연결되는 약액이송파이프(70)를 결합시켜 배기매니폴드(12) 내로 유입된 약액이 배기가스온도와 압력에 의해 기화 연막상태로 변화되어 약액이송파이프(70)를 통해 송풍기(50) 내로 유입되도록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 및 분무 분사 겸용 소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언라인(31)에 결합되는 분사노즐(30)은 배기매니폴드(12)의 파이프(13)에 대응되게 형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 및 분무 분사 겸용 소독기.
  3. 제1항에 있어서, 배기매니폴드(12)의 배출공(15)과 약액이송파이프(70) 사이로 연결파이프(60)를 개재시키되, 상기 연결파이프(60)는 중간부위에 연막 및 배기시 위치를 전환시켜주는 전환밸브(61)를 구비하고, 일측으로는 약액이송파이프(70)를 다른 일측으로는 소음기파이프(80)를 결합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 및 분무 분사 겸용 소독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 및 연막 분사의 기능 선택은 리모콘트롤러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 및 분사 겸용 소독기.
KR2020020013152U 2002-04-30 2002-04-30 연막 및 분무 분사 겸용 소독기 KR2002841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152U KR200284189Y1 (ko) 2002-04-30 2002-04-30 연막 및 분무 분사 겸용 소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152U KR200284189Y1 (ko) 2002-04-30 2002-04-30 연막 및 분무 분사 겸용 소독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716A Division KR100479462B1 (ko) 2002-04-30 2002-04-30 연막 및 분무 분사 겸용 소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189Y1 true KR200284189Y1 (ko) 2002-07-31

Family

ID=73122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152U KR200284189Y1 (ko) 2002-04-30 2002-04-30 연막 및 분무 분사 겸용 소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18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9462B1 (ko) 연막 및 분무 분사 겸용 소독기
KR101617943B1 (ko) 광범위 약제 분사기
KR20100034808A (ko) 친환경 무인 방제 시스템
KR101132514B1 (ko) 방역기
KR100697607B1 (ko) 회전식 분사장치
KR200485967Y1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JP2012086648A (ja) 車両の消毒装置
KR200284189Y1 (ko) 연막 및 분무 분사 겸용 소독기
KR200179833Y1 (ko) 방제기
CN102630660B (zh) 一种生物农药喷洒装置
KR0130148B1 (ko) 농약 방제기
KR200304127Y1 (ko) 농약살포기
KR101178565B1 (ko) 농업용 연막 분사장치
KR200300678Y1 (ko) 다기능 방역소독기
KR200357803Y1 (ko) 다기능 방역장치
KR200289429Y1 (ko) 방역 약제 살포장치
KR20020038161A (ko) 농약방제기
KR20030095119A (ko) 방역 약제 살포장치
KR20170062012A (ko) 차량 탑재형 연막소독기의 원격 제어장치
KR20100134158A (ko) 히터를 이용한 연무장치
AU2019289241A1 (en) Anti-drift diffuser for pneumatic atomization sprayers
KR102525916B1 (ko) 방역장치
JP3319232B2 (ja) 薬液散布装置及び薬液散布車
KR102484411B1 (ko) 지능형 분사장치가 구비된 방제기
KR20190141976A (ko) 분무기의 자동 분사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