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509Y1 - 낚시용 기구 - Google Patents

낚시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509Y1
KR200279509Y1 KR2020020009679U KR20020009679U KR200279509Y1 KR 200279509 Y1 KR200279509 Y1 KR 200279509Y1 KR 2020020009679 U KR2020020009679 U KR 2020020009679U KR 20020009679 U KR20020009679 U KR 20020009679U KR 200279509 Y1 KR200279509 Y1 KR 2002795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member
snoop
fishing
pair
fish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6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민
Original Assignee
김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민 filed Critical 김경민
Priority to KR20200200096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509Y1/ko
Priority to GB0212061A priority patent/GB2387097B/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5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5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4Lea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53Fishing booms, i.e. connecting devices spreading out the leaders, e.g. to avoid tangling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제조가 용이하고, 효율적인 하중 분산구조를 구비한 낚시용 기구가 개시되어있다. 상기 낚시용 기구는 낚시용 라인 및 낚시 바늘이 장착되는 스누드를 구비한다. 상기 스누드는 조인트 부재에 의해 상기 낚시용 라인에 연결된다. 상기 조인트 부재는 상기 낚시용 라인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인가되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하중분산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조인트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조인트 부재를 중심으로 전방 및 후방에는 한 쌍의 스토퍼가 각각 장착된다. 상기 스누드는 상기 조인트 부재의 리브에 현수되는데, 상기 리브는 돔 형상으로 제작되어 스누드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킨다. 상기 조인트 부재는 한번의 성형공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기 때문에 제조비용 이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며, 인가되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므로써, 변형 발생이 방지되고,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기구{FISHING TACKLE}
본 고안은 대량 어업용 낚시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 바늘이 장착되는 스누드(snood)를 낚시용 라인에 연결시키는 조인트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징어 또는 대구(cod) 등과 같은 어류를 대량으로 포획하기 위한 낚시용 기구에는 다수개의 낚시 바늘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낚시 바늘은 스누드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스누드는 낚시용 라인에 결합되어 있는 조인트 부재에 연결되므로써 하나의 낚시 기구를 형성한다.
상기 조인트 부재는 낚시 바늘에 걸린 어류의 저항 또는 무게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낚시용 라인에 견고하게 결합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조인트 부재는 철판을 성형(pressing)하여 제작되며, 다양한 구조와 형상을 갖는 조인트 부재가 현재 상용되고 있다.
도5에는 종래 조인트 부재(400)가 도시되어 있다.
도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인트 부재(400)에는 낚시 바늘(도시 안됨)이 장착되는 스누드(50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누드(500)는 낚시 바늘을 장착하기 위한 후크부(hook; 520), 상기 조인트 부재(400)와 연결되는 링부(ring; 510) 및 상기 링부(510)와 후크부(5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링부(510)와 후크부(520)를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켜주는 스위블(swivel; 530)로 구성된다.
상기 조인트 부재(400)는 본체부(410) 및 상기 본체부(410)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4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탭부(tap; 420)를 포함한다. 상기 탭부(420)에는 홀(421)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스누드(500)의 링부(510)가 상기탭부(420)의 홀(421)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410)는 낚시용 라인(도시 안됨)에 결합될 수 있도록 양단부가 개구된 대략 원통형의 형상으로 성형된다.
그러나, 상기 구조를 갖는 종래 조인트 부재(400)는 탭부(420)를 별도로 성형해야 한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즉, 도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최초 판금단계에서 본체부(410)에 탭부(420)를 형성시킨 후 상기 본체부(410)를 원통형으로 성형시키는 공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공정 단계가 늘어나고, 제조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조인트 부재(400)를 주물제작(molding)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이 경우 고가의 주형(mold)이 필요하며, 탭부(420)와 본체부(410)가 맞닿는 지점(A)에서 버(burr)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기 위한 마무리 가공이 필요시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 부재(400)는 인가되는 하중 방향(W)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상기 낚시용 라인과 결합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 상기 본체부(410)의 양 단부가 벌어져서 상기 낚시용 라인으로부터 상기 조인트 부재(400)가 이탈될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즉, 