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6576B1 - 장식부재 탈부착 구조를 갖는 도어 프레임 - Google Patents

장식부재 탈부착 구조를 갖는 도어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6576B1
KR101226576B1 KR1020120088763A KR20120088763A KR101226576B1 KR 101226576 B1 KR101226576 B1 KR 101226576B1 KR 1020120088763 A KR1020120088763 A KR 1020120088763A KR 20120088763 A KR20120088763 A KR 20120088763A KR 101226576 B1 KR101226576 B1 KR 101226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ide wall
pair
decorative member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쓰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쓰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쓰리
Priority to KR1020120088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65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8Uniting ornamental elements on a support, e.g. mosaic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bstract

일반적으로 홈이 아닌 별도로 구성된 거치대를 이용하여 유리나 장식판 등의 장식부재를 용이하게 설치 및 교체할 수 있는 장식부재 탈부착 구조를 갖는 도어 프레임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한 쌍의 걸림턱 내부에 부착되는 내부 고정목, 상기 장식부재를 지지하도록 장식부재 테두리의 양 측면에 각각 접촉되며 상기 내부 고정목에 각각 접촉되는 한 쌍의 거치대, 및 상기 내부 고정목에 한 쌍의 거치대를 체결시키기 위해 내부 고정목과 한 쌍의 거치대 사이에 구비되는 내부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부재 탈부착 구조를 갖는 도어 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두께의 장식부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파손이 쉬운 장식부재를 작업 현장에서 시공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유통에 대한 부담이 줄어든다.

Description

장식부재 탈부착 구조를 갖는 도어 프레임{DOOR FRAME HAVING FITTING-REMOVING STRUCTURE OF DECORATION PART}
본 발명은 장식부재 탈부착 구조를 갖는 도어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홈이 아닌 별도로 구성된 거치대를 이용하여 유리나 장식판 등의 장식부재를 용이하게 설치 및 교체할 수 있는 장식부재 탈부착 구조를 갖는 도어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실내용 도어에 다양한 변화를 주기 위해서, 도어를 통째로 교체하는 방법이나, 도어의 표면에 장식물을 탈부착시키는 방법이나, 또는 도어를 액자처럼 구성하여 중앙부분의 유리나 장식판 등의 장식부재를 교체하는 방법 등이 공지되어 있었다.
그러나, 유리파손 시 도어를 통째로 교체하는 방법은 비용과 노력이 많이 들고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어의 표면에 장식을 탈부착시키는 방법이나 도어를 액자처럼 구성하는 방법은 도어와 장식물 사이에 일체감이 떨어져 부자연스럽다는 인상을 주었으며, 탈부착 과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결합 또는 체결부재가 외부에 노출되어 지저분하게 느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된 문틀구조는 목재로 구성된 문틀구조와 달리 망치나 타커건(tacker-gun)을 매개체로 하는 나사못이나 고정핀을 고정수단으로 이용할 수 없어, 문틀을 조립할 때 유리를 미리 끼워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6313호에는 적어도 한 쪽의 틀 부재가 착탈되도록 구성하여 문짝 중앙부위에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가구용 문짝을 제공하되, 틀 부재의 착탈을 수행하는 착탈 수단이 문짝 내부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저렴하고 간단하게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가구용 문짝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가구용 도어는 틀 부재의 각 모서리를 나사부재로 결합하기 때문에 장식판의 탈부착이 간편하지만, 기존에 사용한 장식판과 다른 두께의 장식판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6313호(2003.03.04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3048호(2009.06.18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5673호(2012.01.18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 차이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고, 간단한 공정과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두께의 장식부재를 설치할 수 있는 장식부재 탈부착 구조를 갖는 도어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장식부재가 안착되도록 상기 장식부재 방향으로 장식부재의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걸림턱이 구비된 상부프레임, 하부프레임, 제 1 측벽프레임 및 제 2 측벽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걸림턱 내부에 부착되는 내부 고정목, 상기 장식부재를 지지하도록 장식부재 테두리의 양 측면에 각각 접촉되며 상기 내부 고정목에 각각 접촉되는 한 쌍의 거치대, 및 상기 내부 고정목에 한 쌍의 거치대를 체결시키기 위해 내부 고정목과 한 쌍의 거치대 사이에 구비되는 내부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부재 탈부착 구조를 갖는 도어 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두께의 유리 또는 장식판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넓은 실내공간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설치공간이 실질적으로 감소되므로 더 넓은 실내공간의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파손이 쉬운 유리나 장식판 등의 장식부재를 작업 현장에서 시공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유통에 대한 부담이 줄어든다.
