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7890A - 다단 링크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다단 링크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7890A
KR20200077890A KR1020180167236A KR20180167236A KR20200077890A KR 20200077890 A KR20200077890 A KR 20200077890A KR 1020180167236 A KR1020180167236 A KR 1020180167236A KR 20180167236 A KR20180167236 A KR 20180167236A KR 20200077890 A KR20200077890 A KR 20200077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cam
roller
hinge devic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0678B1 (ko
Inventor
박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아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to KR1020180167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678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seven parallel pins and four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76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the hinge having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다단 링크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링크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는 베이스 브라켓과, 베이스 브라켓에 일단이 연결된 메인 링크와, 메인 링크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된 써포트 링크와, 메인 링크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일단이 연결된 서브 링크와, 베이스 브라켓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 링크의 중간에 연결된 컬 링크와, 써포트 링크의 타단과 서브 링크의 타단을 이격하여 연결하는 틸트 브라켓과, 메인 링크에 마련되어 베이스 브라켓을 향해 댐핑 동작하는 댐퍼와, 댐퍼에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댐퍼 로드를 안내하기 위해 베이스 브라켓에 마련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단 링크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Multi-link hinge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it}
본 발명은 다단 링크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기기 본체로부터 도어가 팝아웃과 스윙 개폐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다단 링크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텔레비젼, 세탁기, 오디오, 전자레인지, 식기세척기, 오븐 등의 가사용 전자기기들은 백색 가전으로 통칭되어 불린다. 백색 가전은 이들 제품들이 주로 흰색 또는 아이보리 계통의 색상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며, 집안 일에 치중한 제품이기 때문에 외관과 안정성, 사용자 편의 중심의 로테크 가전 제품이라고도 불린다.
최근 이들 전자기기는 제품 자체의 한계를 넘어서 집안의 구조 및 주변 가구와 잘 어울리도록 내부 구조를 개선하고 외부 디자인을 변화시키고 있다. 통상 빌트인 가전이라고 불리는데 냉장고, 스타일러스, 식기세척기, 오븐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 제품은 건물의 설계 및 시공단계부터 설치될 장소를 고려하여 고안되기 때문에 내외적으로 매우 우수하다.
하지만, 빌트인 가전은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평면 설계되며 협소하거나 장애물이 있는 공간에 최적화 설계되기 때문에 외관적으로는 우수하지만 본체로부터 도어가 개폐되는 형태의 전자기기의 경우 도어의 활용도가 떨어질 수 있다. 일례로, 냉장고와 같이 도어 내측에 수납 공간을 갖는 전자기기는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도어를 본체로부터 안정적으로 펼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에 제약이 발생한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3-0055936호(2003.07.0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링크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는 본체로부터 도어가 안정적으로 팝아웃 및 스윙 개폐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브라켓과, 베이스 브라켓에 일단이 연결된 메인 링크와, 메인 링크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된 써포트 링크와, 메인 링크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일단이 연결된 서브 링크와, 베이스 브라켓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 링크의 중간에 연결된 컬 링크와, 써포트 링크의 타단과 서브 링크의 타단을 이격하여 연결하는 틸트 브라켓과, 메인 링크에 마련되어 베이스 브라켓을 향해 댐핑 동작하는 댐퍼와, 댐퍼에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댐퍼 로드를 안내하기 위해 베이스 브라켓에 마련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다단 링크 힌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댐퍼 로드가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마련되는 제1메인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메인 링크와 함께 미끄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1슬릿레일과, 상기 댐퍼 로드가 댐핑 동작하도록 안내하는 제2슬릿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슬릿레일은 제1메인축과 동심원 상에 호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슬릿레일은 직선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브라켓은 절곡 마련되는 베이스 바텀과 베이스 사이드웰을 포함하고, 상기 제2슬릿레일은 상기 베이스 사이드웰과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댐퍼 로드가 