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780Y1 - 실내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실내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780Y1
KR200282780Y1 KR2020020007143U KR20020007143U KR200282780Y1 KR 200282780 Y1 KR200282780 Y1 KR 200282780Y1 KR 2020020007143 U KR2020020007143 U KR 2020020007143U KR 20020007143 U KR20020007143 U KR 20020007143U KR 200282780 Y1 KR200282780 Y1 KR 2002827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footrest
main body
hand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1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춘
Original Assignee
유지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춘 filed Critical 유지춘
Priority to KR20200200071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7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7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78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날씨나 공간에 제약을 받지않는 가운데 실내에서 언제든지 운동할 수 있어 줄넘기와 같은 운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됨과 아울러, 탄성 반발력으로 인한 흥미를 증가시켜 남녀노소 누구나 재미있고 안전하게 놀이를 겸한 운동을 실시할 수 있게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운동기구는, 운동기구 본체(1)상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올라설 수 있도록 평판형태를 이루는 발판(2)과; 상기 발판(2)을 탄성으로 받쳐주기 위한 복수의 탄성부재(3,3')와; 상기 탄성부재(3)의 탄성력에 의한 발판(2)의 상하 유동을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봉(5)과; 상기 본체(1)에 고정되어지는 가운데 소정 높이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손잡이(5)와; 상기 본체(1)의 바닥 지지면인 받침다리(6)에는 상부로 부터 전달되어지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방진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내용 운동기구{SPORTS MACHINE FOR INDOOR}
본 고안은 실내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줄넘기나 뜀뛰기와 같은 운동을 좁은 실내공간에서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운동기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줄넘기는, 남녀노소가 기초 체력을 단련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한편, 여성들도 다이어트를 하기 위해많이 이용하고 있고, 줄넘기를 함으로서, 순발력, 지구력 및 근력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줄넘기 운동은 주로 실외에서 하는 운동으로서 날씨와 공간등에 제약을 받게되며, 특히 줄넘기를 이용한 운동은 줄의 유동높이 이상의 공간을 확보해야 하므로 아파트나 일반주택과 같은 좁은 실내공간에서는 실시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런닝머신과 같은 실내 운동기구가 개발되어 일반 가정에도 많이 설치되어져 있지만, 이러한 기구들은 고가의 장비로서 설치 및 이동에 있어 많은 제약을 받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한 단순 구조를 이루는 가운데 줄넘기 운동을 대행할 수 있는 실내용 운동기구를 제공함으로서 계절이나 날씨에 관계없이 남녀노소가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정단면도.
도 2는 상기 운동기구의 측단면도.
도 3은 상기 운동기구를 이용한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정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운동기구 본체 2 : 발판
3 : 코일스프링 3': 보조스프링
4 : 지지봉 5 : 손잡이
6 : 받침다리 7 : 회전축
8 : 회전판
상기 목적은, 운동기구 본체와 별도의 구조체를 이루는 가운데 사용자가 올라설 수 있도록 평판형태를 이루는 발판과; 상기 발판을 탄성으로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탄성부재와;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지며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손잡이와; 상기 본체의 바닥 지지면인 받침다리에는 상부로 부터 전달되어지는 진동을 흡수하기위한 방진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운동기구를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운동기구 본체(1)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올라설 수 있도록 평판형태를 이루는 발판(2)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발판(2)은 하부면을 탄성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인 복수의 코일스프링(3) 및 보조스프링(3')에 의해 지지되어져 있고, 그중 발판(2)의 양측단을 지지하고 코일스프링(3)에는 가이드봉(4)이 발판(2)면을 관통하는 가운데 삽입되어짐으로서 발판(2)의 상하방향 유동시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발판(2)면에는 다수의 지압돌기가 형성되어져 있음으로 인하여, 순간적인 발바닥의 지압효과와 함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본체(1)에는 손잡이(5)가 소정 높이를 이루도록 구성됨으로서 사용자가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본체(1)의 바닥 지지면인 받침다리(6)에는 상부로 부터 전달되어지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방진고무가 구비되어져 있다.
이와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고안의 운동기구는 실내에 설치되어 남녀노소가 쉽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가운데 높은 운동효과를 낼 수 있게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발판(2)에 올라선 상태에서 손으로 손잡이(5)를 잡고 발을 구르게 되면 발판(2)을 탄성으로 지지하고 있는코일스프링(3) 및 보조스프링(3')의 탄성 반발력이 작용하여 신체가 부상하였다가 착지되는 반복적인 상하운동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되며, 이때 상하 유동되는 발판(2)은 수직방향으로만 유동되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봉(4)에 의해 지지되어짐으로서 탄성부재에 의한 탄성력이 항상 효과적으로 전달되어질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이 발판(2)을 이용한 운동을 수행함에 있어 사용자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더욱 효과적인 운동효과를 누릴 수 있으며, 손잡이(5)가 구비되어져 있어 운동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된다.
또한, 운동기구 본체(1)의 바닥면에 설치되어진 받침다리(6)는 방진고무로 이루어져 있음으로 실내에서 운동을 하더라도 실내 바닥으로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게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를 나타낸 것으로서, 발판(2)면에 회전축(7)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로운 회전판(8)을 추가로 구성시킴으로서 트위스트 운동을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더불어, 부분절개를 통해 나타내어진 바와같이 사용자의 키에 따라 손잡이(5)의 높이(h)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5)의 양측 하단부에는 다수의 삽입홈(10)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삽입홈(10)에 선택적인 체결이 가능한 고정구(9)를 설치함으로서 사용자의 키에 맞추어 손잡이(5)의 높이를 가변시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종래에 행하던 줄넘기와 같은 운동은 계절적, 공간적으로 많은 제약을 받고있던 반면, 본 고안의 운동기구는 실내에 설치하여 언제든지 줄넘기 운동과 탄성작용에 의한 놀이를 겸하여 실시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운동기구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실내용 운동기구는, 날씨나 공간에 제약을 받지않는 가운데 실내에서 줄넘기의 효과와 탄성력에 의한 상하 운동효과를 함께 누릴 수 있게된다.
특히, 탄성 반발력에 의해 신체의 상하 운동이 반복되어짐으로 인한 흥미를 유발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재미있고 안전하게 놀이를 겸한 운동을 실시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Claims (3)

