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828Y1 - 입 개방형 방진마스크 - Google Patents

입 개방형 방진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828Y1
KR200281828Y1 KR2020020009705U KR20020009705U KR200281828Y1 KR 200281828 Y1 KR200281828 Y1 KR 200281828Y1 KR 2020020009705 U KR2020020009705 U KR 2020020009705U KR 20020009705 U KR20020009705 U KR 20020009705U KR 200281828 Y1 KR200281828 Y1 KR 2002818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mouth
user
mask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종기
Original Assignee
코리아세이프티닷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세이프티닷컴(주) filed Critical 코리아세이프티닷컴(주)
Priority to KR2020020009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8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8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828Y1/ko

Links

Landscapes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의 코와 입 부위에 착용되는 방진패드와, 상기 방진패드의 양측에 마련되는 착용띠를 갖는 방진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방진패드의 중간 상단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코부위를 덮는 코가림부와, 상기 코가림부의 양측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사용자의 턱에 걸쳐지며 상기 코가림부와의 사이공간에 상기 입노출구를 형성하는 턱걸침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입 개방형 방진마스크는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착용감이 좋고 착용상태가 안정적인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입 개방형 방진마스크{Open mouth type of dustproof mask}
본 고안은 방진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 부분의 구조가 개방형으로 개선된 입 개방형 방진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방진마스크는 사용자의 입과 코 부분을 가리기 위한 방진패드와, 방진패드가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될 수 있도록 방진패드의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착용띠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진마스크는 말을 하고 숨을 내뱉는 입 부분을 가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하며, 숨을 내뱉는 과정에서 방진패드의 입 부분이 습해지므로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침을 뱉거나 물을 마시기 위해서는 마스크를 벗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며, 안경이나 보안경을 착용하는 경우에는 빈번하게 렌즈에 습기가 차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방진마스크는 사용자의 입과 코를 포함한 안면부위를 과다하게 덮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답답하고 착용감이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1999-0033637호에는 "입 부위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마스크"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1-0099236호에는 코 부분만을 가리는 "건강 코 마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입 부위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부위를 과다하게 덮는 상태에서 단순히 입 부분에 구멍만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감이 매우 좋지 않은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었다.
또한, "건강 코 마스크"는 마스크가 코 부분만을 가릴 수 있도록 소형 패드로 구성되어 있기 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상태가 불안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마스크가 과도하게 코에 밀착되므로 호흡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착용감과 착용상태가 안정적인 입 개방형 방진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입 개방형 방진마스크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입 개방형 방진마스크 착용 상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방진패드 11 : 코가림부
13 : 턱걸침띠 15 : 입노출구
17 : 공기유입공간 20 : 착용띠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코와 입 부위에 착용되는 방진패드와, 상기 방진패드의 양측에 마련되는 착용띠를 갖는 통상의 방진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방진패드의 중간 상단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코부위를 덮는 코가림부와, 상기 코가림부의 양측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사용자의 턱에 걸쳐지며 상기 코가림부와의 사이공간에 상기 입노출구를 형성하는 턱걸침띠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 개방형 방진마스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코가림부는 사용자의 비공(鼻孔)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기유입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턱걸침띠는 탄력밴드 또는 고무밴드 등 신축성 있는 재료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가림부의 일영역에는 사용자의 콧등에 형상맞춤되는 코밀착밴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가지고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입 개방형 방진마스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입 개방형 방진마스크 착용 상태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입 개방형 방진마스크(1)는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는 방진패드(10)와, 방진패드(10)의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착용띠(20)를 갖는 통상의 방진마스크에 방진패드(10)의 중간 상단부에 사용자의 코부분을 가리는 코가림부(11)와, 코가림부(11)의 양측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사용자의 턱에 걸쳐지며 코가림부(11)와의 사이에 입노출구(15)를 형성하는 턱걸침띠(13)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방진패드(10)는 분진 등의 이물질은 충분히 걸러내고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는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는 섬유재로 제작된다.
코가림부(11)는 사용자의 코를 수용하고 사용자의 비공(鼻孔)과의 사이에 공기유입공간(17)을 갖도록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코로 흡입되는 공기가 공기유입공간(17)을 거쳐 사용자의 코로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흡기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의해, 호흡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 코가림부(11)에는 사용자의 콧등에 형상 맞춤되는 코밀착밴드(31)가 마련된다. 이 코밀착밴드(31)는 코가림부의 착용위치를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사용자의 콧등에 닿는 코밀착밴드(31)의 내측면에는 스폰지 등의 피부보호부재(33)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턱걸침띠(13)는 코가림부(11)의 양측에서 일체로 하향 연장되어 코가림부(11)와의 사이에 사용자의 입노출구(15)를 형성한다. 이 턱걸침띠(13)는 사용자의 턱에 밀착되어 코가림부(11)를 포함한 방진패드(10)의 전체적인 착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킨다. 여기서, 턱걸침띠(13)는 사용자의 턱에 보다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탄력밴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입노출구(15)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이 올라간 형태의 반달 형상으로 형성하여 마치 웃는 모습으로 보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방진마스크를 착용함으로써 타인에게 혐오감을 주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방진패드(10)의 둘레단부(A)와 입노출구의 둘레단부(B)는 두꺼운 섬유소재 또는 유연성을 갖는 밀착바아로 형성된다. 이는 방진패드(10)가 사용자의 안면에 보다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에 따른 입 개방형 방진마스크(1)를 사용자가 안면에 착용하면, 도 2와 같이, 코가림부(11)는 공기유입공간(17)을 갖도록 사용자의 코부분을 수용하게 되며, 턱걸침띠(13)는 사용자의 턱부위에 밀착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입은 입노출구(15)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코가림부(11)와 입노출구(15)의 위치는 착용띠(20)와 턱걸침띠(13)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착용감에 별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코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면, 외부의 공기는 흡기저항을 받지 않고 공기유입공간(17)을 통해 사용자의 비공(鼻孔)으로 원활하게 흡입된다.
또한, 방진마스크(1)를 착용한 상태에서 입노출구(15)를 통해 침을 뱉거나 간단한 식음을 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며, 입이 노출되므로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숨을 내뱉더라도 방진패드(10)가 습해지지 않아 위생적이다. 또한, 안경이나 보안경을 착용하더라도 렌즈에 습기가 차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착용감이 좋고 착용상태도 안정적인 입 개방형 방진마스크가 제공된다.

