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913Y1 - 씨피유 팬 작동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씨피유 팬 작동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913Y1
KR200280913Y1 KR2019970033779U KR19970033779U KR200280913Y1 KR 200280913 Y1 KR200280913 Y1 KR 200280913Y1 KR 2019970033779 U KR2019970033779 U KR 2019970033779U KR 19970033779 U KR19970033779 U KR 19970033779U KR 200280913 Y1 KR200280913 Y1 KR 2002809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inverting
fan
amplifier
failur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7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0326U (ko
Inventor
정환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20199700337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913Y1/ko
Publication of KR199900203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3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9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9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DC or AC voltage with one thresho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씨피유 팬 작동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방열 장치에 있어서는 씨피유에 부착되어 있는 팬이 동작을 멈춰 컴퓨터가 오동작이나 다운이 되어도 컴퓨터 본체의 내부에 들어있기 때문에, 직접 본체를 뜯어내어 보기 전까지는 팬에 의한 고장이라고 판단하지 못하고, 다른 부분을 건드리게 되어 2차적인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원인 발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팬에서 소비되는 전류치를 검출하여 과전류가 흐를 경우 이를 외부에 표시하고, 팬으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여 씨피유의 오동작 및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씨피유 팬 작동 표시 장치
본 고안은 씨피유(CPU) 팬(FAN) 작동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씨피유의 방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팬의 작동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도록 하여 씨피유의 오동작 및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씨피유 팬 작동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대부분의 업무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처리하는데, 그런만큼 컴퓨터의 사양이 고급화 되고, 빠른 처리속도를 요구하게 되어 컴퓨터내에서 모든 연산을 수행하는 씨피유의 부하가 늘어나게 되고, 그만큼 많은 열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방열판에 의한 자연방출로는 씨피유의 온도상승을 따라가지 못하여 팬을 이용한 강제방열 방식이 일반적으로 되었다.
도1은 종래 방열 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씨피유(1)에 직접 부착되어 열전도에 의해 외부로 열을 방출하는 방열판(2)과; 상기 방열판(2)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강제로 열을 발산시키는 팬(3)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 종래 방열 장치의 동작 순서를 설명 한다.
컴퓨터의 전원을 온시키면 각 부분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부팅(Booting)과 동시에 씨피유(1)에서는 급속도로 많은 열이 발생하고, 이 열은 방열판(2)을 통해 방출되는데, 이때 팬(3)이 작동하여 상기 방열판(2)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시작하면서 그 이상으로 씨피유(1)의 온도가 상승하지 않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의 방열 장치에 있어서는 씨피유에 부착되어 있는 팬이 동작을 멈춰 컴퓨터가 오동작이나 다운이 되는 경우, 팬이 컴퓨터 본체의 내부에 들어있기 때문에, 직접 본체를 뜯어내어 보기 전까지는 팬에 의한 고장이라고 판단하지 못하고, 다른 부분을 건드리게 되어 2차적인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원인 발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팬에서 소비되는 전류치를 검출하여 과전류가 흐를 경우 이를 외부의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팬으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씨피유 팬 작동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방열 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 씨피유 팬 작동 표시 장치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반전 증폭부 20 : 제2반전 증폭부
