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833Y1 - 방제기 - Google Patents

방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833Y1
KR200179833Y1 KR2019990024315U KR19990024315U KR200179833Y1 KR 200179833 Y1 KR200179833 Y1 KR 200179833Y1 KR 2019990024315 U KR2019990024315 U KR 2019990024315U KR 19990024315 U KR19990024315 U KR 19990024315U KR 200179833 Y1 KR200179833 Y1 KR 2001798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injection
head body
outle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3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재철
Original Assignee
하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재철 filed Critical 하재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8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8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01M7/0014Field atomisers, e.g. orchard atomisers,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와; 후단의 공기유입구와 선단의 토출구를 가진 관상의 헤드본체와, 상기 헤드본체내에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공급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송풍하는 축류팬과, 상기 토출구의 영역에 설치되는 복수의 분사노즐을 갖는 분사헤드와; 상기 분사노즐에 액제를 공급하는 액제공급부와; 상기 헤드본체의 축선의 경사각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동지지하는 헤드지지부와; 상기 헤드본체와 상기 헤드지지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헤드본체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승강조절부와; 상기 헤드지지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헤드지지부를 수평회동시키는 선회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분사노즐을 자동적으로 상하 및 좌우 회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간단화하고, 분사헤드를 통한 약제의 분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방제기{APPRATUS FOR PREVENTING THE BREEDING AND EXTERMINATION OF INSECTS}
본 고안은 방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간편한 구성을 가지고 분사장치의 상하 및 좌우 회동을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분사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방제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방제기는, 농약 등의 약제를 과수원, 농장, 골프장 등 면적이 넓은 장소에 살포하여, 농작물이나 화초 등을 해충이나 질병으로부터 보호하고 정상적으로 발육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방제기는 근래에는 넓은 장소에 손쉽게 살포할 수 있도록 트럭이나트레일러 등에 연결하여 이동가능하게 설계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방제기를 트럭이나 트레일러에 고정하는 대신 약제가 분사되는 분사노즐을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제작하고 있다.
이러한 방제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가 수용되는 약제탱크(55)와, 약제를 분사하기 위한 약제분사장치(60)와, 약제의 분사시 분사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송풍장치(75)와, 각종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엔진(53)을 포함한다.
여기서, 송풍장치(75)는 송풍덕트(72)내에 설치된 도시않은 횡류형 송풍팬과, 송풍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도시않은 송풍팬모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약제분사장치(60)는, 각도 및 위치변환이 가능한 자바라식 튜브(65)와, 자바라식 튜브(65)의 선단에 장착된 분사노즐(62)과, 자바라식 튜브(65)의 수평방향 각도를 변환시키기 위한 각도변환장치(70)와, 자바라식 튜브(65)의 상하방향 위치를 변환시키기 위한 위치변환장치(80)를 포함한다.
각도변환장치(70)는, 자바라식 튜브(65)의 하단에 설치되며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회전판(66)과, 회전판(66)과 소정 이격간격을 두고 설치된 도시않은 모터와, 회전판(66)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오목홈과 모터의 축상에 설치된 피니언(18)에 일체로 감겨진 체인(67)을 포함한다. 여기서, 회전판(66)은 송풍장치(75)의 출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송풍팬으로부터의 공기가 자바라식 튜브(65)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위치변환장치(80)는, 자바라식 튜브(65)의 길이방향으로 각도변환장치(70)가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자유단부까지 연장되며 중앙영역이 분할된 한 쌍의 링크(63)와, 각 링크(63)의 연결축을 중심으로 고정된 회전판(64)과, 회전판(64)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모터와, 회전판(64)의 오목홈과 모터의 축상에 설치된 피니언에 일체로 감겨진 체인(67)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제기의 약제 분사시, 먼저 엔진(53)을 구동시키고, 약제를 분사할 영역의 방향에 따라, 각도변환장치(70)와 위치변환장치(80)의 각 모터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자바라식 튜브(65)가 모터의 구동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고, 길이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절곡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약제의 분사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이렇게 분사위치가 결정되면, 송풍팬모터와 분사모터에 전원을 공급하여 송풍팬을 구동시키고, 분사노즐(62)로 약제가 분사되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방제기는, 자바라식 튜브(65)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각도변환장치(70)와 위치변환장치(80)에 별도로 각각 모터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그 구성이 복잡하고, 더욱이 자바라식 튜브(65)내에 모터와 회전판(64)등을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아니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자바라식 튜브(65)를 위치변환장치(80)를 이용하여 길이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절곡시키므로, 위치변환을 자주 시킬 경우 자바라식 튜브(65)가 피로에 의해 절단될 염려가 있다.
