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632Y1 -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632Y1
KR200279632Y1 KR2020020009449U KR20020009449U KR200279632Y1 KR 200279632 Y1 KR200279632 Y1 KR 200279632Y1 KR 2020020009449 U KR2020020009449 U KR 2020020009449U KR 20020009449 U KR20020009449 U KR 20020009449U KR 200279632 Y1 KR200279632 Y1 KR 2002796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waste
belt
collection tank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4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수
Original Assignee
최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수 filed Critical 최영수
Priority to KR20200200094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6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6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632Y1/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야채 쓰레기나 음식물 쓰레기 등 수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쓰레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가압 탈수처리함으로서, 쓰레기의 처리 비용을 대폭적으로 경감시킴과 동시에 처리된 쓰레기를 필요에 따라 가축 사료나 비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는, 전방 상부 외측에 쓰레기가 적치되며, 쓰레기 중의 수분은 통과하고 고형분은 통과하지 않도록 다수의 미세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콘베이어 벨트와; 제1 콘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의 전방 상부인 쓰레기 적치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부터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와 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상에 적치된 쓰레기를 상부로부터 가압하며 진행시키는 제2 콘베이어 벨트와; 제1 콘베이어 벨트와 제2 콘베이어 벨트의 접면부를 상하에서 가압하여 쓰레기 중의 수분을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의 상부 내측으로 가압 배출시키는 압착 로울러와; 제1 콘베이어 벨트의 내측에 설치되어 제1 콘베이어 벨트의 상부 내측으로 배출되는 수분을 수집하는 폐수 수집조와; 폐수 수집조에 설치되어 폐수 수집조에 수집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 파이프와; 제1 콘베이어 벨트의 후단 하부에 설치되며, 압착 로울러를 통과하여 수분이 제거된 후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 및 제2 콘베이어로 부터 분리되는 고형 쓰레기가 수용되는 고형 쓰레기 수집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제1 콘베이어 벨트상에 적치된 쓰레기가 제2 콘베이어 벨트에 의해 상부로부터 서서히 가압을 받으며 진행되어 양 벨트 사이에서 압착 로울러 사이로 진입하게 되므로 압착 로울러 전방에 쓰레기가 쌓이는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압착 로울러를 통과하는 단위 시간당 쓰레기 양이 증대되어 처리 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쓰레기 처리장치{Waste Treating Apparetus}
본 고안은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채 쓰레기나 음식물 쓰레기 등 수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쓰레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가압 탈수처리함으로서, 쓰레기의 처리 비용을 대폭적으로 경감시킴과 동시에 처리된 쓰레기를 필요에 따라 가축 사료나 비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수산물 시장이나 청과물 시장 등에서 대량으로 발생하는 야채 쓰레기나 가정, 식당 및 음식물 가공 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 등은 그 중량의 대부분이 수분일 정도로 수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부피가 커서 그 처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또 별다른 처리 없이 매립지 등에 매립되는 경우 함유 되었던 수분에 의해 주변의 수질이 오염될 뿐만 아니라, 증발되는 수분에 의해 심한 악취가 발생하는 등 환경 오염의 주요인이 되어 왔다.
이에, 본 출원인은 다량의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분쇄 압착함으로서 쓰레기중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분리하여 별도로 폐수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쓰레기 처리장치를 개발하여 실용신안등록 제97-20776호로 출원하여 등록 받은 바 있다.
상기한 본인의 선출원은, 선출원 명시서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가 투입되는 호퍼 수단과, 호퍼 수단으로부터 유입되는 쓰레기를 잘게 분쇄하기 위한 분쇄 수단과, 분쇄 수단에 의해 분쇄된 쓰레기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 수단과, 압착 수단의 하부까지 연장 설치되는 함수성 재질의 수분 분리 콘베이어 벨트와, 수분 분리 콘베이어 벨트 및 그 상부의 쓰레기를 더욱 압착함으로서 수분을 폐수배출부로 분리하는 압축 로울러로 구성되는 것으로, 다량의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분쇄 압착하여 쓰레기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분리하여 별도로 폐수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환경 오염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쓰레기의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서 차량 적재에 따른 인건비 및 운반 비용 등 쓰레기 처리 비용을 대폭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고안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쓰레기 처리장치는, 함수성 콘베이어 벨트 자체의 수분이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콘베이어 벨트 상부의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 역시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제거되지 못했으며, 따라서, 처리된 쓰레기를 동물 사료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열풍 건조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 등 후처리 비용이 많이 소요되었다.
