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490Y1 - 평상 구조 - Google Patents

평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490Y1
KR200280490Y1 KR2020020011185U KR20020011185U KR200280490Y1 KR 200280490 Y1 KR200280490 Y1 KR 200280490Y1 KR 2020020011185 U KR2020020011185 U KR 2020020011185U KR 20020011185 U KR20020011185 U KR 20020011185U KR 200280490 Y1 KR200280490 Y1 KR 2002804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shape
coupled
members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1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주
Original Assignee
박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봉주 filed Critical 박봉주
Priority to KR20200200111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4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4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490Y1/ko

Links

Landscapes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평상 구조에 관한 것으로, 평상을 절첩 가능한 구조로 제작하여 매우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협소한 장소에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평상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평상에 있어서, 대략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평상의 중앙 및 양단에 각각 수평상태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와, 그 단면이 대략 "┏┓" 형상을 갖는 막대형태로 이루어져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가 배열되고 양단부에는 각각 결합홀이 천공되어 일단부는 상기 중앙에 설치된 연결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타단부는 상기 평상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제 1상면부재와, 그 단면이 대략 "┳" 형상을 갖는 막대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 1상면부재와 대응되게 다수 개가 배열되고 양단부에는 각각 결합홀이 천공되어 일단부는 상기 중앙에 설치된 연결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타단부는 상기 평상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제 2상면부재 및, 일정 높이를 갖는 막대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부에 결합홀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선택적으로 수평 또는 수직상태로 고정되면서 평상의 다리 역할을 하는 받침부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평상 구조{WOODEN BED STRUCTURE}
본 고안은 평상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을 절첩 가능한 구조로 구성하여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임의의 장소에서 선택적으로 펼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평상 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각종 레저 활동이나 여행 등에 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고, 이에 따라 사람들의 야외활동이 점차적으로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야외활동 시에는 다수의 인원이 모여 앉아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누워서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돗자리가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돗자리는 바닥면과 밀착된 상태이므로, 지면의 흙이나 모래가 그 상면에 침범함과 더불어 지면이 고르지 못한 장소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또한 습기에 매우 취약하며, 각종 벌FP나 뱀 등의 해충이 침투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평상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는데, 상기 평상은 바닥면과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각 모서리 부분에는 받침부재가 형성되어 굴곡이 있는 바닥면이나 물이 흐르는 계곡 등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그 상면에는 소정 넓이를 갖는 평면으로 이루어진 안착면이 구성되어, 상기 안착면에 다수의 인원이 앉아서 음식을 먹으면서 각종 놀이를 즐기거나 누워서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평상은 대략 합판이나 다수 개의 나뭇조각 등을 결합하여 착석면을 구성한 후 그 각각의 모서리 부분에는 각목 등의 받침부재를 결합하여 구성하므로서 일체형 구조를 갖도록 제작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소정 부피를 갖는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진 평상은 여행이나 각종 레저 활동시에 휴대하기가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평상의 설치 장소를 자주 이동하기가 매우 번거롭고, 또한 상기 평상의 비사용시에는 상기 임의의 장소에 보관하기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평상에는 별도의 차양막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평상의 사용시에는 직사광선을 피해 나무그늘 등에서만 사용할 수가 있어 그 사용성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평상을 절첩 가능한 구조로 제작하여 매우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협소한 장소에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평상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평상의 안착면 상부에 차양막을 설치하여 장소에 제한됨 없이 평상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사용성이 증대되도록 한 평상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평상의 구조에 있어서, 대략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평상의 중앙 및 양단에 각각 수평상태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와, 그 단면이 대략 "┏┓" 형상을 갖는 막대형태로 이루어져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가 배열되고 양단부에는 각각 결합홀이 천공되어 일단부는 상기 중앙에 설치된 연결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타단부는 상기 평상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제 1상면부재와, 그 단면이 대략 "┳" 형상을 갖는 막대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 1상면부재와 대응되게 다수 개가 배열되고 양단부에는 각각 결합홀이 천공되어 일단부는 상기 중앙에 설치된 연결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타단부는 상기 평상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제 2상면부재 및, 일정 높이를 갖는 막대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부에 결합홀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선택적으로 