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673Y1 - 전등갓 고정용 드릴형 스크류 - Google Patents

전등갓 고정용 드릴형 스크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673Y1
KR200281673Y1 KR2020020010348U KR20020010348U KR200281673Y1 KR 200281673 Y1 KR200281673 Y1 KR 200281673Y1 KR 2020020010348 U KR2020020010348 U KR 2020020010348U KR 20020010348 U KR20020010348 U KR 20020010348U KR 200281673 Y1 KR200281673 Y1 KR 2002816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lampshade
head
dril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3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만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텍코리아
Priority to KR20200200103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6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6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673Y1/ko

Link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등갓 고정용 드릴형 스크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전등갓 고정용 드릴형 스크류는, 천정에 설치된 프레임에 전등갓을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에 있어서, 스크류의 나사부(22) 선단에 드릴 팁부(24)가 형성되고, 스크류 머리부(26)에는 이 머리부(26)의 외곽을 덮는 플라스틱 캡(28)이 동시에 사출성형되어 머리부(26)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플라스틱 캡(28)에는 스크류 드라이버 등의 공구 삽입용 홈(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전등갓 고정용 드릴형 스크류는 스크류의 선단에 형성된 드릴 팁부가 먼저 구멍 절삭을 수행하고 이후 나사부에 의하여 암나사부(탭홀)가 형성되면서 체결이 이루어지므로, 스크류 체결을 위한 구멍을 미리 천공할 필요가 없는 등 전등갓 설치과정이 매우 간단하다.
또한, 스크류의 머리부에 플라스틱 캡이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있으므로 금속재의 스크류 머리부가 그대로 노출되는 종래의 설치 형태에 비하여 전등 및 전등갓의 미관을 해치치 않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등갓 고정용 드릴형 스크류{Drill Type Screw For Fixing Lampshade}
본 고안은 전등갓 고정용 드릴형 스크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크류의 선단부에 드릴 팁부를 형성하여 프레임에 별도의 천공 작업이나 탭홀 작업을 하지 않고도 손쉽게 체결할 수 있고, 스크류의 머리부에 플라스틱 캡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어 전등갓의 미관을 향상시키기에 적합한 전등갓 고정용 드릴형 스크류에 관한 것이다.
첨부도면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형광등용 전등갓의 설치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천정(2)에 전등갓(4)을 설치하기 위하여는 천정 내부의 프레임(도시생략)에 스크류(6) 체결을 위한 탭홀(도시생략)을 형성한 후, 이 탭홀에 스크류(6)를 체결하는 방식이었다. 이와 같이 전등갓(4)을 설치하기 위하여는 여러 단계의 작업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설치 후에는 금속재이면서 전등갓과 색상이 다른 스크류(6)의 머리부가 전등갓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등의 미관을 해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첨부도면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또 다른 형태의 전등갓 설치 양태를 나타낸다. 도 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첨부도면 도 2는 전술한 전등갓 설치구조에서 스크류(6)의 머리부 노출에 의해 전등의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크류(6)를 체결한 후 스크류(6)의 머리부(8)에 별도의 플라스틱 커버(10)를 씌운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경우는 상기 플라스틱 커버(10)에 의하여 스크류(6)의 머리부(8)가 가리워짐과 아울러 상기 플라스틱 커버(10)는 통상적으로 전등갓(4)의 색상과 일치시켜 사용하므로, 전술한 종래예에 비하여 전등갓(4)의 미관을 해치는 단점을 해소할 수 있기는 하지만, 스크류(6)의 체결을 위하여 전술한 종래예의 복잡한 준비 작업은 그대로 수행하여야 하면서, 다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등갓(4)에 플라스틱 커버(10)의 다리부(10a) 압입을 위한 통공(2a)을 형성하여야 하는 등 보다 복잡한 설치공정을 필요로 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크류 자체가 프레임에 탭홀을 형성하면서 체결이 이루어짐으로써별도의 탭홀 형성 작업이 필요 없고, 스크류의 머리부에 의하여 전등갓의 미관이 손상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전등갓 고정용 드릴형 스크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전등갓 고정용 드릴형 스크류는, 천정에 설치된 프레임에 전등갓을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에 있어서, 스크류의 나사부 선단에 드릴 팁부가 형성되고, 스크류 머리부에는 이 머리부의 외곽을 덮는 플라스틱 캡이 동시에 사출성형되어 머리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플라스틱 캡에는 스크류 드라이버 등의 공구 삽입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스크류로써 전등갓을 설치한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전등갓 설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스크류 체결부 상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등갓 고정용 드릴형 스크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저면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드릴형 스크류의 팁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6은 도 4의 평면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드릴형 스크류의 머리부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전등갓을 고정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전등갓
20 : 스크류 22 : 나사부
24 : 드릴 팁부 26 : 머리부
28 : 플라스틱 캡 30 : 공구삽입 홈
40 : 프레임 42 : 암나사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전등갓 고정용 드릴형 스크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우측 상부의 상세도면은 드릴 팁부(24)의 정면도이고, 우측 하부의 상세도면은 드릴 팁부(24)의 측면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등갓 고정용 드릴형 스크류(20)는 먼저 나사부(22) 선단에 드릴 팁부(24)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드릴 팁부(24)는 통상적인 천공용 드릴공구와 같이 회전시 금속재 프레임에 구멍을 가공하게 되므로 별도의 천공 작업 없이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나사부(22) 체결을 위한 구멍을 미리 형성한 후, 나사부(22)에 의하여 미리 형성된 구멍에 암나사(탭홀)이 형성되면서 체결되게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드릴 팁부(24)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절삭날부(24a)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절삭날부(24a)의 형태는 일반적인 기계가공용 드릴공구와 동일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드릴형 스크류(20)의 머리부(26)에는 이 머리부(26)의 외곽을 덮는 플라스틱 캡(28)이 동시에 사출성형되어 머리부(26)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라스틱 캡(28)에는 첨부도면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드라이버 등의 공구 삽입용 홈(30)이 형성된다. 이러한 플라스틱 캡(28)은 전등갓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이루어지고 삽입용 홈(3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화 플라스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첨부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드릴형 스크류(20)로써 전등갓(4)을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의 프레임(40)에 전등갓(4)을 일치시키고, 해당 프레임(40)에 드릴형 스크류(20)를 체결하면, 드릴형 스크류(20)의 선단에는 드릴 팁부(2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의 드릴 팁부(24)가 상기 프레임(40)에 일차적으로 천공하면서 진입되고, 이후 나사부(22)의 회전진입에 의하여 암나사부(42,탭홀)가 형성되면서 체결이 완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스크류 체결 전에 프레임(40)에 미리 체결용 구멍이나 탭홀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등갓 설치 작업이 매우 간단해진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스크류(20)의 머리부(26)에는 플라스틱 캡(28)이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있으므로 종래에 스크류를 체결한 후 머리부에 별도의 플라스틱 캡을 씌운 것과 같이 스크류(20)의 머리부(26) 노출에 의하여 전등의 미관을 해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고급스러운 전등 및 전등갓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전등갓 고정용 드릴형 스크류는 스크류의 선단에 형성된 드릴 팁부가 먼저 구멍 절삭을 수행하고 이후 나사부에 의하여 암나사부(탭홀)가 형성되면서 체결이 이루어지므로, 스크류 체결을 위한 구멍을 미리 천공할 필요가 없는 등 전등갓 설치과정이 매우 간단하다.
또한, 스크류의 머리부에 플라스틱 캡이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있으므로 금속재의 스크류 머리부가 그대로 노출되는 종래의 설치 형태에 비하여 전등 및 전등갓의 미관을 해치치 않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천정에 설치된 프레임에 전등갓을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에 있어서,
    스크류의 나사부(22) 선단에 드릴 팁부(24)가 형성되고, 스크류 머리부(26)에는 이 머리부(26)의 외곽을 덮는 플라스틱 캡(28)이 동시에 사출성형되어 머리부(26)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플라스틱 캡(28)에는 스크류 드라이버 등의 공구 삽입용 홈(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갓 고정용 드릴형 스크류.
KR2020020010348U 2002-04-06 2002-04-06 전등갓 고정용 드릴형 스크류 KR2002816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348U KR200281673Y1 (ko) 2002-04-06 2002-04-06 전등갓 고정용 드릴형 스크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348U KR200281673Y1 (ko) 2002-04-06 2002-04-06 전등갓 고정용 드릴형 스크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673Y1 true KR200281673Y1 (ko) 2002-07-13

