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133Y1 - 상자조립체 - Google Patents

상자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133Y1
KR200282133Y1 KR2020020011420U KR20020011420U KR200282133Y1 KR 200282133 Y1 KR200282133 Y1 KR 200282133Y1 KR 2020020011420 U KR2020020011420 U KR 2020020011420U KR 20020011420 U KR20020011420 U KR 20020011420U KR 200282133 Y1 KR200282133 Y1 KR 200282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plate portion
handle
box body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4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정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14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1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133Y1/ko

Links

Landscapes

  • Carton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면을 차단하는 상판부로 이루어진 상자본체와, 상기 상자본체에 노출 되도록 설치되는 손잡이부재를 갖는 상자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손잡이부재는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상판부를 관통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상판부를 관통한 상기 손잡이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판부의 내표면에 접촉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 상기 상판부의 내표면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상자본체가 구겨지거나, 습기를 먹을 경우 및 장시간 운송에도 잘 지탱할 수 있으며, 또한 종래보다 얇은 종이로 제작될 수 있다.

Description

상자조립체{Box with Handle Grip}
본 고안은, 상자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면을 차단하는 상판부로 이루어진 상자본체와, 상기 상자본체에 노출 되도록 설치되는 손잡이부재를 갖는 상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물품을 수용하는 상자본체는 종이 및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자본체에는 수용된 물품을 운송하기 위하여 주로 손잡이부재가 같이 결합된다. 또한 이러한 손잡이부재는 상자의 측면에 한 쌍으로 부착될 수도 있지만, 수용되는 물품이 비교적 가벼워서 한손으로 운반이 가능한 경우에는 주로 상자본체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조립체(1)는 상자본체(10)와 상자본체(10)의 상면에 부착되는 손잡이부재(30)를 갖는다. 상자본체(10)는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11)와 수용부(11)의 상면을 차단하는 상판부(13)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 1을 기준으로 상자조립체(1)에 손잡이부재(30)가 부착된 면을 상면이라고 하고, 상면과 접하며 수용부(11)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면을 외벽면이라 설정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본체(10)는 수용부(11)와, 수용부(11)의 외벽면에 접하며 수용부(11)의 상면을 차단하는 제1상판부(13a)와, 제1상판부(13a)와 대향하는 방향에 수용부(11)의 외벽면에 접하며 수용부(11)의 상면을 차단하는 제2상판부(13b)와, 제1상판부(13a)와 제2상판부(13b)의 측면에 수용부(11)의 외벽면에접하며 수용부(11)의 상면을 차단하는 한 쌍으로 형성된 제3상판부(13c)를 갖는다.
손잡이부재(30)는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31)와, 손잡이부(31)의 양단부에 마련되는 걸림부(33)를 갖는다.
제1상판부(13a)는 손잡이부(31)가 통과하여 수용되는 제1관통공(15a)과, 제1관통공(15a)으로부터 제1상판부(13a)의 일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손잡이부(31)가 제1관통공(15a)까지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드홈(21)과, 수용부(11)와 제1상판부(13a)가 접하는 면을 따라 제1상판부(13a)에 형성되어 후술할 제2상판부(13b)의 제1체결부(17a)를 수용하는 제1체결수용공(19a)을 갖는다.
제2상판부(13b)는 손잡이부(31)가 통과할 수 있는 제2관통공(15b)과, 제1상판부(13a)의 제1체결수용공(19a)에 결합되는 제1체결부(17a)과, 제2상판부(13b)와 제1체결부(17a)가 접하는 면을 따라 후술할 수용부(11)의 제2체결부(17b)를 수용하는 제2체결수용공(19b)을 갖는다.
제3상판부(13c)는 손잡이부(31)와 간섭되지 않게 손잡이수용부(15c)를 갖는다.
수용부(11)는 제1상판부(13a)와 접하는 면에서 수용부(11)와 일체형으로 제1상판부(13a)의 일영역이 분리되어 형성된 제2체결부(17b)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종래 상자조립체(1)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손잡이부(31)와 걸림부(33)가 마련된 손잡이부재(30)를 상자본체(10)의 제1상판부(13a)에 마련된 슬라이드홈(21)에 삽입하여 제1관통공(15a)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제1상판부(13a)를 수용부(11)의 상면에 위치시킬 때 손잡이부재(30)의 걸림부(33)가 제1상판부(13a)의 내표면에 접하도록 한다. 또한, 제3상판부(13c)의 손잡이수용부(15c)에 손잡이부(31)를 수용하여 한 쌍의 제3상판부(13c)가 제1상판부(13a)의 상부표면에 접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2상판부(13b)의 제2관통공(15b)에 손잡이부(31)를 통과시켜 제2상판부(13b)가 제3상판부(13c)의 상부표면에 접하도록 함과 동시에, 제2상판부(13b)의 제1체결부(17a)를 제1상판부(13a)의 제1체결수용공(19a)에 삽입한다. 그리고, 수용부(11)에 마련된 제2체결부(17b)를 제2상판부(13b)의 제2체결수용공(19b)에 삽입함으로써 종래 상자조립체(1)의 조립이 완료된다.
또한, 이와 같이 조립된 상자조립체(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본체(1)의 상면에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31)가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상자조립체(1)의 상자본체(10)는 주로 종이로 만들어지며, 손잡이부재(30)는 주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31)를 이용하여 상자본체(10)에 수용된 물품을 운반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상자조립체에 있어서는, 손잡이부재가 수용된 물품을 지탱할 수 있는 하중에 한계가 있으며, 특히 종이로 만들어진 상자본체의 상판부가 구겨지거나, 습기를 먹을 경우 및 손잡이부재를 이용해 장시간 상자조립체를 운송할 경우에는 상자본체의 상판부가 손잡이부재의 걸림부를 지탱하는 힘이 급격히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자본체의 상판부가 손잡이부재의 걸림부를 지탱하는 힘이 더 증가되도록 하기위해서는 더 두꺼운 종이로 상자본체를 제작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자본체가 구겨지거나, 습기를 먹을 경우 및 장시간 운송에도 잘 지탱할 수 있는 상자조립체를 제공하며, 또한 종래보다 얇은 종이로 제작될 수 있는 상자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손잡이부재가 부착된 상자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상자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제 1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재가 부착된 상자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상자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자조립체