베이스 브라켓에 대해 회전하는 메인 링크를 따라 회전하도록 안내하는 제1슬릿레일과, 상기 댐퍼 로드가 댐핑 동작하도록 안내하는 제2슬릿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써포트 링크가 틸트 브라켓에 대해 탄성적으로 캠 운동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캠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결합부는 상기 틸트 브라켓에 마련되며 캠면을 갖는 캠부와, 상기 써포트 링크의 일단에 마련되며 상기 캠면과 캠 결합하는 캠롤러와, 캠롤러를 캠면에 가압하는 상기 탄성부재와, 캠롤러가 상기 캠면에 밀착하면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롤러 링크를 갖는 캠롤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 링크의 일단은 상기 써포트 링크에 축 결합하는 롤러링크축을 포함하고, 타단은 상기 롤러링크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캠롤러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롤러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써포트 링크는 상기 캠롤러의 캠면 가압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부는 상기 틸트 브라켓의 내부에 수용 마련되는 캠가이드와, 캠가이드에 의해 후면이 지지되며 전면에 상기 캠롤러가 접촉하는 캠면이 형성되어 있는 캠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다단 링크 힌지 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다단 링크 힌지 장치의 베이스 브라켓은 전자기기의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다단 링크 힌지 장치의 틸트 브라켓은 상기 본체로부터 회전 개폐되는 도어에 마련되는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링크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는 복수의 링크가 상호 연동하여 전자기기 본체에 마련되는 베이스 브라켓으로부터 도어에 마련되는 틸트 브라켓이 안정적으로 팝아웃 및 스윙 개폐 동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링크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는 링크에 댐퍼를 마련하여 도어 폐쇄 동작 중 일부 구간에서 부드럽게 회전하면서 도어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링크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는 팝아웃 및 스윙 개폐 동작 시 내부에 캠부와 캠롤러부를 마련하여 상호 캠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닫힘 구간에서는 오토 클로징이 구현되고 열림 구간에서는 프리 오픈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링크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는 캠부와 캠롤러부가 항상 밀접해서 캠 운동할 수 있도록 롤러 링크에 의해 회동 지지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개폐 동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캠롤러가 접촉하는 캠면에는 그리스가 도포되어 있는데, 캠가이드에 의해 캠면이 감싸지고 롤러 링크 사용에 의해 그리스가 빠져나갈 수 있는 리크 부위가 없기 때문에 외부 오염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링크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가 빌트인 설치된 상태의 도어 클로즈 및 오픈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링크 힌지 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링크 힌지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로서 베이스 브라켓 및 틸트 브라켓과 링크부를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링크 힌지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로서 링크부를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링크 힌지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로서 캠부와 캠롤러부를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링크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도어 클로즈 및 오픈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링크 힌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링크 힌지 장치의 도어 클로즈 및 오픈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링크 힌지 장치가 설치된 전자기기의 일례로 빌트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링크 힌지 장치(100)는 벽체나 가구 등의 고정물(1)에 마련되는 빌트인 공간(2)에 맞춤 설치된 냉장고 본체(3)로부터 도어(4)를 팝아웃(Popout) 및 스윙(swing) 형태로 완전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에서는 전자기기의 일례로 냉장고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 개폐되는 다양한 전자기기에 폭 넓게 변형 및 수정하여 적용될 수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전자기기 본체(3)는 전면에 개구부를 포함하고, 이 개구부에는 개폐 가능하도록 도어(4)가 마련되어 있다. 본체(3)와 도어(4)에는 다단 링크 힌지 장치(100)의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다단 링크 힌지 장치(100)에 의해 도어(4)는 본체(3)로부터 팝아웃 및 스윙하면서 회전 개폐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링크 힌지 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링크 힌지는 전자기기의 본체(3)와 도어(4)에 각각 고정 마련되는 베이스 브라켓(110) 및 틸트 브라켓(120)과, 두 브라켓(110,120)을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부(130,140,150,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브라켓(110)은 전자기기 본체(3)에 설치되는 것으로, 금속의 판재를 밴딩 가공하여 마련된다. 베이스 브라켓(110)은 'ㄷ'자절곡 형태를 가지도록 베이스 바텀(112)과 베이스 사이드웰(114)을 포함한다. 베이스 바텀(112)과 베이스 사이드웰(114) 사이의 모서리에는 제1베이스축(111)이 마련되며, 베이스 사이드웰(114)의 단부에는 제2베이스축(113)이 마련된다.
