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880Y1 - 도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도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880Y1
KR200283880Y1 KR2020020013584U KR20020013584U KR200283880Y1 KR 200283880 Y1 KR200283880 Y1 KR 200283880Y1 KR 2020020013584 U KR2020020013584 U KR 2020020013584U KR 20020013584 U KR20020013584 U KR 20020013584U KR 200283880 Y1 KR200283880 Y1 KR 2002838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s
door
door plate
fram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5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우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20200200135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8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8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880Y1/ko

Link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사용자가 직접 조립을 통해 도어를 완성하도록 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도어 연출을 가능하게 하는 도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 어셈블리는 장방형의 도어 판재와; 도어 판재에 대향하는 일측 절단면에 도어 판재의 끝단을 수납하기 위한 제 1요부를 형성하는 제 1, 2프레임과; 도어 판재와 제 1, 2프레임에 대향하는 일측 절단면에 도어 판재와 제 1, 2프레임의 끝단을 수납하기 위한 제 2요부를 형성하는 제 3, 4프레임과; 제 3, 4프레임을 측면에서 관통하는 나사홀과, 나사홀의 연장 선상으로 제 1, 2프레임의 좌, 우 절단면에 형성된 나사홈을 통해 프레임에 조립되는 다수의 체결 볼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 어셈블리 {DOOR ASSEMBLY}
본 고안은 도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직접 조립을 통해 도어를 완성하도록 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도어 연출을 가능하게 하는 도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설치되는 도어는 생산자가 출입문 규격에 맞는 완제품 도어를 생산하면, 시공자가 이를 구매하여 건물에 시공함으로써 출입문으로 기능하게 되며, 통상의 도어는 완제품 위주의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완제품으로 생산되는 기존의 도어는 특정 라인에서 일정한 규격품만을 생산하기 때문에, 다양한 규격의 도어를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제품의 규격별로 별도의 생산 라인을 구비해야 하므로 설비 투자가 중복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도어는 도어의 일부가 파손되어도 부분 교체가 불가능하여 도어 전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자원과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으며,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디자인의 도어를 소량 생산하는데 적합하지 않아 사용자의 기호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규격의 도어를 용이하게 제작하고,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디자인의 도어 연출이 가능하며, 도어의 부분 교체 및 수리가 가능한 도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의 조립 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어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의 조립 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어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C 부분에서 제 3프레임의 우측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한 C 부분에서 제 2프레임의 좌측면도.
도 7은 도 2의 D-D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4 : 도어 판재 6, 8 : 제 1, 2프레임
10, 12 : 제 3, 4프레임 14 : 체결 볼트
16 : 나사홀 18 : 나사홈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장방형의 도어 판재와, 도어 판재에 대향하는 일측 절단면에 도어 판재의 끝단을 수납하기 위한 제 1요부를 형성하는 제 1, 2프레임과, 도어 판재와 제 1, 2프레임에 대향하는 일측 절단면에 도어 판재와 제 1, 2프레임의 끝단을 수납하기 위한 제 2요부를 형성하는 제 3, 4프레임과, 제 3, 4프레임을 측면에서 관통하는 나사홀과, 나사홀의 연장 선상으로 제 1, 2프레임의 좌, 우 절단면에 형성된 나사홈을 통해 프레임에 조립되는 다수의 체결 볼트를 포함하는 도어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의 조립 전, 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어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어셈블리(2)는 장방형의 도어 판재(4)와, 도어 판재(4)의 상, 하 끝단에 조립되는 제 1, 2프레임(6, 8)과, 도어 판재(4)와 제 1, 2프레임(6, 8)의 좌, 우 끝단에 조립되는 제 3, 4프레임(10, 12)과, 제 3, 4프레임(10, 12)의 측면에서 제 3프레임(10)과 제 1, 2프레임(6, 8) 및 제 4프레임(12)과 제 1, 2프레임(6, 8)을 조여 고정시키는 다수의 체결 볼트(1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2프레임(6, 8)은 도어 판재(4)보다 큰 두께로 형성되며, 도어 판재(4)에 대향하는 일측 절단면에 도어 판재(4)의 끝단을 수납하기 위한 제 1요부(凹部)(6a, 8a)를 형성한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로서, 제 1요부(6a)는 도어 판재(4)에 대향하는 제 1프레임(6)의 일측 절단면에서 소정의 깊이(d1)와 너비(w1)를 갖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제 1요부(6a)의 깊이(d1)는 도어 판재(4)와의 조립 강도를 고려하여 도어 판재(4)의 끝단이 충분히 수납되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제 1요부(6a)의 너비(w1)는 도어 판재(4)와의 조립 여유를 고려하여 도어 판재(4)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3, 4프레임(10, 12) 또한 도어 판재(4)보다 큰 두께로 형성되며, 도어 판재(4) 및 제 1, 2프레임(6, 8)에 대향하는 일측 절단면에 도어 판재(4)와 제 1, 2프레임(6, 8)의 끝단을 수납하기 위한 제 2요부(10a, 12a)를 형성한다.