또한, 분쇄 수단으로부터 배출되어 함수성 콘베이어 벨트에 흡수되어 있는 수분 및 수분이 다량 잔류되어 있는 고형 쓰레기가 수분이 많은 상태 그대로 압축 로울러 사이로 진입됨으로 인해, 쓰레기와 로울러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여,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압축 로울러 전단에 점차적으로 고형 쓰레기가 쌓이게 되어 이를 제거해 주어야 하는 등 작업이 번거로웠으며, 단위 시간당 처리할 수 있는 쓰레기의 처리 양에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쓰레기 처리장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야채 쓰레기나 음식물 쓰레기, 오니 등 수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쓰레기를보다 신속하게, 보다 효율적으로 가압 탈수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쓰레기 중의 수분을 보다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 비용를 최소화하여 광범위한 지역의 쓰레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의 주요부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
도 2는 쓰레기 적치부의 주요부 사시도.
도 3은 충격 분리수단의 요부 사시도.
도 4는 충격 분리수단의 작동 설명도.
도 5는 고형 쓰레기 저장조 및 불순물 분리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 콘베이어 벨트 20 : 제2 콘베이어 벨트
30 : 압착 로울러 15a, 15b, 15c : 폐수 수집조
53 : 충격 분리수단 55 : 벨트 세척수단
56 : 고형 쓰레기 수집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는, 전방 상부 외측에 쓰레기가 적치되며, 쓰레기 중의 수분은 통과하고 고형분은 통과하지 않도록 다수의 미세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콘베이어 벨트와; 제1 콘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의 전방 상부인 쓰레기 적치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부터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와 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상에 적치된 쓰레기를 상부로부터 가압하며 진행시키는 제2 콘베이어 벨트와; 제1 콘베이어 벨트와 제2 콘베이어 벨트의 접면부를 상하에서 가압하여 쓰레기 중의 수분을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의 상부 내측으로 가압 배출시키는 압착 로울러와; 제1 콘베이어 벨트의 내측에 설치되어 제1 콘베이어 벨트의 상부 내측으로 배출되는 수분을 수집하는 폐수 수집조와; 폐수 수집조에 설치되어 폐수 수집조에 수집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 파이프와; 제1 콘베이어 벨트의 후단 하부에 설치되며, 압착 로울러를 통과하여 수분이 제거된 후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 및 제2 콘베이어로 부터 분리되는 고형 쓰레기가 수용되는 고형 쓰레기 수집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제1 콘베이어 벨트상에 적치된 쓰레기가 제2 콘베이어 벨트에 의해 상부로부터 서서히 가압을 받으며 진행되어 양 벨트 사이에서 압착 로울러 사이로 진입하게 되므로 압착 로울러 전방에 쓰레기가 쌓이는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압착 로울러를 통과하는 단위 시간당 쓰레기 양이 증대되어 처리 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쓰레기가 압착되어 발생하는 수분은 곧바로 합성 수지재 여과포 등으로 형성된 제1 콘베이어 벨트의 미세공을 통해 배출되어 폐수 수집조에 수집된 후 외부로 배출되게 되며 따라서 콘베이어 벨트 및 그 상부의 고형 쓰레기는 수분이 충분히 배출된 상태로 다음 단의 압착 로울러 사이로 진입하게 되므로 수분이 보다 완벽하게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제2 콘베이어 벨트는 제1 콘베이어 벨트와 동일하게 합성수지재 여과포 등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나, 제2 콘베이어 벨트를 제1 콘베이어 벨트와 동일 재질로 형성하여 시행한 실험 결과에 의하면, 쓰레기의 압착에 의해 발생하는 수분이 중력에 의해 하부로 제거되는 제1 콘베이어와는 달리, 제2 콘베이어를 통과한 수분은 각 단의 압착 로울러를 통과한 후 중력에 의해 다시 쓰레기 상부로 쓰며들게 되어 전체적으로 수분 제거 효과가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제2 콘베이어는 수분이 통과하지 않는 고무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어느 정도 수분을 함유할 수 있는 다공성 고무재질로 제2 콘베이어 벨트를 형성한 경우, 압착 로울러의 최종단을 지난 상태에서 쓰레기 중의 수분이 제2 콘베이어 벨트에 흡수되므로, 제2 콘베이어 벨트에 맺혀 있는 수분이 제1 콘베이어 상의 건조 쓰레기로 낙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쓰레기 중의 수분을 보다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었다.