Claims (4)

  1. 사용자의 코와 입 부위에 착용되는 방진패드와, 상기 방진패드의 양측에 마련되는 착용띠를 갖는 방진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방진패드의 중간 상단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코부위를 덮는 코가림부와, 상기 코가림부의 양측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사용자의 턱에 걸쳐지며 상기 코가림부와의 사이공간에 상기 입노출구를 형성하는 턱걸침띠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 개방형 방진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가림부는 사용자의 비공(鼻孔)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기유입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 개방형 방진마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턱걸침띠는 탄력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 개방형 방진마스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가림부의 일영역에는 사용자의 콧등에 형상맞춤되는 코밀착밴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 개방형 방진마스크.
KR2020020009705U 2002-04-01 2002-04-01 입 개방형 방진마스크 KR2002818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705U KR200281828Y1 (ko) 2002-04-01 2002-04-01 입 개방형 방진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705U KR200281828Y1 (ko) 2002-04-01 2002-04-01 입 개방형 방진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828Y1 true KR200281828Y1 (ko) 2002-07-13

Family

ID=73120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705U KR200281828Y1 (ko) 2002-04-01 2002-04-01 입 개방형 방진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8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455A1 (ko) * 2015-06-17 2016-12-22 신용문 마스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022U (ja) * 1992-11-06 1994-05-24 秀一 大久保 粉塵等を防ぐマスク
KR950031131A (ko) * 1994-05-02 1995-12-18 이성만 귀덮개와 개방구조를 구비한 마스크
KR200204655Y1 (ko) * 2000-05-23 2000-12-01 서충실 파스너를 구비한 마스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022U (ja) * 1992-11-06 1994-05-24 秀一 大久保 粉塵等を防ぐマスク
KR950031131A (ko) * 1994-05-02 1995-12-18 이성만 귀덮개와 개방구조를 구비한 마스크
KR200204655Y1 (ko) * 2000-05-23 2000-12-01 서충실 파스너를 구비한 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455A1 (ko) * 2015-06-17 2016-12-22 신용문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2117B1 (ko) 페이스 실드 마스크
KR101785801B1 (ko)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KR100936050B1 (ko) 다용도 방진 마스크
KR101889651B1 (ko) 홀더부재가 형성되는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KR200480161Y1 (ko) 복식호흡 구조를 갖는 패션형 마스크
KR102188526B1 (ko) 공기청정용 안면마스크
KR102188331B1 (ko) 입과 코 분리형 마스크
KR101703408B1 (ko)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JPS62221373A (ja) 花粉防護装置
KR101083435B1 (ko) 김서림방지마스크
KR20200000536U (ko) 미세먼지 차단용 여과지를 수납하는 안경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한 습기배출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3중 구조의 마스크
KR200395267Y1 (ko) 레저용 마스크
JP2015198676A (ja) 排気口を設けたマウスピースおよびその機能を具備したマスク
KR100610155B1 (ko) 코장착체를 갖는 마스크
JP3124550U (ja) お面形衛生マスク
KR200281828Y1 (ko) 입 개방형 방진마스크
KR101349936B1 (ko)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
KR102573128B1 (ko) 비말 감염 예방용 플라스틱 마스크
KR100868543B1 (ko) 위생마스크
KR102327702B1 (ko) 광물 미세분말을 도포한 교체형 필터가 구비된 기능성 마스크
KR200492417Y1 (ko) 마스크
KR20210000416U (ko) 페이스 실드 마스크
CN208864987U (zh) 一种呼吸面罩
KR200274886Y1 (ko) 위생 마스크.
KR102456197B1 (ko) 흘러내리지 않는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