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063Y1 - A Container Device For Water Saving - Google Patents

A Container Device For Water Sav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063Y1
KR200280063Y1 KR2020020010376U KR20020010376U KR200280063Y1 KR 200280063 Y1 KR200280063 Y1 KR 200280063Y1 KR 2020020010376 U KR2020020010376 U KR 2020020010376U KR 20020010376 U KR20020010376 U KR 20020010376U KR 200280063 Y1 KR200280063 Y1 KR 2002800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ter
shower
pock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37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지만
Original Assignee
허지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지만 filed Critical 허지만
Priority to KR20200200103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06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0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063Y1/en

Links

Landscapes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수전환시 샤워기에서 일시적으로 분출되는 냉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절수용 용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봉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측부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개의 관통구 및 샤워기의 헤드부가 안측으로 하향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폭에 비해 길이가 상대적으로 큰 형상으로 상기 관통구 형성 영역 주변의 용기 표면에 결합되어 상기 샤워기로부터 분출되는 물이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용기 내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포켓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saving container device that can store the cold water temporarily discharged from the shower when hot water conversion, the top of the container is open,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and the head portion of the shower formed through the side of the container A pocket having a relatively large length compared to a width so as to be inserted downward and fixed to the side, the pocket is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around the through hole forming region to induce water to be discharged from the shower to enter the container through the through hole.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part.

Description

절수용 용기장치{A Container Device For Water Saving}A Container Device For Water Saving}

본 고안은 온수전환시 샤워기에서 일시적으로 분출되는 냉수를 저장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의 측부에 샤워기를 꽂아 고정시킬 수 있는 포켓부를 결합시키고, 결합부위에 관통구를 형성하여 샤워기의 물이 용기내로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는 절수용 용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that can store the cold water temporarily discharged from the shower when hot water conversion, and more specifically, to combine the pocket portion that can be fixed by plugging the shower to the side of the container, to form a through hole in the coupling portion It relates to a water-saving container device that the water of the show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and stored.

일반적으로 가정 내에서 물이 낭비되는 장소로는 대표적으로 욕실, 주방 등을 들 수 있다. 이 때 욕실에서 샤워나 세면 등에 이용되는 물은 특정 용기 등에 담아두는 경우가 적고 매번 대부분의 양을 하수구로 흘려보내는 경우가 많다.Generally, a place where water is wasted in a home may be a bathroom or a kitchen. At this time, the water used in the shower or wash in the bathroom is less often stored in a specific container, and most of the amount is often sent to the sewer.

특히 샤워시에는 욕조에 물을 담아 이용하기 보다는 샤워기를 욕실 벽에 고정하고 이용하는 횟수가 더욱 빈번하기 때문이며, 물의 분출량을 줄이고자 절수용 샤워기가 개발되어 이미 실용화되었지만, 하수로로 유입되어 낭비되는 물의 양은 변함없이 많다.In particular, when showering, it is more frequent to fix the shower on the bathroom wall than to use it in the bathtub, and to reduce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a water-saving shower has been developed and practically used. The quantity is invariably high.

아울러 각 가정에 보급되어 있는 보일러는 크게 가스를 연료로 이용하는 가스보일러와, 등유 등을 연료로 이용하는 기름보일러로 구분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분에 관계없이 샤워나 세면시 보일러 모드를 온수로 전환하게 되면 곧바로 온수가 공급되는 것이 아닌 일시적으로 냉수가 나오다가 온수가 분출하게끔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oilers that are spread in each household are classified into gas boilers using gas as fuel and oil boilers using kerosene as fuel. However, irrespective of this distinction, when a shower or washroom boiler mode is switched to hot water, hot water is temporarily supplied instead of hot water, and hot water is ejected.

특히 대단위 아파트 단지와 같이 중앙난방식의 구조를 갖춘 지역보다는 개별주택이나 연립주택 등과 같은 소규모 주거단지에서는 온수 모드전환 후 냉수의 일시적 분출빈도가 심하다.In particular, in small residential complexes such as individual houses or townhouses, rather than centrally structured areas such as large apartment complexes, the frequency of cold water is more frequent after switching to hot water mode.

