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108Y1 - 가변형 주방 수납장 - Google Patents

가변형 주방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108Y1
KR200281108Y1 KR2020020009446U KR20020009446U KR200281108Y1 KR 200281108 Y1 KR200281108 Y1 KR 200281108Y1 KR 2020020009446 U KR2020020009446 U KR 2020020009446U KR 20020009446 U KR20020009446 U KR 20020009446U KR 200281108 Y1 KR200281108 Y1 KR 2002811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lowering
kitchen
lifting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4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영퍼니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영퍼니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영퍼니처
Priority to KR20200200094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1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1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108Y1/ko

Link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수납공간의 확대는 물론이고, 사용자의 키 높이에 맞게 수납장의 높이를 가변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성과 사용상의 편의성 향상은 물론이고, 나아가 제품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가변형 주방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전,후,좌,우에 위치되는 도어와 좌,우측 및 후방판넬에는 공통적으로 내측 중앙에 하부가 개구된 승,하강공간부를 구비하고 있되, 일측면 좌,우측에는 상기 승,하강공간부와 관통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홈과 인접된 부위의 내,외측에는 멈춤부재를 삽입할 수 있는 멈춤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수납장과; 전,후,좌,우에 위치되는 도어와 좌,우측 및 후방판넬의 상부에는 공통적으로 상기 승,하강공간부 내로 삽입을 취할 수 있는 승,하강연결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하강연결구의 일측면 좌,우측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홈 내에 위치되는 고정부재가 연결 고정되어 있고, 이 고정부재와 인접된 부위에는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멈춤공과 원심을 일치시킬 수 있는 삽입공이 등간격을 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부 수납장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변형 주방 수납장{VARIABLE-TYPE KITCHINE ACCEPTANCE GOODS}
본 고안은 가변형 주방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상으로 부터 일정 상부에 위치한 주방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주방 수납장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하 폭을 신속 용이하게 가변 조정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주어, 필요에 따라 수납공간의 확대는 물론이고, 사용자의 키 높이에 맞게 수납장의 높이를 가변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성과 사용상의 편의성 향상은 물론이고, 나아가 제품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가변형 주방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방의 벽면(1)에 설치된 수도전(3)의 하측에는 요리 및 설거지 등을 하기 위한 싱크대(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싱크대(5) 상측의 벽면에는 식기 건조기(7)와 식기를 보관하기 위한 수납장(9) 등의 주방가구가 고정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주방 내에 설치되어 있는 주방가구는 사용자로 하여금 싱크대(5) 상에서는 요리 및 취사를 용이하게 취하도록 하고, 이 싱크대(5) 상부에 위치되는 식기 건조기(7)와 수납장(9)에는 취사에 이용되었던 식기를 재치하여 건조 및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관토록 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주방가구의 식기 건조기(7) 및 수납장(9)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지상으로부터 일정 상부에 위치한 주방 벽면(1)에 사용자들의 평균 키높이에 맞게 일정 높이를 취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여러 유형의 신체 구조를 취하고 있는 사용자들 모두에게 효과적인 작업 동선을 제공할 수 없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식기 건조기(7) 및 수납장(9)이 사용자들의 평균 키높이에 맞게 일정 높이를 취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있어, 평균 키 이상 또는 이하를 취하는 사용자들이 식기를 재치할 때 효과적인 작업 동선을 제공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수납 공간의 필요가 더욱 절실히 요구되는 주방의 특성을 심도 있게 고려하지 못한 획일적인 구조 및 형태상의 문제로 주방 내에 수납 공간의 확보를 효과적로 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싱크대(5)와 수납장(9)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활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획일적인 형태 및 구조를 취하고 있는 수납장을 이용함에 따라 이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였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다소나마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주방에 설치되는 식기 건조기를 승,하강시키는 장치가 다수 개발되어 있다.
일 예로 종래 주방가구의 승하강장치로서는(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94-11302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의 회전에 의한 회전운동을 전동축부재상에서 이동하는 이동체의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주방가구를 승하강시키는 구조로 된것이 있다.