이러한 결합구조는 어류의 저항 또는 무게에 의해 상기 스누드(500)를 통해 상기 조인트 부재(400)로 전달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지 못하고, 상기 하중을 상기 본체부(410)의 일단부(415)에 집중적으로 작용시키기 때문에, 상기 본체부(410)의 일단부(415)가 외측으로 틸트(tilt)되어 상기 조인트 부재(400)가 상기 낚시용 라인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조인트 부재(400)를 낚시용 라인에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본체부(410)의 양단부를 상기 낚시용 라인 측으로 눌러주는 추가의 프레싱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또다른 조인트 부재를 구비하는 낚시용 기구의 일예가 미합중국 특허 제 5,251,396호(issued to Leonard Halgh, on OCT. 12, 1993)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조인트 부재는 그 일단부에 러그(lug)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러그에 스누드가 결합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조인트 부재의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는 있지만, 조인트 부재에 인가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구조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제1 목적은 제조공정이 용이하고, 효율적인 하중 분산구조를 구비하므로써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인트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2 목적은 상기 조인트 부재를 구비한 낚시용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낚시용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기구를 구성하는 조인트 부재의 전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기구를 구성하는 조인트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5는 종래 조인트 부재와 스누드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6은 도5에 도시된 조인트 부재의 전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낚시용 기구 110 : 낚시용 라인
120 : 스토퍼 200 : 조인트부재
300 : 스누드 310 : 제1 링부
320 : 스위블 330 : 제2 링부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판상 부재를 원통형으로 성형시킨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본체부의 종축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관통홀, 및 상기 한쌍의 관통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판상부재가 원통형상으로 용이하게 성형될 수 있도록, 상기 판상부재의 양단에는 리세스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스누드는 상기 한쌍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리브에 현수되며, 상기 리브는 상기 스누드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돔 형상으로 제작된다.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었을 때, 상기 판상 부재의 양 단부는 상기 돔 형상의 리브에 대향된 위치에 형성되므로써, 상기 리브를 통해 상기 본체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양 단부로 균일하게 분산된다.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낚시용 라인, 낚시 바늘이 장착되는 스누드, 상기 스누드를 상기 낚시용 라인에 연결시켜주며, 인가되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하중분산구조를 구비하는 조인트 부재, 및 상기 낚시용 라인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조인트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조인트 부재를 중심으로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조인트 부재는 상기 낚시용 라인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누드는 상기 조인트 부재의 저면 중심부에 결합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기구(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기구(100)는 낚시용라인(110)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기구(100)는 대량 어업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낚시용 라인(110)은 충분한 강도 및 내구성을 구비해야만 한다. 통상적으로, 나일론 또는 합성 섬유를 여러 갈래로 꼬아서 제작한 낚시용 라인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낚시용 라인(110)에는 조인트 부재(200)가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조인트 부재(200)는 강판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낚시 바늘(도시 안됨)이 장착되는 스누드(snood; 300)는 상기 조인트 부재(200)를 통해 상기 낚시용 라인(110)에 연결된다. 도1에는 하나의 조인트 부재(200)와 스누드(300) 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다수개의 조인트 부재(200)와 스누드(300)가 상기 낚시용 라인(110)에 설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 부재(200)는 인가되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하중분산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조인트 부재(20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한 쌍의 스토퍼(120)가 상기 낚시용 라인(110)에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스토퍼(120)는 상기 조인트 부재(200)를 중심으로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하나씩 장착된다.
상기 스누드(300)는 상기 조인트 부재에 결합되는 제1 링부(310), 상기 낚시 바늘이 장착되는 제2 링부(330) 및 상기 제1 링부(310)와 제2 링부(330)를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켜 주는 스위블(swivel; 320)을 포함한다. 상기 스누드(300)는 상기 조인트 부재(200)의 저면 중심부에 결합된다. 상기 스누드(300)의 구조는 종래 기술에 언급된 스누드와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도2는 상기 도1에 도시된 낚시용 기구(100)의 평면도이다.