30 : 제3반전 증폭부 40 : 비교부
50 : 고장상태 출력부 60 : 릴레이 구동부
70 : 고장상태 표시부 80 : 변류기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팬으로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변류기와; 상기 변류기에서 검출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제1반전 증폭부와; 상기 제1반전 증폭부를 통하여 반전된 전압을 다시한번 반전증폭 시키는 제2반전 증폭부와; 상기 제2반전 증폭부를 통하여 반전출력된 전압을 입력받아 기준전류를 설정하고, 이를 다시 전압으로 변환시켜 반전출력하는 제3반전 증폭부와; 상기 제3반전 증폭부를 통하여 설정된 기준전압과 상기 제1반전 증폭부를 통하여 검출된 전압을 비교하여 그에 따른 전압레벨을 출력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서 출력되는 전압레벨에 따라 고장상태신호를 출력하는 고장상태 출력부와; 상기 고장상태 출력부의 고장상태신호에 따라 팬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릴레이 구동부와; 상기 고장상태 출력부의 고장상태신호에 따라 고장상태를 표시하는 고장상태 표시부로 구성함으로 달성되는 것으로, 이와같이 구성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 씨피유 팬 작동 표시 장치의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으로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변류기(80)와; 상기 변류기(80)에서 검출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제1반전 증폭부(10)와; 상기 제1반전 증폭부(10)를 통하여 반전된 전압을 다시한번 반전증폭 시키는 제2반전 증폭부(20)와; 상기 제2반전 증폭부(20)를 통하여 반전출력된 전압을 입력받아 기준전류를 설정하고, 이를 다시 전압으로 변환시켜 반전출력하는 제3반전 증폭부(30)와; 상기 제3반전 증폭부(30)를 통하여 설정된 기준전압(Vref)과 상기 제1반전 증폭부(10)를 통하여 검출된 전압(Vin)을 비교하여 그에 따른 전압레벨을 출력하는 비교부(40)와; 상기 비교부(40)에서 출력되는 전압레벨에 따라 고장상태신호를 출력하는 고장상태 출력부(50)와; 상기 고장상태 출력부(50)의 고장상태신호에 따라 팬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릴레이 구동부(60)와; 상기 고장상태 출력부(50)의 고장상태신호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ing Diode : LED)를 점등시켜 고장상태를 표시하는 고장상태 표시부(70)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변류기(80)에 의해 검출된 전류가 제1반전 증폭부(10)의 저항(R1)을 통해 증폭기(OP1)의 반전 단자(-)에 입력되면, 상기 증폭기(OP1)의 비반전 단자(+)는 접지되어 있기 때문에 반전 단자(-)에 입력된 전압의 위상이 반전되어 출력되는데, 여기서 일측이 증폭기(OP1)의 반전 단자(-)에 또 다른 일측이 증폭기(OP1)의 출력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1)는 DC신호에 대해 개방회로로 동작하기 때문에 개루프 전압 이득이 발생해 매우 큰 출력 오프셋 전압을 산출하게 되므로, 상기 캐패시터(C1)와 병렬로 가변저항(VR1)을 연결하여 출력 오프셋 전압을 크게 감소시켜 적정한 이득이 되게 하고 캐패시터(C1)에 입력전류의 대부분이 흘러 일정한 전하를 유지하기 때문에 출력전압은 일정한 음의 레벨을 유지하게 된다. 즉, 입력전류가 적정한 이득의 전압으로 변환되어 제2반전 증폭부의 저항(R2)을 통해 증폭기(OP2)의 반전 단자(-)에 입력되고, 이때 비반전 단자(+)는 접지되어 있으므로, 입력전압의 위상이 다시 반전되어 제3반전 증폭부의 저항(R3)을 통해 증폭기(OP3)의 반전 단자(-)에 입력된다. 여기서 저항(R5)을 통해 반전 단자(-)와 접지사이를 연결하는 가변저항(VR2)을 조정하여 상기 변류기(80)에 의해 검출된 전류가 과전류인가를 판단하는 기준전류를 설정하고, 설정한 기준전류를 캐패시터(C2)를 통해 전하를 충전시키고, 다이오드(D1, D2)에 의해 출력단으로의 역전류를 방지함과 아울러 부귀환 시켜 출력 오프셋 전압의 이득을 크게 감소시켜 일정한 음의 레벨을 유지하게 한다. 즉, 상기 가변저항(VR2)을 통해 설정한 기준전류값을 기준전압값(Vref)으로 변환하여 비교부(40)의 저항(R6)을 통해 비교기(OP4)의 반전 단자(-)에 입력하고, 또한 상기 제1반전 증폭부(10)의 출력전압은 검출전압(Vin)으로써, 저항(R7)을 통해 비반전 단자(+)에 입력되어 비교된다. 비교결과, 정상상태이면 즉, 검출전압(Vin)이 기준전압(Vref)보다 낮으면, 비교기(OP4)의 출력전압(Vo)은 "로우"상태로 출력되어, 고장상태 출력부(50)의 다이오드(D3)가 오프상태로 되므로, 인버터(INV1)에 "로우"인가되어 "하이"로 반전출력 되고, 이에따라 릴레이 구동부(60)의 릴레이(RY)가 구동되지 않아 팬에 전원이 공급되고, 아울러 고장표시부(70)의 엘이디(LED)가 소등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검출전압(Vin)이 기준전압(Vref)보다 높아지는 시점, 즉 팬에 과전류가 흐르면 비교기(OP4)의 출력전압(Vo)이 "하이"상태로 출력되어, 고장상태 출력부(50)의 다이오드(D3)를 통해 인버터(INV1)에 인가되므로, "로우"로 반전 출력되고, 이에따라 고장상태 표시부(70)의 엘이디(LED)가 점등되어 고장상태임을 표시하고, 아울러 릴레이 구동부(60)의 릴레이(RY)가 구동되어 팬의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씨피유 팬 작동 표시 장치는 팬에서 소비되는 전류치를 검출하여 과전류가 흐를 경우 이를 외부에 표시하고, 팬으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여 씨피유의 오동작 및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팬으로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변류기와; 