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505Y1 -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 - Google Patents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505Y1
KR200279505Y1 KR2020020009413U KR20020009413U KR200279505Y1 KR 200279505 Y1 KR200279505 Y1 KR 200279505Y1 KR 2020020009413 U KR2020020009413 U KR 2020020009413U KR 20020009413 U KR20020009413 U KR 20020009413U KR 200279505 Y1 KR200279505 Y1 KR 2002795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metal case
line
nec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석
Original Assignee
제주도 해양 수산자원 연구소
박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도 해양 수산자원 연구소, 박용석 filed Critical 제주도 해양 수산자원 연구소
Priority to KR2020020009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5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5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505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낚싯줄이 엉키지 않으면서도 손쉽게 정리할 수 있으므로, 낚싯줄의 투/양승이 손쉽게 수행될 수 있고, 악천후에도 낚싯줄의 엉킴이 없이 조업 가능하게 하며, 내구성이 우수한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는, 어선의 현장판 상면 안쪽에 고정되도록 소정의 길이, 폭 및 두께로 형성되고, 양단이 개폐됨과 아울러 상면(110)의 길이방향 중앙부가 위로 돌출됨으로써 길이방향 중앙부에 삽입공간(130)을 갖는 금속제 케이스(100)와; 상기 금속제 케이스의 삽입공간에 차례로 삽입되고 소정의 자속을 가지는 다수 개의 상하 양면착저자(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금속제 케이스(100)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채낚기어업용 목줄(34)의 연결순서대로 목줄(34) 끝에 달린 낚시(36)를 금속제 케이스(100)의 상면(110)에 올려놓기만 하면 목줄(34) 및 낚시(36)를 정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APPARATUS FOR ARRANGING FISHING HOOKS IN SINGLE LINES}
본 고안은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채낚기의 낚싯줄이 엉키지 않으면서도 손쉽게 정리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낚싯줄의 투/양승이 손쉽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낚기어업은 끝에 추(50)가 달린 길다란 낚싯줄(30)의 원줄(32)을, 예컨대 원줄(32)과 연결된 뒷줄(60)을 자새(70)로 감고 풀면서 조획 수심에 맞출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옆에서 조업하고 있는 사람의 어구와 경합관계가 발생하지 않도록 낚싯대(20)에 매달고, 상기 원줄(32)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끝에 미끼(40)를 꿰는 낚시(36)가 달린 다수의 목줄(34)을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여 조업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이 채낚기어업을 하도록 이루어진 채낚기어선(10)은 조업 중 어선이 조류의 흐름과 비슷한 속도로 흘러가게 하여 어획을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물닻(sea anchor)(14)을 구비한다. 국내의 연근해 채낚기 어업은 주로 제주도 근해, 동해 및 남해에서 행해지고 있으며, 채낚기어업으로 어획되는 어종으로는 갈치, 방어, 삼치, 오징어, 한치, 복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채낚기어업에서는, 긴 원줄(32)과 함께 많은 목줄(34) 및 낚시(36)가 투/양승되는 과정에서 엉킬 우려가 있으므로, 목줄(34) 및 낚시(36)들을 가지런히 정리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목줄(34) 및 낚시(36)를 정리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갑판의 측부 가장자리의 난간 즉, 현장판(舷牆板)(12)의 상면 안쪽에 실리콘고무 스폰지(미 도시)를 적당한 길이 및 두께로 절단하여 고정하였다. 이 실리콘고무 스폰지를 이용하여 목줄(34) 및 낚시(36)를 정리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투승을 위하여 미끼(40)를 준비하는 과정 중 낚싯줄(30)을 정리하게 되는데, 이 경우 낚시(36)에 미끼(40)가 꿰어 있지 않은 목줄(34)을 실리콘고무 스폰지에 낚시(36)를 꽂아 한 줄씩 정리한 후에 실리콘고무 스폰지로부터 목줄(34)을 한 줄씩 분리하면서 미끼(40)를 꿰어 현장판(12) 위에 가지런하게 정리하였다가 미끼준비작업이 완전히 끝나면 낚싯줄(30)을 투승한다. 