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765Y1 - 발광장치가 구비된 인조손톱 - Google Patents

발광장치가 구비된 인조손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765Y1
KR200282765Y1 KR2020020005267U KR20020005267U KR200282765Y1 KR 200282765 Y1 KR200282765 Y1 KR 200282765Y1 KR 2020020005267 U KR2020020005267 U KR 2020020005267U KR 20020005267 U KR20020005267 U KR 20020005267U KR 200282765 Y1 KR200282765 Y1 KR 2002827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nail
artificial
battery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2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선우
Original Assignee
강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선우 filed Critical 강선우
Priority to KR20200200052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7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7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765Y1/ko

Links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톱의 형태, 표면의 문양 및 색상의 조명과 함께 손톱에서 빛이 반짝거릴 수 있도록 하여 더욱 다양하고 멋있으며, 또한 새롭고 흥미로운 장식효과를 표출할 수 있고, 어두운 곳에서도 인조손톱의 형태, 문양 및 색상이 잘 보이도록 함으로써 손톱 악세사리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율성을 높인 발광장치가 구비된 인조손톱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발광장치가 구비된 인조손톱은, 손톱보다는 긴 손톱형상의 인조손톱체(10)와, 상기 인조손톱체(10)의 안쪽면(손톱 부착면을 제외한 잔여부분)에 설치되고 서로 다른 색을 가지는 복수개의 발광램프(11)와, 상기 인조손톱체(10)의 안쪽면에 설치되어 복수개의 발광램프(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발광램프(11)의 점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4)와, 상기 컨트롤러(14)에 접속단자(17,18)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12)와, 상기 인조손톱체(10)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전지와 접속단자(17,18)의 접속부분을 전기적으로 차단 또는 접속시키는 전원스위치레버(13)와, 상기 발광램프(11), 컨트롤러(14) 및 전지(12)가 인조손톱체(10)내에 수용되도록 덮는 것으로 인조손톱체(10)의 일측 가장자리에 연결부(21)로 연결되어 전지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덮개(2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발광장치가 구비된 인조손톱{ARTIFICIAL NAIL WITH A LIGHT EMITTING DEVIC E}
본 고안은 인조손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두운 장소에서 손톱이 반짝반짝 빛나도록 하는 장식효과를 낼 수 있고, 또한 표면에 형성된 여러 가지 다양한 문양 및 색상을 밝게 표현할 수 있는 조명효과를 낼 수 있는 발광장치가 구비된 인조손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손톱의 미용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기 때문에, 손톱에 관련된 다양한 형태의 악세사리가 있으며, 특히 인조손톱은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인조손톱은 손톱위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주로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제작되며, 그 표면에 다양한 문양을 새겨넣어 장식효과를 한층 높이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인조손톱은, 단순히 손톱의 형태 및 표면의 문양만으로 장식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므로, 단조롭고 다양성의 한계가 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쉽게 싫증나게 되므로, 더욱 다양하고 새로운 것을 원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수 없었다. 또한 밝은 곳에서는 손톱의 형태 및 표면에 형성한 문양이나 색상이 잘 보이므로 손톱 악세사리로서의 장식효과를 낼 수 있으나, 어두운 곳에서는 손톱의 형태가 잘 보이지 않고, 문양의 경우는 거의 보이지 않게 됨으로써 악세사리로서의 기능을 다할 수 없게 되어 효율성면에서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손톱의 형태, 표면의 문양과 함께 손톱에서 빛이 반짝거릴 수 있도록 하여 더욱 다양하고 멋있으며, 또한 새롭고 흥미로운 장식효과를 표출할 수 있는 발광장치가 구비된 인조손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어두운 곳에서도 인조손톱의 형태, 표면의 문양 및 색상이 잘 보이도록 함으로써 손톱 악세사리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어두운 곳에서의 표현은 밝은 곳에서의 표현과는 다르게 표현됨으로써 밝은 곳과 어두운 곳의 2가지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어 효율성을 높인 발광장치가 구비된 인조손톱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인조손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인조손톱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가)는 스위치 온상태의 단면도, (나)는 스위치 오프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인조손톱에 구비된 발광장치의 회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인조손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인조손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발광장치의 회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인조손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발광장치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조손톱체 11 : 발광램프
12 : 전지 13 : 전원스위치레버
14 : 컨트롤러 15 : 기판
16 : 지지축 17,18 : 접속단자
19 : 충격센서 20 : 덮개
21 : 연결부 22 : 록킹홈
23 : 록킹돌기 24 : 발광센서