  1. 운동기구 본체(1)상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올라설 수 있도록 평판형태를 이루는 발판(2)과;
    상기 발판(2)을 탄성으로 받쳐주기 위한 복수의 탄성부재(3,3')와;
    상기 탄성부재(3)의 탄성력에 의한 발판(2)의 상하 유동을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봉(5)과;
    상기 본체(1)에 고정되어지는 가운데 소정 높이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손잡이(5)와;
    상기 본체(1)의 바닥 지지면에는 상부로 부터 전달되어지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방진고무로 이루어진 받침다리(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운동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5)는 양측 하단에 다수의 삽입홈(10)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삽입홈(10) 형성부위에 대응되는 본체(1)측에는 고정구(9)가 관통 체결되어짐으로서 삽입홈(10)으로의 선택적인 체결에 의해 손잡이(5)의 높이(h)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운동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2)의 상면에는 트위스트 운동을 겸할 수 있도록 회전축(7)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로운 회전판(8)이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운동기구.
KR2020020007143U 2002-03-11 2002-03-11 실내용 운동기구 KR2002827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143U KR200282780Y1 (ko) 2002-03-11 2002-03-11 실내용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143U KR200282780Y1 (ko) 2002-03-11 2002-03-11 실내용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780Y1 true KR200282780Y1 (ko) 2002-07-23

Family

ID=73119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143U KR200282780Y1 (ko) 2002-03-11 2002-03-11 실내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7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704B1 (ko) * 2014-03-28 2015-09-25 이재기 철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704B1 (ko) * 2014-03-28 2015-09-25 이재기 철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4809U (ja) 多目的運動器具
KR101218316B1 (ko) 안전장치를 갖는 하늘걷기 운동기구
KR200282780Y1 (ko) 실내용 운동기구
KR20190002555U (ko) 다기능 운동기구
RU180810U1 (ru) Пристенный спортивный тренажер
KR20140033835A (ko) 실내용 평행봉 거치 기구
CN213159137U (zh) 一种游乐蹦床
GB2447846A (en) Aerobic exercise apparatus
KR200405273Y1 (ko) 다기능 운동기구
GB2501730A (en) Reactive training device
CN111973948A (zh) 一种跆拳道踢打辅助训练装置
KR200419840Y1 (ko) 점핑운동구
KR200416280Y1 (ko) 상, 하체 운동을 복합적으로 할 수 있는 스텝퍼 운동기구
KR950000055Y1 (ko) 트위스트가 용이한 뜀틀용 운동기구
CN215609186U (zh) 一种健美操用健美操踏板
KR102200881B1 (ko) 타격 운동기구가 구비된 트램펄린
CN110215652B (zh) 一种组合式体育器材
CN114569948B (zh) 一种锻炼平衡感的体育训练装置
CN215136692U (zh) 一种速度滑冰弯道技术辅助练习装置
KR200317522Y1 (ko) 점프 및 몸통 비틀기 운동장치
KR101159764B1 (ko) 파워 트레이닝 기구
KR102415729B1 (ko) 셀프 탁구연습기
CN220070688U (zh) 一种身体协调与平衡训练台
KR20130119719A (ko)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
CN106422167B (zh) 带有虚拟运动环境的家庭用水上运动健身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