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823Y1 -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 - Google Patents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823Y1
KR200280823Y1 KR2020020010437U KR20020010437U KR200280823Y1 KR 200280823 Y1 KR200280823 Y1 KR 200280823Y1 KR 2020020010437 U KR2020020010437 U KR 2020020010437U KR 20020010437 U KR20020010437 U KR 20020010437U KR 200280823 Y1 KR200280823 Y1 KR 2002808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instrument
writing
lighter
core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4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수
Original Assignee
김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수 filed Critical 김만수
Priority to KR2020020010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8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8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823Y1/ko

Links

Landscapes

  • Lighters Containing Fu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함과 동시에, 휴대동안 필기구의 잉크에 의한 옷의 얼룩을 방지할 수 있는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는 가스가 저장되는 원통 형상의 가스 탱크를 구비한 라이터에 있어서, 가스 탱크의 한 쪽 측부에 형성되며, 원추 형상 부분과 원통 형상의 중공부 및 상기 중공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가지는 필기구 수용부와; 필기용 심이 제공되는 심부 및 심부로부터 연장하며 심부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원통부를 구비하는 필기구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필기구 수용부는 필기구의 외부 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필기구보다 긴 길이를 가진다.

Description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Lighter having a pen}
본 고안은 라이터와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필기구를 사용 위치와 수용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수용하여, 필기가 필요할 때 라이터에 구비되는 필기구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펜과 같은 필기구와 라이터는 일반인이 가장 많이 휴대하는 것들 중의 하나로서, 이러한 필기구나 라이터는 메모나 담배에 불을 붙이는 것과 같이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라이터나 필기구를 별도로 휴대하여 사용한다.
또한, 이러한 라이터나 필기구는 물건을 판촉할 때 사용되는 판촉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라이터와 필기구의 표면에 업체의 상호나 전화번호 등을 인쇄하여 일반인에게 배포되고 있다.
그러나, 라이터의 경우에 빈번하게 사용되기 때문에 분실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또한 필기구의 경우에 그 휴대가 불편하기 때문에 소지하지 않고 다니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라이터와 필기구를 동시에 휴대하고 다닐 경우에, 하나의 주머니나 각각 다른 주머니에 보관하기 때문에, 라이터와 필기구를 소지하는 것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라이터와 필기구를 하나로 통합하여 라이터와 필기구를 겸용하도록 한 것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제안은 몸체 형상을 라이터 형상에 주안점을 둔 것이 대부분으로서, 필기구를 사용할 때 파지상태가 불안전하여 정상적인 메모나 필기를 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1999년 7월 30일자 출원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1999-0015535호는 통상의 볼펜 형상을 갖는 원통형 몸체의 상,하부를 분리하여, 상부에는 원통형 라이터가 제공되고, 하부에는 볼펜과 같은 필기구가 제공된다. 상부 라이터의 하단에는 암나사부가, 하부 필기구의 상단에는 수나사부가 각각 형성되어 나사 결합되며, 라이터의 상부에는 휴대를 위한 클립이 제공되는 구성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필기구를 가지는 라이터는 볼펜과 같은 필기구가 하부에 제공되고 항상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볼펜심에 묻어있는 잉크에 의해 옷에 얼룩이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함과 동시에, 휴대동안 필기구의 잉크에 의한 옷의 얼룩을 방지할 수 있는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서 다른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a의 선A-A를 따라서 취한 라이터의 단면도.
도 3은 도 1a의 선B-B를 따라서 취한 라이터의 단면도.