이러한 비록 일시적이지만 각 가정에서 분출되는 모든 냉수의 양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일시적으로 분출되는 냉수를 저장할 수 있는 구조의 난방설비 또는 욕조설비 또한 현재에는 개발되어 있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Although the temporary, but the amount of all the cold water is spewed from each home can be said to be large, there is a problem that has not been developed in the current heating or bath equipment structure that can store the cold water is temporarily ejected.

한편 절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 가정에 보급된 수세식 변기와 더불어 보급된 세면대는 물을 일시적으로 모아둘 수 있도록 저면 중앙의 배수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마개가 구비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saving water, the flushing basin supplied to each household is provided with a stoppe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 in the center of the bottom to temporarily collect water.

그렇지만 간단한 세면과는 달리 샤워시에 사용되던 욕조는 최근 들어 점차 욕실에서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세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물을 사용하는 샤워(또는 목욕)시에 절수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의 설비나 장치는 개발이 전무할 실정이다.However, unlike simple toilets, bathtubs used for showers are gradually disappearing in bathrooms in recent years, so any structure that can save water in a shower (or bath) that uses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water compared to the toilets. There is no development of equipment or equipment.

따라서 샤워시 낭비되는 모든 물을 절수할 수는 없지만 온수모드 전환 후 일시적으로 배출되어 무의미하게 낭비되는 냉수를 모아 저장할 수 있는 구조의 장치나 설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t is not possible to save all the water wasted in the shower, but it is required to develop a device or facility having a structure that can collect and store cold water that is temporarily discharged after the hot water mode switching.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온수가 분출되기 이전에 소정시간 동안 샤워기로부터 분출되는 냉수를 모아둘 수 있는 구조의 절수용 용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saving container device of the structure that can collect the cold water ejected from the shower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hot water is ejected To provide.

그리고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용기의 측부에 포켓부를 결합시켜 샤워기를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용기와 포켓부 사이에 관통구를 형성하여 샤워기로부터 분출되는 물이 용기내로 유입될 수 있는 절수용 용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rough-hole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pocket part by combining the pocket part on the side of the container, and at the same time, the water ejected from the show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It is to provide a receiving container device.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상부가 개봉된 용기(10);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10 is opened top;

상기 용기(10)의 측부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개의 관통구(20); 및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0 formed through the sides of the container 10; And

샤워기(200)의 헤드부(210)가 안측으로 하향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폭에 비해 길이가 상대적으로 큰 형상으로 상기 관통구(20) 형성 영역 주변의 용기(10) 표면에 결합되어 상기 샤워기(200)로부터 분출되는 물이 상기 관통구(20)를 통해 상기 용기(10) 내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포켓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용 용기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The showerhead 200 is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10 around the through-hole 20 forming area in a shape having a relatively large length compared to the width so that the head 210 of the shower 200 is inserted downward and fixed to the inside. It is achieved by the water-saving container device comprising a; pocket portion 30 to guid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200 to be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10 through the through hole 20.

여기서 상기 포켓부(30)는 상기 용기(10)의 높이방향에 대해 소정각도를 두고 상기 샤워기(200)의 헤드부(2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입구(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ocket part 30 is preferably formed with an inlet 31 so that the head portion 210 of the shower head 200 can be inser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tainer 10.

그리고 상기 용기(10)는 높이방향을 따라 직경이 일정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container 10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 constant diameter along the height direction.

아울러 상기 용기(10)는 높이방향을 따라 직경이 증가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ainer 10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increasing in diameter along the height direction.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절수용 용기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saving container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3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절수용 용기장치의 사용상태도,3 is a state of use of the water-saving container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용기장치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따른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code according to the main part of the drawing>

10: 용기 20: 관통구10: container 20: through hole

30: 포켓부 31: 입구30: pocket part 31: entrance

40: 손잡이 100: 용기장치40: handle 100: container

200: 샤워기 210: 헤드부200: shower 210: head portion

다음으로는 본 고안에 따른 절수용 용기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Nex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water-saving contain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절수용 용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saving container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장치(100)는 샤워를 위해 냉수에서 온수로 전환할 경우 일시적으로 샤워기(200)에서 분출되는 냉수를 모아두기 위한 것으로, 용기(10)의 측부에 관통구(20)를 통해 상통하며 상기 샤워기(200)의헤드부(210)가 삽입될 수 있는 포켓부(30)가 결합되어 있다.1 and 2, the container device 100 is to collect the cold water discharged from the shower 200 temporarily when switching from cold water to hot water for the shower, the side of the container 10 The through-hole 2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pocket portion 30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ead portion 210 of the shower 200 is coupled.

