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483Y1 - 잉곳 연속 주조용 플럭스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잉곳 연속 주조용 플럭스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483Y1
KR200283483Y1 KR2020020010128U KR20020010128U KR200283483Y1 KR 200283483 Y1 KR200283483 Y1 KR 200283483Y1 KR 2020020010128 U KR2020020010128 U KR 2020020010128U KR 20020010128 U KR20020010128 U KR 20020010128U KR 200283483 Y1 KR200283483 Y1 KR 2002834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x
storage tank
hopper
lubricant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1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성환경산업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성환경산업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성환경산업기계
Priority to KR20200200101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4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4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483Y1/ko

Links

Landscapes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윤활제인 플럭스를 호이스트로 인양하여 각각의 저장 호퍼에 투입하고 이 플럭스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하부에 믹싱 스크류를 부착하고, 또한 배출방식은 버터 플라이 밸브를 작동하여 스크류 컨베어로 이송하여 다음 공정인 저장(압송)탱크로 보낸 다음, 로드셀에서 중량을 감지하여 일정량이 되었을때 저장탱크에서 다음 공정인 공급호퍼로 이송하고, 이어서 서보하우징이 설치된 머니퓰레이터로 잉곳 주조용 금형에 플럭스를 주입하는 자동 공급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잉곳 연속 주조용 플럭스 자동 공급장치{FLUX AUTOMATIC SUPPLY SYSTEM FOR INGOT CONTINUOUS CASTING}
본 고안은 잉곳 연속주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잉곳 연속주조시 공정상 쇳물을 원활히 흘러가게 하기 위하여 몰드와 마찰되는 부위에 플럭스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강의 연속 주조법은 196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도입되고 있는 중간 제품 생산기술로서 일반 조괴법에 비하여 많은 장점이 있기 때문에 현재 전세계 조강 생산량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일본이나 한국, 서유럽 등지에서는 90% 이상이 이러한 연속주조기술에 의하여 잉곳(ingot)을 생산하고 있다.
이러한 연속 주조법은 초기 발명된 이후 끊임없이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어 계속 발전되고 있으며, 이러한 주조법은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연속 주조법은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997-61401호(연속주조방법), 공개번호 제1997-73800호(연속주조 방법 및 장치) 및 공개번호 제1998-87531호(강의 연속주조장치)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연속 주조장치에는 잉곳 주조용 몰드(mold)에 파우다 형태의 윤활제를 공급하는 설비가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데, 상세하게는 잉곳을 연속적으로 주조할 때 쇳물을 원활히 흘러가게 하기 위하여 몰드(mold)와 마찰되는 부위에 윤활제(이하"플럭스(flux)"라 함)를 뿌려주는 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이러한 대표적인 설비장치로는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90-700213호(연속주조에 있어서의 분체공급장치)가 있다.