한편, 송풍팬으로부터의 공기가 자바라식 튜브(65)를 통해 배출될 때, 자바라식 튜브(65)가 절곡되어 있고, 자바라식 튜브(65)내에 모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공기의 유동방향을 방해하여 공기의 분사압력이 작아지고, 이에 따라, 약제의 분사력이 약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분사장치의 상하 및 좌우 회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간단화하고, 분사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방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제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방제기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방제기의 구성도,
도 4는 도 1의 방제기의 선회조절부의 부분 절취평면도,
도 5는 종래의 방제기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연결바아
3 : 엔진 5 : 스타트스위치
6 : 분사펌프스위치 7 : 회전각도조절레버
8 : 경사각도조절레버 9 : 파워조절레버
10 : 분사헤드 11 : 분사펌프
12 : 헤드본체 13 : 분사노즐
14 : 약제탱크 15 : 분사밸브
16 : 압력조절밸브 17 : 분사코크
18 : 압력조절레버 20 : 선회조절부
21 : 유압펌프 23 : 축류팬 모터
24 : 축류팬 25 : 선회모터
26 : 감속기 27 : 피니언
28 : 내치기어 30 : 승강조절부
31 : 유압탱크 33 : 실린더
34 : 실린더본체 35 : 실린더밸브
36 : 실린더로드 37 : 아암
38 : 지지부본체 41 : 급수펌프
43 : 급수펌프스위치 45 : 급수밸브
46 : 엔진실 47 : 연료탱크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방제기에 있어서, 본체와; 후단의 공기유입구와 선단의 토출구를 가진 관상의 헤드본체와, 상기 헤드본체내에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공급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송풍하는 축류팬과, 상기 토출구의 영역에 설치되는 복수의 분사노즐을 갖는 분사헤드와; 상기 분사노즐에 액제를 공급하는 액제공급부와; 상기 헤드본체의 축선의 경사각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동지지하는 헤드지지부와; 상기 헤드본체와 상기 헤드지지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헤드본체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승강조절부와; 상기 헤드지지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헤드지지부를 수평회동시키는 선회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헤드지지부는, 상기 헤드본체의 반경방향의 양측부로부터 상기 선회조절부를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아암과, 상기 각 아암을 상기 선회조절부에 고정시키는 지지부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선회조절부는, 선회구동모터의 축상에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어 선회하며 상기 지지부본체가 안착되는 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조절부는, 일단이 상기 지지부본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헤드본체의 상기 아암이 고정된 위치로부터 상기 헤드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는 실린더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방제기는, 도 1과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기기부품들이 안착되는 판상의 본체(1)와, 본체(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트럭이나 트레일러 등에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바아(2)를 가지고 있으며, 본체(1)의 하부에는 휠(4)이 장착되어 있다.
본체(1)의 연결바아(2)에 대향되는 영역에는, 약제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헤드(10)와, 분사헤드(10)를 상하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승강조절부(30)와, 분사헤드(10)를 수평회동시키는 선회조절부(20)가 안착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바아(2)측의 본체(1) 영역에는, 분사헤드(10)로 약제를 공급하는 약제공급부와,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펌프와 모터 및 동력원인 엔진(3)이 수용되어 있는 엔진실(46)과, 엔진(3)에 공급되는 연료를 수용하는 연료탱크(47)가 안착되어 있다. 한편, 연료탱크(47)의 상면에는 방제기의 운전을 위한 운전석(5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분사헤드(10)는 각종밸브와 배관이 수용되어 본체(1)에 안착된 배관실(22)의 상부면에 안착설치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의 판면방향을 따라 긴 관상으로 형성되며 후단에는 공기유입구(12a)가 선단에는 토출구(12b)가 형성된 헤드본체(12)와, 헤드본체(12)내에 공기유입구(12a)에 인접하게 동축적으로 설치되며 공급유입구(12a)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토출구(12b)를 통해 송풍하는 축류팬(24)과, 토출구의 영역에 헤드본체(12)의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분사노즐(13)을 포함한다. 여기서, 축류팬(24)은 제트팬이고, 축류팬(24)을 구동하기 위한 축류팬 모터(23)는 축류팬(24)의 구동축상에 설치되며, 이 축류팬 모터(23)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펌프(21)는 엔진실(46)내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약제공급부는, 약제를 수용하는 약제탱크(14)와, 약제를 분사노즐(13)로 분사시키기 위한 분사펌프(11)와, 약제탱크(14)로부터 분사노즐(13)로 약제를 공급하기 위한 도시않은 약제공급관, 및 분사펌프(11)와 약제탱크(14) 사이에 설치되어 약제공급관을 개폐하는 분사밸브(15)와, 분사되는 약제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16)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분사펌프(11)는 엔진실(46)내에 설치되고, 분사밸브(15)와 압력조절밸브(16)는 배관실(22)내에 설치된다.