틸트 브라켓(120)은 전자기기 본체에 회전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4)에 설치되는 것으로, 금속의 판재를 가공하여 마련되는 틸트 바디(122)를 포함한다. 틸트 바디(122)는 도어(4)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 상에 돌출 마련되는 요철이나 볼팅 등의 다양한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틸트 바디(122)는 일단에 마련되는 제1틸트축(121)과 타단에 일단으로부터 이격 마련되는 제2틸트축(12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링크부(130~160)는 메인 링크(130)와, 서브 링크(140)와, 컬 링크(150)와, 써포트 링크(160)를 포함한다.
메인 링크(130)는 베이스 브라켓(110)의 내측에 수용 가능하게 마련되며, 베이스 브라켓(110)의 제1베이스축(111)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링크(130)는 하나의 금속 판재를 밴딩하여 마련될 수 있으며, 메인 바디(132)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단에 마련되는 제1메인축(131)과, 중간에 마련되는 제2메인축(133)과, 타단에 마련되는 제3메인축(1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메인축(131)에는 제1베이스축(111)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제2메인축(133)에는 서브 링크(14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제3메인축(135)에는 써포트 링크(16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서브 링크(140)는 틸트 브라켓(120)과 메인 링크(130)에 양단이 결합된다. 서브 링크(140)는 하나의 금속 판재를 밴딩하여 마련될 수 있으며, 서브 바디(1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단에 마련되는 제1서브축(141)과, 중간에 마련되는 제2서브축(143)과, 타단에 마련되는 제3서브축(14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서브축(141)에는 틸트 브라켓(120)의 제1틸트축(121)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제2서브축(143)에는 컬 링크(15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제3서브축(145)에는 메인 링크(130)의 제2메인축(133)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컬 링크(150)는 베이스 브라켓(110)과 서브 링크(140)에 양단이 결합된다. 컬 링크(150)는 하나의 금속 판재를 밴딩하여 마련될 수 있으며, 일단에 마련되는 제1컬축(151)과, 타단에 마련되는 제2컬축(1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컬축(151)에는 베이스 브라켓(110)의 제2베이스축(113)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제2컬축(153)은 서브 링크(140)의 제2서브축(143)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써포트 링크(160)는 틸트 브라켓(120)과 메인 링크(130)에 양단이 결합된다. 써포트 링크(160)는 하나의 금속 판재를 밴딩하여 마련될 수 있으며, 써포트 바디(162)의 일단에 마련되는 제1써포트축(161)과 타단에 마련되는 제2써포트축(1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써포트축(161)에는 틸트 브라켓(120)의 제2틸트축(123)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제2써포트축(163)에는 메인 링크(130)의 제3메인축(135)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브라켓(110,120)과 링크부(120~160)로 마련되는 다단 링크 힌지 장치(100)는 전자기기 개폐 동작을 위해 베이스 브라켓(110)으로부터 틸트 브라켓(120)이 회전 될 때 먼저, 메인 링크(130)가 제1메인축(13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어서 틸트 브라켓(120)과 메인 링크(130) 사이에 이격 마련되는 서브 링크(140)와 써포트 링크(160)가 나란히 회전하면서 회전 반경이 1차 조정되고, 이어서 회전하는 서브 링크(140)가 컬 링크(150)에 의해 회전 반경이 2차로 조정되면서, 최종적으로 틸트 브라켓(120)이 베이스 브라켓(110)으로부터 팝아웃 및 스윙하면서 회전한다.
한편, 베이스 브라켓(110)에 대한 틸트 브라켓(120)의 회전 운동(팝아웃 및 스윙 운동)은 상호 캠 결합되어 있는 캠부(170)와 캠롤러부(180)에 의해 탄성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캠부(170)는 틸트 브라켓(120)의 내부에 수용 마련되는 캠가이드(171)와, 캠가이드(171)에 의해 지지되며 일측에 캠면(177)이 형성되어 있는 캠바(174)를 포함한다.