또한, 투승된 낚싯줄(30)을 손으로 양승하는 과정에서 목줄(34) 및 낚시(36)를 정리하게 되는데, 이 경우 원줄(32)을 양승하면서 목줄(34)의 끝에 매달린 낚시(36)에 미끼(40)가 남아 있으면 목줄(34)을 현장판(12)에 가지런히 정리하고, 낚시(36)에 미끼(40)가 남아 있지 않은 목줄(34)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실리콘고무 스폰지에 낚시(36)를 꽂아서 정리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실리콘고무 스폰지를 이용하여 낚싯줄(30)을 정리하는 경우, 실리콘고무 스폰지의 특성상 내구성이 약한 관계로 실리콘고무 스폰지에 낚시(36)를 꽂거나 빼내는 작업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고려한다면 그 수명이 대단히 짧다. 또한, 조업 중 날카로운 물체가 지나칠 경우 쉽게 손상되고, 실리콘고무 스폰지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거의 해수에 젖어 있는 상태에 놓여 있기 때문에 그 수명단축은 더욱 심화된다. 더욱이, 목줄(34)들 끝에 미끼(40)가 달린 각 낚시(36)가 현장판(12) 위에 정리되어 있기 때문에 강풍이 부는 날씨에 현장판(12) 위에 정리된 목줄(34)과 낚시(36)가 바람에 휘말려서 서로 엉키게 되는 등 심각한 문제가 야기된다. 이와 같이 낚싯줄(30)이 휘말려 서로 엉키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바람막이 등과 같은 별도의 부가장치를 요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낚시(36)를 실리콘고무 스폰지에 꽂고 이탈시키는 작업을 수없이 반복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목줄(34) 및 낚시(36)를 정리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 또한, 실리콘고무 스폰지의 경우 어선(10)의 현장판(12)에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이 다양하지 못해 결국 접착 등의 방법으로 설치할 수밖에 없고, 이 때문에 예컨대 설치가 잘못되었거나 다른 곳으로 옮겨 설치할 경우 문제가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채낚기 낚시도구의 낚싯줄이 엉키지 않으면서도 손쉽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하여 낚싯줄의 투/양승이 손쉽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강풍이 부는 등 일기가 좋지 못한 날이나 악천후시에도 목줄 및 낚시가 엉키지 않고 조업에 지장이 없도록 하는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장기간 사용하여도 손상이 없는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를 구성하는 금속제 케이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채낚기어업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채낚기어업에 사용되는 낚시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어선, 12 : 현장판(舷牆板),
30 : 낚싯줄, 32 : 원줄,
34 : 목줄, 36 : 낚시,
100 : 금속제 케이스, 110 : 금속제 케이스의 상면,
120 : 금속제 케이스의 하면, 200 : 상하 양면착저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는, 어선의 현장판 상면 안쪽에 고정되도록 소정의 길이, 폭 및 두께로 형성되고, 양단이 개폐됨과 아울러 상면의 길이방향 중앙부가 위로 돌출됨으로써 길이방향 중앙부에 삽입공간을 갖는 금속제 케이스와; 상기 금속제 케이스의 삽입공간에 차례로 삽입되고 소정의 자속을 가지는 다수 개의 상하 양면착저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금속제 케이스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상하 양면착저자는 대략 1,200G의 자속을 가지고, 소정의 길이, 폭 및 두께를 갖는 직육면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에 따르면, 낚싯줄을 정리할 때, 낚시를 어선의 현장판 상면에 고정한 기존의 실리콘고무 스폰지에 목줄 및 낚시들을 꽂으면서 정리할 필요 없이 목줄들이 가지런하게 배열되도록 낚시를 금속제 케이스의 상면에 놓기만 하면 낚싯줄을 정리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는, 양단을 개폐할 수 있으며, 상면의 길이방향 중앙부가 위로 돌출됨으로써 길이방향 중앙부에 삽입공간을 갖는 금속제 케이스(100)와, 상기 금속제 케이스(100)의 삽입공간(130)에 차례로 삽입되는 다수 개의 상하 양면착저자(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금속제 케이스(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어선(10)의 현장판(12) 상면 안쪽에 설치되도록 소정의 길이, 폭 및 두께를 가지는데, 예컨대 길이의 경우 대략 2m의 규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금속제 케이스(100)는 상면(110)의 길이방향 중앙부가 대략 사다리꼴 단면형상으로 돌출되도록 일체형으로 되어 있다. 