아울러, 본 발명은 나사 등의 결합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도어용 문의 미관에 대한 미려함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도어 프레임의 조립성이 향상되어 일반인도 장식부재의 교체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도어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도어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도어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의한 장식부재 탈부착 구조를 갖는 도어 프레임(이하, '도어 프레임'이라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도어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프레임은 장식부재(500)가 안착되도록 상기 장식부재(500) 방향으로 장식부재(500)의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걸림턱(10', 10")이 구비된 상부프레임(100), 하부프레임(200), 제 1 측벽프레임(300), 및 제 2 측벽프레임(400)을 포함하고, 이러한 프레임들에 각각 설치되는 내부 고정목(20), 한 쌍의 거치대(30', 30"), 내부 체결수단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장식부재(500)는 도어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유리나 장식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장식판은 일반적인 도어에 삽입되어 미감을 나타낼 수 있는 소재를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어 프레임은 종래와 같은 구성이 포함되므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 프레임은 상부프레임(100), 하부프레임(200), 제 1 측벽프레임(300), 및 제 2 측벽프레임(40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프레임(100)은 상기 장식부재(500)의 상부에 구비되어 문틀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미도시)에 접촉하는 것으로서, 상부프레임(100)의 상단면 양단에는 롤러부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을 한다.
상기 하부프레임(200)은 상기 장식부재(500)의 하단에 구비되어 하부 문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미도시)에 접촉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측벽프레임(300) 및 제 2 측벽프레임(400)에 일단이 접촉되어 고정되며, 하부프레임(200)의 하단면 양단에는 호차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을 한다.
상기 제 1 측벽프레임(300) 및 제 2 측벽프레임(400)은 장식부재(500)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측벽프레임(300)은 상부프레임(100)의 일단과 하부프레임(200)의 일단이 접촉되어 고정되며, 제 2 측벽프레임(400)의 상부프레임(100)의 타단과 하부프레임(200)의 타단이 접촉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부프레임, 제 1 측벽프레임, 제 2 측벽프레임, 하부프레임(이하, '프레임부'라고 약칭함)은 외력에 의한 비틀림을 방지하는 알루미늄 심재와 상기 심재의 표면을 커버하는 데코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도어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알루미늄 심재(310)의 전후방 표면에는 세레이션 가공을 통해 형성된 세레이션 패턴(9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세레이션 패턴(90)은 데코시트의 접착 시 기포에 의한 데코시트의 들뜸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기포의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알루미늄 심재(310)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데코시트를 부착시키면 접착제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기포가 발생되지만, 상기 기포가 세레이션 패턴(90)에 의해 저장되어 기포에 의한 데코시트의 들뜸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때, 데코시트는 상부프레임(100), 제 1 측벽프레임(300), 제 2 측벽프레임(400), 하부프레임(200)의 표면을 커버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각 프레임의 내측 표면을 커버하는 제 1 데코시트와 외측 표면을 커버하는 제 2 데코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00), 제 1 측벽프레임(300), 제 2 측벽프레임(400), 하부프레임(200)의 알루미늄 심재는 서로 접촉된 상태로 다수개의 체결부재, 예컨대 체결볼트를 삽입시켜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알루미늄 심재는 중공이 형성된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되며, 전체 두께는 15 내지 20 ㎜, 바람직하게는 약 18㎜이고, 횡축을 기준으로 각 단면의 두께는 1 내지 5 ㎜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코시트로는 종이, 벽지, 가죽, 합성수지,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1 내지 3 ㎜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데코시트의 표면에는 샌드 에칭, 표면 엠보, 고광택(하이그로시) 도장 등이 형성되어 외관의 화려함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코시트의 표면에 다양한 인쇄 또는 NC 가공에 의한 음각을 형성하여 화려함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 심재 및 데코시트로 구성된 각 프레임은 장식부재(500)보다 두꺼운 크기를 가지며, 그 두께가 약 22㎜인 도어 프레임을 형성하여 종래의 약 45㎜ 두께를 갖는 도어 프레임에 비교하여 약 50% 이상으로 두께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심재를 통해 외부의 충격에 대한 비틀림 및 휘어짐 현상이 방지되고, 데코시트가 알루미늄 심재의 열전도를 차단시켜 종래의 도어 프레임과 유사한 보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 프레임은 내부 고정목(20)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 고정목(20)은 작업 현장에서 장식부재(500)를 시공하거나 기 설치된 장식부재(500)를 교체하는 경우 내부 체결수단에 의해 한 쌍의 거치대(30)가 각 프레임에 원활히 체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부프레임(100), 하부프레임(200), 제 1 측벽프레임(300) 및 제 2 측벽프레임(400)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걸림턱(10', 10")의 내부에 부착된다.