10 : 상자본체 11 : 수용부
13 : 상판부 15 : 관통공
17 : 체결부 19 : 체결수용공
21 : 슬라이드홈 23 : 돌기물림공
30 : 손잡이부재 31 : 손잡이부
33 : 걸림부 35 : 돌기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면을 차단하는 상판부로 이루어진 상자본체와, 상기 상자본체에 노출 되도록 설치되는 손잡이부재를 갖는 상자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는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상판부를 관통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상판부를 관통한 상기 손잡이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판부의 내표면에 접촉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 상기 상판부의 내표면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판부에는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돌기물림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판부에 형성된 상기 손잡이부의 통과를 위한 관통공은 상기 상판부의 일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에 전술한 종래 상자조립체와 본 고안의 상자조립체에서 중복되는 사항은 종래기술에서 대치하며,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제 1실시예에 따른 상자조립체(1)는, 상자본체(10)와 상자본체(10)의 상면에 부착되는 손잡이부재(30)를 갖는다.
상자본체(10)는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11)와, 수용부(11)의 외벽면에 접하며 수용부(11)의 상면을 차단하는 제1상판부(13a), 제2상판부(13b) 및 제3상판부(13c)를 갖는다.
손잡이부재(30)는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31)와, 손잡이부(31)의 양단부에 마련되는 걸림부(33)와, 걸림부(33)의 양단부에 제1상판부(13a)의 내표면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돌기부(35)를 갖는다.
제1상판부(13a)는 손잡이부(31)가 통과하여 수용되는 제1관통공(15a)과, 제1관통공(15a)으로부터 제1상판부(13a)의 일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한 쌍의 슬라이드홈(21)과, 수용부(11)와 제1상판부(13a)가 접하는 면을 따라 제1상판부(13a)에 형성되어 제1체결수용공(19a)과, 손잡이부재(30)의 돌기부(35)를 수용하는 돌기물림공(23) 갖는다.
제2상판부(13b)는 손잡이부(31)가 통과할 수 있는 제2관통공(15b)과, 제1상판부(13a)의 제1체결수용공(19a)에 결합되는 제1체결부(17a)과, 제2상판부(13b)와 제1체결부(17a)가 접하는 면을 따라 후술할 수용부(11)의 제2체결부(17b)를 수용하는 제2체결수용공(19b)을 갖는다.
제3상판부(13c)는 손잡이부(31)와 간섭되지 않게 손잡이수용부(15c)를 갖는다.
수용부(11)는 제1상판부(13a)와 접하는 면에서 수용부(11)와 일체형으로 제1상판부(13a)의 일영역이 분리되어 형성된 제2체결부(17b)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의 상자조립체(1)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손잡이부(31)와 걸림부(33)가 마련된 손잡이부재(30)를 상자본체(10)의 제1상판부(13a)에 마련된 슬라이드홈(21)에 삽입하여 제1관통공(15a)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손잡이부재(30)의 돌기부(35)를 제1상판부(13a)의 돌기물림공(23)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제1상판부(13a)를 수용부(11)의 상면에 위치시킬 때 손잡이부재(30)의 걸림부(33)가 제1상판부(13a)의 내표면에 접하도록 한다. 또한, 제3상판부(13c)의 손잡이수용부(15c)에 손잡이부(31)를 통과시켜 한 쌍의 제3상판부(13c)가 제1상판부(13a)의 상부표면에 접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2상판부(13b)의 제2관통공(15b)에 손잡이부(31)를 통과시켜 제2상판부(13b)가 제3상판부(13c)의 상부표면에 접하도록 함과 동시에, 제2상판부(13b)의 제1체결부(17a)를 제1상판부(13a)의 제1체결수용공(19a)에 삽입한다. 그리고, 수용부(11)에 마련된 제2체결부(17b)를 제2상판부(13b)의 제2체결수용공(19b)에 삽입함으로써 종래 상자조립체(1)의 조립이 완료된다. 또한, 이와 같이 조립된 상자조립체(1)는 상자본체(10)의 상면에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31)가 마련되어 상자조립체(1)를 운송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제 2실시예에 따른 상자조립체(1)는,전술한 제1실시예와는 달리, 제1상판부(13a)에 슬라이드홈(21)이 없는 경우로써, 전술한 제1실시예와 같은 손잡이부재(30)를 제1상판부(13a)의 제1관통공(15a)에 직접 삽입하여 손잡이부재(30)의 돌기부(35)가 제1관통공(15a)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자조립체는 본 고안이 이루고저 하는 목적을 완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돌기부(35)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부(33)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1상판부(13a)에 형성된 돌기물림공(23)에 위치할 수 있게 걸림부(33)의 임의의 일영역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돌기물림공(23)에 위치하여 상부방향으로 향하는 돌기부(35)의 단부는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지만(도4 참조), 본 고안의 목적에 부합되게 돌기부(35)의 단부가 톱니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제1상판부(13a)에 돌기물림공(23)이 없이, 돌기부(35)가 제1상판부(13a)의 내표면에 직접 접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자조립체에 있어서, 상자본체에는 상자본체의 상판부 일영역에 다수의 돌기물림공을 마련하고, 상자본체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손잡이부재에는 상판부의 돌기물림공과 상호 맞물리도록 형성된 돌기부를 마련함으로써, 상자본체가 구겨지거나, 습기를 먹을 경우 및 장시간 운송에도 잘 지탱할 수 있게 손잡이부재와 상자본체를 갖는 상자조립체를 제공하며, 또한 상자본체가 종래보다 얇은 종이로 제작될 수 있는 상자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상자본체가 구겨지거나, 습기를 먹을 경우 및 장시간 운송에도 잘 지탱할 수 있는 상자조립체를 제공하며, 또한 종래보다 얇은 종이로 제작될 수 있는 상자조립체가 제공된다.