수평 또는 수직상태로 고정되면서 평상의 다리 역할을 하는 받침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상면부재는 상기 제 2상면부재 보다 길게 구성되고, 상기 평상을 중앙의 연결부재를 기준으로 접을 시에 상기 제 2상면부재의 단부가결합된 연결부재가 맞닿는 상기 제 1상면부재의 하면에는 요입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평상의 양단에 설치된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부에는 그 외주면에 수직부재 결합홀이 돌출되게 형성된 끼움부재가 관통되어 결합되고, 상기 수직부재 결합홀에는 각각 봉형상의 수직부재가 결합된 후 상기 수직부재를 통하여 차양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상의 양단에 설치되는 연결부재의 양단부를 통해서는 대략 "┗┛" 형상을 갖는 회동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받침부재의 상단에는 회동부재 걸림홈이 요입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재의 결합홀이 상기 연결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재 걸림홈이 상기 회동부재에 끼워져 고정됨에 따라 그 수직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평상의 중앙에 설치되는 연결부재의 양단부에는 각각 한 쌍의 막대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일측부재 및 타측부재에 형성된 걸림돌기 및 걸림부재에 의하여 상호간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보조받침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평상의 구조에 있어서, 대략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평상의 중앙 및 양단에 각각 수평상태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와, 대략 상면이 평평한 막대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양단부 하면에는 각각 결합홀이 천공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평상의 중앙에 설치된 연결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그 타단부는 상기 평상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연결부재를 향해 순차적으로 엇갈리게 배열된 형태로 결합되는 다수 개의 상면부재 및, 일정 높이를 갖는 막대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부에 결합홀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선택적으로 수평 또는 수직상태로 고정되면서 평상의 다리 역할을 하는 받침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평상의 대략 중앙 부분에 설치된 연결부재를 기준으로 평상의 안착면을 구성하는 상면부재를 접음과 더불어, 평상의 다리를 구성하는 받침부재를 선택적으로 회동시켜 절첩 시키면서 매우 편리하게 평상을 휴대 및 보관하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상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상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상 구조의 절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상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상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상 구조의 절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평상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연결부재, 20: 회동부재,
30: 제 1상면부재, 31: 요입홈,
32,42,52,62,72: 결합홀, 40: 제 2상면부재,
50: 상면부재, 60: 받침부재,
69: 회동부재 걸림홈, 70: 보조받침부재,
74: 걸림부재, 76: 걸림홈,
78: 걸림돌기 요입부, 79: 걸림돌기,
80: 끼움부재, 82: 수직부재 결합홀,
84: 수직부재, 86: 차양부재,
90: 횡부재.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상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상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상 구조의 절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로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상은 평상의 중앙 및 양단에 각각 봉형상의 연결부재(10)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10)를 통하여 다수 개의 제 1상면부재(30) 및 제 2상면부재(4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평상의 안착면을 구성하며, 상기 평상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평상의 다리를 구성하는 받침부재(6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제 1상면부재(30)는 소정 길이를 갖는 대략 막대형태로 이루어져 그 단면의 형상은 대략 "┏┓" 형상을 갖으며, 그 양단부에는 각각 결합홀 (32)이 천공되어 그 일단부에 천공된 결합홀(32)은 상기 중앙에 설치된 연결부재 (10)에 관통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 천공된 결합홀(32)은 평상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연결부재(10)에 관통되어 결합되는데, 상기 제 1상면부재 (30)는 소정 간격을 갖도록 다수 개가 배열되어 평상의 일측 안착면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상면부재(40)는 소정 길이를 갖는 대략 막대형태로 이루어져 그 단면의 형상은 대략 "┳" 형상을 갖으며, 그 양단부에는 각각 결합홀(42)이 천공되어 그 일단부에 천공된 결합홀(42)은 상기 중앙에 설치된 연결부재(10)에 관통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 천공된 결합홀(42)은 평상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 연결부재(10)에 관통되어 결합되는데, 상기 제 2상면부재(40)는 상기 제 1상면부재(30)와 대응되도록 소정 간격으로 다수 개가 배열되어 평상의 타측 안착면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상면부재(30) 및 상기 제 2상면부재(40)는 각각 "┏┓" 형상 및 "┳"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평상을 접을 시에 그 하면이 각각 맞닿으면서 상기 제 1상면부재(30)의 하면에 상기 제 2상면부재(40)의 하면이 삽입되어 겹쳐지면서 대략 정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제 1상면부재(30)는 상기 제 2상면부재(40) 보다 긴 치수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그 하면의 소정 위치에는 각각 요입홈(31)이 형성되어 상기 평상의 중앙에 설치된 연결부재(10)를 기준으로 평상을 접을 시에 상기 제 2상면부재(40)의 타단부가 결합된 상기 연결부재(10)가 상기 요입홈(31)에 요입되어 안착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평상의 다리를 구성하는 상기 받침부재(60)는 상기 평상의 양단에 설치된 연결부재(1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데, 상기 받침부재(60)는 소정 높이를 갖는 막대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부에는 결합홀(62)이 천공되어 상기 연결부재(10)의 각 단부 인접한 위치의 제 1 상면부재(30) 또는 제 2상면부재(40)의 사이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에서, 상기 평상의 다리를 구성하는 받침부재(60)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평상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연결부재(10)의 양단부를 통해서 대략 "┗┛"형상으로 이루어진 회동부재(20)의 양단부를 각각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시킨다.