이러한 선출원 공개발명은 금형 내의 용강면상에 공급되는 최종단계의 주조분말을 수납하는 분말용기와, 이 주조분말을 Mold(금형)내의 용강면상에 분사하는 메트링 피다 장치(Metering feeder system)을 구비하고, 상기한 분말용기가 Mold(금형)의 작업공간보다 위쪽 높은 곳에 배치되고, 상기한 메트링 피다 장치가 메니플레이타(Manipulator)에 부착되며, 이 메트링 피다 장치와 분말용기의 배출구가 메니플레이타의 작동에 추종할 수 있는 궤적이송로를 개재하여 접속되어서 이루어진 연속주조에 있어서의 분체공급장치를 그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전술한 공개발명은 아래와 같은 많은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첫 번째로, 종래에는 공기(air)로 분체(이하"플럭스"라 함)를 이송하므로서 플럭스에 수분이 함유되어 관내에 고착되고 이에 따라 막힘 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두 번째로, 종래의 메니플레이타(Manipulator)는 상/하 접혀지는 방식으로만 되어 있기 때문에 플럭스를 배출하는 방식이 매우 제한적이며, 또한 상기 메니플레이타와 연결된 최종분말용기가 기둥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설치시 보다넓은 공간이 필요로 하고 공간적인 제약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
세 번째로, 종래의 메트링 피다 장치(sprinkle feeder)는 플럭스의 입도가 스크류 타입의 스프링과의 마찰에 의해 파손되어 최종 배출시에 많은량의 먼지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특히 플럭스의 입자가 파손되어 윤활제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플럭스의 입자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자동 공급할 수 있는 잉곳 연속 주조용 플럭스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메트링 피다 장치(Metering feeder system)에서 플러스의 입자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잉곳 연속 주조용 플럭스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플럭스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여 관내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잉곳 연속 주조용 플럭스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메니플레이타(Manipulator)를 직선 운동시킬 수 있는 잉곳 연속 주조용 플럭스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로터리 밸브와 속도제어방식을 채택하여 최종 배출시 먼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잉곳 연속 주조용 플럭스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는 잉곳 연속 주조용 플럭스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견지에 있어 본 발명은
잉곳 연속 주조시 쇳물을 원활히 흘러가게 하기 위하여 몰드와 마찰되는 부위에 윤활제를 뿌려주는 통상의 메트링 피다 장치(Metering feeder system)(70)을 구비하는 연속주조장치에서 상기 윤활제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가 공급되는 다수개의 저장호퍼(12)와;
상기 저장호퍼(12)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제를 릴레이 호퍼(22)로 이송시키는 스크류 컨베어(18)와;
상기 릴레이 호퍼(22)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제가 충진되는 저장탱크(28)와;
상기 저장탱크(28)에 충진되는 플럭스(100)의 중량을 감지하여 설정된 중량만큼 유입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저장탱크(28)로 공급되는 윤활제의 공급을 차단하는 로드셀(30)과;
상기 저장탱크(28)와 연결되며, 고압 또는 저압의 질소가스를 상기 저장탱크(28)로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다수개의 제1,2,3 솔레노이드 밸브(34,36)와;
상기 저장탱크(28)로부터 배출되는 플럭스(100)를 이송시키고 또한 관내를 깨끗하게 세척하는 제4 솔레노이드 밸브(38)와;
상기 저장탱크(28)로부터 공급되는 플럭스(100)를 메트링 피다 장치(70)로 보내는 공급호퍼(48)와;
상기 공급호퍼(48)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링 블로우(44)와;
상기 공급호퍼(48)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윤활제를 메트링 피다 장치(70)로 일정량 조절하여 배출시키는 로터리 밸브(52)와;
양측단이 상기 공급호퍼(48)와 메트링 피다 장치(70)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메트링 피다 장치(70)의 이동궤적을 제어하는 메니플레이타(Manipulator)(68)와;
상기 공급호퍼(48)와 메니플레이타(68)에 고정 설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는 대차(60)와;
상기 메니플레이타(68)와 메트링 피다 장치(70)를 좌/우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서보모터(62)와;
상기 메니플레이타(68)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서보모터(64)와;
상기 메트링 피다 장치(7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서보모터(6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잉곳 연속 주조용 플럭스 자동 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저장탱크의 내부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메트링 피다(Metering feeder)의 이동궤적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4: 블로우 52: 로터리밸브
58: 서보 하우징(Survo housing) 60: 대차
62,64,66: 서보감속모터 68: 메니플레이타(Manipulator)
600: 몰드 이동궤적
700: 메트링 피다(Metering feeder)(70)의 이동궤적
800: 용광로 노즐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우선 본 고안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잉곳 연속 주조용 플럭스 자동 공급장치의 개념을 살펴보면, 윤활제인 플럭스를 호이스트로 인양하여 각각의 저장 호퍼에 투입하고 이 플럭스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하부에 믹싱 스크류를 부착하고, 또한 배출방식은 버터 플라이 밸브를 작동하여 스크류 컨베어로 이송하여 다음 공정인 저장(압송)탱크로 보낸 다음, 로드셀에서 중량을 감지하여 일정량이 되었을때 저장탱크에서 다음 공정인 공급호퍼로 이송하고, 이어서 메니플레이타(Manipulator)가 설치된 서보 하우징(Survo housing)으로 잉곳 주조용 금형에 플럭스를 주입하는 자동 공급장치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앞에서 제안한 잉곳 연속 주조용 플럭스 자동 공급장치의 구성은 도 1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장치는 톤 Bag에 저장된 플럭스(flux)(100)를 인양하는 호이스트(hoist)(10)를 구비하고, 저장호퍼(12)는 상기 호이스트(10)에 의해 인양되는 플럭스(100)가 공급되는 호퍼이다. 또한 상기 저장호퍼(12)의 내부 하측에는 플럭스(100)를 원활히 배출시키기 위하여 믹싱스크류(14)가 설치된다.