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로서, 제 2요부(10a)는 도어 판재(4)에 대향하는 제 3프레임(10)의 일측 절단면에서 소정의 깊이(d2)와 너비(w2)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2요부(10a) 또한 그 깊이(d2)가 도어 판재(4)와의 조립 강도를 고려하여 도어 판재(4)의 끝단이 충분히 수납되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그 너비(w2)는 도어 판재(4)와의 조립 여유를 고려하여 도어 판재(4)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이루어진다.
이 때, 제 3, 4프레임(10, 12)에 대향하는 제 1, 2프레임(6, 8)의 좌, 우 절단면에는 도어 판재(4)와 동일한 두께의 철부(凸部)(6b, 8b)가 형성되어 이 철부(6b, 8b)가 제 3, 4프레임(10, 12)에 형성된 제 2요부(10a, 12a)에 수납되도록 한다.
또한, 제 1, 2프레임(6, 8)에 대향하는 제 3, 4프레임(10, 12)의 상, 하 단부에는 제 3, 4프레임(10, 12)의 측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나사홀(16)이 형성되며, 제 3, 4프레임(10, 12)에 대향하는 제 1, 2프레임(6, 8)의 일측 절단면에는 나사홀(16)의 연장 선상으로 다수의 나사홈(18)이 형성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C 부분에서 제 3프레임의 우측면도로서, 제 3프레임(10)은 제 2프레임(8)에 대향하는 하측 단부에 한쌍의 나사홀(16)을 형성하여 이 나사홀(16)이 제 3프레임(10)의 외측면과 제 2요부(10a)가 형성된 제 3프레임(10)의 내부 절단면을 관통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6은 도 2에 도시한 C 부분에서 제 2프레임의 좌측면도로서, 제 3프레임(10)에 대향하는 제 2프레임(8)의 일측 절단면에는 제 3프레임(10)에 구비된 각자의 나사홀(16)에 대응하여 이 나사홀(16)과 연결되는 소정 깊이의 나사홈(18)이 형성된다.
이 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프레임(10)에 형성되는 나사홀(16)은 제 1프레임(6)에 대향하는 내부 절단면 쪽의 일부에만 형성되고, 제 3프레임(10)의 외측면과 나사홀(16) 사이에는 나사홀(16)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소정의 여유 공간(2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3, 4프레임(10, 12)에 나사홀(16)과 여유 공간(20)을 함께 형성하면, 다음에 설명하는 도어 어셈블리(2) 조립 과정에서 제 3프레임(10)의 외측면으로부터 체결 볼트(14)를 끼워 조립할 때, 체결 볼트(14)의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도어 어셈블리(2)는 제 1프레임(6)과 제 2프레임(8)이 상호 호환이 가능하도록 형상과 치수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제 3프레임(10)과 제 4프레임(12) 또한 상호 호환이 가능하도록 형상과 치수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도어 판재(4)와 제 1프레임(6)∼제 4프레임(12) 모두는 사용자의 기호에 맞추어 재질과 색상 등이 다른 여러 종류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디자인 연출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도어 판재(4)와 제 1프레임(6)∼제 4프레임(12) 모두는 가장자리와 절단면이 모두 마감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도어 어셈블리 구성에 기초하여 도어 어셈블리의 조립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 볼트(14)를 제 3, 4프레임(10, 12)에 구비된 각자의 나사홀(16)에 끼워 결합시키고, 도어 판재(4)의 상, 하 끝단에 제 1, 2프레임(6, 8)을 끼워 고정시킨다. 이 과정에서, 도어 판재(4)의 상, 하 끝단이 제 1, 2프레임(6, 8)에 구비된 제 1요부(6a, 8a) 내부에 수납되어 도어 판재(4)와 제 1, 2프레임(6, 8)이 일체로 조립된다.
그리고 도어 판재(4)와 제 1, 2프레임(6, 8)의 좌, 우 끝단에 제 3, 4프레임(10, 12)을 끼워 고정시킨다. 이 과정에서도 도어 판재(4)의 좌, 우 끝단과 제 1, 2프레임(6, 8)에 구비된 철부(6b, 8b)가 제 3, 4프레임(10, 12)의 제 2요부(10a, 12a) 내부에 수납되어 도어 판재(4)와 제 1프레임(6)∼제 4프레임(12)이 일체로 조립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드릴 또는 드라이버를 이용하여체결 볼트(14)를 조임으로써 체결 볼트(14)가 나사홀(16)을 거쳐 제1, 2프레임(10, 12)의 나사홈(18)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로서 체결 볼트(14)가 제 3, 4프레임(10, 12)의 측면에서 제 3프레임(10)과 제 1, 2프레임(6, 8), 그리고 제 4프레임(12)과 제 1, 2프레임(6, 8)을 조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도어 어셈블리는 DIY(Do It Yourself) 방식으로 사용자가 직접 도어를 제작함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디자인의 도어를 손쉽게 완성할 수 있으며, 도어의 부분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품의 모듈화가 가능하여 하나의 생산 라인에서 다양한 규격품을 제작할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기호에 맞는 도어를 제작할 수 있어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어셈블리는 사용중 도어의 일부가 파손되어도 파손된 일부만 교체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도어의 보수와 수리가 용이하다.