그리고, 소정 높이를 갖는 막대형태로 구성된 상기 받침부재(60)의 상측 소정 위치에는 결합홀(62)을 천공함과 더불어, 상기 결합홀(62)과 인접한 위치의 상단에는 회동부재 요입홈(69)을 요입되게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받침부재(60)의 결합홀(62)에 상기 연결부재(10)의 양단부를 각각 관통시켜 상기 받침부재(60)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킨 후, 상기 받침부재 (60)를 수직 상태가 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회동부재 요입홈(69)에 상기 회동부재(20)를 끼워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회동부재(20)가 상기 상면부재(50)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받침부재(60)는 수직상태로 고정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동일한 연결부재(10)에 결합되는 한 쌍의 받침부재(60)를 횡부재(90)를 통하여 연결시켜 구성하게 되면, 상기 받침부재(60)의 회동 및 고정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음과 더불어, 보다 견고하게 평상의 다리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평상의 중앙에 설치되는 연결부재(10)의 양단부에는 보조받침부재(7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보조받침부재(70)는 각각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부재(10)의 양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쌍으로 이루어진 보조받침부재(70) 중 일측 보조받침부재(70)의 소정 위치에는 걸림돌기(79)가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타측 보조받침부재(70)에는 걸림부재(74)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걸림부재 (74)에 형성된 다수 개의 걸림홈(76)을 상기 걸림돌기(79)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보조받침부재(70)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그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보조받침부재(70)가 겹쳐질 시에 상기 걸림돌기(79)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걸림돌기 요입부(78)가 형성되어 용이하게 겹쳐진 상태가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상 구조에는 차양부재(86)를 설치하여 평상을 야외에서 사용할 시에 빗물이나 햇볕 등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차양부재(86)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평상의 양단에 설치된 연결부재(10)의 양단부에는 각각 그 외주면에 수직부재 결합홀(82)이 돌출되게 형성된 끼움부재 (80)가 결합되고, 상기 끼움부재(80)의 수직부재 결합홀(82)을 통해서는 대략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소정 높이를 갖는 수직부재(82)가 각각 결합되므로서, 상기 수직부재(82)를 이용하여 그 상단에 방수천 등으로 구성된 차양부재(86)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상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상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상 구조의 절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로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평상의 중앙 및 양단에 각각 봉형상의 연결부재(10)를 수평방향으로 설치하고, 상면이 평평한 막대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양단부의 하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결합홀(52)이 각각 천공된 상면부재(50)를 다수 개 구비한 후, 상기 평상의 중앙에 설치된 연결부재(10)에 상기 다수 개의 상면부재(50)의 일단부를 결합시키고, 상기 상면부재(50)의 타단부를 상기 평상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연결부재(10)에 순차적으로 엇갈리게 배열된 형태로 고정되게 결합시켜 상기 다수 개의 상면부재(50)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시킨 상태로 평상의 안착면을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평상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상의 변형예에 따라, 네 개의 연결부재(10)를 수평 상태가 되도록 배열한 후, 그 중앙에 위치한 두 개의 연결부재 (10) 사이에 소정 길이를 갖는 제 1상면부재(30)의 양단부를 각각 결합시키고, 상기 제 1상면부재(30)와 순차적으로 엇갈리도록 제 2상면부재(40)의 일단부를 상기 중앙에 위치한 두 개의 연결부재(1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킨 상태에서 그 타단부를 상기 평상의 양단에 위치한 연결부재(10)에 각각 결합시켜 평상의 안착면이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평상에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받침부재(60) 및 보조받침부재(70)가 구비됨은 물론이고, 상기 각각의 제 2상면부재(40)의 길이는 상기 제 1상면부재(30)의 길이의 1/2이 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평상을 접을 시에 상기 각각의 제 2상면부재(40)는 상기 제 1상면부재(30)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상을 접을 시에는 상기 