또한, 제2 콘베이어 벨트의 외측에, 벨트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경사지게 다수의 V자형 홈을 형성하는 경우, 벨트가 진행됨에 따라 그 하부의 쓰레기에 대해 벨트 중앙측으로 힘을 가하게 되므로, 벨트의 폭방향 양단으로 쓰레기가 밀려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압착 로울러의 각 단은 종래와 같이 상하 한쌍으로 설치하여도 되지만, 압착 로울러를, 제1 콘베이어 벨트의 상부 내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 로울러와, 제2 콘베이어 벨트의 하부 내측에 배치되어 실린더에 의해 상기 한쌍의 지지 로울러 중앙부로 가압되는 가압 로울러로 구성함으로서, 제1 및 제2 콘베이어 벨트가 한쌍의 지지 로울러 사이에서 최대한의 장력을 받으며 상호 밀착됨과 동시에 양 벨트 사이의 쓰레기가 지지 로울러와 가압 로울러 사이의 쐐기 작용에 의해 최대한의 압착력을 받으며 압착되어 쓰레기 중의 수분이 완벽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콘베이어 벨트의 전방 상부 외측은 파쇄기 등에 의해 파쇄된 쓰레기가 일차로 적치되는 부분으로, 이 부분에 적치된 쓰레기는 수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이를 압착 로울러측으로 그대로 진행시킬 경우, 단위 시간당 쓰레기 처리 속도가 현저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탈수 효과 역시 저하된다.
따라서, 제1 콘베이어 벨트에 진동을 가해 그 상부에 적치된 쓰레기 중의 수분 및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의 미세공에 표면장력에 의해 맺혀 있는 수분이 1차 제거되도록 하기 위한 진동 탈수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압착 로울러를 통과한 쓰레기는 콘베이어 벨트에 압착되어 있게 되는 바, 콘베이어 벨트의 후단에 스크레이퍼를 설치하여 쓰레기를 콘베이어 벨트로 부터 긁어 내는 종래의 방식만에 의해서는 콘베이어 벨트에 강하게 압착되어 있는 쓰레기를 콘베이어 벨트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시키기 곤란하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제1 콘베이어 벨트와 제2 콘베이어 벨트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후방 내측에, 콘베이어 벨트에 반복적인 충격력을 가함으로서 콘베이어 벨트의 표면에 압착되어 있는 고형 쓰레기를 벨트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충격 분리수단이 설치되는 바, 충격분리 수단으로는 진동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 분리수단의 경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외주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탄성 충격편과, 탄성 충격편의 회전 경로중에 설치되는 걸림봉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탄성 충격편이 걸림봉에 걸려 최대한 굽혀졌다가 탄성 충격편의 자유단부가 걸림봉으로부터 벗어나는 순간 그 탄성력에 의해 펴지면서, 회전축에 의한 회전력에 탄성 충격력이 부가되어 콘베이어 벨트를 타격하게 되며, 그 결과, 압착 상태의 쓰레기를 콘베이어 벨트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충격 분리 수단에 의해 벨트로부터 분리된 쓰레기를 스크레이퍼에 의해 긁어 낸다 하더라도, 콘베이어 벨트의 표면에는 미세한 쓰레기 입자가 부착되어 있게 되는 바, 제1 콘베이어 벨트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서,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에 외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쓰레기를 고형 쓰레기 수집조 내로 불어내기 위한 에어 노즐을 제1 콘베이어 벨트의 후단 내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콘베이어 벨트는 다수의 미세공이 형성되어 필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쓰레기의 처리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로 미세공에 쓰레기 입자가 막혀 필터 역활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콘베이어 벨트의 경우 미세공에 막혀 있는 쓰레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해 주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면 