버터 플라이 밸브(Butter Fly Valve)(16)는 각각의 저장호퍼(12)와 연결되며, 상기 저장호퍼(12)에 충진된 플럭스(100)를 스크류 컨베어(18) 쪽으로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밸브이다. 상기 스크류 컨베어(18)는 저장호퍼(12)로부터 공급되는 플럭스(100)를 릴레이 호퍼(Relay hopper)(22)로 이송시킨다.
상기 릴레이 호퍼(22)에는 필터(20)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필터(22)는 후술하는 드레인 밸브(32)의 작동에 따라 공급되는 먼지(플럭스를 포함)와 공기 중에서 공기만을 외부로 배출시키고 먼지는 다시 릴레이 호퍼(22)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메인 밸브(24)는 전술한 릴레이 호퍼(22)와 연결되며, 버터 플라이 밸브(26)는 상기 메인 밸브(24)와 후술하는 저장탱크(28)와 연결되어 플럭스(100)의 공급을 제어한다.
저장탱크(28)는 릴레이 호퍼(22)로부터 공급되는 플럭스(100)가 충진되며, 상기 저장탱크(28)에는 로드셀(load cell)(30)이 설치된다. 상기 로드셀(30)은 저장탱크(28)에 충진되는 플럭스(100)의 중량을 감지하여 설정된 중량만큼 유입되었다고 판단되면 버터 플라이 밸브(26)와 드레인 밸브(32)를 닫고 전술한믹싱스크류(14)와 스크류 컨베어(18)를 정지시킨다. 이러한 저장탱크(28)의 내부구성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다.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탱크(28)는 상부탱크(28a)와 하부탱크(28b)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탱크(28b)의 내부에는 깔때기 모양의 플레이트(72)가 설치되고 이들은 볼트로 체결 고정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72)에는 다수개의 미세구멍(74)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72)와 하부탱크(28b)의 사이에는 챔버(7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탱크(28b)에는 제2 배관(40b)이 연결되고, 전술한 상부탱크(28a)에는 제1 배관(40a)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저장탱크(28)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되며, 이들 밸브는 고압 또는 저압의 질소가스를 저장탱크(28)로 공급한다. 즉, 제1 솔레노이드 밸브(34)는 제1 배관(40a)과 연결되고 약 2kg/㎠의 질소가스를 저장탱크(28)에 공급하며, 상기 저장탱크(28)에 충진된 플럭스(100)를 가압하여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2,3 솔레노이드 밸브(36a,36b)는 제2 배관(40b)과 연결되어 약 0.2~1.0kg/㎠의 질소가스를 저장탱크(28)에 공급하며, 상기 저장탱크(28)에 충진된 플럭스(100)의 유동성(Fluidiging)을 향상시킨다. 이때 질소가스의 압력은 플럭스(100)의 종류에 따라 달리 설정되고, 그 설정방법은 통상의 PLC로 제어한다. 제4 솔레노이드 밸브(38)는 저장탱크(28)로부터 배출되는 플럭스(100)를 이송시키고 또한 관내를 깨끗하게 세척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통상의 분체압송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플럭스(100)를 이송시키는 장치는 에어(air)를 유동상시켜 이송하는데, 이 에어는 특성상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때문에 플럭스(100)가 에어와 혼합할 시 고착되는 성질이 있으므로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질소가스로서 플럭스(100)를 이송하였다. 