연결부재(10)의 단부에 결합된 끼움부재(80)의 수직부재 결합홀(82)로부터 상기 수직부재(84)를 이탈시키고, 상기 차양부재(86)를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평상의 양단에 위치한 연결부재(10)의 양단부에 결합된 받침부재(60)는 그 상단부에 형성된 회동부재 걸림홈(69)으로부터 회동부재(20)를 제거한 후, 상기 받침부재(60)를 각각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받침부재(60)가 상기 상면부재(50)와 평행한 위치에 소정의 고정부재(도시안됨)를 통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평상의 중앙에 위치한 연결부재(10)의 양단에 결합된 한 쌍의 보조받침부재(70)도 걸림부재(74)를 걸림돌기(79)로부터 제거한 후, 상기 보조받침부재(70)를 각각 회동시켜 상기 보조받침부재(70)가 상기 제 1 및 제 2상면부재 (30,40)와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각각의 받침부재(60) 및 보조받침부재(70)가 상기 제 1 및 제 2상면부재(30,40)와 평행한 상태로 고정된 후에는 상기 제 2상면부재(40)를 하측을 향해 180°회동시켜 상기 제 1상면부재(30)와 상기 제 2상면부재(40)가 겹쳐진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그 단면의 형상이 대략 "┳"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 2상면부재 (40)의 하면은 그 단면의 형상이 대략 "┏┓"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 1상면부재(30)의 하면에 삽입되어 상기 겹쳐진 제 1 및 제 2상면부재(30,40)는 대략 정사각형 형상을 이룸과 더불어, 상기 제 2상면부재(40)의 타단부가 결합된 상기 연결부재(10)는 상기 제 1상면부재(30)의 하면에 요입 형성된 요입홈(31)에 안착되어 용이하게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상면부재(30,40)의 각 단부에 걸림훅(도시안됨) 및 걸림고리(도시안됨) 등을 형성하여 그 접혀진 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평상은 그 크기 및 부피가 대략 반 정도로 줄어든 사각형상으로 변형되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상을 접을 시에는 상기 평상의 양단에 위치한 연결부재(10)의 양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받침부재(60)를 각각 90°회동시켜 상기 상면부재(50)와 평행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평상의 중앙에 위치한 연결부재(10)의 양단부에 각각 쌍으로 결합된 보조받침부재(70)를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회동시켜 상기 상면부재(50)와 평행인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각각의 받침부재(50) 및 보조받침부재(70)가 상기 상면부재(50)와 평행한 상태로 고정된 후에는 상기 일측의 상면부재(50)를 상측을 향해 180°회동시켜 상기 일측에 위치한 상면부재(50)의 사이에 상기 타측에 위치한상면부재(50)가 각각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평상은 그 크기 및 부피가 대략 반 정도로 줄어든 사각형상으로 변형되어 매우 간편하게 휴대 및 보관이 가능한 상태가 됨은 물론이고, 상술한 과정을 역으로 행하므로서 용이하게 상기 평상을 사용 가능한 상태로 펼쳐 복원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평상을 절첩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하여 선택적으로 평상을 절첩 시키면서 그 크기 및 부피를 줄일 수가 있으므로, 평상을 간편하게 차량 등에 휴대하거나 협소한 장소에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평상의 안착면을 통풍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함과 더불어, 그 상측에는 선택적으로 차양부재를 결합시키므로서, 평상의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사용자의 만족감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5)

  1. 평상의 구조에 있어서,
    대략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평상의 중앙 및 양단에 각각 수평상태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와,
    그 단면이 대략 "┏┓" 형상을 갖는 막대형태로 이루어져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가 배열되고 양단부에는 각각 결합홀이 천공되어 일단부는 상기 중앙에 설치된 연결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타단부는 상기 평상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제 1상면부재와,
    그 단면이 대략 "┳" 형상을 갖는 막대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 1상면부재와 대응되게 다수 개가 배열되고 양단부에는 각각 결합홀이 천공되어 일단부는 상기 중앙에 설치된 연결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타단부는 상기 평상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제 2상면부재 및,