즉, 캐비넷(11)내의 상부에는 베이스부재(13)가 수평방향으로 배설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부재(13)의 하측에는 승하강되는 주방가구(14)가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재(13)의 상측에는 상기 주방가구(14)를 승하강시키도록 수평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이동체(15)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이동체(15)의 외부에는 상기 이동체(15)가 수평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상기 이동체(15)를 안내하는 안내부재(17)가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체(15)의 내부를 관통하여 전동나사 결합되어 상기 이동체(15)를 구동하도록 상기 안내부재(17)의 내부에는 전동축부재(19)가 회전 가능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전동축부재(19)의 일단에는 상기 전동축부재(19)에 동력을 전달 하는 동력전달수단(21)이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재(13)상의 일정한 곳에는 상기 주방가구(14)를 승하강시키도록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23)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이동체(15)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주방가구(14)가 승하강하도록 상기 이동체(15)와 상기 주방가구(14)는 제1, 제2연결수단(25, 2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제2연결수단(25, 26)을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13)상의 양측에는 제1, 제2안내수단(27, 28)이 각각 장착되어 있다.
상기 설명에서, 상기 전동축부재(19)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체(15)가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이동체(15) 및 상기 안내부재(17)의 단면은 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1연결수단(25)은 그 일단이 상기 이동체(15)의 우측면에 접속되어 제2안내수단(28)과 제1안내수단(27)에 의해 순차로 안내되어 그 타단은 상기 주방가구(14)의 우측 상부에 접속되며, 상기제2연결수단(26)은 그 일단이 상기 이동체(15)의 우측면에 접속되어 제2안내수단(28)에 의해 안내되어 그 타단은 상기 주방가구(14)의 우측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승,하강장치의 도시하지 않은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모터(23)에 전원이 인가되면, 모터(23)에 의해 발생한 동력이 동력전달수단(21)을 통해 전동축부재(19)에 전달되어 상기 전동축부재(19)가 회전하고, 상기 전동축부재(19)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전동축부재(19)의 외주면에 전동나사 결합된 이동체(15)는 안내부재(17)의 안내를 받아 수평직선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체(15)가 수평직선운동하면, 제1, 제2연결수단(25, 26)을 매개물로 하여 상기 이동체(15)에 접속된 주방가구(14)는 승,하강한다.
즉, 제1, 제2안내수단(27, 28)은 상기 제1, 제2연결수단(25, 26)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제2연결수단(25, 26)의 운동방향을 90o로 바꾸게 하므로써, 상기 주방가구는 승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주방가구의 승,하강장치는 전동축부재 이동체 및 안내부재에 의해 모터축의 회전운동을직선운동으로 바꾸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승,하강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아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방가구의 좌,우측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수단의 길이 차가 크므로 일정기간 사용후 연결수단의 심각한 처짐 현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에 따라 원활한 승,하강에 차질을 자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와 같은 편의를 제공하는 부위가 식기 건조기에 한정적으로 적용되어 있으므로 수납장에 식기를 재치하는데 있어서의 불편은 해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오히려 수납공간을 협소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결론적으로 실용화시키는데 있어 적용이 불합리한 문제점이 많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지상으로부터 일정 상부에 위치한 주방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주방 수납장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하 폭을 신속 용이하게 가변 조정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주어, 필요에 따라 수납공간의 확대는 물론이고, 사용자의 키 높이에 맞게 수납장의 높이를 가변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성과 사용상의 편의성 향상은 물론이고, 나아가 제품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가변형 주방 수납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제공하는 달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전,후,좌,우에 위치되는 도어와 좌,우측 및 후방판넬에는 공통적으로 내측 중앙에 하부가 개구된 승,하강공간부를 구비하고 있되, 일측면 좌,우측에는 상기 승,하강공간부와 관통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홈과 인접된 부위의 내,외측에는 멈춤부재를 삽입할 수 있는 멈춤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수납장과;