상기의 목적은, 손톱보다는 긴 손톱형상의 인조손톱체와, 상기 인조손톱체의 안쪽면에 설치되고 서로 다른색을 가지는 복수개의 발광램프와, 상기 인조손톱체의 안쪽면에 설치되어 복수개의 발광램프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발광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에 접속단자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와, 상기 인조손톱체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전지와 접속단자의 접속부분을전기적으로 차단 또는 접속시키는 전원스위치레버와, 상기 발광램프, 컨트롤러 및 전지가 인조손톱체내에 수용되도록 덮는 것으로 인조손톱체의 일측 가장자리에 연결부(21)로 연결되어 전지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가 구비된 인조손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충격에 의해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충격센서를 상기 컨트롤러와 전지 사이에 설치하여 손동작에 의한 충격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발광램프가 작동되도록 하거나, 광도(밝기)에 의해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광센서를 상기 컨트롤러와 전지 사이에 설치하여 광도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발광램프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발광장치가 구비된 인조손톱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인조손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손톱길이보다는 긴 손톱형상의 인조손톱체(10)로 이루어진다. 이 인조손톱체(10)는 주로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제조되고, 그 바깥면에는 여러 가지 문양 및 색상이 형성되어 장식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안쪽면에는 발광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발광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구되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발광램프(11), 컨트롤러(14), 전지(12) 및 전원스위치레버(13)로 구성된다. 복수개의 발광램프(11) 및 컨트롤러(14)는 기판(15)에 설치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컨트롤러(14)는 접속단자(17,18)를 통해 전지(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다.
이때,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발광램프(11)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면에는 3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그 이하 또는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발광램프(11)의 발광색은 인조손톱의 색상 및 문양의 분위기 맞추어 선택하는 것이 좋다.
컨트롤러(14)는 작은 반도체 칩으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발광램프(11)에 대한 각각의 점멸상태를 제어하도록 미리 프로그램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전원스위치레버(13)를 조작하여 온(on)시키면 복수개의 발광램프(11)가 모두 점등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거나, 모두 일정시간 동일하게 점멸되거나 혹은 교대로 점멸되게 하는등 다양하게 프로그램할 수 있다.
인조손톱체(10)안쪽면에는 상기 발광램프(11) 및 컨트롤러(14)가 설치된 기판(15) 및 전지(12)가 장착되는 장착홈부(10a)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접속단자 (17,18)는 기판(15)의 회로와 전지(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지(12)로부터의 전원이 기판(15)에 설치된 컨트롤러(14)로 흐르도록 되어 있고, 전지(12)쪽의 끝단부는 굴곡지게 형성하여 전지(12)의 양쪽 전극과 탄력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원스위치레버(13)는 인조손톱체(10)의 안쪽면에 형성된 지지축(16)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것으로, 일끝단은 인조손톱체(10)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고, 다른 끝단은 전지(12)의 전극과 접속단자(17)의 접속위치에 오도록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스위치레버(13)가 도 3의 실선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 4의(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스위치레버(13)의 끝단이 전지(12)의 전극과 접속단자 (17)의 접속위치의 근방에 위치하게 되고, 이때는 전지(12)의 전극과 접속단자(17)의 끝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스위치는 온상태이므로 복수개의 발광램프(11)가 컨트롤러(14)의 제어에 의거하여 점등 또는 점멸하게 된다. 또한 전원스위치레버 (13)가 도 3의 가상선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 4의(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 (12)의 전극과 접속단자(17)의 접속끝단부 사이에 전원스위치레버(13)의 일끝단이 끼워들어가 접속을 차단하게 되므로, 복수개의 발광램프(11)는 스위치 오프(off)된 상태가 되어 복수개의 발광램프(11)는 소등 또는 점멸을 중지하여 전지의 수명을 길게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인조손톱체(10)안쪽에 발광램프(11) 및 전지(12)의 수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덮개(20)가 구비되어 있다. 이 덮개(20)는 일측에 연결부(21)로 연결되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록킹수단에 의해 닫힌 상태가 유지되거나 쉽게 열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로써 전지를 포함하는 내부부품의 교체 또는 수리가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록킹수단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조손톱체(10)의 안쪽면에 록킹홈(22)을 형성하고, 이에 대향하는 덮개(20)에는 록킹홈(22)에 끼워맞춤되는 록킹돌기(23)를 형성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전원스위치레버(13)를 도 3의 실선상태에서 가상선상태로 이동시키면, 전원스위치레버(13)의 끝단부가 도 4의(가)상태에서(나)상태와 같이 이동하여 전지(12)의 전극과 접속단자(17)의 끝단부 사이에 끼워지게 되고, 이로써 이들의 전기적 접속이 차단되므로 스위치 오프되어 복수개의 발광램프 (11)는 소등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복수개의 발광램프(11)를 점등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반대로 전원스위치레버(13)를 도 3의 가상선상태에서 실선상태로 이동시키면, 전원스위치레버(13)의 끝단부가 도 4의(나)상태에서(가)상태와 같이 이동하여 전지(12)의 전극과 접속단자(17)의 끝단부 사이에서 빠져나오게 되므로, 접속단자(17)의 자체탄성력에 의해 전극과 접속단자(17)의 끝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스위치 온상태가 되며, 복수개의 발광램프(11)는 컨트롤러(14)에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점등 또는 점멸되어 인조손톱체(10)의 끝부분에서 반짝이게 된다.