이를 위해, 내부 고정목(20)과 각 프레임들의 사이에는 제 1 고정수단(25)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 1 고정수단으로는 체결볼트(26), 접착제(27), 또는 이들 모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27)로는 실리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내부 고정목(20)은 걸림턱(10', 10") 내부에 형성된 안착공간에 끼워지게 직육면체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내부 고정목(20)은 나사못이나 고정핀 등이 원활히 삽입될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로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무게나 가격 등을 감안하여 원목이나 MDF 등의 합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내부 고정목(20)이 접촉되는 제 1 측벽프레임(300) 및 제 2 측벽프레임(400)의 내측면에는 요철부(9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요철부(95)는 내부 고정목(20)과 제 1 측벽프레임(300)의 접촉면적과, 내부 고정목(20)과 제 2 측벽프레임(400)의 사이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접착제에 의한 결합력을 증가시킨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 프레임은 거치대(30)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대(30)는 전술한 장식부재(500)가 도어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프레임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과 제 1 측벽프레임(300), 및 제 2 측벽프레임(400)에 각각 한 쌍이 구비된다.
이러한 거치대(30)는 장식부재(5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도 2와 같이 일단이 장식부재(500) 테두리의 양 측면에 각각 접촉되며,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이 내부 고정목(20)에 각각 접촉된다. 이에, 도어 프레임에 설치된 장식부재(500)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거치대(30)만을 탈착하여 장식부재(500)를 교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30)는 도 3과 같이 상부프레임(100)에 접촉되는 상부 거치대(32)와 하부프레임(200)에 접촉되는 하부 거치대(34)와 제 1 측벽프레임(300)에 접촉되는 우측벽 거치대(36) 및 제 2 측벽프레임(400)에 접촉되는 좌측벽 거치대(38)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거치대(30)는 장식부재(500)를 도어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종래의 도어 프레임에 형성된 삽입홈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거치대(30)는 도어 프레임에 별도로 구비되므로 일정한 두께의 장식부재(500)만을 고정시킬 수 있는 삽입홈과는 달리 다양한 두께, 예컨대 5 내지 18 ㎜의 두께를 가지는 장식부재(500)를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거치대(30)는 내부 고정목(20)과의 충분한 접촉면을 확보하기 위해 직육면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거치대(30)는 나사못이나 고정핀 등이 원활히 삽입될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로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일부가 도어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는 점을 감안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MDF 등의 합판이나 PVC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부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등의 금속소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나사못 등을 사용하여도 한 쌍의 거치대(30)를 직접 프레임부에 결합시키는 것은 특수한 공구나 고난이도의 기술력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거치대(30)와 각 프레임 사이에 내부 고정목(20)이 구비되기 때문에 도어 프레임과 별도로 운반된 장식부재(500)를 작업현장에서 시공하거나, 파손된 장식부재(500)를 새로운 장식부재(500)로 교체하는 경우, 특수한 공구나 고난이도의 기술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 프레임은 내부 체결수단(40)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 체결수단(40)은 내부 고정목(20)에 한 쌍의 거치대(30)를 체결시키기 위해 내부 고정목(20)과 거치대(30)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결합수단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장식부재(500)의 교체 시 거치대(30)를 내부 고정목(20)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도록 나사못이나 고정핀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이러한 나사못이나 고정핀은 일반인도 쉽게 조작할 수 있는 공구(예를 들면, 망치나 타커건)를 사용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 프레임은 한 쌍의 고정턱(50', 50"), 외부 고정목(60), 마감캡(70), 외부 체결수단(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고정턱(50', 50")은 전술한 걸림턱(10', 10")을 기준으로 제 1 측벽프레임(300)의 타단부 및 제 2 측벽프레임(400)의 타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절개된 고정공간을 형성시킨다. 이때, 제 1 측벽프레임(300)에 구비된 한 쌍의 고정턱(50', 50")은 제 1 측벽프레임(30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제 2 측벽프레임(400)에 구비된 한 쌍의 고정턱은 제 2 측벽프레임(400)과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부 고정목(60)은 상기 고정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제 1 측벽프레임(300) 및 제 2 측벽프레임(400)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고정턱(50', 50")의 내부에 부착된다. 이러한 고정목(60)은 마감캡을 나사못이나 고정핀을 이용하여 각 프레임들에 설치하기 위해 각 프레임들과 마감캡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 1 측벽프레임(300)에 구비된 외부 고정목(60)과 제 1 측벽프레임(300)의 사이, 제 2 측벽프레임(400)에 구비된 외부 고정목과 제 2 측벽프레임(400)의 사이에는 각각 제 2 고정수단(65)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 2 고정수단(65)으로는 체결볼트(66), 접착제(67), 또는 이들 모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67)로는 실리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외부 고정목(60)은 고정턱(50', 50") 내부에 형성된 고정공간에 끼워지게 직육면체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외부 고정목(60)은 나사못이나 고정핀 등이 원활히 삽입될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로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무게나 가격 등을 감안하여 원목이나 MDF 등의 합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내부 고정목(20)과 동일한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필요에 따라, 상기 외부 고정목(60)이 접촉되는 제 1 측벽프레임(300) 및 제 2 측벽프레임(400)의 외측면에는 제 2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요철부는 외부 고정목(60)과 제 1 측벽프레임(300)의 접촉면적과, 외부 고정목(60)과 제 2 측벽프레임(400)의 사이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접착제에 의한 결합력을 증가시킨다.