이러한 상기 용기장치(100)는 상부가 개봉되어 있으며, 높이방향을 따라 내경이 증가하는 형태의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측부에 결합된 포켓부(30)로 이루어져 있다.The container device 100 is open at the top, and consists of a container 10 of the form of increasing the inner diameter along the height direction, and a pocket portion 30 coupled to the side of the container (10).

그리고 상기 용기(10)의 측부로 상기 포켓부(30)가 결합된 영역에는 다수개의 관통구(20)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0 are formed in an area where the pocket part 30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container 10.

여기서 상기 용기(10)는 플라스틱 수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개봉된 상부의 내경이 약 40cm 정도이고, 밀폐된 바닥의 내경이 약 30cm 정도이며 바닥중심에서부터 개봉된 상부의 중심까지의 높이가 약 50cm 정도이다.The container 10 is made of a plastic resin material, the inner diameter of the opened top is about 40cm, the inner diameter of the sealed bottom is about 30cm and the height from the bottom center to the center of the opened top is about 50cm to be.

상기 용기(10)의 측부에는 내경이 약 1cm 정도인 복수개의 관통구(20)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용기(10)의 개봉된 상부를 가로질러 만곡된 형태의 손잡이(40)가 구비되어 있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0 having an inner diameter of about 1 cm are formed in the side portion of the container 10. In addition, the handle 40 of the curved shape across the opened top of the container 10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관통구(20)가 형성된 영역 주변으로 포켓부(30)가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포켓부(30)는 상기 용기(10)의 높이방향에 대해 약 45°정도의 각도를 두고 경사지게 형성된다.And the pocket portion 30 is coupled to the area around the through-hole 20 is formed, the pocket portion 30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of about 45 °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tainer (10). .

또한 상기 포켓부(30)는 측부 및 하부는 상기 용기(10)의 표면에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는데, 입구(31)에서부터 하부까지가 폭에 비해 높이가 상대적으로 길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단면이 반원 형상을 취하고 있어 샤워기(200)의 헤드부(210) 뿐만 아니라 샤워기(200)의 전부가 안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샤워기(200) 헤드부(210)의 물 분출부위가 상기 각 관통구(20)에 대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cket part 3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ide and the lower part are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10, and the inlet 31 to the lower part are formed to have a relatively long height compared to the width. This semi-circular shape allows not only the head portion 210 of the shower head 200 but all of the shower head 200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and fixed, and the water jet portion of the head portion 210 of the shower head 200 is It may face the through hole 20.

따라서 상기 샤워기(200)로부터 분출되는 물의 수압을 극복하여 상기 샤워기(2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shower head 20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y overcoming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jetted from the shower head 200.

이 때 상기 포켓부(30)의 재질은 상기 용기(10)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수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포켓부(30)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관통구(20)는 상기 용기(10)의 개봉된 상부보다는 하부에 보다 가까운 높이로 위치한다.At this time, the material of the pocket portion 30 is made of a plastic resin material similar to the container 10, the through-hole 20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ocket portion 30 is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10. At a height closer to the bottom than to the top.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절수용 용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Figure 3 is a state of use of the water-saving contain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로 변환한 뒤 일정시간 동안 냉수가 샤워기(200)로부터 분출될 경우 곧바로 포켓부(30)의 입구(31)에 샤워기(200)의 헤드부(210)를 삽입하여 고정한다.As shown in FIG. 3, when cold water is ejected from the shower 200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being converted into hot water, the head 210 of the shower 200 is inserted into the inlet 31 of the pocket 30 immediately. To fix it.