세척수가 과도하게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경우, 제1 콘베이어 벨트의 하부 내측에는 벨트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분사해주는 세척수 분사 노즐을 설치하고, 제1 콘베이어 벨트의 하부 외측에는 세척수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어 벨트에 잔류되어 있는 세척수를 흡입하여 제거해 주는 진공흡입 수단을 설치함으로서, 소량의 세척수를 사용하면서도 벨트를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세척수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는 그 분사압에 의해 벨트를 세척하는 역할을 하기보다는 벨트를 적절히 적셔주어 진공 흡입 효과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세척수 노즐로부터 분사되어 벨트에 잔류되어 있는 세척수를 벨트의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하기 위해, 세척수 노즐과 진공 흡입 수단 사이에 세척수 분배 로울러를 설치함으로서 세척수의 사용량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처리 장치는 분쇄기 및 저장조 등과 함께 일정 장소에 고정적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 장치의 설치 개소가 늘어나 전체적인 장치의 설치비 및 운영 경비가 많이 소요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경우, 분쇄기나 저장조 등의 장치는 특정 장소에 설치하고, 본 고안의 쓰레기의 처리장치를 차량에 장착하여 각 장소를 순회하며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장치의 설치비를 최소화하면서도 쓰레기 처리장치의 운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제시하고 있는 바, 이를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전술한 쓰레기 처리장치를 차량에 설치하되, 고형 쓰레기 수집조 내부에는 쓰레기를 쓰레기 수집조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이송 스크류가 설치되며, 각 차량에 장착된 상기 고형 쓰레기 수집조에 수집된 쓰레기를 한곳에 저장하는 저장조 및 상기 고형 쓰레기 수집조로부터 배출된 쓰레기를 상기 저장조로 이송 시키는 고형 쓰레기 이송 콘베이어 벨트는 차량 외부의 임의 장소에 설치하고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형 쓰레기 이송 콘베이어 벨트의 후단 하부에 콘베이어 벨트의 후단으로 이송되어 떨어지는 쓰레기를 밀도에 따라 분리함으로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기 분사수단을 설치함으로서, 처리된 쓰레기를 가축의 사료로 사용하는 경우 금속이나, 비닐 등의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찹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처리장치는, 합성수지제 여과포로 형성된 제1 콘베이어 벨트(10)와, 다공성의 고무재질로 형성된 제2 콘베이어 벨트(20) 각각의 상부면 및 하부면의 일부가 상호 접하게 설치되어 그 사이에서 쓰레기가 압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바, 제1 콘베이어 벨트(10)는 제2 콘베이어 벨트(20)의 길이보다 소정길이 길게 형성되어 그 전방부가 제2 콘베이어 벨트(20) 앞쪽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제2 콘베이어 벨트의 앞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콘베이어 벨트의 전방부 상부 외측은 음식물 쓰레기 또는 분쇄기로부터 배출되는 야채 쓰레기 등이 적치되는 쓰레기 적치부(11)를 구성하게 되는 바, 쓰레기 적치부의 전방 및 양단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치된 쓰레기가 벨트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판(12)이 설치되어 있다.
차단판(12)의 하부에는 탄성재질의 패킹부(12a)를 형성하여 제1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 외측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쓰레기 적치부(11)에 적치되는 쓰레기는 수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이를 그대로 압착 로울러로 진행시킬 경우 단위 시간당 쓰레기 처리 속도가 현저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압착 효율이 현저히 저하된다.