도 4 내지 도 7b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라이터에 결합되어 수용되는 필기구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선C-C를 따라서 취한 라이터의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선D-D를 따라서 취한 라이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 : 라이터 2,22 : 점화부
3,23 : 가스 탱크 4,24 : 필기구 수용부
5,27 : 필기구 5a,27a : 심부
5b,27b : 원통부 6,6a,29 : 돌출편
7 : 절개부 8 : 원추 형상 부분
9 : 중공부 10 : 필기구 수용 위치 홈
11 : 구형 돌기 12 : 필기구 사용 위치 홈
13 : 원형 캡 14 : 원통체
25 : 구면홈 26 : 힌지부
27b : 구형체 28 : 필기구 수용 개구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가스가 저장되는 원통 형상의 가스 탱크를 구비한 라이터에 있어서, 상기 가스 탱크의 한 쪽 측부에 형성되며, 원추 형상 부분과 원통 형상의 중공부 및 상기 중공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가지는 필기구 수용부와; 필기용 심이 제공되는 심부 및 상기 심부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심부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원통부를 구비하는 필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필기구 수용부는 상기 필기구의 외부 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필기구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필기구는 필기구 수용부에 수용되거나 또는 필기 위치에 고정될 때 상기 필기구 수용부의 절개부를 따라서 가이드되는 돌출편이 상기 원통부에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필기구는 한 쌍의 심부가 상기 필기구의 양측부에 제공되고, 상기 심부들 사이에 원통부가 위치되고, 상기 원통부에 돌출편이 제공되며, 상기 필기구 수용부는 상기 돌출편을 수용하여 상기 필기구를 수용 위치와 필기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필기구 수용 홈 및 필기구 사용 위치 홈들이 상기 중공부의 양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상기 필기구 수용 위치 홈은 상기 필기구 사용 위치 홈 보다 안쪽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필기구는 돌출편이 상기 원통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필기구는 필기구의 다른 쪽 단부에 구형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상기 필기구는 상기 가스 탱크의 단부에 결합되는 원형 캡, 상기 원형 캡의 한 쪽 측부에서 상기 필기구 수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심부, 상기 심부의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원형 캡의 다른 쪽 면에 형성되는 원통체를 구비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가스가 저장되는 원통 형상의 가스 탱크를 구비한 라이터에 있어서, 상기 가스 탱크의 한 쪽 측부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필기구 수용홈 및 상기 필기구 수용홈에 형성되며 구면홈이 형성된 힌지부를 구비하는 필기구 수용부와; 원통부의 한 쪽 단부에 제공되며 필기용 심을 가지는 심부, 상기 필기구 수용부의 구면홈에 결합되도록 원통부의 다른 쪽 단부에 제공되는 구형체, 및 상기 필기구 수용부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필기구 수용부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상기 원통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편을 구비하는 필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서 다른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a의 선A-A를 따라서 취한 라이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a의 선B-B를 따라서 취한 라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1)는 상부에 점화부(2)가 제공되며, 점화부(2)의 하부에 가스가 저장되는 원통 형상의 가스 탱크(3)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라서 가스 탱크(3)의 한 쪽 측부에 필기구 수용부(4)가 위치된다. 가스 탱크(3)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필기구 수용부(4)는 필기구(5)의 필기용 심이 제공되는 심부(5a)를 수용하기 위한 원추 형상 부분(8)과 필기구(5)의 원통부(5b)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부(9)를 가진다. 필기구 수용부(4)는 또한 필기구(5)가 수용되거나 필기(사용) 위치에 위치될 때 필기구(5)의 외부 한 쪽에 형성된 돌출편(6)을 가이드하기 위한 절개부(7)가 중공부(9)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필기구(5)는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태의 필기구와 다르게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즉, 필기구(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부(5a) 및 심부(5a)로부터 연장하고 한쪽 측부에 돌출편(6)이 형성되는 원통부(5b)를 가지는 형태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부에 제공되는 심부(5a), 심부(5a)들 사이에 위치되는 원통부(5b) 및 원통부(5b)의 한 쪽 측부에 돌출편(6)이 제공되는 형태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필기구(5)의 돌출편(6)의 길이가 보다 짧게 형성되는 형태와, 그리고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편(6) 대신에 필기구(5)의 심부(5a)의 반대편 단부에 구형 돌기(11)가 형성되는 형태를 가진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필기구(5)는 필기구 수용부(4)에 수용되도록 원형 캡(13)의 한 쪽 측부에서 필기구 수용부(4)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형태를 가진다. 필기구(5)는 원형 캡(13)의 한 쪽면에 돌출되도록 제공되고, 필기구(5)가 위치되는 원형 캡(13)의 다른 쪽 면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 위치에 필기구가 위치되었을 때 필기구(5), 즉 원형 캡(13)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기구 수용부(4)에 수용되는 원통체(14)가 형성된다. 이러한 원형 캡(13)은 원통 형상의 가스 탱크(3)의 단부에 분리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상기에서, 필기구(5)의 원통부(5b)는 통상적으로 심부(5a)보다 큰 지름을 가진다.
한편, 라이터(1)의 가스 탱크(3)의 측부에 형성되는 필기구 수용부(4)는 상기된 바와 같은 형태의 필기구(5)를 수용 및 사용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단면에 있어서 필기구(5)의 외부 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길이에 있어서 필기구(5)보다 길다. 또한, 필기구 수용부(4)는 절개부(7)의 양측에 필기구 수용 위치 홈(10) 및 필기구 사용 위치 홈(1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필기구 수용 위치 홈(10)은 필기구 사용 위치 홈(12) 보다 안쪽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도4에 도시된 형태의 필기구(5)가 필기구 수용부(4)에서 수용 위치와 사용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라이터(1)에 제공되는 필기구 수용부(4)는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필기구(5)를 수용하는 한편, 필기구(5)를 필기 위치와 수용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의 사용예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필기구(5)는 심부(5a)가 바깥쪽으로 향한 상태에서 돌출편(6)이 절개부(7)를 통하여 수용부(4) 내로 삽입되면, 돌출편(6)의 단부 부분이 절개부(7)의 안쪽 단부 및 중공부(9)와 원추 형상 부분(8)의 경계부에 형성된 턱 부분에 걸리게 되고, 이 때, 심부(5a)는 가스 탱크(3)의 단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심부(5a)가 가스 탱크(3)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됨으로써 사용자는 원통 형상의 가스 탱크(3)를 파지하여 필기를 할 수 있다.