상기 변류기에서 검출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제1반전 증폭부와; 상기 제1반전 증폭부를 통하여 반전된 전압을 다시 반전증폭 시키는 제2반전 증폭부와; 상기 제2반전 증폭부를 통하여 반전출력된 전압을 입력받아 기준전류를 설정하고, 이를 다시 전압으로 변환시켜 반전출력하는 제3반전 증폭부와; 상기 제3반전 증폭부를 통하여 설정된 기준전압과 상기 제1반전 증폭부를 통하여 검출된 전압을 비교하여 그에 따른 전압레벨을 출력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서 출력되는 전압레벨에 의해 따라 고장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고장상태 출력부와; 상기 고장상태 출력부의 고장상태신호에 따라 팬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릴레이 구동부와; 상기 고장상태 출력부의 고장상태신호에 따라 고장상태를 표시하는 고장상태 표시부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피유 팬 작동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반전 증폭부는 변류기에 의해 검출된 전류를 저항을 통해 반전단자에 인가받는 증폭기, 그 증폭기의 반전단자 및 출력단자 사이에 병렬접속된 캐패시터 및 가변저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피유 팬 작동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3반전 증폭부는 전원전압을 분압하는 저항 및 가변저항과, 제2반전 증폭부에서 출력된 전압과 상기 분압전압을 저항을 각기 통해 반전 단자에 공통인가 받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자 및 반전단자 사이에 병렬접속된 캐패시터 및 다이오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피유 팬 작동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고장상태 표시부는 발광다이오드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피유 팬 작동 표시 장치.
KR2019970033779U 1997-11-25 1997-11-25 씨피유 팬 작동 표시 장치 KR2002809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779U KR200280913Y1 (ko) 1997-11-25 1997-11-25 씨피유 팬 작동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779U KR200280913Y1 (ko) 1997-11-25 1997-11-25 씨피유 팬 작동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326U KR19990020326U (ko) 1999-06-15
KR200280913Y1 true KR200280913Y1 (ko) 2002-08-24

Family

ID=53898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779U KR200280913Y1 (ko) 1997-11-25 1997-11-25 씨피유 팬 작동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9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326U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2866A (en) PWM control circuit for a DC brushless fan
JP4620835B2 (ja) パルス幅変調制御装置
JP6578111B2 (ja) 絶縁型のdc/dcコンバータおよびそのフィードバック回路、それを用いた電源装置、電源アダプタおよび電子機器
US20070216602A1 (en) LED Drive Circuit
KR20100080378A (ko) 전원 공급 장치에서의 개선된 팬 제어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2004088959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08048515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7135845B2 (en) Drive circuit for a switch in a switching converter and method for driving a switch in a switching converter
US8093854B2 (en) Fan speed control system
US5724235A (en) Overcurrent protecting device for use in DC--DC converter
JP2010277226A (ja) 直流安定化電源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20070273346A1 (en) Voltage regulator circuit with over-current protection
KR200280913Y1 (ko) 씨피유 팬 작동 표시 장치
US6617709B2 (en) Controlling device for a heat-dissipating system
KR101214170B1 (ko) 전원 공급 입력장치
US8415928B2 (en) Power circuit
TWM548219U (zh) 風扇控制裝置
KR20010008551A (ko) 과전류 제한회로
JP2857442B2 (ja) 電源装置の低電圧検出装置
JP3507164B2 (ja) 電子機器類の電源供給回路
KR960008143Y1 (ko) 전원공급 안정화 회로
KR890008924Y1 (ko) 파우어 써플라이의 과전압 방지 회로
KR100286044B1 (ko)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출력상태에 대한 모니터링 회로
KR200321222Y1 (ko) 과전류 방지 장치
KR100370057B1 (ko) 전압공급 스위칭을 위한 스탠바이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