캠가이드(171)는 'ㄷ'자 형태로 마련되며, 일단에 마련되는 제1캠고정축(172)과 타단에 마련되는 제2캠고정축(173)을 포함한다. 제1캠고정축(172)에는 서브 링크(140)의 제1서브축(141)과 틸트 브라켓(120)의 제1틸트축(121)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제2캠고정축(173)에는 써포트 링크(160)의 제1써포트축(161)과 틸트 브라켓(120)의 제2틸트축(123)이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캠바(174)는 소정 두께로 마련되며, 일단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 마련되는 제1캠축(175)과 타단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 마련되는 제2캠축(176)을 포함한다. 제1캠축(175)은 제1캠고정축(172)에 고정되고, 제2캠축(176)은 제2캠고정축(173)에 고정되므로, 캠바(17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2캠고정축(172,173)에 각각 축 결합하는 서브 링크(140)와 써포트 링크(160)와 틸트 브라켓(120)과도 축 결합된다.
또한, 캠바(174)는 후면이 캠가이드(171) 내부에 수용 지지되며, 전면은 곡선 형태의 캠면(177)을 포함한다. 캠면(177)에는 캠 운동을 위해 접촉 이동하는 캠롤러부(180)의 캠롤러(181)가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그리스가 도포되는데, 캠가이드(171)는 상술한 바와 같이 'ㄷ'자 형태로 마련되어 캠바(174)를 감싸고 있기 때문에 캠면(177)에 도포된 그리스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리크에 의한 외부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캠롤러부(18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바(174)의 캠면(177)과 캠 결합하는 캠롤러(181)와, 캠롤러(18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바(182) 및 가동바(182)가 슬라이딩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 지지하는 고정바(183)와, 가동바(182)와 고정바(183)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184)와, 롤러 링크(185)를 포함한다.
캠롤러(181)는 롤러 링크(185)에 마련되는 롤러축(186)을 이용하여 가동바(182)의 롤러캡부(182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동바(182)는 실린더부(182b)의 내부에 관통공을 구비하고, 고정바(183)는 가동바(182)의 관통공에 슬라이드바(183a)가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고정바(183)의 걸림축부(183b)는 써포트 링크(160)의 제2써포트축(163)에 축 지지된다. 탄성부재(184)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마련되어 가동바(182)와 고정바(183) 사이에 개재되며, 가동바(182)에 마련되는 캠롤러(181)가 캠바(174)의 캠면(177)에 밀착하도록 가압한다.
롤러 링크(185)는 마주보는 한 쌍의 판재로 이루어져, 써포트 링크(160)의 제1써포트축(162)과 제2써포트축(163) 사이에 마련되는 제3써포트축(166)에 일단에 마련된 롤러링크축(187)이 축 결합하고, 타단은 롤러축(186)를 구비하여 캠롤러(181)를 회전 가능하도록 축 지지한다. 가동바(182)의 탄성 슬라이딩 방향은 실질적으로 써포트 링크(160)의 제1써포트축(161)과 제2써포트축(163)과 나란하고, 롤러 링크(185)의 롤러링크축(187)은 제1,2써포트축(161,163)과 삼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써포트 링크(160)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캠롤러(181)(또는 롤러축(186))는 롤러링크축(187)을 중심으로 가동바(182)의 진퇴 방향(X축)과 캠바(174)의 캠면(cam profile) 방향(Y축)이 형성하는 평면 상에서 회동하면서 캠면(177)에 항상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또한, 써포트 링크(160)에는 캠롤러(181)가 캠바(174)를 과도하게 가압하지 못하도록 스토퍼(168)가 마련되어 있다.