따라서, 쓰레기 적치부(11)의 측부에는 제1 콘베이어 벨트에 진동을 가하기 위한 진동자(13)가 설치되어 있어서, 쓰레기 적치부의 상부에 적치된 쓰레기중의수분 및 제1 콘베이어 벨트의 미세공에 표면장력에 의해 맺혀 있는 수분이 1차 제거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수분이 1차로 제거된 쓰레기는 제2 콘베이어 벨트 및 하부 콘베이어 벨트로 구성되는 진입부(A)를 거쳐 압착 로울러(30)로 진입되는 데, 제1 콘베이어 벨트의 진입부(10a)는 안내로울러 41 및 42에 의해 진행방향으로 10도 내지 30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제2 콘베이어 벨트의 진입부(20a)는, 제1 콘베이어 벨트의 진입부와 만나는 각도 즉, 진입각(B)이 7도에서 15도 정도가 되도록 안내 로울러 43, 44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서, 일정량의 쓰레기가 원활하게 압착 로울러(30) 내부로 진입되어 압착되도록 한다.
또한, 제2 콘베이어 벨트의 외측에는, 벨트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경사지게 다수의 V자형 홈(21)이 형성되어 있어, 제2 콘베이어 벨트가 진행됨에 따라 그 하부의 쓰레기에 대해 벨트 중앙측으로 힘을 가하게 되므로, 벨트의 폭방향 양단으로 쓰레기가 밀려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압착 로울러(30)의 각 단은 제1 콘베이어 벨트(10)의 상부 내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 로울러(30a, 30b)와, 제2 콘베이어 벨트(20)의 하부 내측에 배치되어 유압 또는 공기압 실린더(30d)에 의해 지지 로울러(30a, 30b)의 중앙부로 가압되는 가압 로울러(30c)로 구성되어 있어, 제1 및 제2 콘베이어 벨트가 한쌍의 지지 로울러 사이에서 최대한의 장력을 받으며 상호 밀착됨과 동시에 양 벨트 사이의 쓰레기가 지지 로울러(30a, 30b)와 가압 로울러(30c) 사이의 쐐기 작용에 의해 최대한의 압착력을 받으며 압착되어 쓰레기 중의 수분이 보다 완벽하게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쓰레기 적치부(11)에서 1차 제거 되는 수분 및 압착 로울러(30)의 각단을 지나면서 쓰레기로부터 제거되는 수분은 제1 콘베이어 벨트(10)의 미세공을 통과하여 제1 콘베이어 벨트의 상부 내측으로 흘러내리게 되는 바, 제1 컨베이어 벨트(10)의 내측에는 폐수 수집조(15a, 15b, 15c)가 설치되어 있어, 배출되는 수분을 수집하여 외부로 배츨하게 된다.