전,후,좌,우에 위치되는 도어와 좌,우측 및 후방판넬의 상부에는 공통적으로상기 승,하강공간부 내로 삽입을 취할 수 있는 승,하강연결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하강연결구의 일측면 좌,우측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홈 내에 위치되는 고정부재가 연결 고정되어 있고, 이 고정부재와 인접된 부위에는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멈춤공과 원심을 일치시킬 수 있는 삽입공이 등간격을 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부 수납장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주방 수납장의 전체 구성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주방 수납장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주방 수납장의 요부 구성상태를 확대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주방 수납장의 가변된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5는 일반적인 주방가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종래의 승,하강 가능한 식기 건조기를 구비한 주방가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납장 12a,12b : 상,하부 수납장
14a,14b : 도어 16a,16b : 좌측판넬
18a,18b : 우측판넬 20a,20b : 후방판넬
22 : 승,하강공간부 24 : 가이드홈
26 : 멈춤부재 28 : 멈춤공
30 : 승,하강연결구 32 : 고정부재
34 : 삽입공 36 : 가변 홈부
38 : 커버부재 40 : 식기 건조대
42 : 싱크대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주방 수납장의 전체 구성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주방 수납장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주방 수납장의 요부 구성상태를 확대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와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수납장(12a)의 전,후,좌,우에 위치되는 도어(14a)와 좌,우측(16a),(18a) 및 후방판넬(20a)에는 공통적으로 내측 중앙에 하부가 개구된 승,하강공간부(22)를 구비하고 있되, 일측면 좌,우측에는 상기 승,하강공간부(22)와 관통된 가이드홈(24)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홈(24)과 인접된 부위의 내,외측에는 멈춤부재(26)를 삽입할 수 있는 멈춤공(2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수납장(12a)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하부 수납장(12b)의 전,후,좌,우에 위치되는 도어(14b)와 좌,우측(16b),(18b) 및 후방판넬(20b)의 상부에는 공통적으로 상기 승,하강공간부(22) 내로 삽입을 취할 수 있는 승,하강연결구(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하강연결구(30)의 일측면 좌,우측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홈(24) 내에 위치되는 고정부재(32)가 연결 고정되어 있고, 이 고정부재(32)와 인접된 부위에는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멈춤공(28)과 원심을 일치시킬 수 있는 삽입공(34)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하부 수납장(12a),(12b)으로 조합 형성된 수납장(10)이 상,하폭의 조정을 취하는 과정에서 상,하부 수납장(12a),(12b) 간에 불가피하게 노출 형성시키게 되는 가변 홈부(36)에는 크기 커버를 취할 수 있도록 제작된 별도의 커버부재(38)가 삽입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주방 수납장의 가변된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고안인 가변형 주방 수납장의 사용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식기를 재치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키 높이에 식기 건조기(40) 또는 수납장(10)의 높이가 안맞아 불편할 경우나 또는 수납 공간이 비좁아 수납 공간의 확장이 불가피하게 필요할 경우에는 수납장(10)을 구성하고 있는 도어(14a),(14b)를 개방한 후 상부 수납장(10)을 구성하고 있는 도어(14a)와 좌,우측(16a),(18a) 및 후방 판넬(20a)의 멈춤공(28)에 삽입 위치되어 상,하부 수납장(12a),(12b) 간의 결속을 취하는 멈춤부재(26)의 삽입을 해제한 후 필요한 상,하 폭만큼 하부 수납장(12b)을 이동시키면 된다.
이때, 이동을 취하게 되는 하부 수납장(12b)은 상기 상부 수납장(12a)의 가이드홈(24) 내에 위치되어 있는 고정부재(32)를 통해 수직으로 가이드되며 승,하강을 취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높이 및 수납공간이 가변 조정된 수납장(10)은 상,하폭의 조정을 취하는 과정에서 상,하부 수납장(12a),(12b) 간에 불가피하게 외부로 노출 형성시키게 되는 가변 홈부(36)에 별도의 커버부재(38)를 삽입 고정하여 수납장(10)의 가변 작업을 마감하게 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변 홈부(36)에 삽입 고정되어 수납장(10)의 가변 작업을 마무리하게 되는 커버부재(38)는 하부 수납장(12b)이 단계별로 형성시키게 되는 가변 홈부(36)의 크기에 대응 마감을 취할 수 있도록 단계별 크기로 제작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여러 유형의 신체 구조를 갖고 있는 여러 사용자들 모두에게 효과적인 작업 동선을 가변 제공할 수 있어 획일적인 구조로 이루어진 기존의 주방가구에 비해 제품성과 사용상의 편의성 등을 대폭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싱크대(42)와 수납장(1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음에 따라 주방공간의 효과적인 활용을 이룰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하 폭의 가변 작업후 마감 단계에서 상,하부 수납장(12a),(12b) 간에 불가피하게 외부로 노출 형성시키게 되는 가변 홈부(36)를 별도의 커버부재(38)를 통해 마감 처리함에 따라 제품의 외관미를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취한 수단이 상술한 바와 같이 매우 간단하고 신속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실사용하는 과정에서 고장이 초래되는 현상이 전혀 발생될 수 없는 구조이므로 제조원가의 지나친 상승과 제조 공정의 불편을 초래하지 않아 결과적으로 제품의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편의를 제공하는 부위가 수납장(10)은 물론이고, 식기 건조기(40)에 모두 적용되므로 수납장(10)에 식기를 재치하는데 있어서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지상으로부터 일정 상부에 위치한 주방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주방 수납장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하 폭을 신속 용이하게 가변 조정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주어, 필요에 따라 수납공간의 확대는 물론이고, 사용자의 키 높이에 맞게 수납장의 높이를 가변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성과 사용상의 편의성 향상은 물론이고, 나아가 제품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지상으로부터 일정 상부에 위치한 주방 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되, 여닫이식의 도어로 전면이 개폐되고, 주방용품 등이 수납 보관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수납체를 가지는 주방용 수납장에 있어서,