이상, 상기 실시 예에서는 제1,2베이스축(111,113), 제1,2틸트축(121,123), 제1,2,3메인축(131,133,135), 제1,2,3서브축(141,143,145), 제1,2컬축(151,153), 및 제1,2써포트축(161,163)을 단순히 축으로만 지칭하였으나,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되어 대향하는 한 쌍의 좌우 플레이트에 각각 관통홀을 마련하고, 이 관통홀에 샤프트가 조립된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다단 링크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동작에 대해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링크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가 닫혀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가 닫힌 상태일 때 전자기기 본체(3)에 마련되어 있는 베이스 브라켓(110)의 베이스 바텀(112)과 전자기기 도어(4)에 마련되어 있는 틸트 브라켓(120)은 나란한 상태를 가지며, 두 브라켓(110,120)의 내부에는 메인 링크(130)와 서브 링크(140)와, 컬 링크(150)와 써포트 링크(160)가 상호 간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캠롤러부(180)의 캠롤러(181)는 캠부(170)의 제1캠면(177a)에 위치하며 탄성부재(184)에 의해 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전자기기는 본체(3)와 도어(4)가 밀폐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링크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가 열리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 본체(3)로부터 도어(4)가 개방을 시작하면 베이스 브라켓(110)으로부터 메인 링크(130)가 제1메인축(13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또한, 메인 링크(130)와 틸트 브라켓(120) 사이에 나란하게 마련된 서브 링크(140)와 써포트 링크(160)도 컬 링크(150)에 의해 회전이 안내되면서 틸트 브라켓(120)을 이동시킨다.
서브 링크(140)가 컬 링크(150)에 의해 회전이 안내될 때, 써포트 링크(160)에 마련된 캠롤러(181)는 틸트 브라켓(120)에 마련된 캠부(170)의 캠면(177) 중 제2캠면(177b)을 통과한다. 제2캠면(177b)은 오목한 형태의 제1,3캠면(177a,177c)와 달리 볼록한 형태로, 캠롤러(181)가 제2캠면(177b)에서 제1캠면(177a)으로 이동하면 도어(4)는 본체(3)에 다시 자동으로 클로즈되며, 제2캠면(177b)에서 제3캠면(177c)로 이동하면 도어(4)는 본체(3)로부터 자동 오픈된다. 롤러 링크(185)는 캠롤러(181)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던지에 관계 없이 캠면(177)에 항상 밀착되도록 한다. 도면에서 화살표는 도어(4)가 오픈되는 방향이다.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링크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 본체(3)로부터 도어(4)가 개방하는 동안 다단 링크 힌지 장치(100)는 베이스 브라켓(110)과 틸트 브라켓(120) 사이에 마련되는 링크부(130~160)에 의해 벽체 등의 고정물에 간섭되지 않도록 팝아웃(Pop out) 및 스윙(swing) 동작하며, 이때 캠롤러부(180)의 캠롤러(181)는 캠부(170)의 제3캠면(177c)에 위치한다.
또한, 캠롤러(181)가 캠부(170)의 제2캠면(177b)으로부터 제3캠면(177c)으로 이동할 때 캠롤러(181)는 스토퍼(168)에 의해 제3캠면(177c)에 소정 거리(H)를 떨어져서 이동하며, 이를 통해 전자기기의 도어(4)는 본체(3)로부터 부하 없이 프리한 상태로 스윙 동작될 수 있다. 이는 대체적으로 약 80 ~ 130도의 구간이다.
