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971Y1 - 디스크 브레이크의 가이드로드 - Google Patents

디스크 브레이크의 가이드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971Y1
KR200281971Y1 KR2019980006527U KR19980006527U KR200281971Y1 KR 200281971 Y1 KR200281971 Y1 KR 200281971Y1 KR 2019980006527 U KR2019980006527 U KR 2019980006527U KR 19980006527 U KR19980006527 U KR 19980006527U KR 200281971 Y1 KR200281971 Y1 KR 2002819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d
housing
carrier
disc brake
fasten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5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0033U (ko
Inventor
호 원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20199800065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971Y1/ko
Publication of KR199900400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0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971Y1/ko

Links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스크 브레이크의 가이드로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케리어에 하우징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하는 가이드로드를 개선하여 마찰소음을 줄이고 이의 작동을 원할하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가이드로드(300)는 케리어(400)의 체결홈(410)에 진퇴운동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어 피스톤(200)이 설치된 하우징(10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하는데, 이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서 다량의 윤활재가 충적되도록 반구 형상으로 오목하게 패인 다수개의 요홈(31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 브레이크를 장기간 사용하여도 윤활재가 가이드로드(300)의 외주면과 체결홈(410) 내주면 사이에 여유있게 잔존함으로써, 체결홈(410) 내부에서 가이드로드(300)의 진퇴운동에 따른 마모손상이 억제되고 작동소음이 감쇄되어 전체적인 디스크 브레이크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브레이크의 가이드로드
본 고안은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드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케리어와 피스톤이 설치된 하우징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하는 가이드로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브레이크는 주행 중의 자동차를 감속하거나 정지, 또는 정지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브레이크는 주행 중의 운동에너지를 기계적인 마찰장치에 의해서 열에너지로 바꾸어 그의 마찰열을 대기 중에 방출하여 제동을 하는 방식으로써, 드럼식 유압 브레이크와 디스크식 유압 브레이크 등이 있는데, 디스크식 유압 브레이크는 드럼 대신에 휠과 함께 회전하는 원판형의 디스크를 양쪽에서 패드로 강하게 압박하여 제동력을 얻는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디스크 브레이크는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20)이 설치되는 하우징(10)과 패드플레이트(50,60)가 구성되며 차체(미도시)에 고정되는 케리어(40)로 크게 나누어진다.
하우징(10)에는 내부에 실린더(11)가 형성되어 있고, 실린더(11)에는 유입구(12)를 통해 전달되는 제동유압에 의해 진퇴운동하는 피스톤(20)이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11) 내주면에는 고리형상의 시일(15)이 마련되어 실린더(11)에 유압이 해제되면 피스톤(20)을 복원시킨다. 하우징(10)의 양단부에는 각각 체결공(13)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케리어(40)와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케리어(40)에는 한쌍의 패드(51,61)가 부착된 패드플레이트(50,60)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패드플레이트(50,60)는 케리어(40)에서 진퇴운동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일측면에 인너패드(51)가 부착된 인너패드플레이트(50)와 아웃터패드(61)가 부착된 아웃터패드플레이트(60)로 구별된다. 인너패드플레이트(50)의 타측면은 진퇴운동하는 피스톤(20) 선단과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한쌍의 패드(51,61)사이에는 그 외주연의 일부가 삽입되어 패드(51,61)와 일정한 간극을 두고 휠(미도시)과 함께 회전하는 원판형의 디스크(70)가 설치된다.
한편, 피스톤(20)의 마련된 하우징(10)과 패드플레이트(50,60)가 설치된 케리어(40)는 약간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데, 이의 결합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하우징(10)의 양단부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체결공(13)이 형성되어 있는데, 체결공(13)과 대향되게 케리어(40)의 양단에도 역시 일정 깊이의 체결홈(41)이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체결공(13)과 체결홈(41)에 가이드로드(30)를 이용하여 각각 체결함으로써, 차체에 고정되는 케리어(40)에 하우징(1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가이드로드(30)의 일단이 하우징(10)의 체결공(13)에 볼트(14)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고, 타단부가 케리어(40)의 체결홈(41)에 유격가능하게 삽입 결합되어 체결홈(41) 내부에서 제동작용에 따라 진퇴운동을 한다. 또한, 가이드로드(30)의 반복적인 제동작용에 따라 마모손상이 발생될 소지가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체결홈(41) 내부에는 윤활재가 채워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디스크 브레이크를 갖춘 자동차가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브레이크패달(미도시)을 밟게 되면, 미도시된 마스터실린더로부터 유압이 작용하게 되고 계속하여 유압은 유입구(12)를 통해 실린더(11)로 전달된다. 따라서 유압에 의해 피스톤(20)이 전진함으로써, 인너패드플레이트(50)에 부착된 인너패드(51)가 순간적으로 디스크(70)에 압착된다. 아울러 실린더(11)에는 유압이 잔존하기 때문에 케리어(40)에 가이드로드(30)를 통해 미끄러짐 가능하게 체결된 하우징(10) 자체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서 아웃터패드플레이트(60)에 부착된 아웃터패드(61)가 디스크(70)에 압착되어 제동작용을 한다. 그리고 브레이크패달을 놓으면 피스톤(20)은 시일(15)의 탄성력으로 인해 원위치로 복원됨으로써, 다시 디스크(70)와 인너패드(51)가 일정간격 이격되고, 가이드로드(30) 역시 체결홈(41) 내부로 삽입 복원됨으로써, 아웃터패드(61)가 디스크(70)로부터 이격된다.