이 때 상기 헤드부(210)의 물줄기 분출 부위가 포켓부(30)의 안측 하부에 용기(10)의 표면으로 형성된 관통구(20)의 정면과 대면하도록 위치시킨다.At this time, the water jetting portion of the head portion 210 is positioned to face the front of the through hole 20 formed as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10 i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pocket portion 30.

그러면 상기 헤드부(210)로부터 분출되는 물줄기는 상기 관통구(20)를 통해 용기(10) 내로 유입되어 모아지게 된다.Then, the stream of water jetted from the head 210 is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10 through the through hole 20 and collected.

이 후 상기 헤드부(210)의 물줄기에서 온수가 분출되면 포켓부(30)로부터 빼내어 사용한다.After that, when hot water is ejected from the stream of the head portion 210, the pocket portion 30 is removed and used.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절수용 용기장치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saving container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장치(100)는 높이방향을 따라 내경이 일정하며 개봉된 상부를 가로질러 만곡된 형태의 손잡이(40)가 구비된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측부에 결합된 포켓부(30)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10)의 측부 표면으로 상기 포켓부(30)가 결합된 영역안에는 복수개의 관통구(20)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container device 100 includes a container 10 and a container 10 having a handle 40 having a curved shape across an opened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device 100 along a height direc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0 are formed in a region in which the pocket portion 30 is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10 and includes a pocket portion 30 coupled to a side of the container 10.

상기 용기(10)는 내경이 약 40cm 정도이고 높이가 약 50cm 정도인 원통형의 구조로서, 측부에 결합된 상기 포켓부(30)는 입구(31)에서부터 하부까지의 길이가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용기(10)의 외주연의 곡률반경에 비해 포켓부(30)의 표면 곡률반경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길이방향을 따라 만곡되어진 샤워기(200)가 용이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container 10 has a cylindrical structure having an inner diameter of about 40 cm and a height of about 50 cm, and the pocket portion 30 coupled to the side has a relatively long length from an inlet 31 to a lower portion than a width. It is formed, because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pocket portion 30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tainer 10, the shower head 200 cur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easily inserted and fixed. .

이에 따라 상기 입구(31)를 통해 포켓부(30)의 안측으로 삽입된 샤워기(200)에서 헤드부(210)로부터 분출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헤드부(210)에서 물이 분출되는 부분은 상기 관통구(20) 형성부위와 대면하게 된다.Accordingly, in the shower 200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pocket portion 30 through the inlet 31 may be fixed without being separated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jetted from the head 210, the head portion ( The portion of the water ejected from the 210 faces the through-hole 20 forming portion.

따라서 관통구(2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용기(10)의 내부에 모아지게 되며, 샤워기(200)로부터 온수가 분출되는 즉시 포켓부(30)로부터 샤워기(200)를 빼내면 온수 전환 후 일시적으로 분출되는 냉수를 용기(10)에 저장할 수 있다.Therefore,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through-hole 20 is collected in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10, and as soon as hot water is ejected from the shower 200, the shower 200 is removed from the pocket portion 30 immediately after the hot water is switched. Cold water jetted into can be stored in the container (10).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절수용 용기장치(100)에서, 상기 용기(10)의 재질은 플라스틱 이외에, 양철,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및 목재 중에서 임의로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the water-saving container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material of the container 10 may be used in any of tin, aluminum, stainless and wood, in addition to plastic.

또한 상기 포켓부(30)의 재질은 상기 용기(10)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을 재질로 이용하는 것 이외에, 양철, 목재, 스테인레스 중에서 임의로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pocket part 30 may be optionally selected from tin, wood, and stainless steel, in addition to using plastic as a material, similar to the container 10.

아울러 상기 포켓부(30)는 상기 용기(10)의 측부에 결합되는 구조 이외에,일체로 성형 제작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structure coupled to the side portion of the container 10, the pocket portion 30 may be manufactured in one piece.