한편, 캠부(170)의 제1 내지 제3캠면(177a,177b,177c)을 따라 이동하는 캠롤러부(180)의 캠롤러(18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롤러 링크(185)에 의해 캠면(177)과 항상 밀착되어 캠 결합을 이탈하지 못하도록 제한되어 있다. 즉, 캠롤러(181)는 오목한 제1캠면(177a)에서 볼록한 제2캠면(177b)으로 이동할 때 또는 볼록한 제2캠면(177b)에서 오목한 제3캠면(177c)으로 이동할 때 좌우로 유동하지만, 롤러 링크(185)가 롤러링크축(187)을 중심으로 좌우 회동하면서 캠롤러(181)가 캠면(177)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기 때문에, 캠부(170)와 캠롤러부(180)의 캠 동작은 오류 없이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링크 힌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 내지 도 13은 다단 링크 힌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 본 실시 예는 상기 일 실시 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링크 힌지 장치(200)는 일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전자기기의 본체와 도어에 각각 고정 마련되는 베이스 브라켓(210) 및 틸트 브라켓(220)과, 두 브라켓(210,220)을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부(230,240,250,26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링크부는 메인 링크(230)와, 서브 링크(240)와, 컬 링크(250)와, 써포트 링크(260)을 포함하며, 써포트 링크(260)와 틸트 브라켓(220) 사이에는 일 실시 예의 캠면을 갖는 캠부와, 캠롤러(281)와 롤러 링크와 탄성부재(284)를 갖는 캠롤러부를 포함하는 캠결합부(27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메인 링크(230)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댐퍼(290)가 마련될 수 있다.
댐퍼(290)는 메인 링크(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베이스 브라켓(210)에 대향 설치되는 댐퍼 하우징(291)과, 댐퍼 하우징(291)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진퇴하는 댐퍼 로드(292)를 포함한다. 댐퍼 로드(292)의 끝단에는 댐퍼핀(294)이 마련된다.
댐퍼핀(294)은 'T'자 형상으로 마려되어 중앙의 주축은 댐퍼 로드(292)와 결합하고, 양측의 보조축은 베이스 브라켓(210)에 마련되는 가이드레일(21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215)은 제1메인축(211)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메인 링크(230)와 함께 댐퍼 로드(292)를 미끄럼 안내하는 제1슬릿레일(216)과, 댐퍼 로드(292)가 댐핑 동작하도록 안내하는 제2슬릿레일(217)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릿레일(216)은 호 형상으로 마련되며, 제2슬릿레일(217)은 직선 형태로 마련된다.
호 형상의 제1슬릿레일(216)은 메인 링크(230)의 회전 중심인 제1메인축(211)과 동심원 상에 마련되기 때문에, 메인 링크(230)의 회전 동작 시 댐퍼 로드(292)의 댐퍼핀(294)은 제1슬릿레일(216)을 따라 미끄럼 이동한다.
제2슬릿레일(217)은 호 형상의 제1슬릿레일(216)에 연속해서 마련되며, 베이스 브라켓(210)의 베이스 사이드웰(214)과 나란하게 직선 형상으로 마련된다. 제2슬릿레일(218)의 직선 구간에서 상대적으로 제1메인축(21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메인 링크(230)의 회전각은 그리 크지 않기 때문에, 댐퍼 로드(292)는 이 직선 구간에서 실질적으로 댐퍼 하우징(291)에 대해 댐핑을 위해 진퇴 동작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링크 힌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상기 일 실시 예에서는 캠부(170)와 캠롤러부(180)를 포함하는 캠결합부에 의해 전자기기가 닫힘 구간에서는 오토 클로징이 구현되고 열림 구간에서는 프리 오픈이 구현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이 캠결합부(270)에 대한 기재는 생략하지만 이를 포함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링크 힌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11은 다단 링크 힌지 장치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2는 다단 링크 힌지 장치가 열리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다단 링크 힌지 장치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 본체로부터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면, 도어에 연결된 틸트 브라켓(220)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고, 이때 틸트 브라켓(220)에 서브 링크(240)와 써포트 링크(260)로 연결된 메인 링크(230)도 회전을 시작한다.
메인 링크(230)는 제1메인축(21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메인 링크(230)에 마련된 댐퍼(290)의 댐퍼 로드(292)는 제1메인축(211)와 동심원 상에 마련되는 제1슬릿레일(216)을 따라 미끄럼 이동한다. 따라서, 이 구간에서는 댐퍼(290)가 동작하지 않는다.