이와 같이 인조손톱에서 복수개의 발광램프(11)가 점등 혹은 점멸됨으로써 기존의 인조손톱의 형상 및 문양과 함께 조화를 이루어 새롭고 흥미로운 인조손톱의 장식효과를 낼 수 있고, 어두운 곳에서는 손톱이 복수개의 발광램프에 의해 칼라로 반짝거리게 되므로, 특히 댄서가수나 무희들이 무대에서 춤출 때, 장식효과는 물론 무대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의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발광램프(11)가 인조손톱의 끝부분에 위치되어 인조손톱의 끝부분에서 반짝거리는 장식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도 6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복수개의 발광램프(11)를 인조손톱의 중간부분에 위치되도록 구성한 것 외에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개의 발광램프(11)가 인조손톱체(10)의 중간부분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반짝거리는 장식기능에 더하여 어두운 곳에서 인조손톱체(10)의 표면에 형성된 문양을 밝혀주는 조명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발광장치의 회로도로서, 충격센서(19)를 전지(12)와 컨트롤러(14)사이에 설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차단되도록 한 구성외에는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 충격센서(19)는 이미 상용화되어 있는 센서로서, 평상시에는 전지(12)와 컨트롤러(14)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차단하고 있다가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게 되면, 예를 들면 댄서의 춤동작에 의해 충격센서 (19)가 충격을 받게 되면, 전지(12)와 컨트롤러(14)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연결하는 스위칭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발광장치에 충격센서(19)가 구비된 구성에 의하면, 외부로부터의 특정 동작 예를 들면 손벽등에 의해 충격을 받을 때에만 컨트롤러(14)의 제어에 의하여 인조손톱의 발광램프(11)가 점멸되어 반짝이게 됨으로써 장식 및 조명효과는 물론 사용자에게 호기심 및 흥미를 유발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발광장치의 회로도로서, 광센서(24)를 전지 (12)와 컨트롤러(14)사이에 설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차단되도록 한 구성외에는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 광센서(24)는 이미 상용화되어 있는 센서로서 밝은 곳, 즉 소정의 광도이상에서는 전지(12)와 컨트롤러(14)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차단하고 있다가 어두운 곳, 즉 소정의 광도이하에서는 전지(12)와 컨트롤러(14)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연결하는 스위칭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발광장치에 광센서(24)가 구비된 구성에 의하면, 소정광도이하의 어두운곳에서만 컨트롤러(14)의 제어에 의하여 인조손톱의 발광램프(11)가 점멸되어 반짝이게 됨으로써 장식 및 조명효과는 물론 사용자에게 호기심 및 흥미를 유발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광장치가 구비된 인조손톱에 의하면, 인조손톱이 발광램프에 의해 반짝거리거나 조명을 하게 되므로 인조손톱의 형상, 그 표면에 형성된 문양 및 색상과 함께 조화를 이루어 새롭고 흥미로운 장식효과가 있고, 특히 댄서들이 무대에서 사용하는 경우 댄서의 손동작과 함께 손끝에서 반짝이게 되므로, 댄서의 춤동작이 더욱 돋보이게 되는 등의 무대효과가 있으며, 또한 밝은 곳에서는 물론 어두운 곳에서도 인조손톱의 형상, 그 표면에 형성된 문양 및 색상이 보이게 됨으로써 인조손톱의 효율성이 증대되고, 밝은곳과 어두운곳에서 2중의 색다른 장식효과를 누릴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손톱보다는 긴 손톱형상의 인조손톱체(10)와,
    상기 인조손톱체(10)의 안쪽면에 설치된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발광램프(11)와,
    상기 인조손톱체(10)의 안쪽면에 설치되어 복수개의 발광램프(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발광램프(11)의 점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4)와,
    상기 컨트롤러(14)에 접속단자(17,18)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12)와,
    상기 인조손톱체(10)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전지와 접속단자(17,18)의 접속부분을 전기적으로 차단 또는 접속시키는 전원스위치레버(13)와,
    상기 발광램프(11), 컨트롤러(14) 및 전지(12)가 인조손톱체(10)내에 수용되도록 덮는 것으로 인조손톱체(10)의 일측 가장자리에 연결부(21)로 연결되어 전지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덮개(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가 구비된 인조손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14)와 전지(12)사이에 설치되어 충격에 의해 컨트롤러(14)와 전지(12)사이를 전기적으로 차단 및 접속하는 충격센서(19)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가 구비된 인조손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14)와 전지(12)사이에 설치되어 소정의 광도(밝기)에서 컨트롤러(14)와 전지(12)사이를 전기적으로 차단 및 접속하는 광센서 (24)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가 구비된 인조손톱.