한편, 필기를 종료한 경우에는 필기구(4)를 필기구 수용부(4)로부터 빼낸 후에, 심부(5a)가 필기구 수용부(4)의 원추 형상 부분(8)을 향한 상태에서 필기구 수용부(4) 내로 삽입되면, 심부(5a)는 원추 형상 부분(8)에 수용되고 원통부(5b)는 필기구 수용부(4)의 중공부(9)에 수용된다. 이 때, 필기구(5)의 단부면은 가스 탱크(3)의 단부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된다.
도 4에 도시된 형태의 필기구(5)를 사용하는 경우에, 필기구(5)는 돌출편(5b)이 필기구 수용 위치 홈(10)에 위치되는 경우에 심부(5a)들중 하나가 원추 형상부분(8)에 수용되며 이 때 다른 심부(5a)는 중공부(9)에 수용된다. 또한, 필기구(5)가 사용될 때 돌출편(6)은 필기구 사용 위치 홈(12)에 위치되며, 심부(5a)들중 하나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탱크(3)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됨으로써, 사용자가 필기구(5)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필기구(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필기구와 동일한 방식으로 필기구 수용부(4)에 수용된다. 도 5a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필기구(5)는 돌출편(6a)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필기구(5)의 돌출편(5b)보다 길이가 짧다는 것 외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필기구(5)와 동일하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편(6,6a) 대신에 필기구(5)의 다른 쪽 단부에 구형 돌기(11)가 형성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형태를 가지는 필기구(5)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 위치에서, 필기구(5)의 단부에 제공되는 구형 돌기(11)는 필기구 수용부(4)의 원추 형상 부분(8)에 수용되며, 심부(5a)가 원추 형상 부분(8)에 수용될 때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탱크(3)의 단부면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필기구(5)를 용이하게 꺼내도록 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 위치에서, 필기구(5)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원형 캡(13)은 원통 형상의 가스 탱크(3)의 단부에 분리될 수 있도록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필기구(5)를 이용하여 필기를 할 수 있으며, 이 때, 심부(5a)의 반대쪽에 제공되는 원통체(14)는 필기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기구 수용부(4)에 수용된다. 필기한 후에는 원형 캡(13)이 필기구(5)의 심부(5a)가 필기구 수용부(4)에 수용되도록 가스 탱크(3)의 단부에 분리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원통체(14)는 그 높이에 있어서 원형 캡(13)의 외주벽보다 낮게 형성되어서, 심부(5a)가 필기구 수용부(4)에 수용될 때 원형 캡(13)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선C-C를 따라서 취한 라이터의 단면도, 및 도 10은 도 8의 선D-D를 따라서 취한 라이터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21)는 상부에 점화부(21)가 제공되며, 점화부(21)의 하부에 가스가 저장되는 원통 형상의 가스 탱크(23)가 제공된다. 이 실시예 또는 상기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스 탱크(23)의 한 쪽 측부에 필기구 수용부(24)가 위치된다. 가스 탱크(23)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필기구 수용부(24)는 필기구(5)의 외부 단부 가까이 구면홈(25)을 가지는 힌지부(26)와, 필기구(27)를 수용하기 위하여 힌지부(26)에 인접하여 개방되어 있는 필기구 수용 개구(28)를 가진다. 힌지부(26)는 원통 형상의 필기구 수용부(24)의 양측에서 필기구 수용부(24)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힌지부(26)는 가스 탱크(23)의 단부 가까이 위치되어, 필기구(27)는 힌지부(26)에 힌지 결합되어, 필기를 위하여 사용될 때 심부(27a)가 가스 탱크(23)의 바닥 단부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이러한 필기구 수용부(24)에 수용되는 필기구(27)는 한 쪽 단부에 심부(27a)가 제공되며, 다른 쪽 단부에 상기된 구면홈(26)에 구면 결합되는 구형체(27b)가 제공된다. 또한, 필기구(27)가 필기구 수용부(24)에 수용되었을 때, 필기구(27)를 필기구 수용부(24)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필기구(27)의 상부에 돌출편(29)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21)의 사용예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필기구(27)가 필기구 수용부(24)에 수용되었을 때, 외부로 돌출된 돌출편(29)을 위로 잡아당기면, 필기부(27)는 구형체(27b)가 필기구 수용부(24)에 제공되는 힌지부(26)의 구형홈(25)을 중심으로 선회됨으로써, 심부(27a)가 바깥쪽으로 나오게 되고, 계속 심부(27a)를 뒤로 완전히 젖힘으로써 필기가 가능하게 된다.