즉, 이렇게 질소가스로 플럭스(100)를 이송하게 되면 관내에 고착이 되지 않으므로 막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공급호퍼(48)는 전술한 저장탱크(28)로부터 공급되는 플럭스(100)를 메트링 피다 장치(Metering feeder system)(70)로 보내며, 2개의 펄스밸브(46)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공급호퍼(48)에는 링 블로우(Ring Blower)(44)가 연결되어 있는데, 이 링 블로우(44)를 설치하는 이유는 유동성되어 이송된 플럭스(100)를 공급호퍼(48)에 저장시 공기 유량이 발생되어 압력이 발생되므로 이때 본 고안의 링 블로우(44)를 가동시켜 공급호퍼(48)의 내부를 진공상태(마이너스 기압)로 만들어 플럭스(100)의 마찰에 의한 손실을 저하시키고 이송관내의 막힘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한편, 전술한 공급호퍼(48)의 내부에는 모터를 구비한 스크류(50)가 설치되고, 이 스크류(50)의 아래쪽에는 모터(54)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하는 로터리 밸브(52)가 설치된다. 상기 로터리 밸브(52)는 선출원 고안의 문제점인, 즉 플럭스(100)의 입도가 스프링 스크류의 마찰력에 의해 파손되어 최종 배출시 많은량의 먼지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로터리 밸브(52)는 속도제어 방식에 의해 일정량의 플럭스(100)만을 배출시키며 또한 종래에 비해서 설비가 간편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 한편으로, 전술한 공급호퍼(48)의 최하단부에는 플랙시블한 호스(56)가설치되고, 이 호스(56)는 다수개의 서보모터(62,64,66)들과 메니플레이타(Manipulator)(68)로 구성된 서보 하우징(Survo housing)(58)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서보 하우징(58)의 일측단은 통상의 메트링 피다 장치(Sprinkle Feeder)(70)와 연결되고 그 타측단은 본 고안의 주요 구성요소인 대차(60)와 연결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잉곳 연속 주조용 몰드에 플럭스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방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톤 Bag에 저장된 플럭스(100)를 호이스트(10)로 인양하여 각각의 저장호퍼(12)에 투입하게 되면, 상기 저장호퍼(12)에 설치된 믹싱스크류(14)는 플럭스(100)를 아래로 배출시키고, 버터 플라이 밸브(16)는 오픈(open)된다. 이어서 상기 플럭스(100)는 스크류 컨베어(18)에 의해 릴레이 호퍼(22)에 공급되고, 이어서 메인 밸브(24)와 버터 플라이 밸브(26)를 오픈시켜 상기 플럭스(100)가 저장탱크(28)에 충진되도록 한다. 이때 드레인 밸브(32)도 오픈된다.
이어서, 상기 저장탱크(28)에 설치된 로드셀(30)에 의해 설정된 중량만큼 플럭스(100)가 공급되었다고 판단되면 전술한 스크류 컨베어(18)는 정지되고 동시에 버터 플라이 밸브(16,26)와 메인 밸브(24) 및 드레인 밸브(32)는 잠겨지게(close) 된다.
이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3 솔레노이드 밸브(36a,36b)를 오픈시켜0.2~1.0kg/㎠의 질소가스를 제2 배관(40b)를 통해 챔버(76)로 유입시킨다. 그러면 상기 질소가스는 플레이트(72)의 미세구멍(74)을 통해 저장탱크(28)의 내부로 유입되어 플럭스(100)의 유동성을 향상시킨다. 이어서 제4 솔레이드 밸브(38)와 제1 솔레노이드 밸브(34)를 오픈시켜 2kg/㎠의 질소가스를 저장탱크(28)와 이송관으로 각각 유입시킨다.
