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503Y1 - 김치포장용 파우치 - Google Patents

김치포장용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503Y1
KR200282503Y1 KR2020020012197U KR20020012197U KR200282503Y1 KR 200282503 Y1 KR200282503 Y1 KR 200282503Y1 KR 2020020012197 U KR2020020012197 U KR 2020020012197U KR 20020012197 U KR20020012197 U KR 20020012197U KR 200282503 Y1 KR200282503 Y1 KR 2002825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kimchi
storage
present
adhesi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1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상권
Original Assignee
제일제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제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제당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21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5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5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503Y1/ko

Links

Landscapes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관시나 이동시 구르는 것이 방지된 김치포장용 파우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하단에 접착부가 형성되어 폐쇄되고 상단은 개구된 김치포장용 파우치에 있어서, 접착부가 일점을 중심으로 세방향으로 갈라져 김치의 수납 후 파우치의 상단 접착시 삼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김치포장용 파우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김치포장용 파우치{Pouch for packing of Kimchi}
본 고안은 김치포장용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단부의 접착부가 일점을 중심으로 세방향 이상으로 갈라져 파우치가 구르는 것이 방지된 김치포장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포장용 파우치는 김치의 발효시 탄산가스가 발생하기 때문에 소정 부피 이상 부풀어 질 수 있도록 비닐이나 알루미늄 등의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특히 김치의 장기간 보관시 발효에 의해 발생된 탄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특수밸브나 멤브레인이 설치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김치포장용 파우치는 상하단이 일자로 접착되고 파우치 중간부의 단면이 내부압력에 의해 부풀어 올라 원형을 유지하게 되어 보관시나 이동시에 고정되지 못하고 외력에 의해 구르게 된다.
따라서 이동되는 파우치는 돌출 개소 등과 충돌하여 파우치가 찢어져 국물이 새어 나오므로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파우치가 이동되므로 파우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용기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별도의 용기를 냉각시켜야 하므로 냉각부하가 커져 보관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보관시나 이동시 파우치가 구르는 것이 방지된 김치포장용 파우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김치보관용 파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김치보관용 파우치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김치보관용 파우치의 김치를 장입 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파우치 12 : 접착부
14 : 측면접착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단에 접착부가 형성되어 폐쇄되고 상단은 개구된 김치포장용 파우치에 있어서, 접착부가 일점을 중심으로 세방향으로 갈라져 김치의 수납 후 파우치의 상단 접착시 삼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포장용 파우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김치보관용 파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김치포장용 파우치는 하단에 접착부가 형성되어 폐쇄되고 상단이 개방되어 있다.
파우치(10)는 김치의 보관시 김치의 발효에 의해 탄산가스가 발생되므로 소정 부피 이상 부풀어질 수 있도록 비닐이나 알루미늄 등의 변형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파우치(10)는 그 단면이 폐곡선으로 이루어지는데, 장방형(長方形) 필름의 양측을 열이나 압력으로 접착하여 측면접착부(14)를 형성하여 그 단면이 폐곡선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우치(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접착부(12)는 일점을 중심으로 세방향으로 갈라져 형성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특징에 다른 김치포장용 파우치를 이용한 포장작업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김치보관용 파우치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김치보관용 파우치의 김치를 장입 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파우치(10)의 내부에 김치를 수납하기 전 파우치의 외관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10)의 면이 파우치(10)의 접착부(12)에 연장되어 오목하게 들어가 있는 상태이다.
먼저 파우치(10)의 상단부를 김치의 수납이 용이하도록 벌리고, 파우치(10)의 내부에 김치를 수납한다.
김치가 파우치(10)에 수납되면 김치국물을 파우치(10)에 부어 김치가 건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파우치(10)의 상단에 열이나 압력을 이용하여 파우치의 상단을 접착시켜 폐쇄한다.
이 때 접착된 파우치(10)의 상단접착부(16)는 파우치(10) 하부의 접착부(12)와 대응되도록 세방향으로 갈라져 형성된다.
이와 같이 포장이 완성된 김치보관용 파우치(10)는 냉장시설이 구비된 차량에 의해 수요가로 반출된다.
본 고안에 따른 김치보관용 파우치는 외부의 단면이 삼각형을 이루게 되므로 파우치가 구르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파우치의 보관시나 이동시 충돌에 의해서 찢어지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김치국물로 인한 주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우치를 눕혀서 진열 할 수 있으므로 파우치 표면을 폭방향으로 다양하게 디자인할 수 있어 소비자의 시선을 유도할 수 있다.
아울러 파우치가 눕혀질 경우 하부의 면적이 넓어짐으로 포기김치의 수납시김치의 모양이 흐트러지지 않고 수납할 수 있다.
또한 파우치의 내측 상부 모서리에는 수분이 잘 침투할 수 없게 되므로 발효시 발생되는 탄산가스를 흡수할 수 있는 가스흡수재의 부착이 용이하다.
아울러 파우치를 눕힌 상태에서 파우치의 윗면을 절단하면 김치를 반출할 수 있는 면적이 커져 김치를 용이하게 반출할 수 있다.

Claims (1)

  1. 하단에 접착부가 형성되어 폐쇄되고 상단은 개구된 김치포장용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가 일점을 중심으로 세방향으로 갈라져 김치의 수납 후 상기 파우치 상단의 접착시 삼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포장용 파우치.
KR2020020012197U 2002-04-22 2002-04-22 김치포장용 파우치 KR2002825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197U KR200282503Y1 (ko) 2002-04-22 2002-04-22 김치포장용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197U KR200282503Y1 (ko) 2002-04-22 2002-04-22 김치포장용 파우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503Y1 true KR200282503Y1 (ko) 2002-07-22

Family

ID=73075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197U KR200282503Y1 (ko) 2002-04-22 2002-04-22 김치포장용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50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330A (ko) 2017-04-27 2018-11-06 선농종합식품(주) 김치 포장용기
KR20180120331A (ko) 2017-04-27 2018-11-06 선농종합식품(주) 김치 포장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330A (ko) 2017-04-27 2018-11-06 선농종합식품(주) 김치 포장용기
KR20180120331A (ko) 2017-04-27 2018-11-06 선농종합식품(주) 김치 포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5734A (en) Flexible pouch with reinforcement to facillitate pouring
ZA200808878B (en) Closure
KR101110521B1 (ko) 액체 주출 노즐, 그것을 사용한 포장봉지
CN107148301A (zh) 盒形运输容器
JP4731240B2 (ja) 容器のスパウト
US8070011B2 (en) Glass packaging cover
UA74860C2 (en) Container
US20120099806A1 (en) Vacuum compression storage bags
US9694940B2 (en) Plastic storage bag with spout
KR200282503Y1 (ko) 김치포장용 파우치
RU2014147092A (ru) Упаковка
ES2359582T3 (es) Envase plegable.
JP2004196364A (ja) 包装構造体
US20080237246A1 (en) Beverage Container with Self Deploying Straw
JPH11268771A (ja) エア・ダンネ―ジ袋
US201101265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fillable gel pack
CN211894146U (zh) 一种防漏液包装纸箱
KR200302324Y1 (ko) 식품 포장용 용기
KR20060120522A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JP6384962B2 (ja) 液状物包装用複合型容器および該複合型容器における包装体の収納保持方法
KR200254226Y1 (ko) 폴리에칠렌재질의지퍼비닐용기
JP2014073865A (ja) パウチ容器
US20080166074A1 (en) Alcohol Beverage Bag
US8123038B1 (en) Floater packaging
ES2294341T3 (es) Bolsa de fondo plano con lamina de cier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