메인 링크(230)가 제1메인축(211)을 중심으로 닫히는 방향으로 어느 정도 회전하면, 댐퍼(290)의 댐퍼 로드(292)는 연속 마련된 베이스 브라켓(210)의 제1슬릿레일(216)에서 제2슬릿레일(217)로 이동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슬릿레일(217)의 시작점은 베이스 브라켓(210)과 메인 링크(230)의 각도가 약 32도가 되는 지점이며, 종료점은 베이스 브라켓(210)과 메인 링크(230)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하게 겹쳐지는 지점이다. 제2슬릿레일(217)을 따라 이동하는 댐퍼(290)의 댐퍼 로드(292)는 이 구간에서 직선 운동 즉, 댐퍼 하우징(291)을 향해 근접하면서 댐핑 동작을 수행한다. 댐퍼(290)에 의해 전자기기로부터 개방된 도어는 천천히 닫히게 된다.
이상 본 실시 예에서는 다단 링크 한지 장치(200)가 닫히는 동작 중 일부 구간(제2슬릿레일(217))에서 댐퍼(290)에 의해 댐핑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열리는 동작 중에도 댐퍼(290)가 동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다만 열리는 동작 중에는 상대적으로 작용하는 외력이 크기 때문에 댐퍼의 댐핑 동작이 체감되지 않을 수 있다.
1..고정물 3..전자기기 본체
4..전자기기 도어 100,200..다단 링크 힌지 장치
110,210..베이스 브라켓 111,211,113..제1,2베이스축
120,220..틸트 브라켓 121,123..제1,2틸트축
130,230..메인 링크 131,133,135..제1메인축 내지 3메인축
140,240..서브 링크 141,143..제1,2서브축
150,250..컬 링크 151,153..제1,2컬축
160,260..써포트 링크 161,163..제1,2써포트축
170..캠부 171..캠가이드
174..캠바 177..캠면
180..캠롤러부 181,281..캠롤러
184,284..탄성부재 185,285..롤러 링크
186..롤러축 187..롤러링크축
280..캠결합부

Claims (11)

  1. 베이스 브라켓과,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일단이 연결된 메인 링크와,
    상기 메인 링크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된 써포트 링크와,
    상기 메인 링크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일단이 연결된 서브 링크와,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서브 링크의 중간에 연결된 컬 링크와,
    상기 써포트 링크의 타단과 상기 서브 링크의 타단을 이격하여 연결하는 틸트 브라켓과,
    상기 메인 링크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브라켓을 향해 댐핑 동작하는 댐퍼와, 상기 댐퍼에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댐퍼 로드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마련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다단 링크 힌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댐퍼 로드가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마련되는 제1메인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메인 링크와 함께 미끄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1슬릿레일과,
    상기 댐퍼 로드가 댐핑 동작하도록 안내하는 제2슬릿레일을 포함하는 다단 링크 힌지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릿레일은 제1메인축과 동심원 상에 호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슬릿레일은 직선 형상으로 마련되는 다단 링크 힌지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브라켓은 절곡 마련되는 베이스 바텀과 베이스 사이드웰을 포함하고,
    상기 제2슬릿레일은 상기 베이스 사이드웰과 나란하게 마련되는 다단 링크 힌지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댐퍼 로드가 베이스 브라켓에 대해 회전하는 메인 링크를 따라 회전하도록 안내하는 제1슬릿레일과,
    상기 댐퍼 로드가 댐핑 동작하도록 안내하는 제2슬릿레일을 포함하는 다단 링크 힌지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써포트 링크가 틸트 브라켓에 대해 탄성적으로 캠 운동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캠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다단 링크 힌지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캠결합부는
    상기 틸트 브라켓에 마련되며 캠면을 갖는 캠부와,
    상기 써포트 링크의 일단에 마련되며 상기 캠면과 캠 결합하는 캠롤러와, 캠롤러를 캠면에 가압하는 상기 탄성부재와, 캠롤러가 상기 캠면에 밀착하면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롤러 링크를 갖는 캠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다단 링크 힌지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링크의 일단은 상기 써포트 링크에 축 결합하는 롤러링크축을 포함하고, 타단은 상기 롤러링크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캠롤러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롤러축을 포함하는 다단 링크 힌지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써포트 링크는 상기 캠롤러의 캠면 가압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다단 링크 힌지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틸트 브라켓의 내부에 수용 마련되는 캠가이드와, 캠가이드에 의해 후면이 지지되며 전면에 상기 캠롤러가 접촉하는 캠면이 형성되어 있는 캠바를 포함하는 다단 링크 힌지 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마련되는 다단 링크 힌지 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다단 링크 힌지 장치의 베이스 브라켓은 전자기기의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다단 링크 힌지 장치의 틸트 브라켓은 상기 본체로부터 회전 개폐되는 도어에 마련되는 전자기기.