상기 마감캡(70)은 상부프레임(100), 제 1 측벽프레임(300), 제 2 측벽프레임(400), 하부프레임(200)을 서로 결합시키는 체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체결부재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한 쌍의 고정턱(50', 50")을 커버하도록 한 쌍의 고정턱(50', 50") 사이에 끼워진다. 이때, 마감캡(70)은 직육면체형의 외형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마감캡(70)은 제 1 측벽프레임(300)에 구비된 한 쌍의 고정턱(50', 50")에 끼워지는 제 1 마감캡과, 제 2 측벽프레임(400)에 구비된 한 쌍의 고정턱에 끼워지는 제 2 마감캡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마감캡(70)은 물에 강한 PVC 소재로 구성하여 물 등의 이물질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외부 체결수단(80)은 외부 고정목(60)에 마감캡(70)을 체결시키기 위해 외부 고정목(60)과 마감캡(70)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체결수단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나사못, 고정핀, 접착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의 조립방법의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프레임(100), 하부프레임(200), 제 1 측벽프레임(300), 제 2 측벽프레임(400)이 서로 연결설치된 프레임부의 내부에 장식부재(500)를 접촉시킨다.
그 다음, 장식부재(500)의 두께에 맞춰 한 쌍의 거치대(30), 예컨대 임의의 제 1 거치대(30')와 제 2 거치대(30")의 너비를 조절한다.
이 후, 제 1 거치대(30')의 일측면을 제 1 측벽프레임(300)의 내부 고정목(20)에 접촉시키고, 제 2 거치대(30")의 일측면을 제 1 측벽프레임(300)의 내부 고정목(20)에 접촉시킨다.
이어서, 임의의 제 1 나사못을 제 1 거치대(30) 및 제 1 측벽프레임(300)의 내부 고정목(20)에 결합시켜 상기 내부 고정목(20)에 제 1 거치대(30)를 결합시키고, 제 2 나사못을 제 2 거치대(30) 및 제 1 측벽프레임(300)의 내부 고정목(20)에 결합시켜 상기 내부 고정목(20)에 제 2 거치대(30)를 결합시킨다. 이때, 나사못의 삽입은 타커건(tacker-gun)을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다른 거치대(30)들을 상기와 같이 상부프레임(100)과 장식부재(500) 사이, 제 2 측벽프레임(400)과 장식부재(500) 사이, 하부프레임(200)과 장식부재(500) 사이에 각각 연결설치하여 장식부재(500)를 프레임부에 고정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10" : 걸림턱 20 : 내부 고정목
30 : 거치대 40 : 내부 체결수단
50', 50" : 고정턱 60 : 외부 고정목
70 : 마감캡 80 : 외부 체결수단
90 : 세레이션 패턴 95 : 요철부
100 : 상부프레임 200 : 하부프레임
300 : 제 1 측벽프레임 400 : 제 2 측벽프레임
500 : 장식부재

Claims (6)

  1. 장식부재가 안착되도록 상기 장식부재 방향으로 장식부재의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걸림턱이 구비된 상부프레임, 하부프레임, 제 1 측벽프레임 및 제 2 측벽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걸림턱 내부에 부착되는 내부 고정목;
    상기 장식부재를 지지하도록 장식부재 테두리의 양 측면에 각각 접촉되며, 상기 내부 고정목에 각각 접촉되는 한 쌍의 거치대; 및
    상기 내부 고정목에 한 쌍의 거치대를 체결시키기 위해 내부 고정목과 한 쌍의 거치대 사이에 구비되는 내부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프레임, 제 1 측벽프레임, 제 2 측벽프레임, 하부프레임은
    알루미늄 심재와 상기 알루미늄 심재의 표면을 커버하는 데코시트로 구성되되, 상기 알루미늄 심재의 전후방 표면에는 세레이션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부재 탈부착 구조를 갖는 도어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고정목이 접촉되는 제 1 측벽프레임 및 제 2 측벽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부재 탈부착 구조를 갖는 도어 프레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고정목과 한 쌍의 거치대는 직육면체형 구조로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부재 탈부착 구조를 갖는 도어 프레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체결수단으로는 나사못 또는 고정핀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부재 탈부착 구조를 갖는 도어 프레임.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을 기준으로 제 1 측벽프레임 및 제 2 측벽프레임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고정공간을 형성시키는 한 쌍의 고정턱;
    상기 고정공간에 삽입되어 부착되는 외부 고정목;
    상기 한 쌍의 고정턱을 커버하도록 한 쌍의 고정턱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외부 고정목에 접촉되는 마감캡; 및
    상기 외부 고정목에 마감캡을 체결시키기 위해 외부 고정목과 마감캡 사이에 구비되는 외부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식부재 탈부착 구조를 갖는 도어 프레임.