즉, 사다리꼴 단면 형상의 삽입공간(130)을 가지도록 금속제 튜브의 양쪽을 납작하게 절곡함으로써 금속제 케이스(100)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공간(130)에 상하 양면착저자(200)를 손쉽게 삽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금속제 케이스(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에 납작하게 절곡된 부분에는 어선(10)의 현장판(12) 상면 안쪽에 못, 스크류,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금속제 케이스(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공(140)(도 1 참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 양면착저자(200)는 자력에 의하여 인접한 것끼리 끌리므로 금속제 케이스(100)의 삽입공간(130)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금속제 케이스(100)의 상면(110) 중 길이방향 중앙부가 대략 사다리꼴 단면 형태로 돌출된 것만을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상하 양면착저자(200)의 삽입 및 인출이 손쉽고 또 낚싯줄(30)을 효과적으로 정리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형태라면 본 고안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고, 이러한 것들 또한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금속제 케이스(100)는 해수, 천후 등에 대한 내성을 가지도록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금속제 케이스(100)의 삽입공간(130)에 삽입되는 상하 양면착저자(200)는 1,200G 정도의 자속을 가진다. 또한, 상기 상하 양면착저자(200)는 소정의 길이, 폭 및 두께를 갖는 직육면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2m 길이의 금속제케이스(100)의 삽입공간(130)에 20cm 길이를 가진 상하 양면착저자(200)가 차례로 10개 삽입될 수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를 이용하여 채낚기어업 과정에서 낚싯줄을 정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는 금속제 케이스(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의 납작하게 절곡된 부분에 형성되는 체결공(140)들을 통하여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어선(10)의 현장판(12)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현장판(12)에 금속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그 위에 본 고안의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를 올려놓기만 하면 상하 양면착저자(200)의 자력에 의해 본 고안의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가 어선(10)의 현장판(12)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채낚기어업용 목줄(34) 및 낚시(36)의 정리는 두 가지 과정에서 수행된다. 즉, 어획하기 위하여 낚싯줄(30)을 투승할 때 낚싯줄(30)의 목줄(34)들 끝에 달린 낚시(36)들에 미끼(40)를 꿰어야 하는 데, 이 미끼준비과정에서 낚싯줄(30)을 정리한다. 즉, 어선(10)의 갑판 위로 낚싯줄(30)을 양승하면서 낚시(36)에 미끼(40)가 꿰어 있지 않을 경우 그 목줄(34) 끝에 매달린 낚시(36) 또는 이 낚시(36)에 인접한 목줄(34) 부분을 잡아 금속제 케이스(100)에 올려놓기만 하면 낚시(36)가 상하 양면착저자(200)의 자력에 의하여 금속제 케이스(100)의 상면(110)에 부착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미끼(40)가 꿰어 있지 않은 낚시(36)가 매달린 목줄(34)들을 손쉽게 정리할 수 있다. 미끼(40)가 꿰어져 있는 낚시(36)를 가진 목줄(34)의 경우 낚시(36)에 미끼(40)가 꿰어진 상태 그대로 금속제 케이스(100)의 상면(110)에 놓는다. 이와 같이 하여 낚싯줄(30), 즉 원줄(32) 및 목줄(34)들이 모두 정리되면, 미끼(40)가 꿰어 있지 않은 낚시(36)들을 차례로 금속제 케이스(100)의 상면(110)으로부터 이탈시켜 낚시(36)에 미끼(40)를 꿰고 위와 마찬가지로 금속제 케이스(100)의 상면(110)에 가지런히 놓는다. 이 미끼준비작업이 완료되면, 낚싯줄(30)을 투승한다. 따라서, 낚싯줄(30)이 엉키지 않은 채로 잘 정리되어 있으므로 낚싯줄(30)을 손쉽게 투승할 수 있다.
또한, 목줄(34) 및 낚시(36)의 정리는 투승된 낚싯줄(30)을 인양하여 어류를 낚아 올릴 때 수행된다. 낚싯줄(30)을 양승할 때에는 자새(70)에 감겨있는 뒷줄(60)을 갑판 위로 당겨 올리면, 뒷줄에 연결되어 있는 원줄(32)도 함께 양승된다. 이 때 원줄(32)의 목줄(34) 끝에 매달린 낚시(36)에 낚인 어획물을 제거한 다음 빈 낚시(36)를 금속제 케이스(100)에 가지런히 올려놓는다. 낚시(36)에 꿰어 있는 미끼(40)의 여부에 관계없이 목줄(34)들을 양승되는 순서대로 차례로 금속제 케이스(100)의 상면(110)에 가지런히 올려놓는다. 따라서, 낚싯줄(30) 양승시에도 낚시(36)를 금속제 케이스(100)에 올려놓기만 하면 상하 양면착저자(200)의 자력에 의하여 낚시(36)가 금속제 케이스(100)에 부착되므로, 목줄(34) 및 낚시(36)를 간단하게 정리할 수 있다.