도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2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양 단부(122,124)는 상기 낚시용 라인(110)에 대해 가압 성형되어 상기 낚시용 라인(1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다르면, 상기 스토퍼(120)를 제거하고, 상기 조인트 부재(200)의 양 단부를 상기 낚시용 라인(110)에 고정적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스토퍼(120)를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 부재(200)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조인트 부재(200)가 고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조인트 부재(200)에 집중되는 하중으로 인하여 낚시용 라인(110)이 손상되거나, 상기 조인트 부재(200)가 낚시용 라인(110)으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도3 및 도4에는 상기 조인트 부재(200)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3은 상기 조인트 부재(200)의 전개도이며, 도4는 상기 조인트 부재(200)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 부재(200)는 매우 단순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종래기술의 탭과 같이 스누드(300)를 현수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를 제작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 제조 공정 및 제조 시간이 감소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외에도, 상기 조인트 부재(200)는 그 표면에 굴곡을 갖는 구조로 성형시킴으로서, 상기 조인트 부재(200)를 낚시용 라인에 대해 가압 성형시킬 때 보다 견고하게 가압 성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 부재(200)를 사용할 경우, 상기조인트 부재(200)는 인가되는 하중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도3 및 도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 부재(200)는 판상 부재(도3참조)를 원통형(도4참조)으로 성형시킨 본체부(205)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부(205)의 일측벽에는 한쌍의 관통홀(202,20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홀(202,204)은 상기 스누드(300)의 제1 링부(310)를 체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원통형 본체부(206)의 종축(208)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한쌍의 관통홀(202,204) 사이에는 상기 본체부(205)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리브(rib; 20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판상 부재가 원통형상으로 용이하게 성형될 수 있도록, 상기 판상 부재의 양단에는 리세스(210, 22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누드(300)는 상기 한쌍의 관통홀(202, 204)을 통과하여 상기 리브(206)에 현수되며, 상기 리브(206)는 상기 스누드(300)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돔(dome)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효율적인 하중 분산을 위해 상기 돔 형상을 갖는 리브(206)는 그 직경이 상기 한쌍의 관통홀(202, 204)의 중심간의 거리에 상응하도록 제작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리브(206)를 통해 관통홀(202,204)로 균일한 하중이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4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05)가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었을 때, 상기 판상 부재의 양 단부는 상기 돔 형상의 리브(206)에 대향된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리브(206)를 통해 상기 본체부(205)로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본체부(205)의 양 단부로 균일하게 분산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 부재(200)는 상기 스누드(300)를 통해 전달되는 어류의 저항 또는 무게에 의한 하중을 상기 돔 형상의 리브(206)를 통해 1차적으로 분산시킨 후, 상기 본체부(205)의 양단부로 고르게 전달시키므로써, 하중의 편중에 의해 상기 본체부(205)의 양 단부가 이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본 고안이 가지는 고유의 하중 분산 구조로서, 이러한 하중의 분산을 통해 상기 조인트 부재(200)의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조인트 부재(200)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낚시용 기구(100)는 매우 용이하게 조립된다. 먼저, 별도의 공정을 통해 제작된 스누드(300)를 상기 조인트 부재(200)의 본체부(205)에 형성된 관통홀(202,204)을 통해 리브(206)에 현수시킨다.
이어서, 상기 낚시용 라인(11) 상에 상기 스토퍼(120)와 조인트 부재(200)를 올려놓고, 가압 성형기를 이용하여 상기 스토퍼(120)와 조인트 부재(200)를 원통 형상으로 성형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의 양 단부(122,124)는 상기 낚시용 라인(1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 부재는 단순한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비용이 절감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 부재는 고유의 하중 분산 구조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하중에 의해 변형 또는 틸트되어 상기 조인트 부재가 낚시용 라인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조인트 부재를 낚시용 기구에 장착할 경우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추가의 장점을 갖는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 부재는 제작 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추가의 장점을 갖는다.
이상 본 고안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개량이나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개량이나 변형 또한 본 고안에 속한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낚시용 라인;
    낚시 바늘이 장착되는 스누드;
    상기 스누드를 상기 낚시용 라인에 연결시켜주며, 인가되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하중분산구조를 구비하는 조인트 부재; 및
    상기 낚시용 라인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조인트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조인트 부재를 중심으로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부재는 상기 낚시용 라인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누드는 상기 조인트 부재의 저면 중심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부재는 판상 부재를 원통형으로 성형시킨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본체부의 종축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관통홀, 및 상기 한쌍의 관통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부재가 원통 형상으로 용이하게 성형될 수 있도록, 상기 판상 부재의 양단에는 리세스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기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누드는 상기 한쌍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리브에 현수되며, 상기 리브는 상기 스누드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돔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었을 때, 상기 판상 부재의 양 단부는 상기 돔 형상의 리브에 대향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리브를 통해 상기 본체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양 단부로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기구.
  7. 낚시용 라인;
    낚시 바늘이 장착되는 스누드; 및
    상기 스누드를 상기 낚시용 라인에 연결시켜주며, 상기 낚시용 라인에 고정적으로 장착되고, 인가되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하중분산구조를 구비하는 조인트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기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부재는 판상 부재를 원통 형상으로 성형시킨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본체부의 종축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관통홀, 및 상기 한쌍의 관통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판상 부재의 양단부는 상기 낚시용 라인측으로 가압성형됨으로써 상기 조인트 부재를 상기 낚시용 라인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기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누드는 상기 한쌍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리브에 현수되며, 상기 리브는 상기 스누드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돔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기구.
  10. 제 9항에 있어서,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었을 때, 상기 판상 부재의 양 단부는 상기 돔 형상의 리브에 대향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리브를 통해 상기 본체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양 단부로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기구.
  11. 판상 부재를 원통형으로 성형시킨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본체부의 종축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관통홀; 및
    상기 한쌍의 관통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부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부재가 원통형상으로 용이하게 성형될 수 있도록, 상기 판상부재의 양단에는 리세스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부재.