다음, 볼밸브(42)를 오픈시켜 저장탱크(28)에 충진되어 있는 플럭스(100)를 공급호퍼(48) 쪽으로 이송시키고, 이때 전술한 로드셀(30)에서 저장탱크(28) 내에 플럭스(100)가 없다고 판단되면, 바람직하게는 중량이 "0"으로 떨어졌다고 판단되면 볼밸브(42)를 닫은(close) 다음, 다시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여 저장탱크(28)에 플럭스(100)가 공급되도록 한다.
이후, 전술한 공급호퍼(48)에 충진된 플럭스(100)는 로터리 밸브(52)를 통과한 다음, 호스(56)를 통해 메니플레이타(68)의 내부에 설치된 관내로 유입되고, 이어서 상기 플럭스(100)는 메트링 피다 장치(70)의 스프링 스크류에 의해 잉곳 연속 주조용 몰드에 뿌려지게 된다.
이때, 전술한 공급호퍼(48)와 메니플레이타(68) 및 메트링 피다 장치(70)는 대차(60)에 고정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은 대차(60)의 작동에 따라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니플레이타(68)와 메트링 피다 장치(70)는 서보모터(62)의 작동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어서 메니플레이타(68)는 서보모터(64)의 작동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어서 메트링 피다 장치(70)는 서보모터(66)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이러한 동작은 잉곳 주조용 몰드의 형상에 따라 가변적이며, 바람직하게는 대차(60)에 의한 전/후 이동→서보모터(62)에 의한 좌/우 이동→서보모터(64)에 의한 전/후 이동→서보모터(66)에 의한 상/하 이동 순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트링 피다 장치(70)는 용광로 노즐(800)과 간섭되지 않으면서 메트링 피다 장치의 이동궤적(700)을 따라 이동하면서 몰드에 플럭스(100)를 골고루 뿌리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잉곳 연속 주조용 플럭스 자동 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은 많은 효과를 달성한다.
첫 번째로, 본 고안은 플럭스의 입자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자동 공급할 수 있으며, 메트링 피다 장치(Metering feeder system)에서 플러스의 입자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플럭스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여 관내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본 고안은 메니플레이타(Manipulator)를 공급호퍼와 함께 슬라이딩 대차에 장착하여 전후 자유롭게 무빙(moving)시키므로서 배출하고자 하는 부위에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플럭스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세 번째로, 로터리 밸브와 속도제어방식을 채택하여 메트링 피다 장치에서 최종 배출시 먼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설치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잉곳 연속 주조시 쇳물을 원활히 흘러가게 하기 위하여 몰드와 마찰되는 부위에 윤활제를 뿌려주는 통상의 메트링 피다 장치(70)를 구비하는 연속주조장치에서 상기 윤활제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가 공급되는 다수개의 저장호퍼(12)와;
    상기 저장탱크(28)로부터 공급되는 플럭스(100)를 메트링 피다 장치(70)로 보내는 공급호퍼(48)와;
    상기 공급호퍼(48)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링 블로우(44)와;
    상기 공급호퍼(48)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윤활제를 메트링 피다 장치(70)로 강제 이송시키는 로터리 밸브(52)와;
    양측단이 상기 공급호퍼(48)와 메트링 피다 장치(70)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메트링 피다 장치(70)의 이동궤적을 제어하는 메니플레이타(68)와;
    상기 공급호퍼(48)와 메니플레이타(68)에 고정 설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는 대차(60)와;
    상기 메니플레이타(68)와 메트링 피다 장치(70)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서보모터(62)와;
    상기 메니플레이타(68)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서보모터(64)와;
    상기 메트링 피다 장치(7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서보모터(66)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연속 주조용 플럭스 자동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호퍼(12)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제를 릴레이 호퍼(22)로 이송시키는 스크류 컨베어(18)와;
