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984Y1 - 진열대 - Google Patents

진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984Y1
KR200280984Y1 KR20-2002-0009613U KR20020009613U KR200280984Y1 KR 200280984 Y1 KR200280984 Y1 KR 200280984Y1 KR 20020009613 U KR20020009613 U KR 20020009613U KR 200280984 Y1 KR200280984 Y1 KR 2002809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frame
fixed
display
display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배
Original Assignee
김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배 filed Critical 김영배
Priority to KR20-2002-0009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9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9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9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47F5/13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made of tubes or wi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2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clamping means, e.g. with sliding bolts or sliding wedge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열대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높이 간격으로 종프레임에 고정되어 받침대 걸쇠가 인서트되는 횡프레임과; 상기 횡프레임 양단의 양측부에 2개의 환봉이 상하로 고정되는 종프레임과; 상기 횡프레임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받침대 걸쇠를 길이방향의 양단에 고정시켜 횡프레임에 착탈되는 받침대가 구비되어 진열대는 표면보호구를 받침대의 측면에 다수개 설치하여 받침대의 표면층이 부풀지 않도록 하여 진열대의 깔끔하고 정돈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종류별 또는 용도별로 구분하여 상품이 진열되도록 받침대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맞추어 사용할 수 있으며, 진열대의 배면에 X자형 프레임을 설치하여 진열대의 휘어짐이나 상품들의 무게로부터 받침대를 견고하면서도 안전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진열대{Knockdown Display Panel}
본 고안은 진열대에 관한 것이다.
특히 2개의 횡프레임 사이에 종프레임을 일정높이의 간격으로 배치시켜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진열대를 배치시켜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일정높이로 진열대의 받침대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열대의 높이에 따른 상품들을 적절하게 배치시킬 수 있는 진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열대는 매장이나 점포 등에서 판매하기 위한 상품들을 상품의 종류별, 용도별로 상품을 가지런하게 정렬시켜 소비자의 구매의욕을 높이고 계절별이나 유행상품들을 신속하게 배치시켜 소비자의 시선을 집중시키는 배치형태를 이루기 위하여 상품의 진열에 사용되는 것이다.
진열대는 보통 하부에 진열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받침대가 구비되거나 진열대를 편리하게 이동시키도록 바퀴를 설치하고, 진열대의 길이방향의 양측의 프레임에 받침대를 고정시켜 받침대 상단에 다양한 종류의 상품들을 배치하거나 서로 배향(背向)된 위치로 설치되는 진열대는 받침대를 배면으로 고정시켜 상품을 진열시키는 진열대 등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진열대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받침대로 사용되는 재질로는 목재나 금속재가 주로 사용되는데 목재로 이루어진 받침대는 목재의 무늬를 살리기 위하여 무늬목 등의 표면층을 접착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무늬목 등이 목재의 표면으로부터 탈거되어 부풀어오르면서 진열대를 지저분하게 만들거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금속 재질의 받침대는 고정된 위치를 바꾸거나 진열대의 배치상태에 변화를 주기 위한 경우에는 다소 적합한 면이 있으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받침대가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진열대들은 진열대와 진열대를 설치하게 되면 진열대의 프레임과 프레임 두께만큼 공간을 낭비하게 되는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진열된 상품의 종류와 형태에 따라 진열대의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이에 따라 받침대의 높낮이 조절이 간편하면서도 진열대의 이동/고정이 가능하고, 견고한 진열대에 받침대의 표면층이 부풀어오르지 않는 받침대에 상품의 종류와 형태에 따른 적절한 배치를 할 수 있는 진열대가 요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진열대의 이동이나 고정이 간편한 진열대를 사용토록 함으로써 공간을 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진열대를 매장이나 점포에 배치시킬 수 있도록 하고, 받침대의 높낮이 간격을 상품의 종류나 형태에 따라 쉽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받침대의 표면으로부터 표면층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받침대와 받침대를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는 진열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진열대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열대의 받침대에 표면보호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a)는 ㄴ자로 절곡된 표면보호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ㄷ자로 절곡된 표면보호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3은 본 고안의 진열대를 배면에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진열대의 다른 실시예로서 받침대가 놓여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 착탈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진열대 11: 종프레임
12: 횡프레임 15: 받침대
16: 캐스터 17: 캡
18: 받침대 걸쇠 19: 표면보호구
20: X자형 프레임 21: 홀더
25: 금속 받침대 26: 인서트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정한 높이 간격으로 종프레임에 고정되어 받침대 걸쇠가 걸려지는 횡프레임과; 상기 횡프레임 양단의 양측부에 2개의 환봉이 상하로 고정되는 종프레임과; 상기 횡프레임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받침대 걸쇠를 길이방향의 양단에 고정시켜 횡프레임에 착탈되는 받침대가 구비되는 것을 그 기술적 사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진열대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진열대의 받침대에 표면보호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a)는 ㄴ자로 절곡된 표면보호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ㄷ자로 절곡된 표면보호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3은 본 고안의 진열대를 배면에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진열대(10)는 상품들을 올려놓는 장방형의 받침대(15)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장방형의 모서리부에 4개의 프레임이 설치되는데 상기 프레임은 받침대(15)를 지지하도록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종프레임(11)과 함께 상기 종프레임(11)에 받침대(15)를 높이에 따라 고정시키는 횡프레임(12)으로 구성된다.