Claims (4)

  1. 장방형의 도어 판재와;
    상기 도어 판재에 대향하는 일측 절단면에 도어 판재의 끝단을 수납하기 위한 제 1요부를 형성하여 도어 판재의 상, 하 끝단에 조립되는 제 1, 2프레임과;
    상기 도어 판재와 제 1, 2프레임에 대향하는 일측 절단면에 도어 판재와 제 1, 2프레임의 끝단을 수납하기 위한 제 2요부를 형성하여 도어 판재와 제 1, 2프레임의 좌, 우 끝단에 조립되는 제 3, 4프레임; 및
    상기 제 3, 4프레임을 측면에서 관통하는 나사홀과, 나사홀의 연장 선상으로 제 1, 2프레임의 좌, 우 절단면에 형성된 나사홈을 통해 상기 프레임에 조립되는 다수의 체결 볼트
    를 포함하는 도어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프레임이 제 3, 4프레임에 대향하는 좌, 우 절단면에 도어 판재와 동일한 두께의 철부를 형성하여 이 철부가 제 3, 4프레임의 제 2요부에 수납되는 도어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4프레임이 제 1, 2프레임에 대향하는 제 3, 4프레임의 상, 하 단부에 각각 한쌍의 나사홀을 형성하는 도어 어셈블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프레임이 나사홀의 연장 선상으로 제 1, 2프레임의 좌, 우 절단면에 각각 한쌍의 나사홈을 형성하는 도어 어셈블리.
KR2020020013584U 2002-05-03 2002-05-03 도어 어셈블리 KR2002838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584U KR200283880Y1 (ko) 2002-05-03 2002-05-03 도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584U KR200283880Y1 (ko) 2002-05-03 2002-05-03 도어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880Y1 true KR200283880Y1 (ko) 2002-07-27

Family

ID=73122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584U KR200283880Y1 (ko) 2002-05-03 2002-05-03 도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88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407Y1 (ko) 2009-06-04 2011-05-03 주식회사 금오하이텍 출입구용 문짝 결합구조
KR101226576B1 (ko) * 2012-08-14 2013-01-25 주식회사 씨쓰리 장식부재 탈부착 구조를 갖는 도어 프레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407Y1 (ko) 2009-06-04 2011-05-03 주식회사 금오하이텍 출입구용 문짝 결합구조
KR101226576B1 (ko) * 2012-08-14 2013-01-25 주식회사 씨쓰리 장식부재 탈부착 구조를 갖는 도어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3880Y1 (ko) 도어 어셈블리
AU2003217540A1 (en) Lower frame assembly for blanking tool
KR200283881Y1 (ko) 도어 어셈블리
KR101797061B1 (ko) 체결력이 강화된 알루미늄 창문프레임의 조립구조
US651355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arved wooden doors
US20030046881A1 (en) Standardized arched jamb assembly and method
CN211573115U (zh) 门套线
EP4129446B1 (en) Filter frame
KR200387565Y1 (ko) 스위치 박스용 스위치 고정판
KR200224347Y1 (ko) 가구용 도어
KR200395290Y1 (ko) 서랍용 함체
CN211173673U (zh) 门套调节件
KR200344361Y1 (ko) 창문용 중간바 연결구
KR200301549Y1 (ko) 박스용 조립구
PT1232689E (pt) Processo para a producao de recipientes a partir de elementos no essencial em forma de placas bem como produtos que podem ser produzidos de acordo com o processo
WO1994023166A3 (en) Hinge plate and method for fitting a hinge plate
KR100472424B1 (ko) 도어조립체
KR20090109625A (ko) 문에 사용되는 장식판 고정 프레임
KR200201455Y1 (ko) 조립식 미세기 문틀
KR200246602Y1 (ko) 문짝설치용 문틀 조립구조
KR200360524Y1 (ko) 방화문용 외측판재와 내측판재의 결합 구조물
KR200355500Y1 (ko) 방화문용 외측판재와 내측판재의 결합 구조물
KR200281181Y1 (ko) 창틀의 연결구
KR200372674Y1 (ko) 안전도어
KR200396521Y1 (ko) 프레임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