이러한 분사헤드(10)를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선회조절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식 선회모터(25)와, 선회모터(25)로부터의 구동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26)를 가지며, 선회모터(25)로부터의 구동력은 분사헤드(10)를 향해 돌출한 감속기(26)의 축에 설치된 피니언(27)과, 피니언(27)의 외주면에 맞물려 선회하는 내치기어(28)에 의해 분사헤드(10)로 전달된다. 여기서, 감속기(26)와 선회모터(25)는 배관실(22)의 일영역에 수용되어 있다.
한편, 분사헤드(10)는 헤드지지부(32)에 의해 선회조절부(20)에 고정되며, 헤드지지부(32)는 분사헤드(10)의 반경방향의 양측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분사헤드(10)의 중앙영역을 향해 절곡된 한 쌍의 아암(37)과, 아암(37)을 선회조절부(20)에 고정하는 지지부본체(38)를 가진다. 여기서, 아암(37)은 지지부본체(38)에 의해 선회조절부(20)의 내치기어(28)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선회모터(25)의 작동시 아암(37)과 지지부본체(38)가 내치기어(28)와 일체로 회전하게 되어 분사헤드(10)의 방향이 조절된다.
이러한 분사헤드(10)의 축선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승강조절부(30)는, 일단이 지지부본체(38)에 고정되고 타단은 헤드본체(12)에 고정되는 실린더(33)로 형성된다. 여기서, 실린더(33)는 오일을 공급받는 실린더본체(34)와, 실린더본체(34)내에 수용되어 실린더본체(34)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실린더로드(36)를 포함하며, 실린더본체(34)는 지지부본체(38)에 고정되고, 실린더로드(36)는 헤드본체(12)에 고정된다. 그리고, 헤드본체(12)에 고정되는 실린더로드(36)의 단부는 분사헤드(10)의 축선방향을 따라 아암(37)이 고정된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된다. 즉, 실린더(33)는 아암(37)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분사헤드(10)와 지지부본체(38) 사이에 고정되며, 이는 실린더(33)가 아암(37)에 대한 경사도가 작으면 분사헤드(10)의 상하방향 이동폭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실린더(33)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탱크(31)는 배관실(22)의 측부영역에 설치되어 있으며, 유압탱크(31)와 실린더(33) 사이에는 실린더(33)로의 오일공급을 제어하는 실린더밸브(3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엔진실(46)내에는 약제탱크(14)로 물을 급수하기 위한 급수펌프(41)가 설치되어 있으며, 급수펌프(41)로부터의 물은 급수관을 통해 약제탱크(14)로 공급되고, 급수관상에는 급수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45)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방제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패널은 운전석의 전면에 설치되며, 약제의 잔량이나 압력 등을 나타내는 계기판과, 복수의 조작노브가 설치된 조작부를 가진다. 계기판에는 급수펌프(41)의 작동을 위한 급수펌프스위치(43)와,분사펌프(11)의 작동을 위한 분사펌프스위치(6) 및 엔진(3)의 작동을 위한 스타트스위치(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조작부에는, 분사노즐(13)로부터 분사되는 약제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레버(18)와, 분사헤드(10)의 수평방향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회전각도조절레버와, 분사헤드(10)의 상하방향 경사각을 조절하는 경사각도조절레버(8)와, 엔진(3)의 파워레벨을 조절하는 파워조절레버(9), 약제의 분사를 위한 분사밸브(15)를 개폐하는 분사코크(17)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압력조절레버(18)를 조작하면, 약제공급관에 설치된 압력조절밸브(16)가 조절된 압력까지 약제공급관을 폐쇄하여 약제의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각도조절레버(7)를 조작하면, 선회모터(25)가 작동되어 내치기어(28)가 피니언(27)을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내치기어(28)에 안착된 분사헤드(10)가 회전하여 분사헤드(10)의 선두방향이 변환된다. 