KR1020120088763A 2012-08-14 2012-08-14 장식부재 탈부착 구조를 갖는 도어 프레임 KR101226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763A KR101226576B1 (ko) 2012-08-14 2012-08-14 장식부재 탈부착 구조를 갖는 도어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763A KR101226576B1 (ko) 2012-08-14 2012-08-14 장식부재 탈부착 구조를 갖는 도어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6576B1 true KR101226576B1 (ko) 2013-01-25

Family

ID=47842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763A KR101226576B1 (ko) 2012-08-14 2012-08-14 장식부재 탈부착 구조를 갖는 도어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65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703A (ko) 2014-08-20 2016-03-02 이준기 창문틀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창문틀
KR101914709B1 (ko) 2017-01-16 2018-11-02 주식회사 더존시스템 합성수지를 구비한 폴딩도어 프레임
KR102233242B1 (ko) 2020-08-04 2021-03-29 주식회사 미다스엔지니어링 장식판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880Y1 (ko) * 2002-05-03 2002-07-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도어 어셈블리
KR20090003626U (ko) * 2007-10-15 2009-04-20 (주)대동아이티에프 목복합창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880Y1 (ko) * 2002-05-03 2002-07-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도어 어셈블리
KR20090003626U (ko) * 2007-10-15 2009-04-20 (주)대동아이티에프 목복합창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703A (ko) 2014-08-20 2016-03-02 이준기 창문틀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창문틀
KR101914709B1 (ko) 2017-01-16 2018-11-02 주식회사 더존시스템 합성수지를 구비한 폴딩도어 프레임
KR102233242B1 (ko) 2020-08-04 2021-03-29 주식회사 미다스엔지니어링 장식판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58249A1 (en) Art wall for customized installation of shelves
TW200823345A (en) Panel installation set and method of installing panel using the same
KR101226576B1 (ko) 장식부재 탈부착 구조를 갖는 도어 프레임
KR101810812B1 (ko) 엘리베이터 벽면장식판재의 고정장치
KR20110019512A (ko) 장식판재가 부착된 엘리베이터 패널, 장식판재를 엘리베이터에 부착하는 장치 및 방법
CN211075367U (zh) 一种方便安装的装饰壁画固定框
KR101446305B1 (ko) 액자
KR200485470Y1 (ko) 가구용 코너 마감재
KR200438452Y1 (ko) 가구용 이미지패널
JP2007051494A (ja) 通風性採光ドア
KR200451348Y1 (ko) 패널 고정구조
CN209990004U (zh) 一种明暗接合式天花系统
KR20220100139A (ko) 칼라강판 시공건물
CN204781794U (zh) 改良的塑木地板组合结构
KR200438710Y1 (ko) 가구용 문짝 부재
CN217813130U (zh) 一种柜门
KR102284857B1 (ko)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
KR102332720B1 (ko) 휨 방지부재가 구비된 칼라강판 벽체 및 그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200306313Y1 (ko) 가구용 문짝
KR102268346B1 (ko) 가로형 몰딩 시스템을 이용한 욕실 구조체
KR101489127B1 (ko) 몰딩부재 고정용 브라켓
CN210325056U (zh) 一种导光式led灯箱
CN210713425U (zh) 一种便于整体安装的建筑幕墙用铝板组件
KR20120049438A (ko) 양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간판프레임 시스템
KR20170030767A (ko) 두께가 다른 장식부재를 함께 설치할 수 있는 도어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