그리고 상기 포켓부(30)는 용기(10)의 측부에 1개만이 결합되는 것 이외에, 외주연을 따라 다수개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And the pocket portion 30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plurality along the outer periphery, in addition to only one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container (1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수용 용기장치에 의하면, 보일러에서 온수전환시 일시적으로 배출되는 냉수를 모아둘 수 있어 매번 샤워시 낭비되는 냉수를 저장하여 절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water-saving contain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llect the cold water temporarily discharged when the hot water is converted in the boiler, it is characterized by saving the cold water wasted during shower every time.

아울러 기존의 욕조 등에서 절수 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이용할 수 있으며,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생산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can be used for other purposes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saving water in the existing bath, etc., the structure is simp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oduction and production is easy.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mentioned above, other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herefore believed that the appended claims will cover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상부가 개봉된 용기(10);An open top container 10; 상기 용기(10)의 측부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개의 관통구(20); 및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0 formed through the sides of the container 10; And 샤워기(200)의 헤드부(210)가 안측으로 하향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폭에 비해 길이가 상대적으로 큰 형상으로 상기 관통구(20) 형성 영역 주변의 용기(10) 표면에 결합되어 상기 샤워기(200)로부터 분출되는 물이 상기 관통구(20)를 통해 상기 용기(10) 내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포켓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용 용기장치.The showerhead 200 is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10 around the through-hole 20 forming area in a shape having a relatively large length compared to the width so that the head 210 of the shower 200 is inserted downward and fixed to the inside. And a pocket portion (30) for inducing water to be discharged from the water (200) to be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10) through the through hole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30)는 상기 용기(10)의 높이방향에 대해 소정각도를 두고 상기 샤워기(200)의 헤드부(2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상적으로 대응하는 입구(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용 용기장치.The inl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cket part 30 has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tainer 10 so that the head part 210 of the shower head 200 can be inserted. 31) water saving contain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0)는 높이방향을 따라 직경이 일정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용 용기장치.The water saving container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ainer has a constant diameter along a height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0)는 높이방향을 따라 직경이 증가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용 용기장치.The water saving container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ainer has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increases in the height direction.
KR2020020010376U 2002-04-08 2002-04-08 A Container Device For Water Saving KR20028006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376U KR200280063Y1 (en) 2002-04-08 2002-04-08 A Container Device For Water Sav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376U KR200280063Y1 (en) 2002-04-08 2002-04-08 A Container Device For Water Sav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063Y1 true KR200280063Y1 (en) 2002-06-27

Family

ID=73075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376U KR200280063Y1 (en) 2002-04-08 2002-04-08 A Container Device For Water Sav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06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0063Y1 (en) A Container Device For Water Saving
CN204898793U (en) Water -saving toilet
CN215211394U (en) Rotary flushing ground siphon-discharging type closestool with double holes
CN201801942U (en) Urinal with hand washing basin
CN209482422U (en) A kind of intellectual water closet
RU2459046C9 (en) Water closet and method of its operation
KR200348050Y1 (en) A Trap Drain Pipe of Wash Vessel
CN201831765U (en) Shower capable of preventing cold water from washing head
KR101666675B1 (en) Bathroom have multipurpose scouring kier
KR101460445B1 (en) Urinal basin combined with sensor
KR20090078685A (en) A shower booth combined with bathtub
RU10406U1 (en) SYSTEM OF THE SANITARY TECHNICAL DEVICE OF THE BUILDING
KR20000027953A (en) Recycling device for filthy water of basin
CN109056952B (en) Tap water auxiliary flushing control method of water tank type toilet and intelligent toilet
CN217004651U (en) Recycling system for recycling cold water in retained hot water pipeline
RU2017108641A (en) BATHROOM KIT
CN210507681U (en) One-piece sanitary ware
KR970007246B1 (en) Rotating water-closet
KR200262185Y1 (en) A Washbowl attaching to water tank
KR200191135Y1 (en) Faucet with mouthwash
JP2007154622A (en) Drainage structure of bathtub
JP2001061685A (en) Washstand
CN204163171U (en) A kind of interlayer liquid seal device toilet
CN201007019Y (en) Basin
KR200389662Y1 (en) water support for water pa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