    상기 릴레이 호퍼(22)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제가 충진되는 저장탱크(28)와;
    상기 저장탱크(28)에 충진되는 플럭스(100)의 중량을 감지하여 설정된 중량만큼 유입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저장탱크(28)로 공급되는 윤활제의 공급을 차단하는 로드셀(30)과;
    상기 저장탱크(28)와 연결되며, 고압 또는 저압의 질소가스를 상기 저장탱크(28)로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다수개의 제1,2,3 솔레노이드 밸브(34,36)와;
    상기 저장탱크(28)로부터 배출되는 플럭스(100)를 이송시키고 관내부를 세척하는 제4 솔레노이드 밸브(38)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연속 주조용 플럭스 자동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28)에 충진된 윤활제를 고압의 질소가스로 가압하여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34)와;
    상기 저장탱크(28)에 저압의 질소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윤활제의 유동성을향상시키는 제2,3 솔레노이드 밸브(36a,36b)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 연속 주조용 플럭스 자동 공급장치.
KR2020020010128U 2002-04-04 2002-04-04 잉곳 연속 주조용 플럭스 자동 공급장치 KR2002834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128U KR200283483Y1 (ko) 2002-04-04 2002-04-04 잉곳 연속 주조용 플럭스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128U KR200283483Y1 (ko) 2002-04-04 2002-04-04 잉곳 연속 주조용 플럭스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483Y1 true KR200283483Y1 (ko) 2002-07-26

Family

ID=73120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128U KR200283483Y1 (ko) 2002-04-04 2002-04-04 잉곳 연속 주조용 플럭스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4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536B1 (ko) * 2012-09-11 2014-04-21 삼목강업주식회사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의 보호튜브 반자동 조립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536B1 (ko) * 2012-09-11 2014-04-21 삼목강업주식회사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의 보호튜브 반자동 조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6367A (en) Apparatus for supplying powder to continuous casting mold
GB1499620A (en) Conveyor means for feeding a flux powder into the mould of a continuous steel casting plant
JP3948750B2 (ja) 連続鋳造機の金属供給システム
WO2010108434A1 (zh) 连铸机结晶器加保护渣装置及方法
KR200283483Y1 (ko) 잉곳 연속 주조용 플럭스 자동 공급장치
CN105797891B (zh) 铸造涂料自动喷涂机
US20230145288A1 (en) Robotized ladle turret system
JP4002162B2 (ja) 粉末の塗布装置および型内潤滑圧粉成形装置
CN205932317U (zh) 输煤系统三维卸载给料匙
JPWO2011145145A1 (ja) フラックス投入装置、連続鋳造設備、フラックス投入方法、及び連続鋳造方法
CN210755057U (zh) 用于离心铸管机的浇注喷涂设备
KR101987654B1 (ko) 보온재 투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온재 투입 방법
KR100954192B1 (ko) 연주설비의 플럭스 투입장치
RU2786735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едения шлакообразующей смеси на поверхность расплава в многосекционном промежуточном ковше МНЛЗ
KR20030089332A (ko) 잉곳 연속 주조용 플럭스 자동 공급장치
JP4882628B2 (ja) ダイキャストの溶湯供給装置
KR101663190B1 (ko) 투입장치
JPH08309477A (ja) 鋳物砂の再生処理システム
CN213162973U (zh) 一种熔融还原工艺高纯生铁调度与铸造系统
KR20120071084A (ko) 더스트 사일로의 분진 처리장치
JPH0311863B2 (ko)
JP2017209706A (ja) 固形潤滑剤供給装置
RU204742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оркретирования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х ковшей
KR101225736B1 (ko) 연속식 언로더용 감속기
JPS59120347A (ja) 接種剤の添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