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615Y1 - 스포츠용품 보관가방 - Google Patents

스포츠용품 보관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615Y1
KR200283615Y1 KR2020020003027U KR20020003027U KR200283615Y1 KR 200283615 Y1 KR200283615 Y1 KR 200283615Y1 KR 2020020003027 U KR2020020003027 U KR 2020020003027U KR 20020003027 U KR20020003027 U KR 20020003027U KR 200283615 Y1 KR200283615 Y1 KR 2002836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porting goods
bag
storage bag
goods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0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옥윤선
Original Assignee
옥윤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윤선 filed Critical 옥윤선
Priority to KR2020020003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6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6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615Y1/ko

Link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스포츠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스포츠용품 보관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포츠에 필요한 운동복 및 각종 보조용품뿐 아니라, 원형의 축구공, 농구공, 배구공 등을 수납할 수 있으며, 공의 수납과 이탈이 편리한 스포츠용품 보관가방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주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가방본체와 상기 가방본체에 결합된 멜빵끈을 갖는 멜빵가방에 있어서, 상기 가방본체의 정면에서 후방으로 공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의 표면으로 "+" 형상의 밴드를 형성하며,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공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원형의 이탈 방지링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 방지링의 지름을 조절할 수 있는 이완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공을 이탈시키기 위하여 이탈끈과 상기 이탈끈이 일방향으로 당겨지도록 고정시켜주는 고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용품 보관가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포츠용품 보관가방{Storage bag for sporting goods}
본 고안은 각종 스포츠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스포츠용품 보관가방에 관한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포츠에 필요한 운동복 및 각종 보조용품뿐 아니라, 원형의 축구공, 농구공, 배구공 등을 수납할 수 있으며, 공의 수납과 이탈이 편리한 스포츠용품 보관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스포츠용품 보관가방으로는 운동복등의 의류와 각종 보조용품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방으로써, 스포츠용품의 정리 및 휴대가 간편하여 많이 쓰여지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스포츠용품 보관가방은 스포츠용품을 수납하여 휴대할 때, 용품들이 서로 복잡하게 엉키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필요한 물품을 찾기 위해서는 수납된 물품을 모두 분리해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공을 이용하는 스포츠의 경우 상기 스포츠용품 보관가방은 공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적 여유가 없으며, 수납이 가능하더라도 가방에 수납된 공이 볼록하게 튀어나와 휴대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 즉, 등이나 다리 등에 부딪히는 불편함이 있어 보완이 필요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온 바,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제 208912호) "스포츠용품 보관가방"을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스포츠용품가방(1)은 가방본체(2)를 형성함에 등받이(3)의 상단에 손잡이(5)를 형성하였고, 등받이(3)의 전면에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멜빵(4)을 구비하였으며, 등받이(3)에서 상측부에는 크기가 크고 둥근 공, 즉 농구공, 축구공, 배구공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공수납부(6)를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공수납부는 공억류지지대(6-1)를 원형으로 형성하여 지퍼(9)와같은 착탈 수단에 의해 등받이(3)에서 착탈시킬수 있도록 하고, 공억류지지대(6-1)에는 분리된 결속밴드(7)(7-1)를 부착하되 결속밴드(7)(7-1)에는 매직테이프(8)와 같은 착탈수단을 구비하여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 스포츠용품 보관가방이다. 이는 가방을 휴대함으로서 모든 용품용구를 빠뜨림 없이 일괄 휴대할 수 있고, 부피가 큰 공은 그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게 휴대할 수 있는 수납부가 구비되어 공과의 신체적인 접촉이 없으며, 노출부에 의해 상품에 대한 광고 및 홍보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상기 스포츠용품 보관가방은 공을 수납, 이탈함에 있어서 매번 매직테이프를 분리시키고 결속밴드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쳐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또한, 상기 매직테이프를 장시간 사용 시 매직테이프 상단에 이물질이 부착되어져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보완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부피가 큰 공을 별도의 수납공간에 보관할 수 있으며, 공의 수납과 이탈이 간편하도록 형성시킨 스포츠용품 보관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수납부에 수납되어지는 공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하여 휴대할 수 있어 상품에 대한 광고 및 홍보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스포츠용품 보관가방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도 1은 종래 스포츠용품 보관가방.