이러한 회전각도조절레버(7)를 조작하여 분사헤드(10)가 일정 각도에 고정되도록 선회모터(25)를 조작할 수도 있고, 분사헤드(10)가 일정 각도범위내에서 계속적으로 선회하도록 선회모터(25)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한편, 경사각도조절레버(8)를 조작하면, 실린더밸브(35)가 개방되고 유압탱크(31)로부터의 오일이 실린더(33)로 공급되어 실린더로드(36)의 길이가 조절되고, 이에 따라, 분사헤드(10)가 상하방향으로 경사각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약제의 방제시, 먼저, 스타트스위치(5)를 온시키면, 엔진(3)에 장착된 유압모터의 작동에 의해 엔진실(46)내의 엔진(3)이 구동하고, 계기판의 각 계기들이 작동하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약제를 분사할 지역의 범위나 약제량 등에 따라, 압력조절레버(18)를 이용하여 분사되는 약제의 압력을 조절하고, 회전각도조절레버(7)와 경사각도조절레버(8)를 조작하여 분사각도와 분사범위를 설정한다. 이 때, 분사범위가 넓을수록 약제의 압력을 높이고, 분사헤드(10)가 일정 각도내에서 회전하도록 선회모터(25)를 작동시키며, 분사헤드(10)가 상방을 향하도록 하거나, 분사헤드(1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실린더(33)에 공급되는 유압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엔진(3)의 출력레벨을 높여 축류팬 모터(23)나 분사펌프(11)의 출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약제의 분사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렇게 각 조작레버의 조절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분사펌프(11)를 작동시키는 분사펌프스위치(6)를 턴온시키고, 분사코크(17)를 개방한다. 그러면, 분사펌프(11)에 의해 약제탱크(14)로부터의 약제가 약제공급관을 따라 이동하며, 이 때, 압력조절밸브(16)는 약제의 압력이 일정 이상 도달하면 개방되고, 약제는 분사노즐(13)을 통해 분사된다.
한편, 약제탱크(14)의 약제는 물에 용해되어 액제로 분사되며, 따라서, 약제탱크(14)에 약제를 수용시키고, 급수를 하게 된다. 이 때, 도시않은 급수관에 외부로부터의 급수장치를 연결하고, 급수펌프스위치(43)를 턴온시키면, 급수밸브(45)가 개방되고 급수펌프(41)가 동작하여 약제탱크(14)내로 물이 공급되게 된다.
이러한 본 방제기는, 방제기의 운행중 분사헤드(10)를 자유롭게 좌우 및 상하회동조절이 가능하므로, 원하는 영역에 약제를 살포할 수 있으며, 좌우회전은 모터를 이용하고, 상하회전은 실린더(33)를 이용함으로써, 그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다. 또한, 축류팬으로부터의 송풍압력이 관상의 헤드본체를 따라 직진하여 분출되므로 송풍유로내에 방해요인이 없으므로, 송풍압력을 최대한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엔진(3)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축류팬 모터(23)와 분사펌프(11) 등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범위한 영역에 분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사영역에 따라 적절하게 출력을 조절할 수 있어 분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분사노즐을 자동적으로 상하 및 좌우 회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간단화하고, 분사헤드를 통한 약제의 분사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광범위한 영역에 약제를 분사할 수 있다.

Claims (3)

  1. 방제기에 있어서,
    본체와;
    후단의 공기유입구와 선단의 토출구를 가진 관상의 헤드본체와, 상기 헤드본체내에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공급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송풍하는 축류팬과, 상기 토출구의 영역에 설치되는 복수의 분사노즐을 갖는 분사헤드와;
    상기 분사노즐에 액제를 공급하는 액제공급부와;
    상기 헤드본체의 축선의 경사각 조절이 가능하도록 회동지지하는 헤드지지부와;
    상기 헤드본체와 상기 헤드지지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헤드본체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승강조절부와;
    상기 헤드지지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헤드지지부를 수평회동시키는 선회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지지부는, 상기 헤드본체의 반경방향의 양측부로부터 상기 선회조절부를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아암과, 상기 각 아암을 상기 선회조절부에 고정시키는 지지부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선회조절부는, 선회구동모터의 축상에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어 선회하며 상기 지지부본체가 안착되는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조절부는, 일단이 상기 지지부본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헤드본체의 상기 아암이 고정된 위치로부터 상기 헤드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는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기.