종프레임(11)은 2개의 환봉으로 구성시켜 환봉과 환봉 사이에 횡프레임(12)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횡프레임(12)의 타단에도 2개의 환봉으로 종프레임(11)에 일정한 높이 간격으로 고정시킨다.
종프레임(11)은 횡프레임(12)의 양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종프레임(11)과 횡프레임(12)의 직경은 동일하거나 비슷한 두께를 선정하여 2개의 환봉인 종프레임(11)이 횡프레임(12)의 일단의 양측으로 고정된다.
또한 종프레임(11)의 하부에는 상품이 진열된 상태에서도 진열대(10)의 장소 이동이 가능하도록 회전방향이 자유로운 캐스터(16)가 결합되고, 종프레임(11)의 상부에는 캡(17)을 씌워 종프레임(11)의 상부를 말끔하게 처리할 수 있게 하며, 진열대(10)의 배면에는 X자형으로 프레임을 고정시켜 진열대(10)가 견고하게 버틸 수 있도록 고정시킨다.
X자형 프레임(20)은 양단부와 중앙부를 평평하게 형성시켜 다른 프레임과 함께 진열대(10)의 종프레임(11)에 설치하게 되는데 진열대(1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종프레임(11)의 양측에 홀더(21)를 끼워 X자형 프레임(20)을 볼트(22a)와 너트(22b)로 체결시켜 고정시킨다.
상기 X자형 프레임(20)은 진열대의 높이에 따라 다층 구조로 겹쳐지면서 진열대(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연장되는 진열대(10)에 함께 고정시킴으로써 측면부에 설치되는 진열대(10)를 함께 고정시켜 진열대(10)의 안정적인 상태를 도모하게 된다.
진열대(10)의 횡프레임(12)에 결합되어 상품을 올려놓는 받침대(15)는 길이방향의 양단에 받침대 걸쇠(18)를 고정시키고 받침대 걸쇠(18)의 일측은 반원형으로 절곡시켜 횡프레임(12)에 끼워진 상태에서 받침대(15)를 지지되게 한다.
받침대 걸쇠(18)는 바로 옆에 설치되는 진열대(10)의 받침대(15)와 함께 횡프레임(12)에 설치되도록 하나의 받침대(15)에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시켜 고정시키고, 바로 옆에 설치되는 받침대(15)에는 받침대 걸쇠(18)가 고정되어 있는 이격된 거리보다 짧거나 길게 고정시켜 하나의 횡프레임(12)에 두 개의 받침대(15)가 같이걸리도록 받침대 걸쇠(18)를 고정시킨다.
받침대(15)에는 장방형의 둘레에 받침대(15)의 표면층 및 이면층이 부풀어 오르지 않도록 270°로 절곡되어 있는 ㄷ자형 형태로 받침대(15)의 상하면과 측면을 커버하는 표면보호구(19)를 고정시키거나 90°로 절곡되어 받침대의 상하면 중 어느 일면과 측면을 커버하는 표면보호구(19)를 고정시킨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기능 진열대의 다른 실시예로서 받침대가 놓여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기능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 착탈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목재로 이루어진 받침대 이외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받침대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금속 받침대에 적용되는 기술적인 내용은 상기의 목재로 이루어진 받침대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금속 받침대(25)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환봉을 배치시키고 그 상면에 길이방향과 직각으로 고정시키고, 길이방향의 양측으로는 받침대에 놓여진 상품들이 이탈되지 않도록 정면과 배면에 상부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형성시킨다.