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스포츠용품 보관가방의 정면도.도 2b느느 본 고안에 따른 스포츠용품 보관가방의 A부 후면부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포츠용품 보관가방에 공을 수납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포츠용품 보관가방에서 공이 수납된 상태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포츠용품 보관가방의 일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가방본체 11, 11a : 수납부
13 : 밴드 15 : 이탈 방지링
17, 17a : 이탈끈 19, 19a : 고리
21, 21a : 이완부 23 : 고무밴드
본 고안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가방본체와 상기 가방본체에 결합된 멜빵끈을 갖는 멜빵가방에 있어서, 상기 가방본체의 정면에서 후방으로 공이 수납될 수 있도록 얇은 천 혹은 망체로 수납부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부의 표면으로는 "+" 형상의 밴드를 고무나 가죽 재질로 형성시켜줌으로서,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어지는 공을 밴드가 탄력있게 받쳐줄 뿐 아니라, 공을 외부로 이탈시킬 때, 밴드의 탄력에 의해 수납부가 쫙 펴져 공을 외부로 밀어낼 수 있도록 구성시킨다.또한,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공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의 지름보다 다소 지름이 작은 원형의 이탈 방지링이 수납부의 끝단 외주연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탈 방지링은 고무 혹은 가죽 재질로 형성되어 다소 탄성을 가지며, 수납되어지는 공을 바깥쪽에서 감싸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또, 상기 이탈 방지링의 외주연을 따라 원주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가방본체 정면부를 절개한 이완부가 3 ~ 4군데 형성되며, 상기 이완부의 후면부로는 절개된 부분의 양쪽을 이어주는 고탄력의 고무밴드가 형성되어 이완부의 이완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이완부가 이완 및 수축 함에 따라 이탈방지링의 지름도 커지거나, 작아지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가방의 외부에서 수납부로 공을 밀어 넣으면, 고탄력의 고무밴드가 후면에 형성된 이완부가 벌어짐과 동시에 이탈 방지링의 지름이 다소 커지면서 수납부의 내부로 공이 수납되며 이 때, 공의 1/2 이상이 수납부에 들어가게 되면 이완부가 원상으로 복귀됨과 동시에 이탈 방지링의 지름도 작아져 공을 외부에서 감싸며 공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구성을 갖는다.반면,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공을 외부로 이탈시킬때는 수납부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수납부의 후방부를 둘러싸며 형성된 이탈끈을 아래나 정면으로 잡아 당기게 되면 수납부가 쫙 펴지고, 수납부 표면에 형성된 밴드가 탄력을 받으면서 수납된 공이 외부로 이탈되는 구성을 갖는다. 또, 상기 이탈끈이 일방향으로 당겨지도록 고정시켜주는 고리가 이탈 방지링의 하단에 형성되어 이탈끈이 고리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이탈끈은 일반적인 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어진 공을 이탈시킬 때는, 이탈끈을 아래나 정면으로 잡아당기면 수납부가 수축됨과 동시에 수납부 상단의 밴드의 탄력에 의해 수납부가 펴지게 되며 이때, 고탄력의 이완부가 이완하고 이탈 방지링의 지름이 커지면서 공이 외부로 이탈되는 구성을 갖게 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스포츠용품 보관가방의 정면도로서, 가방본체(10)의 정면에서 후방으로 공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납부(11); 상기 수납부(11)의 표면에 "+" 형상으로 형성된 밴드(13); 상기 수납부(11)에 수납된 공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원형의 이탈 방지링(15); 상기 이탈 방지링(15)의 외주연을 따라 원주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가방본체 정면부를 3 ~ 4군데 절개한 이완부(21); 상기 수납부(11)에 수납된 공을 꺼내기 위한 이탈끈(17); 상기 이탈끈(17)이 일방향으로 당겨지도록 고정시켜주는 고리(19); 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스포츠용품 보관가방 A부의 후면부 확대도로써, 이탈 방지링(15)의 외주연을 따라 원주상으로 가방본체 정면부를 절개한 이완부(21)가 형성되며, 상기 이완부(21)의 후면부로는 절개된 부분의 양쪽을 이어주는 고탄력의 고무밴드(23)가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따라서, 상기 이완부(21)가 이완 및 수축 함에 따라 이탈방지링(15)의 지름도 커지거나,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포츠용품 보관가방에서 공을 수납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가방본체(10)의 외부에서 수납부(11)로 공을 밀어 넣게 되면, 고탄력의 고무밴드(23)가 후면에 형성된 이완부(21)가 벌어짐과 동시에 이탈 방지링(15)의 지름이 다소 커지게 되고, 수납부(11)의 내부로 공이 수납되는 것이다. 그리고, 공의 1/2 이상이 수납부(11)에 들어가게 되면 이완부(21)가 원상으로 복귀됨과 동시에 이탈 방지링(15)의 지름도 작아져 공을 외부에서 감싸며 공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구성을 갖는다.