폐수 수집조는 제1 콘베이어 벨트의 형상에 따라 다단(15a, 15b, 15c)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집된 폐수를 각 수집조의 드레인 파이프(16a, 16b, 16c) 각각을 통해 직접 배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드레인 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는 폐수를 별도로 형성된 폐수 저장조(17)에 모아 일괄적으로 배수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마지막 단의 압착 로울러를 통과한 콘베이어 벨트의 후단에는, 수분이 제거된 쓰레기를 콘베이어 벨트로부터 긁어 내기 위한 스크레이퍼(51, 52)가 설치되어 있으며, 스트레이퍼의 전방 즉, 제1 콘베이어 벨트와 제2 콘베이어 벨트의 후방 내측에는 콘베이어 벨트에 반복적인 충격력을 가함으로서 콘베이어 벨트의 표면에 압착되어 있는 고형 쓰레기를 벨트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충격 분리수단(53)이 설치되어 있는 바, 충격 분리수단(53)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53a)과, 회전축(53a)의 외주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탄성 충격편(53b)과, 탄성 충격편(53b)의 회전 경로중에 설치되는 걸림봉(53c)으로 구성되어, 회전축(53a)이 회전함에 따라 탄성 충격편(53b)이 걸림봉(53c)에 걸려 최대한 굽혀졌다가 탄성 충격편(53b)의 자유단부가 걸림봉(53c)으로부터 벗어나는 순간 그 탄성력에 의해 펴지면서, 회전축(53a)에 의한 회전력에 탄성 충격력을 부가하여 콘베이어 벨트를 타격하도록 함으로서 압착 쓰레기를 콘베이어 벨트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충격 분리수단(53)에 의해 벨트로부터 분리된 쓰레기를 스크레이퍼(51, 52)에 의해 긁어 낸다 하더라도, 제1 콘베이어 벨트(10)의 표면 및 미세공에는 미세한 쓰레기 입자가 부착되어 있게 되는 바, 제1 콘베이어 벨트(10)의 후단 내측에는, 제1 콘베이어 벨트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서 제1 콘베이어 벨트에 부착되어 있는 쓰레기를 고형 쓰레기 수집조(56) 내부로 불어내기 위한 에어 노즐(54)이 제1 콘베이어 벨트의 폭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압축공기에 의해 쓰레기를 제1 콘베이어 벨트(10)로부터 불어 낸다 하더라도, 쓰레기의 탈수 압착 작업이 계속 진행되게 되면, 제1 콘베이어 벨트의 미세공이 쓰레기의 미세입자로 막혀 필터 역할을 정상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콘베이어 벨트(10)의 경우, 미세공에 막혀 있는 쓰레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주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면 세척수가 과도하게 소요되므로, 제1 콘베이어 벨트의 하부 내측에는 벨트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분사해주는 세척수 분사 노즐(55a)을 설치하고, 제1 콘베이어 벨트의 하부 외측에는 세척수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어 벨트에 잔류되어 있는 세척수를 흡입하여 폐수 저장조(17)로 배출해 주기 위한진공흡입구(55b)가 설치되어 있어, 벨트를 소량의 세척수로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세척수 분사 노즐(55a)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는 그 분사압에 의해 벨트를 세척하는 역할을 하기보다는 벨트를 적절히 적셔주어 진공 흡입 효과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세척수 분사 노즐(55a)로부터 분사되어 벨트에 잔류되어 있는 세척수를 벨트의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하기 위해, 세척수 분사 노즐(55a)과 진공 흡입구(55b)의 사이에 세척수 분배 로울러(55c)가 설치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55d는 세척수 저장조, 55e는 세척수 공급 펌프, 55f는 진공펌프를 각각 나타내며, 세척 수단에 의한 벨트의 세척은 일정 주기를 설정하여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쓰레기 처리 장치는 분쇄기 및 저장조 등과 함께 일정 장소에 고정적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 장치의 설치 개소가 늘어나 전체적인 장치의 설치비 및 운영 경비가 많이 소요되게 된다.