  13. 제 11항에 있어서, 스누드가 상기 한쌍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리브에 현수되며, 상기 리브는 상기 스누드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돔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부재.
  14. 제 11항에 있어서,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었을 때, 상기 판상 부재의 양 단부는 상기 돔 형상의 리브에 대향된 위치에 형성되므로써, 상기 리브를 통해 상기 본체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양 단부로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부재.
  15. 낚시용 라인;
    낚시 바늘이 장착되는 스누드;
    상기 스누드를 상기 낚시용 라인에 연결시켜주며, 상기 낚시용 라인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인가되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하중분산구조를 구비하는 조인트 부재; 및
    상기 낚시용 라인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조인트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조인트 부재를 중심으로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스토퍼를 구비하며,
    상기 스누드는 상기 조인트 부재의 저면 중심부에 결합되고, 상기 조인트 부재는 판상 부재를 원통형으로 성형시킨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본체부의 종축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관통홀, 및 상기 한쌍의 관통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판상부재가 원통형상으로 용이하게 성형될 수 있도록, 상기 판상부재의 양단에는 리세스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스누드는 상기 한쌍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리브에 현수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스누드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돔 형상으로 제작되며,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었을 때, 상기 판상 부재의 양 단부는 상기 돔 형상의 리브에 대향된 위치에 형성되므로써, 상기 리브를 통해 상기 본체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양 단부로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기구.
KR2020020009679U 2002-04-01 2002-04-01 낚시용 기구 KR2002795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679U KR200279509Y1 (ko) 2002-04-01 2002-04-01 낚시용 기구
GB0212061A GB2387097B (en) 2002-04-01 2002-05-24 Fishing tack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679U KR200279509Y1 (ko) 2002-04-01 2002-04-01 낚시용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509Y1 true KR200279509Y1 (ko) 2002-06-24

Family

ID=32291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679U KR200279509Y1 (ko) 2002-04-01 2002-04-01 낚시용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279509Y1 (ko)
GB (1) GB238709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5461B2 (en) 2010-04-16 2013-02-05 Centro Corporation Long line fishing connector
KR101279620B1 (ko) * 2010-04-16 2013-06-27 주식회사 센트로 연승 낚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3701A (en) * 1932-11-12 1936-03-10 Loyal J Miller Fishing device
US2267469A (en) * 1939-03-30 1941-12-23 Joys Brothers Company Sail slide fixture
CH641637A5 (de) * 1980-03-28 1984-03-15 Keller Willy Ag Stopper,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sselben.
GB9016320D0 (en) * 1990-07-25 1990-09-12 Needle Industries Ltd Fishing tackle
NO176461C (no) * 1993-01-13 1995-04-12 Mustad & Soen As Bærehylse for forsynsvivler og emne for en sådan bærehylse
GB9504966D0 (en) * 1995-03-11 1995-04-26 Entaco Ltd Fishing tackle
US5926996A (en) * 1997-11-12 1999-07-27 Pacific Industrial Supply Co., Inc. Fishing line conn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5461B2 (en) 2010-04-16 2013-02-05 Centro Corporation Long line fishing connector
KR101279620B1 (ko) * 2010-04-16 2013-06-27 주식회사 센트로 연승 낚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87097B (en) 2004-08-18
GB0212061D0 (en) 2002-07-03
GB2387097A (en) 200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5559A (en) Float pins
KR200279509Y1 (ko) 낚시용 기구
US5992084A (en) Fishing lure with a movable weight mounted inside thereof
US20020134905A1 (en) Void forming device
US4723421A (en) Ear clip having improved securing means
US20090058044A1 (en) Drawbar pin adapter
US6189488B1 (en) Waterer for livestock
NZ211135A (en) Telephone handset
US4197720A (en) Two-part band structure with interengageable ends
JP3231606U (ja) ソフトルアー用仕掛け接続具
KR101925084B1 (ko)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
US2814086A (en) Fishing tackle connection
RU2102876C1 (ru) Подвесная втулка для сетевых вертлюгов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US20060090388A1 (en) Integrated line guide seat for fishing rods
CN220068619U (zh) 鱼钩及设有该鱼钩的鱼饵
GB2192926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hook
SK9212001A3 (en) Ski pole handle
JP2939803B1 (ja) イカ用釣針
JPS5826673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ル
KR200182592Y1 (ko) 혀끝의 마모 방지를 위한 플라스틱 삽
CN212084016U (zh) 一种改进的操纵杆
US3696547A (en) Fishing lure
CN215816768U (zh) 一种带预埋件的滑环外壳结构
CN212574384U (zh) 一种锁扣结构
EP4067676A1 (en) Fixture for fixing a member of a fastener, member of a fastener and snap faste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