반면, 수납부(11)에 수납되어진 공을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가방본체(10) 하단에 형성된 이탈끈(17)을 잡아 당기면 수납부(11)가 쫙 펴지게 되며, 상기 수납부(11)의 표면에 형성된 밴드(13)가 탄력을 받아 외부로 튀어나오면서 공이 외부로 이탈되는 구성을 갖는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포츠용품 보관가방에 공이 수납된 상태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가방본체(10)의 정면에 위치한 수납부(11)에 공이 수납되어지고, 수납되어진 공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링(15)이 바깥쪽에서 공을 막아주는 기능을 하며, 상기 수납부(11)의 후방으로는 이탈끈(17)이 고리(19)를 관통하여 형성되어지는 구성을 갖는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포츠용품 보관가방의 일실시예로서, 가방본체(10a)의 상단으로 손잡이가 형성된 스포츠용품 보관가방에 있어서, 상기 가방의 정면에서 후방으로 공이 수납되는 구성을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른 스포츠용품 보관가방에 의하면, 각종 스포츠용구와 용품을 하나의 가방에 깔끔하게 정리하여 휴대할 수 있고, 다소 부피가 큰 공도 별도의 수납부에 수납할 수 있어 신체와의 접촉을 없앨 수 있으며, 종래 매직테이프를 사용함에 있어서 발생하였던 접착력 저하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탈끈을 사용함으로서 공의 수납 및 이탈이 편리해 졌으며 또한, 공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휴대함에 있어서, 상품에 대한 광고 및 홍보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안출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주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가방본체와 상기 가방본체에 결합된 멜빵끈을 갖는 멜빵가방에 있어서, 상기 가방본체(10)의 정면에서 후방으로 공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납부(11); 상기 수납부(11)의 표면에 "+" 형상으로 형성된 밴드(13); 상기 수납부(11)에 수납된 공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원형의 이탈 방지링(15); 상기 이탈 방지링(15)의 외주연을 따라 원주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가방본체 정면부를 3 ~ 4군데 절개한 이완부(21); 상기 수납부(11)에 수납된 공을 꺼내기 위한 이탈끈(17); 및 상기 이탈끈(17)이 일방향으로 당겨지도록 고정시켜주는 고리(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용품 보관가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1)는 얇은 천 혹은 망체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용품 보관가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13)는 탄력을 갖는 고무나 가죽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용품 보관가방.
  4. 제 1항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링(15)는 고무나 가죽재질로 형성되며, 공의 지름보다 다소 작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용품 보관가방.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완부(21)의 후면으로는 고탄력의 고무밴드(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용품 보관가방.
  6. 제 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끈(17)은 일반적인 천 재질로 형성되며, 수납부(11)의 상단에 고정되어 수납부(11)의 후방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용품 보관가방.
KR2020020003027U 2002-01-30 2002-01-30 스포츠용품 보관가방 KR2002836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027U KR200283615Y1 (ko) 2002-01-30 2002-01-30 스포츠용품 보관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027U KR200283615Y1 (ko) 2002-01-30 2002-01-30 스포츠용품 보관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615Y1 true KR200283615Y1 (ko) 2002-07-27

Family

ID=73116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027U KR200283615Y1 (ko) 2002-01-30 2002-01-30 스포츠용품 보관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61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544A1 (ko) * 2016-01-06 2017-07-13 하성수 짐 볼 케이스
KR101774168B1 (ko) 2016-08-22 2017-09-04 하성수 짐 볼 케이스
KR102257150B1 (ko) 2020-02-10 2021-05-27 (주)디엠서플라이 스포츠용 가방 및 이의 이동 방법
KR20210116017A (ko) * 2020-03-17 2021-09-27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에어펌프가 구비된 가방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9544A1 (ko) * 2016-01-06 2017-07-13 하성수 짐 볼 케이스
US10486034B2 (en) 2016-01-06 2019-11-26 Sungsoo HA Stability ball case
KR101774168B1 (ko) 2016-08-22 2017-09-04 하성수 짐 볼 케이스
KR102257150B1 (ko) 2020-02-10 2021-05-27 (주)디엠서플라이 스포츠용 가방 및 이의 이동 방법
KR20210116017A (ko) * 2020-03-17 2021-09-27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에어펌프가 구비된 가방
KR102308885B1 (ko) * 2020-03-17 2021-10-05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에어펌프가 구비된 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0903B1 (en) Ambulatory foot pod
US5276983A (en)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backtab pull and tongue pull
US6823610B1 (en) Shoe lace fastener
US6490767B2 (en) Bungee cord with hookless ends
US6829847B2 (en) Pant cuff protector
US20060053658A1 (en) Unique systems and methods for fastening footwear
US10076147B2 (en) Pant strap
JP2007021198A (ja) 拡張可能領域付きバックパック
US20060201032A1 (en) Uni-sex multi-sport footwear accessory
US20140289930A1 (en) Golf Glove
US6357586B2 (en) Golf ball holder
US5855078A (en) Footwear protector
US20140137432A1 (en) Lace-Tying System
JP2005224509A (ja) 格闘技用股間防具
KR200283615Y1 (ko) 스포츠용품 보관가방
US20070169682A1 (en) Wrist flag device
KR100715441B1 (ko) 와이어조임구를 구비한 신발
KR200485205Y1 (ko) 볼 홀더
US4097932A (en) Athletic knee protection device
US5542896A (en) Limb encircling exercise weight with mounting structures
US11330924B2 (en) Device and method for aiding putting on a ski boot
US8661631B2 (en) Shoelace holder
JP2819389B2 (ja) スポーツシューズ
WO2020211329A1 (zh) 一种鞋子及鞋舌防歪结构
US200500544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ying racquet ba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