따라서, 분쇄기는 쓰레기가 다량으로 발생하는 일정 장소에 설치하고, 상기의 구성을 갖는 쓰레기 처리장치를 차량에 장착하여 각 장소를 순회하며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면, 장치의 설치비를 최소화하면서도 쓰레기 처리장치의 운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처리된 고형 쓰레기를 동물의 사료나 비료 등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 쓰레기를 쓰레기 수집조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이송 스크류(56a)를 고형쓰레기 수집조(56) 내부에 설치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형 쓰레기 수집조(56)에 수집된 쓰레기를 한곳에 저장하는 저장조(61) 및 고형 쓰레기 수집조(56)로부터 배출된 쓰레기를 저장조(61)로 이송 시키는 고형 쓰레기 이송 콘베이어 벨트(62)를 차량 외부의 임의 장소에 설치하여, 각지의 쓰레기 발생장소에 차량이 이동하여 쓰레기를 압착 처리한 후 저장조(61)에 이를 배출하여 일괄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콘베이어 벨트의 후단으로 이송되어 떨어지는 쓰레기를 밀도에 따라 분리함으로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고형 쓰레기 이송 콘베이어 벨트(62)의 후단 하부에, 송풍팬(63a) 및 벨트의 폭에 해당되는 장방형의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공기 분사노즐(63b)로 이루어지는 위한 공기 분사수단를 설치함으로서, 처리된 쓰레기를 가축의 사료로 사용하는 경우 금속이나, 비닐 등의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공기 분사수단에 의하면, 탈수처리된 쓰레기에 미량 잔류되어 있는 수분을 증발시켜 간조시키는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저장조(61)는 3단계로 구획되어 있어, 금속 등과 같이 밀도가 큰 불순물이 수집되는 제1 저장조(61a), 건조된 야채 쓰레기 등이 저장되는 제2 저장조(62b), 비닐 등과 같이 밀도가 낮은 불순물이 수집되는 제3 저장조(61c)로 구성되며, 제3 저장조(61c)의 외측에는 비닐등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그물망(61d)이 설치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쓰레기 처리장치에 의하면, 압착 로울러를 통과하는 단위 시간당 쓰레기 양이 증대되어 처리 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쓰레기가 압착되어 발생하는 수분은 곧바로 합성 수지재 여과포 등으로 형성된 제1 콘베이어 벨트의 미세공을 통해 배출되어, 쓰레기의 수분이 충분히 배출된 상태로 다음 단의 압착 로울러 사이로 진입하게 되므로 수분이 보다 완벽하게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콘베이어를 수분이 통과하지 않는 다공성 고무 재질로 형성함으로서, 압착 로울러의 최종단을 지난 상태에서 쓰레기 중의 수분을 보다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며, 제2 콘베이어 벨트에 V자형 홈이 형성되어 있어 쓰레기가 벨트로부터 탈락되지 않고 원활하게 진행되게 된다.
또한, 진동 탈수 수단에 의해 쓰레기 중의 수분이 일차로 제거된 후 압착 로울러로 진입하게 되며. 3개의 로울러가 맞물려 구성되는 압착 로울러의 쐐기 작용에 의해 쓰레기에 대해 최대한의 압착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압착 탈수 효율이 현저히 상승하게 된다.
또한, 벨트에 압착되어 있는 쓰레기를 탄성 충격편의 충격력에 의해 콘베이어 벨트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되며, 세척수 분사노즐 및 진공 흡입 수단에 의해 최소한의 세척수을 사용하면서도 벨트의 세척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처리된 쓰레기를 가축의 사료나 비료로 사용하는 경우 공기 분사수단에 의해 불순물을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게 되므로 후처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전방 상부 외측에 쓰레기가 적치되며, 쓰레기 중의 수분은 통과하고 고형분은 통과하지 않도록 다수의 미세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콘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의 전방 상부인 쓰레기 적치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부터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와 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상에 적치된 쓰레기를 상부로부터 가압하며 진행시키는 제2 콘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2 콘베이어 벨트의 접면부를 상하에서 가압하여 쓰레기 중의 수분을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의 상부 내측으로 가압 배출시키는 압착 로울러와;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의 상부 내측으로 배출되는 수분을 수집하는 폐수 수집조와;
    상기 폐수 수집조에 설치되어 상기 폐수 수집조에 수집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 파이프와;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의 후단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압착 로울러를 통과하여 수분이 제거된 후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 및 제2 콘베이어로 부터 분리되는 고형 쓰레기가 수용되는 고형 쓰레기 수집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콘베이어 벨트는 다공성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콘베이어 벨트의 외측에는, 벨트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벨트가 진행됨에 따라 그 하부의 쓰레기에 대해 벨트 중앙측으로 힘을 가하는 다수의 V자형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로울러는,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의 상부 내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 로울러와, 상기 제2 콘베이어 벨트의 하부 내측에 배치되어 실린더에 의해 상기 한쌍의 지지 로울러 중앙부로 가압되는 가압 로울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의 전방 상부에는,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에 진동을 가해 그 상부에 적치된 쓰레기 