필기구(27)를 필기구 수용부(24)에 수용하기 위한 동작은 상기된 동작을 역으로 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상기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에 의하면, 휴대중에는 필기구가 라이터에 형성된 필기구 수용부에 수용되고, 필기를 위해 필기구가 필기구 수용부로부터 인출되어 필기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함과 동시에, 휴대동안 필기구의 잉크에 의한 옷의 얼룩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가스가 저장되는 원통 형상의 가스 탱크를 구비한 라이터에 있어서,
    상기 가스 탱크의 한 쪽 측부에 형성되며, 원추 형상 부분과 원통 형상의 중공부 및 상기 중공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가지는 필기구 수용부와;
    필기용 심이 제공되는 심부 및 상기 심부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심부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원통부를 구비하는 필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필기구 수용부는 상기 필기구의 외부 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필기구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는 상기 필기구 수용부의 절개부를 따라서 가이드되는 돌출편이 상기 원통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는 한 쌍의 심부가 상기 필기구의 양측부에 제공되고, 상기 심부들 사이에 원통부가 위치되고, 상기 원통부에 돌출편이 제공되며, 상기 필기구 수용부는 상기 돌출편을 수용하여 상기 필기구를 수용 위치와 필기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필기구 수용 홈 및 필기구 사용 위치 홈들이 상기 중공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 수용 위치 홈은 상기 필기구 사용 위치 홈 보다 안쪽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은 상기 원통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는 필기구의 다른 쪽 단부에 구형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는 상기 가스 탱크의 단부에 결합되는 원형 캡, 상기 원형 캡의 한 쪽 측부에서 상기 필기구 수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심부, 상기 심부의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원형 캡의 다른 쪽 면에 형성되는 원통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
  8. 가스가 저장되는 원통 형상의 가스 탱크를 구비한 라이터에 있어서,
    상기 가스 탱크의 한 쪽 측부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필기구 수용홈 및 상기 필기구 수용홈에 형성되며 구면홈이 형성된 힌지부를 구비하는 필기구 수용부와;
    원통부의 한 쪽 단부에 제공되며 필기용 심을 가지는 심부, 상기 필기구 수용부의 구면홈에 결합되도록 원통부의 다른 쪽 단부에 제공되는 구형체, 및 상기 필기구 수용부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필기구 수용부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상기 원통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편을 구비하는 필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
KR2020020010437U 2002-04-08 2002-04-08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 KR2002808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437U KR200280823Y1 (ko) 2002-04-08 2002-04-08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437U KR200280823Y1 (ko) 2002-04-08 2002-04-08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823Y1 true KR200280823Y1 (ko) 2002-07-06

Family

ID=73120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437U KR200280823Y1 (ko) 2002-04-08 2002-04-08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8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0823Y1 (ko) 필기구를 구비한 라이터
KR100663123B1 (ko) 미니 볼펜
KR200280251Y1 (ko) 필기구가 구비된 부채
KR20080001147U (ko) 다목적 필기구
KR200331267Y1 (ko) 샤프펜슬
JP3142387U (ja) ペン機能付き箸
JPH10217676A (ja) 筆記具
KR200260972Y1 (ko) 필기구와 메모지를 겸비한 열쇠고리
KR200350842Y1 (ko) 메모지가 내장된 볼펜
KR200221761Y1 (ko) 샤프연필의 연필심 공급구조
KR200402070Y1 (ko) 이중 싸인펜
KR200172111Y1 (ko) 필기구 수납부가 형성된 수첩
JPH065200Y2 (ja) メモ用紙を具えた筆記具
KR950001404Y1 (ko) 필기구의 심케이스
KR200433742Y1 (ko) 휴대용 필기구의 캡
KR200326973Y1 (ko) 필통
KR200314648Y1 (ko) 캡을 뚜껑으로 겸용하는 볼펜
KR200310259Y1 (ko) 다용도 펜
JP2002036770A (ja) 筆記セット
KR200389999Y1 (ko) 미니 필기구
KR200296499Y1 (ko) 필기구
KR200191003Y1 (ko) 연필깍기가 구비된 필통
KR200280172Y1 (ko) 귀 후비기용 펜(볼펜)뚜껑
KR200244634Y1 (ko) 수정액이 구비된 펜
JP3086353U (ja) 筆入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