Claims (3)

  1.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면을 차단하는 상판부로 이루어진 상자본체와, 상기 상자본체에 노출 되도록 설치되는 손잡이부재를 갖는 상자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는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상판부를 관통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상판부를 관통한 상기 손잡이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판부의 내표면에 접촉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 상기 상판부의 내표면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에는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돌기물림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에 형성된 상기 손잡이부의 통과를 위한 관통공은 상기 상판부의일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조립체.
KR2020020011420U 2002-04-16 2002-04-16 상자조립체 KR200282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420U KR200282133Y1 (ko) 2002-04-16 2002-04-16 상자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420U KR200282133Y1 (ko) 2002-04-16 2002-04-16 상자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133Y1 true KR200282133Y1 (ko) 2002-07-22

Family

ID=73055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420U KR200282133Y1 (ko) 2002-04-16 2002-04-16 상자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13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360B1 (ko) 2017-02-08 2018-11-01 문주연 포장용 상자의 손잡이 구조
KR20210031040A (ko) * 2019-09-10 2021-03-19 주식회사 지피피 종이류 손잡이를 구비한 포장박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360B1 (ko) 2017-02-08 2018-11-01 문주연 포장용 상자의 손잡이 구조
KR20210031040A (ko) * 2019-09-10 2021-03-19 주식회사 지피피 종이류 손잡이를 구비한 포장박스
KR102279564B1 (ko) * 2019-09-10 2021-07-22 (주)지피피 종이류 손잡이를 구비한 포장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8548A (en) Staple assembly
US5584576A (en) Clamping and connecting structure for track lights
US6662545B1 (en) Chain cover
US6141220A (en) CPU heat sink mounting arrangement
EP1380786B1 (en) Clamp for holding elongated article
ITMI941335A1 (it) Dado a t
FR2721060B1 (fr) Loquet à levier avec patte ayant une action d'éjection.
KR200282133Y1 (ko) 상자조립체
ITTO940190A1 (it) Apparecchio elettrico, in particolare blocco di giunzione, con terminali di connessione con vite a serraggio rapido
US6126471A (en) Retention mechanism
KR960706212A (ko) 전기 커넥터 및 고정 부재(Electrical Connector and Affixing Member)
USD415818S (en) Distiller
KR200155187Y1 (ko) 로드 안테나용 베이스 커버
KR920010166A (ko) 클립 드라이버
KR200229503Y1 (ko) 과일포장용 골판지 상자
USD418734S (en) Pair of handle grips
KR100815553B1 (ko) 수납상자용 손잡이
US20080050983A1 (en) CPU socket configured with assembled grids
KR920008291Y1 (ko) 판클립
KR950004660Y1 (ko) 물품보관함의 장식용 장착구
KR0118398Y1 (ko) Led 홀더
JPH10152138A (ja) パレット
KR950014451B1 (ko) 스테이플
KR960001392Y1 (ko) 지게차의 운반용 지그
JP2000249260A (ja) 管体用留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