채낚기 어구 투/양승시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반복적으로 낚시(36)를 정리하면, 낚싯줄(30)의 정리작업이 신속하게 수행되므로 낚싯줄(30)을 손쉽게 투/양승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에 있어서는, 어선(10)의 현장판(12)에 고정되는 케이스(100)가 금속제, 특히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해수나 천후에 내성이 강해 내구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어선(10)의 현장판(12)에 설치해 놓은 채 장기간 사용하여도 손상되지 않으므로 종래 실리콘고무 스폰지를 사용할 경우에 비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외부가 금속제 케이스(100)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날카로운 물체가 지나치거나 하중이 크게 가해져도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일이 없다.
또한, 낚싯줄(30)을 정리할 때 목줄(34)의 연결순서대로 목줄(34) 끝에 달린 낚시(36)를 금속제 케이스(100)의 상면(110)에 올려놓기만 하면 되므로, 본 고안의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가 손상을 입는 일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이 경우, 낚시정리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므로, 낚싯줄(30)의 투/양승 사이클이 짧아짐에 따라 어획량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상하 양면착저자(200)의 자력에 의해 낚시(36)가 금속제 케이스(100)의 상면(110)에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로 낚싯줄(30)이 정리되므로, 강풍을 수반하는 등의 악천후시에도 목줄(34) 및 낚시(36)가 바람에 휘말려 엉키는 현상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바람을 막기 위한 별도의 바람막이 등의 부가장치를 요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의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는 금속제 케이스(100)의 하면(120) 또는 금속제 케이스(100) 양쪽의 납작한 부분을 스크류 등으로 어선(10)의 현장판(12)에 고정함으로써 손쉽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판(12)에 고정된 상태에서 쉽게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잘못 설치되었거나 다른 곳으로 옮겨 설치할 경우 손쉽게 재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현장판(12)에 금속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하 양면착저자(200)의 자력에 의해 금속제 케이스(100)의 저면을 손쉽게 현장판(12)에 착탈시킬 수 있으므로, 이 경우 본 고안의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의 설치는 더욱 간소화될 수 있다.

Claims (2)

  1. 어선의 현장판의 상면 안쪽에 고정되도록 소정의 길이, 폭 및 두께로 형성되고, 양단이 개폐되며 상면(110)의 길이방향 중앙부가 위로 돌출됨으로써 길이방향 중앙부에 삽입공간(130)을 갖는 금속제 케이스(100)와;
    상기 금속제 케이스의 삽입공간에 차례로 삽입되고 소정 자속을 가지는 다수 개의 상하 양면착저자(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 케이스(100)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
KR2020020009413U 2002-03-29 2002-03-29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 KR2002795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413U KR200279505Y1 (ko) 2002-03-29 2002-03-29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413U KR200279505Y1 (ko) 2002-03-29 2002-03-29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505Y1 true KR200279505Y1 (ko) 2002-06-24

Family

ID=73074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413U KR200279505Y1 (ko) 2002-03-29 2002-03-29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5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568A (ko) 2018-02-23 2019-09-02 김점식 낚시줄 엉킴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568A (ko) 2018-02-23 2019-09-02 김점식 낚시줄 엉킴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9034B1 (en) Shoreline outrigger rod system
KR200279505Y1 (ko) 채낚기어업용 낚시정리장치
KR200409920Y1 (ko) 낚시채비
JP4830931B2 (ja) イカ釣り用仕掛
KR20190067061A (ko) 호래기 낚시바늘
KR200416611Y1 (ko) 오징어 날날이 낚시
US3216143A (en) Fishing lure retrievers
CN217791091U (zh) 一种便捷式锁鱼扣
KR20220060673A (ko) 인조미끼가 결합된 낚시채비
KR200301965Y1 (ko) 바다 낚시용 채비
Keith Tori line designs for New Zealand domestic pelagic longliners
JP2018174886A (ja) 大型魚の釣り方法とその仕掛けと道糸連結具。
KR200418286Y1 (ko) 낚싯줄 투척기
US2796209A (en) Fish stringer and carrier
JP2006288274A (ja) 船釣り用釣具
CN209234713U (zh) 一种具有可快速拆卸功能的捕鱼笼
RU212911U1 (ru) Трап-мост для вылавливания рыбы
CN217609073U (zh) 一种防缠绕仕挂
CN210143621U (zh) 一种捕鱼设备
CN220875610U (zh) 一种一杆多线钓竿
KR200408885Y1 (ko) 낚시채비
JP2024021716A (ja) 根掛しにくい釣り仕掛け、及び根掛しにくい釣り仕掛けの胴付き仕掛け及びサビキ仕掛けの製造方法。
JPH0686478U (ja) まき餌カゴ付き浮き
JPS6115723Y2 (ko)
JP3037560U (ja) 浮 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