    일정 높이를 갖는 막대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부에 결합홀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선택적으로 수평 또는 수직상태로 고정되면서 평상의 다리 역할을 하는 받침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상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상면부재는 상기 제 2상면부재 보다 길게 구성되고, 상기 평상을 중앙의 연결부재를 기준으로 접을 시에 상기 제 2상면부재의 단부가 결합된 연결부재가 맞닿는 상기 제 1상면부재의 하면에는 요입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상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상의 양단에 설치된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부에는 그 외주면에 수직부재 결합홀이 돌출되게 형성된 끼움부재가 관통되어 결합되고, 상기 수직부재 결합홀에는 각각 봉형상의 수직부재가 결합된 후 상기 수직부재를 통하여 차양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상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상의 양단에 설치되는 연결부재의 양단부를 통해서는 대략 "┗┛" 형상을 갖는 회동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받침부재의 상단에는 회동부재 걸림홈이 요입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재의 결합홀이 상기 연결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재 걸림홈이 상기 회동부재에 끼워져 고정됨에 따라 그 수직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평상의 중앙에 설치되는 연결부재의 양단부에는 각각 한 쌍의 막대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일측부재 및 타측부재에 형성된 걸림돌기 및 걸림부재에 의하여 상호간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보조받침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상 구조.
  5. 평상의 구조에 있어서,
    대략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평상의 중앙 및 양단에 각각 수평상태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와,
    대략 상면이 평평한 막대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양단부 하면에는 각각 결합홀이 천공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평상의 중앙에 설치된 연결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그 타단부는 상기 평상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연결부재를 향해 순차적으로 엇갈리게 배열된 형태로 결합되는 다수 개의 상면부재 및,
    일정 높이를 갖는 막대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부에 결합홀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선택적으로 수평 또는 수직상태로 고정되면서 평상의 다리 역할을 하는 받침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상 구조.
KR2020020011185U 2002-04-13 2002-04-13 평상 구조 KR2002804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185U KR200280490Y1 (ko) 2002-04-13 2002-04-13 평상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185U KR200280490Y1 (ko) 2002-04-13 2002-04-13 평상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490Y1 true KR200280490Y1 (ko) 2002-07-02

Family

ID=73055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185U KR200280490Y1 (ko) 2002-04-13 2002-04-13 평상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4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775U (ko) * 2019-09-30 2021-04-07 류지춘 이동식 평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775U (ko) * 2019-09-30 2021-04-07 류지춘 이동식 평상
KR200494197Y1 (ko) 2019-09-30 2021-08-24 류지춘 이동식 평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8339B2 (en) Canopy frame particularly applicable to deck chairs, garden chairs, beach chairs and the like
KR101137801B1 (ko) 조립식 마루형 좌대
US20160242550A1 (en) Chair Assembly
KR101606847B1 (ko) 텐트 설치가 용이한 절첩식 침대
KR101057479B1 (ko) 높낮이가 조절되는 절첩식 간이침대
KR200280490Y1 (ko) 평상 구조
KR102029257B1 (ko)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
KR20120004846A (ko) 조립식 마루형 좌대
US4616370A (en) Furniture
KR101266317B1 (ko) 낚시용 좌대
JP2002209663A (ja) 折り畳み腰掛け
KR101520465B1 (ko) 이동식 원두막
EP1617016B1 (fr) Ossature démontable pour abri
KR200474103Y1 (ko) 조립식 평상과 이를 이용한 텐트
KR102275210B1 (ko) 야외용 원목 테이블
KR200390657Y1 (ko) 낚시용 텐트
CN211459469U (zh) 一种可折叠园林座椅
KR101308524B1 (ko) 절첩식 마루형 좌대
KR101459661B1 (ko) 접이식 침대의 프레임 구조
KR200328004Y1 (ko) 접이식 침대
KR102664965B1 (ko) 이동이 용이한 조립식 하우스
KR20200001322U (ko) 텐트가 구비된 절첩식 침대
KR20050089767A (ko) 다기능 침대
KR930005623Y1 (ko) 차양막을 갖는 절첩, 휴대식 평상
CN212912433U (zh) 一种环保可折叠沙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