중의 수분 및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의 미세공에 표면장력에 의해 맺혀 있는 수분이 1차 제거되도록 하기 위한진동 탈수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와 상기 제2 콘베이어 벨트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후방 내측에는, 콘베이어 벨트에 반복적인 충격력을 가함으로서 콘베이어 벨트의 표면에 압착되어 있는 고형 쓰레기를 벨트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충격 분리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분리 수단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탄성 충격편과, 상기 탄성 충격편의 회전 경로중에 설치되는 걸림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의 후단 내측에는,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서,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에 외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고형 쓰레기를 상기 고형 쓰레기 수집조 내로 불어내기 위한 에어 노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의 하부 내측에는 벨트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분사해주는 세척수 분사 노즐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콘베이어 벨트의 하부 외측에는 상기 세척수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어 벨트에 잔류되어 있는 세척수를 흡입하여 상기 폐수 수집조로 배출해 주기위한 진공흡입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노즐과 상기 진공 흡입 수단의 사이에는, 상기 세척수 노즐로부터 분사되어 벨트에 잔류되어 있는 세척수를 벨트의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하기 위한 세척수 분배 로울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처리장치는 차량에 장착되고, 상기 고형 쓰레기 수집조 내부에는 쓰레기를 상기 쓰레기 수집조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이송 스크류가 설치되며,
    각 차량에 장착된 상기 고형 쓰레기 수집조에 수집된 쓰레기를 한곳에 저장하는 저장조 및 상기 고형 쓰레기 수집조로부터 배출된 쓰레기를 상기 저장조로 이송 시키는 고형 쓰레기 이송 콘베이어 벨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쓰레기 이송 콘베이어 벨트의 후단 하부에는 상기 콘베이어 벨트의 후단으로 이송되어 떨어지는 쓰레기를 밀도에 따라 분리함으로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기 분사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장치.
KR2020020009449U 2002-03-29 2002-03-29 쓰레기 처리장치 KR2002796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449U KR200279632Y1 (ko) 2002-03-29 2002-03-29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449U KR200279632Y1 (ko) 2002-03-29 2002-03-29 쓰레기 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325A Division KR20030078340A (ko) 2002-03-29 2002-03-29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632Y1 true KR200279632Y1 (ko) 2002-06-24

Family

ID=73120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449U KR200279632Y1 (ko) 2002-03-29 2002-03-29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6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969B1 (ko) 2009-05-04 2011-03-16 김연실 가연성 쓰레기 정량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969B1 (ko) 2009-05-04 2011-03-16 김연실 가연성 쓰레기 정량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644B1 (ko) 폐비닐을 이용한 펠렛 제조장치
US5268100A (en) Manure separator
KR100761488B1 (ko) 폐비닐의 재활용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184147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A2928448C (en) Mat cleaning and drying apparatus and method
US4666602A (en) Manure separator
US3873450A (en) Separation of liquids from wet solids
KR2016003940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US7775371B2 (en) Device for the separation of waste materials in accordance with their densities
KR101146230B1 (ko) 스크린드럼형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조절장치
KR200279632Y1 (ko) 쓰레기 처리장치
JP2779716B2 (ja) スクリーン渣の破砕洗浄脱水装置
KR10033793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US6578714B2 (en) Mobile washer with fluid reclamation system
KR20030078340A (ko) 쓰레기 처리장치
KR10128201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3631955B2 (ja) 回収紙コップ、牛乳パック等の細片の洗浄脱水機及び再生処理装置
US4597865A (en) Rotary liquid separation unit
JP3645546B2 (ja) 残存生コンクリートの分別方法及び分別水分蒸発処理方法
GB2556085A (en) Screening apparatus
CN107999515B (zh) 一种多功能厨余垃圾箱
EP242731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erunreinigter kunststoffgebinde, insbesondere ölbehälter
KR102068155B1 (ko) 고액분리기
KR200329224Y1 (ko) 벨트 프레스 탈수 여과포 세척장치
JP3623785B2 (ja) し渣回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