이러한 종래 디스크 브레이크는 케리어(40)의 체결홈(41)에서 가이드로드(30)의 진퇴운동에 따른 마찰 마모손상을 방지하며 윤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체결홈(41) 내부에 반고체 상태의 윤활재(일명 그리스)가 채워져 있는데, 반복적인 제동작용에 따라 윤활재가 체결홈(41) 외부로 빠져나가 윤활효과가 저하된다.
이에 따라 제동작용시 금속재질의 체결홈(41) 내주면과 가이드로드(30) 외주면과의 직접적인 마찰로 덜컥 덜컥 거리는 일종의 래틀 노이즈(rattle noise)와 이로 인한 마모손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수작업을 통해 윤활재를 체결홈(41) 내부에 자주 주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이드로드가 케리어의 체결홈에 끼워져 결합되어 피스톤이 설치된 하우징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데, 이의 외주면 전체에 다량의 윤활재가 충적되도록 반구형상으로 오목하게 패인 요홈을 다수개 형성함으로써, 디스크 브레이크를 장기간 사용하여도 윤활재가 가이드로드의 외주면과 체결홈 내주면 사이에 여유있게 잔존하여 가이드로드의 진퇴운동에 따른 마모손상이 억제되고 작동소음이 감쇄되어 전체적인 신뢰성이 향상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의 가이드로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디스크 브레이크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로드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하우징 200..피스톤 300..가이드로드
310..요홈 400..케리어 410..체결홈
500..인너패드플레이트 600..아웃터패드플레이트 700..디스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디스크 브레이크의 하우징, 하우징에 내장되어 진퇴운동하는 피스톤, 피스톤에 의해 작동하는 패드가 부착된 한쌍의 패드플레이트, 패드플레이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차체에 고정되는 케리어, 패드플레이트 사이에 일부 삽입되어 휠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 그 일단은 하우징에 고정되고 타단이 케리어의 양단부에 형성된 체결홈에 진퇴운동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어 케리어에 하우징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하는 가이드로드를 갖춘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가이드로드의 타단부에는 다량의 윤활재가 충적되어 진퇴운동에 따른 마찰 마모손상이 방지되도록 반구형상으로 오목하게 패인 다수개의 요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평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로드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는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200)이 진퇴운동하게 내장되는 하우징(100)과 한쌍의 패드플레이트(500,600)가 설치되는 케리어(400)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00)에는 유입구(120)를 통해 전달되는 제동유압에 의해 피스톤(200)이 실린더(110) 내부에서 진퇴운동을 한다. 실린더(110)의 내주면에는 탄성 변형되면서 피스톤(200)을 복원시키는 시일(150)이 마련되고, 하우징(100)의 양단부에는 후술하는 가이드로드(300)가 볼트(140)체결되는 체결공(130)이 형성되어 있다.
차체에 고정되는 케리어(400)에는 이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패드(510,610)가 부착된 패드플레이트(500,600)가 설치되는데, 이것은 피스톤(200) 선단과 접하는 인너패드플레이트(50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우징(100)의 외측부에 접하는 아웃터패드플레이트(600)로 구별된다. 그리고 한쌍의 패드플레이트(500,600) 사이에는 그 일부가 삽입되어 자동차의 휠(미도시)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700)가 구성된다.
그리고 케리어(400)의 양단에는 소정깊이의 체결홈(410)이 각각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체결공(130)과 체결홈(410)에 한쌍의 가이드로드(300)를 결합하여 하우징(100)이 차체에 고정된 케리어(4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된다. 즉, 봉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로드(300)의 일단부는 하우징(100)의 체결공(130)에 볼트(140)를 통해 고정되고, 타단부는 체결홈(410)에 유격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 제동작용에 따라 가이드로드(300)의 타단부가 체결홈(410) 내부에서 진퇴운동하여 케리어(400)에 하우징(10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된다.