Family

ID=73075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348U KR200281673Y1 (ko) 2002-04-06 2002-04-06 전등갓 고정용 드릴형 스크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6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629B1 (ko) * 2012-04-30 2014-04-04 오영직 사출 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629B1 (ko) * 2012-04-30 2014-04-04 오영직 사출 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1490B1 (ko) 도어트림 장착 구조
US20130107551A1 (en) Flameless candle with threaded insert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200304821Y1 (ko) 조명등의 커버 결합구조
KR200281673Y1 (ko) 전등갓 고정용 드릴형 스크류
ES2286607T3 (es) Cierre de aldabilla.
KR200361439Y1 (ko) 조명등의 커버 결합구조
KR100387957B1 (ko) 매입형 조명등기구
KR200385719Y1 (ko) 조명기구의 전등커버 고정구
CN111963947A (zh) 一种吸顶灯
KR200389237Y1 (ko) 형광등 케이스용 피스커버
KR100475950B1 (ko) 자동차용 실내등의 마운팅 구조
KR0139615Y1 (ko) 칩 간섭 방지홈을 형성한 가니쉬
KR200172274Y1 (ko) 경첩장치
KR200237582Y1 (ko) 전구 소켓
KR100477031B1 (ko) 도어 인사이드 핸들의 결합구조
KR200376079Y1 (ko) 조명등 결합구조
JPS5823130Y2 (ja) 照明器具のセ−ド
JP2004076395A (ja) ドアハンドル装置およびその取付方法
US20020196632A1 (en) Glass fitter for lighting fixtures
KR200237639Y1 (ko) 도어용 경첩
KR200220555Y1 (ko) 버티칼 프레임 고정구
KR200213012Y1 (ko) 유도등 케이스
KR100520281B1 (ko) 블랭킹 커버의 회전방지장치
KR200249166Y1 (ko) 자동차 도어의 커티시램프장치
KR200294355Y1 (ko) 창문 잠금장치용 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