KR1020180167236A 2018-12-21 2018-12-21 다단 링크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180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236A KR102180678B1 (ko) 2018-12-21 2018-12-21 다단 링크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236A KR102180678B1 (ko) 2018-12-21 2018-12-21 다단 링크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890A true KR20200077890A (ko) 2020-07-01
KR102180678B1 KR102180678B1 (ko) 2020-11-20

Family

ID=71601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236A KR102180678B1 (ko) 2018-12-21 2018-12-21 다단 링크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6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0008A (ko) * 2022-04-21 2023-10-30 주식회사 이피텍 도어 결합 장치
WO2024083841A1 (de) * 2022-10-21 2024-04-25 Grass Gmbh Scharnier, insbesondere für kühlschranktür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936A (ko) 2001-12-27 2003-07-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KR20030085638A (ko) * 2002-04-29 2003-11-07 유피아이 주식회사 가구용 힌지
KR20100016056A (ko) * 2007-03-29 2010-02-12 헷티히-오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멀티-링크 힌지
JP2011032844A (ja) * 2009-08-06 2011-02-17 Sugatsune Kogyo Co Ltd ダンパ付きヒンジ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936A (ko) 2001-12-27 2003-07-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KR20030085638A (ko) * 2002-04-29 2003-11-07 유피아이 주식회사 가구용 힌지
KR20100016056A (ko) * 2007-03-29 2010-02-12 헷티히-오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멀티-링크 힌지
JP2011032844A (ja) * 2009-08-06 2011-02-17 Sugatsune Kogyo Co Ltd ダンパ付きヒンジ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0008A (ko) * 2022-04-21 2023-10-30 주식회사 이피텍 도어 결합 장치
WO2024083841A1 (de) * 2022-10-21 2024-04-25 Grass Gmbh Scharnier, insbesondere für kühlschranktü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678B1 (ko) 2020-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1362B2 (en) Multi-link door hinge
US5409308A (en) Overhead cabinet with rotating door
US7243396B2 (en) Door hinge
US20100127606A1 (en) Slow open slow close appliance hinge assembly
KR102021985B1 (ko) 다단 링크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20190113967A (ko) 완충기능을 가진 도어 힌지
US11319740B2 (en) Multi-link hinge device
US20060255045A1 (en) Hinge device for storage cases and storage case having the same
JP2010540801A (ja) 旋回式に設置された作動アームのための作動機構
KR20140114369A (ko) 가구용 힌지
KR20200077890A (ko) 다단 링크 힌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US10352081B2 (en) Furniture hinge
JP2019504951A (ja) 180度回転する隠し外部ヒンジ
KR101490160B1 (ko) 자동 닫힘 도어힌지
EP3441679B1 (en) Cooking apparatus including two-way openable door
KR102241346B1 (ko) 도어 힌지
CN112739881B (zh) 具有终端速度衰减的家电和陈设的铰链装置
KR200467041Y1 (ko) 도어 조립체
RU2719834C1 (ru) Фурнитура для углового шкафа для управляемой зубчатым колесом подвижной установки полки в угловом шкафу
JP4303646B2 (ja) 折れ戸用ヒンジ装置
US20050204510A1 (en) Hidden hinge with 270 degree rotation
CN110761672A (zh) 一种收纳柜
JP2018096197A (ja) 3面構造を持つフォールディングドアの折り畳み装置
DK180654B1 (en) Hinge assembly for a door of a refrigeration compartment
KR100458798B1 (ko) 도어용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