한편, 제동작용이 반복되면 가이드로드(300)의 외주면은 체결홈(410) 내주면과의 마찰로 마모손상을 입게 될 우려가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반고체 상의 그리스 윤활재가 충적되어 있다. 즉, 가이드로드(300)의 조립시 타단부 외주면에 윤활재를 바른 상태에서 체결홈(410) 내부에 삽입 결합하는데, 여기에는 본 고안의 특징적 요소로 반구형상으로 오목하게 패인 요홈(310)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요홈(310)은 가이드로드(300)의 타단부 외주면 전체에 걸쳐서 이웃하는 것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소정깊이로 패여 내부에 다량의 윤활재가 충적된다. 따라서 다수의 요홈(310)에 충적된 윤활재에 의해 가이드로드(300)의 마모 손상이 방지되고 이의 윤활작용에 의해 가이드로드(300)의 진퇴운동이 원할하게 수행되는데, 디스크 브레이크를 장시간 사용하여도 가이드로드(300)의 외주면과 체결홈(410) 내주면 사이에는 윤활재가 여유있게 잔존하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제동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운전자가 브레이크패달(미도시)을 밟게 되면 마스터실린더(미도시)에서 발생된 제동유압이 유입구(120)를 통해 실린더(110) 내로 전달됨으로써, 피스톤(200)이 전진하게 된다. 계속하여 케리어(400)에 진퇴운동가능하게 마련된 한쌍의 패드플레이트(500,600)가 각각 내측으로 전진하고, 이에 부착된 패드(510,610)가 회전하는 디스크(700)의 양측면과 마찰함으로써 제동작용을 한다.
이 때, 아웃터패드플레이트(600)는 실린더(110)에 잔존하는 유압에 의해 하우징(100)이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동시에 이동하여 아웃터패드(610)가 디스크(700)와 마찰한다. 이러한 제동작용은 케리어(400)에 하우징(100)이 가이드로드(300)를 이용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한데, 가이드로드(300)의 타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체결홈(410) 내부에는 다량의 윤활재가 충적되어 이의 작동이 용이하게 수행된다.
즉, 가이드로드(300)의 타단부에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요소로 다량의 윤활재가 충적될 수 있도록 반구형상의 요홈(310)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서, 디스크 브레이크를 장기간 사용하여도 가이드로드(300)의 외주면에 항상 윤활재가 여유있게 잔존한다. 이에 따라 윤활재를 자주 주입하지 않아도 가이드로드(300)의 진퇴운동에 따른 마모손상이 방지되며 래틀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가이드로드는 케리어의 체결홈에 진퇴운동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어 피스톤이 설치된 하우징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하는데, 이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서 다량의 윤활재가 충적되도록 반구 형상으로 오목하게 패인 다수개의 요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 브레이크를 장기간 사용하여도 윤활재가 가이드로드의 외주면과 체결홈 내주면 사이에 여유있게 잔존함으로써, 체결홈 내부에서 가이드로드의 진퇴운동에 따른 마모손상이 억제되고 작동소음이 감쇄되어 전체적인 디스크 브레이크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디스크 브레이크의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에 내장되어 진퇴운동하는 피스톤(200), 상기 피스톤(200)에 의해 작동하는 패드(510,610)가 부착된 한쌍의 패드플레이트(500,600), 상기 패드플레이트(500,60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차체에 고정되는 케리어(400), 상기 패드플레이트(500,600) 사이에 일부 삽입되어 휠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700), 그 일단은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케리어(400)의 양단부에 형성된 체결홈(410)에 진퇴운동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케리어(400)에 상기 하우징(10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하는 가이드로드(300)를 갖춘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드(300)의 타단부에는 다량의 윤활재가 충적되어 진퇴운동에 따른 마찰 마모손상이 방지되도록 반구형상으로 오목하게 패인 다수개의 요홈(31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의 가이드로드.
KR2019980006527U 1998-04-23 1998-04-23 디스크 브레이크의 가이드로드 KR2002819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527U KR200281971Y1 (ko) 1998-04-23 1998-04-23 디스크 브레이크의 가이드로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527U KR200281971Y1 (ko) 1998-04-23 1998-04-23 디스크 브레이크의 가이드로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033U KR19990040033U (ko) 1999-11-25
KR200281971Y1 true KR200281971Y1 (ko) 2002-09-19

Family

ID=69513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527U KR200281971Y1 (ko) 1998-04-23 1998-04-23 디스크 브레이크의 가이드로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9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033U (ko) 199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1971Y1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가이드로드
KR101208370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0281972Y1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가이드로드
KR200186746Y1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가이드로드 결합구조
KR20070036281A (ko) 자동차용 캘리퍼 브레이크
KR200200864Y1 (ko) 디스크브레이크
KR100452763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0694015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100771039B1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가이드 로드
KR100771008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0836356B1 (ko)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
KR200281979Y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0254415B1 (ko) 차량용 제동장치
KR200175744Y1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핑거부를 갖춘 캘리퍼 하우징
KR100771041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0154209Y1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피스톤 압력전달구조
KR100365703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0276252Y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0281969Y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0173558Y1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가이드로드
KR19990009746U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9980027000U (ko) 자동차의 디스크식 브레이크
KR100534245B1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가이드로드
KR19990024204U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060063087A (ko) 디스크 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