KR2020020005267U 2002-02-22 2002-02-22 발광장치가 구비된 인조손톱 KR2002827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267U KR200282765Y1 (ko) 2002-02-22 2002-02-22 발광장치가 구비된 인조손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267U KR200282765Y1 (ko) 2002-02-22 2002-02-22 발광장치가 구비된 인조손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765Y1 true KR200282765Y1 (ko) 2002-07-23

Family

ID=73118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267U KR200282765Y1 (ko) 2002-02-22 2002-02-22 발광장치가 구비된 인조손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76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079Y1 (ko) 2008-01-07 2009-12-23 박수미 인조 눈썹의 led 구동 장치
KR101347271B1 (ko) 2013-03-04 2014-01-06 (주)켐리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발광 장치가 구비된 인조 손톱
KR101402327B1 (ko) * 2013-11-22 2014-06-02 주식회사 차후 엘이디가 구비된 인조네일
KR101648355B1 (ko) * 2015-10-26 2016-08-22 (주)포인스 발광 장치를 구비한 인조 손톱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079Y1 (ko) 2008-01-07 2009-12-23 박수미 인조 눈썹의 led 구동 장치
KR101347271B1 (ko) 2013-03-04 2014-01-06 (주)켐리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발광 장치가 구비된 인조 손톱
WO2014137073A1 (ko) * 2013-03-04 2014-09-12 (주)켐리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발광 장치가 구비된 인조 손톱
KR101402327B1 (ko) * 2013-11-22 2014-06-02 주식회사 차후 엘이디가 구비된 인조네일
KR101648355B1 (ko) * 2015-10-26 2016-08-22 (주)포인스 발광 장치를 구비한 인조 손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4955B2 (en) Flashlight system
JP5460940B2 (ja) 発光ダイオード・ベースの製品
EP0755204B1 (en) Shoe with an electroluminescent light strip
US8882288B2 (en) Purselight with EL and LED light sources
US20030214259A9 (en) Light-emitting diode based products
US8147086B2 (en) Purselight with touch-sensitive switch
CA2590749A1 (en) Lighted fishing rod
CN1522616A (zh) 发光的头发延伸件
KR200282765Y1 (ko) 발광장치가 구비된 인조손톱
JPH09187575A (ja) イルミネーショングッズ
US20090103287A1 (en) Ornament having an internal electric lighting adaptable to various lighting effects
US7182483B2 (en) Illuminating pompon
KR200251663Y1 (ko) 고휘도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스포츠 경기 응원도구
JP2005158320A (ja) 携帯用ケース
JPH09168415A (ja) 発光傘及び製造方法
CN212117333U (zh) 跳闪吊饰
JP3119123U (ja) ファスナー頭部発光構造
CN2615488Y (zh) 手电筒式闪光饰物品
US20040228121A1 (en) Ornamental flower with illuminating device for indoor and outdoor use
CN218770460U (zh) 一种排插星空灯
KR200200229Y1 (ko) 조명장치를 이용한 크리스탈 장식물
CN2383379Y (zh) 可具发光装饰的发饰
KR200321274Y1 (ko) 반딧불이형 발광 장신구
JP3514748B2 (ja) 発光うちわ
KR200172956Y1 (ko) 조명 장치가 구비된 놀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