KR2019990024315U 1999-11-08 1999-11-08 방제기 KR20017983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191A KR20010045762A (ko) 1999-11-08 1999-11-08 방제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191A Division KR20010045762A (ko) 1999-11-08 1999-11-08 방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833Y1 true KR200179833Y1 (ko) 2000-04-15

Family

ID=196190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191A KR20010045762A (ko) 1999-11-08 1999-11-08 방제기
KR2019990024315U KR200179833Y1 (ko) 1999-11-08 1999-11-08 방제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191A KR20010045762A (ko) 1999-11-08 1999-11-08 방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4576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170B1 (ko) * 2004-04-12 2006-06-19 한아에쎄스 주식회사 집중식 약제살포기
KR100753604B1 (ko) * 2006-02-21 2007-09-05 엄성만 물 분사 기능을 갖는 온풍장치
KR200472627Y1 (ko) 2012-07-18 2014-05-15 배현식 방역장치의 분무관
CN116099308A (zh) * 2023-04-14 2023-05-12 中钜(陕西)工程咨询管理有限公司 一种适用于建筑垃圾处置的高空喷雾降尘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159B1 (ko) * 2001-02-19 2007-07-24 최준홍 방제기
KR101047392B1 (ko) * 2011-01-21 2011-07-08 (주)한성티앤아이 방제기
KR101230635B1 (ko) * 2011-07-01 2013-02-06 이종봉 방제액의 초미립분사용 방제장치
CN104012506A (zh) * 2014-06-20 2014-09-03 南通黄海药械有限公司 一种高效雾化喷雾机的斜风筒
KR101712410B1 (ko) * 2015-02-23 2017-03-22 정연창 노즐대의 회전각도 및 경사각도의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약제 자동살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170B1 (ko) * 2004-04-12 2006-06-19 한아에쎄스 주식회사 집중식 약제살포기
KR100753604B1 (ko) * 2006-02-21 2007-09-05 엄성만 물 분사 기능을 갖는 온풍장치
KR200472627Y1 (ko) 2012-07-18 2014-05-15 배현식 방역장치의 분무관
CN116099308A (zh) * 2023-04-14 2023-05-12 中钜(陕西)工程咨询管理有限公司 一种适用于建筑垃圾处置的高空喷雾降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762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017B1 (ko) 스프링클러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179833Y1 (ko) 방제기
KR101047392B1 (ko) 방제기
JP2000198495A (ja) 無線操縦ヘリコプタ―の防除装置
KR100479462B1 (ko) 연막 및 분무 분사 겸용 소독기
KR0130148B1 (ko) 농약 방제기
KR100458938B1 (ko) 농약방제기
KR200221498Y1 (ko) 농약방제기
KR100741159B1 (ko) 방제기
KR200176177Y1 (ko) 이동식 무인 탈취제 분사기
JP3236523B2 (ja) 防除用薬液散布装置
KR200231396Y1 (ko) 방제기의 분무장치
KR100523590B1 (ko) 휴대용 액제 연무기
KR200389781Y1 (ko) 살수 및 분무 기능을 갖는 특장차용 분사체
KR200390737Y1 (ko) 살수 및 분무 기능을 갖는 특장차의 밸브 자동 개폐장치
KR200278611Y1 (ko) 휴대용 액제 연무기
KR200284189Y1 (ko) 연막 및 분무 분사 겸용 소독기
KR102331622B1 (ko) 스프레이장치
KR0110808Y1 (ko) 액상물 분무기
KR200368825Y1 (ko) 방제기의 분무헤드
KR20000004178U (ko) 이동식 무인 탈취제 분사기
KR101515495B1 (ko) 좌우로 살포되는 차량탑재식 원거리용 방제기
JPH10257844A (ja) 揺動散水防除機の水車ノズル構造
JP3649522B2 (ja) 揺動散水防除機
KR20180011561A (ko) 트랙터 부착형 제초제 살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