    전,후,좌,우에 위치되는 도어(14a)와 좌,우측(16a),(18a) 및 후방판넬(20a)에는 공통적으로 내측 중앙에 하부가 개구된 승,하강공간부(22)를 구비하고 있되, 일측면 좌,우측에는 상기 승,하강공간부(22)와 관통된 가이드홈(24)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홈(24)과 인접된 부위의 내,외측에는 멈춤부재(26)를 삽입할 수 있는 멈춤공(28)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수납장(12a)과;
    상기 상부 수납장(12a)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있되, 전,후,좌,우에 위치되는 도어(14b)와 좌,우측(16b),(18b) 및 후방판넬(20b)의 상부에는 공통적으로 상기 승,하강공간부(22) 내로 삽입을 취할 수 있는 승,하강연결구(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하강연결구(30)의 일측면 좌,우측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홈(24) 내에 위치되는 고정부재(32)가 연결 고정되어 있고, 이 고정부재(32)와 인접된 부위에는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멈춤공(28)과 원심을 일치시킬 수 있는 삽입공(34)이 등간격을 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부 수납장(12b)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주방 수납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수납장(12a),(12b)으로 조합 형성된수납장(10)이 상,하폭의 조정을 취하는 과정에서 상,하부 수납장(12a),(12b) 간에 불가피하게 노출 형성시키게 되는 가변 홈부(36)에는 크기 별로 커버를 취할 수 있도록 제작된 별도의 커버부재(38)가 삽입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주방 수납장.
KR2020020009446U 2002-03-29 2002-03-29 가변형 주방 수납장 KR2002811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446U KR200281108Y1 (ko) 2002-03-29 2002-03-29 가변형 주방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446U KR200281108Y1 (ko) 2002-03-29 2002-03-29 가변형 주방 수납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108Y1 true KR200281108Y1 (ko) 2002-07-13

Family

ID=73120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446U KR200281108Y1 (ko) 2002-03-29 2002-03-29 가변형 주방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1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68577A (zh) * 2022-03-02 2022-05-13 宁波大学 智能升降收纳柜
KR20220067811A (ko) 2020-11-18 2022-05-25 주식회사 코어디자인그룹 서랍형 주방 상부 수납장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811A (ko) 2020-11-18 2022-05-25 주식회사 코어디자인그룹 서랍형 주방 상부 수납장
CN114468577A (zh) * 2022-03-02 2022-05-13 宁波大学 智能升降收纳柜
CN114468577B (zh) * 2022-03-02 2023-08-08 宁波大学 智能升降收纳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61470B (zh) 一种铰链组件及安装有该铰链组件的器具
KR102579883B1 (ko) 냉장고
CN112878832B (zh) 一种铰链组件及安装有该铰链组件的器具
JP2018535344A (ja) 家具の一部分であるドアを移動させるアセンブリ
AU2010247644A1 (en) Item of furniture
CN110678114B (zh) 用于家用电器的铰链
KR200281108Y1 (ko) 가변형 주방 수납장
CA3231990A1 (en) Hinge for embedded home appliances and refrigerator
EP0819404B1 (en) Decorative panel provided with a device for sliding vertically along the closed door of a built-in appliance
EP3061383A1 (e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KR20200077890A (ko) 다단 링크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0122161Y1 (ko) 컴퓨터모니터함의 자동승강장치
US2873161A (en) Wall cabinet
KR200340005Y1 (ko) 이중도어 연결구조
KR102294931B1 (ko) 높이 조절형 수납장
EP0400466B1 (en) Cabinet for household appliance, particularly for washing machine
CN115559630A (zh) 铰链组件及具有其的制冷设备
KR200167210Y1 (ko) 싱크대 하부장의 인출식 서랍용 셀프-클로우징 구조 및 레일구조
CN115788194A (zh) 具有多个槽体的铰链组件及具有其的家电设备
KR100900952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KR200318149Y1 (ko) 승강 가능한 수납 선반
KR200248075Y1 (ko) 서랍 개폐장치
KR100914530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KR20110114456A (ko) 리세스형 가전제품을 위한 개방 장치
KR0114929Y1 (ko) 주방가구의 승하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