상기 금속 받침대(25)의 돌출부의 끝단에는 소정의 폭으로 돌출부를 고정시켜 양측의 종프레임(11)에 끼워져 금속 받침대(25)를 고정시키는 인서트구(26)를 결합시킨다. 인서트구(26)는 세로방향으로 돌출부에 결합되어 금속 받침대(25)를 종프레임(11)에 삽입되게 상하로 구부러진 호의 형상으로 휘어지게 하여 금속 받침대(25)를 비스듬히 한 상태에서 종프레임(11)에 삽입/분리되게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받침대(25)를 잡고서 비스듬한 상태로 금속 받침대(25)의 일측을 종프레임(11)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타측을 밑으로 내리게 되면 받침대의 인서트구(26)는 종프레임(11)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게 되고, 금속 받침대(25)를 진열대(10)에서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금속 받침대(25)의 일측을 상부로 경사지게 하여 일측을 종프레임(11)으로부터 이탈시키고 나서 타측을 종프레임(11)으로부터 이탈시키면 금속 받침대(25)는 종프레임(11)으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진열대는 표면보호구를 받침대의 측면에 다수개 설치하여 받침대의 표면층이 부풀지 않도록 하여 진열대의 깔끔하고 정돈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종류별 또는 용도별로 구분하여 상품이 진열되도록 받침대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맞추어 사용할 수 있으며, 진열대의 배면에 X자형 프레임을 설치하여 진열대의 휘어짐이나 상품들의 무게로부터 받침대를 견고하면서도 안전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금속 받침대는 인서트구를 받침대의 측면부에 고정시켜서 횡프레임에 받침대를 경사진 형태로 착탈되게 하여 손쉽게 받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편리성과 함께 유용성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4)

  1. 진열대에 있어서,
    일정한 높이 간격으로 종프레임에 고정되어 받침대 걸쇠가 걸려지게 되는 횡프레임과;
    상기 횡프레임 양단의 양측부에 2개의 환봉이 상하로 고정되는 종프레임과;
    상기 횡프레임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받침대 걸쇠를 길이방향의 양단에 고정시켜 횡프레임에 착탈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대.
  2. 제1항에 있어서,
    진열대의 배면에 진열대의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결합되는 X자형 프레임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대.
  3. 제1항에 있어서,
    받침대는 양측면에 표면보호구가 일체로 결합되어 받침대의 표면층 및/또는 이면층이 부풀어오르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대.
  4. 제1항에 있어서,
    받침대는 길이방향의 양측면 단부에 횡프레임의 내측면으로 끼워지는 인서트구가 받침대의 양측면에 고정되어 일정한 각도로 경사를 주게 되면 횡프레임에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대.
KR20-2002-0009613U 2002-03-30 2002-03-30 진열대 KR2002809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613U KR200280984Y1 (ko) 2002-03-30 2002-03-30 진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613U KR200280984Y1 (ko) 2002-03-30 2002-03-30 진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984Y1 true KR200280984Y1 (ko) 2003-01-29

Family

ID=49397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613U KR200280984Y1 (ko) 2002-03-30 2002-03-30 진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9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2718B2 (en) End frame for display structure
US8959813B2 (en) Display system including convertible fixture
US6725785B2 (en) Protective cover of grille-shaped article support
US8434630B2 (en) Merchandising system and method of assembly
US6419100B1 (en) Display unit with snap-in bottom cover
US20060043038A1 (en) Scalloped rack or shelf for floral merchandiser
US9949595B1 (en) Cookware rack
US20090026161A1 (en) Shelving Assemblies and Methods of Use of the Same
US3502222A (en) Adjustable support rack
US4299327A (en) Placemat rack
US8342343B2 (en) Free-standing, point-of-purchase display
US20180125264A1 (en) Display rack system for chair mats
US5341942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nd displaying objects
CA2828849C (en) Display fixture having a display hook
US20090107936A1 (en) Display rack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0280984Y1 (ko) 진열대
KR102081575B1 (ko) 타일 샘플장
US20200164908A1 (en) Adjustable rack trolley
KR200218963Y1 (ko) 조립식 진열대의 선반 고정장치
CN220962732U (zh) 一种便携式展示架
JP2515554Y2 (ja) 商品陳列装置
JP4060422B2 (ja) 新聞販売什器
CN2431793Y (zh) 一种齿形支架展示架
JP2006346084A (ja) 透光性棚板の取付構造
JP3073751U (ja) デ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